크리스탈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탈린은 눈의 수정체에서 발견되는 결정 단백질로, 빛의 굴절률을 증가시켜 투명성을 유지하는 주요 기능을 한다. 수정체 세포는 크리스탈린으로 채워지면 다른 기능을 잃고, 크리스탈린은 교체되지 않아 평생 사용된다. 크리스탈린은 α, β, γ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되며, α-크리스탈린은 샤페론 기능을 통해 백내장 예방에 기여한다. 일부 크리스탈린은 효소 활성을 가지며, 다양한 생물 종에서 다른 효소와 관련성을 보인다. 크리스탈린의 아미노산 서열은 다른 단백질과 유사하며, α-크리스탈린 기능 저하나 아스파르트산의 라세미화는 백내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조 단백질 - 섬유상 단백질
섬유상 단백질은 막대 모양의 긴 단백질 필라멘트로서 구조 또는 저장 단백질 역할을 하며, 소수성 곁사슬과 반복적인 아미노산 서열로 특이한 이차 구조를 형성하고 사슬 간 가교 결합으로 안정화되어 변성에 강하고 물에 불용성인 특징을 갖는다. - 구조 단백질 - 액틴 핵형성 코어
액틴 핵형성 코어는 세포 내 액틴 필라멘트 형성을 시작하는 분자 복합체 또는 단백질로, 세포 형태 유지, 이동, 분열 등 생명 현상에 필수적이며 Formin, Arp2/3 복합체 등이 관여하고 질병 치료 가능성 연구에 활용된다. - 단백질 - 단백뇨
단백뇨는 소변에서 과도한 단백질이 검출되는 상태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지속적인 경우 신장 질환을 의심할 수 있어 의학적 진단과 원인 질환에 따른 치료가 필요하다. - 단백질 - 펩타이드 호르몬
펩타이드 호르몬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신체의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필수적인 물질로, 인슐린, 글루카곤, 성장 호르몬 등이 있으며 기능 이상은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크리스탈린 | |
|---|---|
| 단백질 정보 | |
| 이름 | 크리스탈린 |
| 외부 데이터베이스 | 위키데이터: Q418565 |
| 일반 정보 | |
| 설명 | 눈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
2. 기능
크리스탈린의 주요 기능은 눈의 수정체에서 빛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유일한 기능은 아니며, 크리스탈린은 수정체 내와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도 여러 대사 및 조절 기능을 할 수 있다.[7] βγ-결정 단백질 도메인을 포함하는 단백질은 그리스 열쇠 모티프를 가진 칼슘 결합 단백질로 특징지어진다.[8]
α-크리스탈린은 부분적으로 변성된 β- 및 γ-크리스탈린을 정상으로 되돌리고, 회합을 방지하는 샤페론 기능을 가지고 있다. β-와 γ-크리스탈린은 수정체의 투명성 유지 및 빛의 굴절률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경우, 수정체 내 크리스탈린의 비율은 α가 45%, β가 20%, γ가 35%이다.
2. 1. 수정체에서의 기능
눈의 수정체에서 결정 단백질의 주요 기능은 빛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유일한 기능은 아니다. 결정 단백질이 수정체 내에서, 그리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도 여러 가지 대사 및 조절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7] 현재 βγ-결정 단백질 도메인을 포함하는 더 많은 단백질이 새로운 칼슘 결합 모티프인 그리스 열쇠 모티프를 가진 칼슘 결합 단백질로 특징지어졌다.[8]수정체 세포는 발생 시에 크리스탈린으로 가득 차면 다른 기관을 위축시키고, 단백질의 합성 기능도 잃는다. 이 때문에 크리스탈린은 다른 단백질과 달리 교환·보충이 불가능하며, 평생 사용된다. α-크리스탈린의 샤페론 기능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크리스탈린이 회합을 일으키고, 시스틴 결합 등을 형성하여 굳어지면 수정체는 투명도를 잃고, 시력에 장애가 생긴다. 이것이 백내장의 원인이다.
크리스탈린의 회합 원인으로는 α-크리스탈린에 포함된 아스파르트산이 L체에서 D체로 변화(라세미화)하는 것 등이 지적되고 있다.
α-크리스탈린은 부분적으로 변성된 β- 및 γ-크리스탈린을 정상으로 되돌리고, 회합을 방지하는 기능(샤페론)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β-와 γ-크리스탈린은 수정체의 투명성 유지 및 빛의 굴절률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경우, 수정체 내 크리스탈린의 비율은 α가 45%, β가 20%, γ가 35%이다.
