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 푸이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티 푸이우는 루마니아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다. 1967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나, 제네바 시각예술학교에서 회화를 전공하다 영화로 바꿔 1996년 졸업 후 루마니아로 돌아와 영화 작업을 시작했다. 2001년 로드 무비 《길 위의 비즈니스》로 데뷔하여 칸 영화제 감독 주간에 초청되었으며, 단편 영화 《담배와 커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장편 영화 《라자레스쿠씨의 죽음》은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상을 받았고, 《오로라》와 《시에라네바다》가 칸 영화제에 초청되었다. 그는 여러 영화의 각본을 공동 집필했으며, "부쿠레슈티 외곽의 여섯 가지 이야기"라는 제목의 영화 시리즈를 제작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영화 각본가 - 크리스티안 문지우
크리스티안 문지우는 루마니아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며, 《4개월, 3주, 그리고 2일》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언덕 너머》로 각본상, 《졸업》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 루마니아의 영화 각본가 - 라두 주데
라두 주데는 사회 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실험적인 연출로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루마니아의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이다. - 루마니아의 영화 감독 - 크리스티안 문지우
크리스티안 문지우는 루마니아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이며, 《4개월, 3주, 그리고 2일》로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고, 《언덕 너머》로 각본상, 《졸업》으로 감독상을 받았다. - 루마니아의 영화 감독 - 트리스탕 차라
루마니아 태생의 프랑스 시인이자 수필가, 행위예술가인 트리스탕 차라는 다다이즘 운동의 핵심 인물로서, 취리히에서 다다 운동을 시작하고 파리에서 앙드레 브르통과 활동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 레지스탕스 참여 후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부쿠레슈티 출신 - 마이클 크레투
루마니아 출신 음악가 마이클 크레투는 솔로 활동과 프로듀서 경력을 거쳐 신비주의 음악 프로젝트 Enigma를 시작, "Sadeness (Part I)"와 "Return to Innocence" 등의 히트곡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부쿠레슈티 출신 - 블라디미르 코스마
루마니아 출신 프랑스 작곡가 블라디미르 코스마는 영화 음악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라붐》 주제가 등으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고 세자르 영화제 최고 영화 음악상 2회 수상 및 레지옹 도뇌르 훈장 등을 수훈했다.
크리스티 푸이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크리스티안 에밀리안 푸이우 |
출생일 | 1967년 4월 3일 (57세) |
출생지 |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
배우자 | 안카 푸이우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각본가 |
2. 생애와 경력
크리스티 푸이우는 1967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나 제네바의 시각예술학교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1996년 졸업 후 루마니아로 귀국했다. 2001년 《길 위의 비즈니스》로 데뷔하여 칸 영화제 감독 주간 부문에 초청되었고, 《담배와 커피》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단편부문 황금곰상을 수상했다.[7] 이후 《라자레스쿠씨의 죽음》, 《오로라》가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 초청되었다.[8][9]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크리스티 푸이우는 1967년 부쿠레슈티에서 태어났다. 1992년 스위스 제네바의 시각예술학교에 입학해 회화를 공부하다가, 1년 만에 영화로 전공을 바꾸었다. 1996년 학교를 졸업하고 루마니아로 귀국하였다.[7]크리스티안 에밀리안 푸이우는 이울리아나 푸이우와 에밀리안 푸이우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음으로 예술에 관심을 가진 분야는 회화였다. 1992년 제네바의 ''에콜 쉬페리에 드자르 비주얼(École Supérieure d'Arts Visuels)'' 회화학과에 입학했다. 1학년을 마친 후, 같은 학교에서 영화 연구로 전공을 바꾸었고, 1996년에 졸업했다. 루마니아로 돌아온 후 영화 작업을 시작했다.
안카 푸이우와 결혼했으며, 슬하에 세 자녀 스마란다, 일레아나, 조이를 두고 있다.
2. 2. 영화 경력
2001년 저예산 로드 무비인 《길 위의 비즈니스》로 데뷔하였다. 이 영화는 세계 여러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고, 칸 영화제 감독 주간 부문에 초청되었다. 일부 평론가들은 이 영화가 영화계의 루마니아 뉴 웨이브를 시작했다고 평가한다. 두 번째 영화인 《담배와 커피》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단편부문 황금곰상을 수상했다.[7]세 번째 영화인 《라자레스쿠씨의 죽음》은 한 노인이 구급차를 타고 밤새 병원을 전전하며 의사들이 그를 치료하지 않고 내쫓는 모습을 그린 블랙 코미디 영화이다. 이 영화는 비평적으로 성공하여 칸 영화제에서 주목할 만한 시선 상을 수상했으며, 다른 국제 영화제에서도 수많은 상을 받았다.[8] 2006년 이 영화는 47개의 상을 받았고, 미국 평론가들의 10대 영화 목록에 여러 번 후보로 올랐으며, 프랑스 잡지 《텔레라마》와 《레장록티블》에도 실렸다.
2010년 네 번째 영화인 《오로라》가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에 초청되었다.[9]
크리스티 푸이우는 "부쿠레슈티 외곽의 여섯 가지 이야기"라는 제목의 6편의 영화 시리즈를 제작할 예정인데, 20세기 후반 영화 제작에 영향을 미친 프랑스 감독 에릭 로메르의 영화 "도덕 이야기" 시리즈에 대한 응답으로 이 시리즈를 구상했다. 푸이우는 이 시리즈를 통해 여섯 가지 유형의 사랑 이야기를 탐구하고자 하며, 《라자레스쿠씨의 죽음》은 인간에 대한 사랑을 다루고 있다. 그는 다음 5편의 영화에서 남녀 간의 사랑, 자녀에 대한 사랑, 성공에 대한 사랑, 친구 간의 사랑, 육체적인 사랑을 다룰 계획이라고 밝혔다. 두 번째 영화 《오로라》는 2010년 칸 영화제의 주목할 만한 시선 부문에서 상영되었다.[2] 그의 영화 《시에라네바다》는 2016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참가했다.[3][4]
3. 작품 목록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2001 | 길 위의 비즈니스 | Marfa si banii | |
2004 | 담배와 커피 | Un cartuș de Kent și un pachet de cafea | 단편 영화 |
2005 | 라자레스쿠씨의 죽음 | Moartea domnului Lăzărescu | |
2010 | 오로라 | Aurora | |
2014 | 사라예보의 다리들 | Les Ponts de Sarajevo | 다큐멘터리 앤솔러지 영화; 공동 감독 |
2016 | 시에라네바다 | Sieranevada | |
2020 | 말므크로크 | Malmkrog | |
2023 | MMXX |
3. 1. 장편 영화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2001 | 길 위의 비즈니스 | Marfa si banii | |
2004 | 담배와 커피 | Un cartuș de Kent și un pachet de cafea | 단편 영화 |
2005 | 라자레스쿠씨의 죽음 | Moartea domnului Lăzărescu | |
2010 | 오로라 | Aurora | |
2014 | 사라예보의 다리들 | Les Ponts de Sarajevo | 다큐멘터리 앤솔러지 영화; 공동 감독 |
2016 | 시에라네바다 | Sieranevada | |
2020 | 말므크로크 | Malmkrog | |
2023 | MMXX |
3. 2. 단편 영화
Un cartuș de Kent și un pachet de cafea|담배와 커피ro (2004)는 크리스티 푸이우가 감독하고 각본을 쓴 단편 영화이다. 이 영화는 2004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단편 영화 황금곰상을 수상했다.[1]3. 3. 공동 제작
크리스티 푸이우는 루마니아 작가 러즈반 러둘레스쿠와 함께 자신의 장편 영화 《길 위의 비즈니스》(2001)와 《라자레스쿠씨의 죽음》(2005)의 각본을 공동 집필했다. 푸이우는 자신의 단편 영화 《담배와 커피》(2004)의 각본을 직접 썼다.루치안 핀틸리에의 의뢰를 받아 러즈반 러둘레스쿠와 공동으로 《니키와 플로》의 각본을 썼으며, 2005년 독일 감독 디디 단콰르트는 푸이우가 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영화 《오프셋》을 제작했다.
4. 수상 내역
연도 | 영화제 | 상 | 작품 |
---|---|---|---|
2005 | 칸 영화제 | 주목할 만한 시선상 | 라저레스쿠 씨의 죽음[5] |
2005 | 시카고 국제 영화제 | 심사위원 특별 은상 | 라저레스쿠 씨의 죽음 |
2005 | 코펜하겐 국제 영화제 | 심사위원 대상 | 라저레스쿠 씨의 죽음 |
2005 | 레이캬비크 국제 영화제 | 올해의 발견상 | 라저레스쿠 씨의 죽음 |
2004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황금곰상 (단편 영화 부문) | 담배와 커피 |
2004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UIP 베를린상 (유럽 단편 영화) | 담배와 커피 |
2002 | 앙제 유럽 첫 영화제 | Procirep상 | Stuff and Dough |
2002 |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제 독립 영화제 | Abasto상 | Stuff and Dough |
2001 | 코트부스 영화제 | Findling상 | Stuff and Dough |
코트부스 영화제 | 장편 영화 경쟁 부문 특별상 | Stuff and Dough | |
2001 | 테살로니키 영화제 | FIPRESCI상 | Stuff and Dough |
참조
[1]
웹사이트
Best Movies of 2006
http://criticstop10.[...]
American Critics Top 10
2013-11-21
[2]
웹사이트
Hollywood Reporter: Cannes Lineup
http://www.hollywood[...]
2010-04-16
[3]
뉴스
Sieranevada review – food for thought (but not for the mourners) in Romanian oddity
https://www.theguard[...]
2016-05-12
[4]
웹사이트
SIERANEVADA - Festival de Cannes
http://www.festival-[...]
2017-12-23
[5]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he Death of Mr. Lazarescu
http://www.festival-[...]
2009-12-12
[6]
뉴스
Sieranevada and the unstoppable Cristi Puiu
http://www.festival-[...]
2017-12-23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berlinal[...]
2015-08-13
[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estival-[...]
2015-08-13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festival-[...]
2015-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