2. 2. 추가 기능
눈의 수정체에서 결정 단백질의 주요 기능은 빛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굴절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것이 유일한 기능은 아니다. 결정 단백질이 수정체 내에서, 그리고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도 여러 가지 대사 및 조절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7] 현재 βγ-결정 단백질 도메인을 포함하는 더 많은 단백질이 새로운 칼슘 결합 모티프인 그리스 열쇠 모티프를 가진 칼슘 결합 단백질로 특징지어졌다.[8]α-크리스탈린은 부분적으로 변성된 β- 및 γ-크리스탈린을 정상으로 되돌리고, 회합을 방지하는 기능(샤페론)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β-와 γ-크리스탈린은 수정체의 투명성 유지 및 빛의 굴절률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경우, 수정체 내 크리스탈린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 α-크리스탈린 | β-크리스탈린 | γ-크리스탈린 |
|---|---|---|
| 45% | 20% | 35% |
2. 3. 효소 활성
일부 크리스탈린은 활성 효소이며, 다른 크리스탈린은 활성이 없지만 다른 효소와 상동성을 보인다.[9][10] 다양한 생물군의 크리스탈린은 다수의 서로 다른 단백질과 관련이 있는데, 조류와 파충류의 크리스탈린은 젖산 탈수소 효소와 아르기니노석신산 분해 효소와 관련이 있고, 포유류의 크리스탈린은 알코올 탈수소 효소와 퀴논 환원 효소와 관련이 있으며, 두족류의 크리스탈린은 글루타티온 S-전이 효소와 알데히드 탈수소 효소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크리스탈린이 특정 효소가 투명하고 용해도가 높았다는 우연한 진화의 산물인지, 아니면 이러한 다양한 효소 활성이 렌즈의 보호 기전의 일부인지 여부는 현재 활발히 연구되는 주제이다.[11] 원래 하나의 기능을 위해 진화한 단백질을 두 번째의 관련 없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은 엑스aptation의 예이다.[12]3. 분류
수정체의 결정질 단백질은 크게 알파(α), 베타(β), 감마(γ)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용출되는 순서에 따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서 분류되며, 유비쿼터스 결정질 단백질이라고도 불린다. 베타- 및 감마-결정질 단백질(예: CRYGC)은 서열, 구조 및 도메인 위상이 유사하여 단백질 슈퍼패밀리인 βγ-결정질 단백질로 함께 그룹화된다.[13][14] α-결정질 단백질 계열과 βγ-결정질 단백질은 수정체에 존재하는 주요 단백질 계열을 구성한다. 이들은 모든 척추동물 계급에서 발생하며(감마 결정질 단백질은 조류 수정체에서 낮거나 부재), 델타 결정질 단백질은 파충류와 조류에서만 발견된다.[13][14]
이러한 결정질 단백질 외에도 델타, 엡실론, 타우 및 이오타 결정질 단백질을 포함하여 일부 유기체의 수정체에서만 발견되는 다른 분류군 특이적 결정질 단백질이 있다. 예를 들어, 조류 및 파충류 수정체에서는 알파, 베타, 델타 결정질 단백질이 발견되며, 다른 모든 척추동물의 수정체에서는 알파, 베타, 감마 계열이 발견된다.
3. 1. α-크리스탈린
알파 크리스탈린은 큰 응집체로 존재하며, 두 가지 유형의 관련 서브유닛(A와 B)을 포함한다. 특히 C-말단 부분에서 작은(15-30kDa) 열 충격 단백질(sHsps)과 매우 유사하다.[13] 이들 계열 간의 관계는 작은 HSP 계열에서 유전자 중복과 분화의 고전적인 관계이며, 새로운 기능에 적응할 수 있게 한다. 분화는 눈의 수정체 진화 이전에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으며, 알파 크리스탈린은 수정체 외부 조직에서도 소량 발견된다.[13]알파 크리스탈린은 변성된 단백질의 침전을 방지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내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포함하여 샤페론 유사 특성을 가지고 있다.[15] 이러한 기능은 수정체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백내장을 예방하는 데 중요하다고 제안되었다.[16] 이는 알파 크리스탈린 돌연변이가 백내장 형성과 연관성을 보인다는 관찰 결과에 의해 뒷받침된다.
알파 크리스탈린의 N-말단 도메인은 이량체화 또는 샤페론 활성에 필요하지 않지만, 고차 응집체 형성에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17][18]
수정체 세포는 발생 시에 크리스탈린으로 가득 차면 다른 기관을 위축시키고, 단백질의 합성 기능도 잃는다. 이 때문에 크리스탈린은 다른 단백질과 달리 교환·보충이 불가능하며, 평생 사용된다. α-크리스탈린의 샤페론 기능이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크리스탈린이 회합을 일으키고, 시스틴 결합 등을 형성하여 굳어지면 수정체는 투명도를 잃고, 시력에 장애가 생긴다. 이것이 백내장의 원인이다.
크리스탈린의 회합 원인으로는 α-크리스탈린에 포함된 아스파르트산이 L체에서 D체로 변화(라세미화)하는 것 등이 지적되고 있다.
결정질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조사하면, 전혀 다른 기능을 가진 단백질과 서열 유사성이 높은 것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α-결정질 단백질은 어떤 종류의 열 충격 단백질과 거의 동일한 서열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진화 과정에서 다른 단백질이 유용되어 결정질 단백질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α-크리스탈린은 부분적으로 변성된 β- 및 γ-크리스탈린을 정상으로 되돌리고, 회합을 방지하는 기능(샤페론)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β-와 γ-크리스탈린은 수정체의 투명성 유지 및 빛의 굴절률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경우, 수정체 내 크리스탈린의 비율은 α가 45%, β가 20%, γ가 35%이다.
3. 2. β- 및 γ-크리스탈린
베타-크리스탈린과 감마-크리스탈린은 별도의 단백질 패밀리를 형성한다.[19][20] 구조적으로 베타 및 감마 크리스탈린은 두 개의 유사한 구조적 모티프로 구성된 두 개의 유사한 도메인으로 구성되며, 두 도메인은 짧은 연결 펩타이드로 연결된다. 약 4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각 모티프는 독특한 그리스 열쇠 패턴으로 접힌다. 그러나 베타 크리스탈린은 복잡한 분자 그룹으로 구성된 올리고머인 반면, 감마 크리스탈린은 더 단순한 단량체이다.[21][22]베타-크리스탈린과 감마-크리스탈린은 수정체의 투명성 유지 및 빛의 굴절률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경우, 수정체 내 크리스탈린의 비율은 α가 45%, β가 20%, γ가 35%이다.
4. 기원
결정질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조사하면, 전혀 다른 기능을 가진 단백질과 서열 유사성이 높은 것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의 α-결정질 단백질은 어떤 종류의 열 충격 단백질과 거의 동일한 서열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진화 과정에서 다른 단백질이 유용되어 결정질 단백질이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5. 백내장과의 관련성
알파 크리스탈린은 변성된 단백질의 침전을 방지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내성을 증가시키는 능력을 포함하여 샤페론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15] 이러한 기능은 수정체의 투명성을 유지하고 백내장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6] 알파 크리스탈린 돌연변이가 백내장 형성과 연관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는 이를 뒷받침한다.
수정체 세포는 발생 과정에서 크리스탈린으로 채워지면서 다른 세포 기관이 퇴화하고 단백질 합성 기능도 잃게 된다. 따라서 크리스탈린은 다른 단백질과 달리 교체되거나 보충되지 않고 평생 동안 사용된다. α-크리스탈린의 샤페론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크리스탈린이 뭉치고 시스틴 결합 등을 형성하여 굳어지면서 수정체가 투명성을 잃고 시력 장애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바로 백내장이다.
크리스탈린 응집의 원인으로는 α-크리스탈린에 포함된 아스파르트산이 L체에서 D체로 변화하는 라세미화 등이 지적되고 있다.
참조
[1]
논문
Corneal crystallins and the development of cellular transparency
[2]
논문
Abundance and location of the small heat shock proteins HSP25 and alphaB-crystallin in rat and human heart
[3]
논문
"B-Crystallin is a novel oncoprotein that predicts poor clinical outcome in breast cancer"
[4]
논문
Differential role of arginine mutations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α-crystallin
2016-01-01
[5]
논문
Cataractogenic lens injury prevents traumatic ganglion cell death and promotes axonal regeneration both in vivo and in culture
[6]
논문
Elongation of Axons during Regeneration Involves Retinal Crystallin b2 (crybb2)
[7]
서적
Progress in Drug Research
[8]
PubMed
betagamma-crystallin AND calcium - PubMed result
https://www.ncbi.nlm[...]
[9]
논문
Zeta-crystallin versus other members of the alcohol dehydrogenase super-family. Variability as a functional characteristic
[10]
논문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enzymatic activity of zeta-crystallin from guinea pig lens. A novel NADPH:quinone oxidoreductase
[11]
논문
Puzzle of crystallin diversity in eye lenses
[12]
논문
Adaptations, exaptations, and spandrels
[13]
논문
Evolution of eye lens crystallins: the stress connection
[14]
논문
The structure of avian eye lens delta-crystallin reveals a new fold for a superfamily of oligomeric enzymes
[15]
논문
alpha-crystallin: a review of its structure and function
[16]
논문
The Thermal Structural Transition of α-Crystallin Inhibits the Heat Induced Self-Aggregation
[17]
논문
alpha-Crystallin polymers and polymerization: the view from down under
[18]
논문
A novel quaternary structure of the dimeric alpha-crystallin domain with chaperone-like activity
[19]
논문
Evolution of a protein superfamily: relationships between vertebrate lens crystallins and microorganism dormancy proteins
https://zenodo.org/r[...]
[20]
논문
The evolution of lenticular proteins: the beta- and gamma-crystallin super gene family
[21]
서적
Short answer questions for the MRCOphth, Part 1
https://books.google[...]
Radcliffe Publishing
[22]
서적
Macromolecular Protein Complexes II: Structure and Function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9
[23]
웹사이트
Uniprot
https://www.uniprot.[...]
[24]
논문
Corneal crystallins and the development of cellular transparency
[25]
논문
Abundance and location of the small heat shock proteins HSP25 and alphaB-crystallin in rat and human heart
[26]
논문
"B-Crystallin is a novel oncoprotein that predicts poor clinical outcome in breast canc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