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시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시포스는 고대 그리스의 양날 검으로, 호메로스가 사용한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미케네 그리스어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으며, 칼날의 형태는 잎 모양으로 찌르기와 베기에 모두 적합했다. 크시포스는 철기 시대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하여 근접전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청동으로 만들어졌다는 일반적인 오해와 달리, 현존하는 크시포스는 모두 철로 제작되었으며, 청동기 시대 검과는 다른 시기에 개발되었다.
스톤의 ''용어집''에는 호메로스가 칼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한 이름으로 '크시포스'가 언급되어 있다. 책의 항목에 따르면 이 칼은 양날 검으로 칼날의 가장 넓은 부분이 끝에서 약 3분의 2 지점에 있으며 매우 긴 칼끝으로 끝난다고 한다.[2]
대부분의 크시포스 손잡이는 칼과 유사한 방식으로 두 부분으로 제작되었다. 자국산 나무를 사용하거나, 이국적인 수입품의 경우 흑단과 동물의 뼈를 사용했다. 두 개의 판은 검의 텅에 부착되었고, 두세 개의 핀으로 고정된 후 줄질을 통해 매끄럽게 처리하여 크시포스 그립의 특징적인 타원형을 만들었다. 손잡이 가드는 일반적으로 "다리" 모양을 따랐으며, 유기 재료, 철 또는 둘의 조합으로 만들어졌으며, 각 지점에 핀으로 고정되었다. 이탈리아나 마케도니아에서 발견된 일부 검은 손잡이를 따라 철 연장/보강재가 있는 경향이 있었다.
[1]
LSJ
ξίφος
2. 어원
이 단어는 미케네 그리스어 선문자 B 형태로 𐀥𐀯𐀟𐀁|qi-si-pe-egmy로 증명되었다.[3][4][5][6] 미케네어 𐀞𐀏𐀙|pa-ka-nagmy는 칼을 뜻하는 유명한 호메로스의 단어인 φάσγανον|파스가논grc의 증명된 형태일 수 있다.[7][8][9] 칼은 일반적으로 선문자 B에서 상형 문자 𐃉|gmy로 표현된다.
아랍어 ''saifun|싸이푼ar'' ('칼') 및 이집트어 ''sēfet''과의 관계가 제안되었지만, 이는 미케네어에 순음화 연구개음이 있는 것을 설명하지 못한다.[10] 한 가지 제안은 오세트어 ''äxsirf'' "낫"[11]과 연결하며, 이는 가상 인도유럽어 ''*kwsibhro-''.를 가리킨다.
3. 구조
금박으로 장식된 칼자루가 있는 크시페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검은 항상 매장지에서 발견되기 때문에 의식용일 가능성이 높다.
현존하는 크시페는 비교적 드물지만, 매장지에서 철기 무기와 함께 나타나며, 이는 가문의 지위와 철기 시대까지의 지속적인 사용을 나타낸다.[12]
4. 역사
고전 시대와 철기 시대 사이는 "암흑 시대"라고 불리지만, 금속 주조, 합금 구성 및 조달에 중요한 발전과 혁신이 있었다. 금속 공학의 광범위한 사용이 이베리아 반도 밖으로 천천히 확산되었다.[13]
크시포스는 때때로 중앙 늑골을 가지며, 단면은 다이아몬드 또는 렌즈 모양이다. 매우 가벼운 무기였으며, 무게는 450g 정도였다. 일반적으로 왼쪽 팔 아래의 어깨띠에 걸었다.[14] ''크시포스''는 창이 부러지거나, 적에게 빼앗기거나, 근접전에 버려졌을 때만 사용되었다. 생존한 ''크시페''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크시포스''의 잎 모양 디자인은 베는 것과 찌르는 것 모두에 적합했다. 이 디자인의 기원은 청동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크시포스''의 칼날은 미케네 나우 II 검의 칼날과 거의 동일하며, 고대 시대 동안 청동 칼날에서 철 칼날로 전환되었다. ''크시포스''는 나우 II의 철 버전이 진화한 형태이지만 더 정교한 손잡이 디자인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잎 모양의 단검은 그리스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후기 청동기 시대에 유럽 전역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발견되었다.[15] ''크시포스''와 동시대인 초기 켈트족 라 테네 단검은 ''크시포스''와 거의 동일한 칼날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16]
4. 1. 청동검에 대한 오해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청동으로 만들어진 ''크시포스''는 발견된 적이 없다. 올림피아, 마케도니아, 이탈리아 남부 등에서 발견된 여러 ''크시페'' 칼날은 모두 철로만 만들어졌다. ''크시포스'' 검은 나우에 II와 같은 전형적인 청동기 시대 무기가 청동에서 철로 전환된 지 수 세기가 지난 후에야 나타나기 시작했다. 청동기 시대 검은 청동기 시대 동안 완전히 다른 무기였으며, 크시페는 청동기 시대가 기원전 1200년경에 끝난 이후에 개발되었다. 연구자들은 청동기 시대 장신구의 오인이 ''크시페''가 청동으로 주조되었다는 현대의 신화를 만들어냈다고 생각한다.
참조
[2]
서적
A Glossary of the Construction, Decoration, and Use of Arms and Armor
[3]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qi-si-pe-e
http://www.palaeolex[...]
Palaeolexicon. Word study tool of Ancient languages
[4]
웹사이트
qi-si-pe-e
http://minoan.deadit[...]
Deaditerranean
2014-03-21
[5]
웹사이트
PY 716 Ta (2)
https://www2.hf.uio.[...]
University of Oslo
[6]
저널
MYKENISCH *qi-si-po = ξίφος
[7]
LSJ
φάσγανον
[8]
웹사이트
The Linear B word pa-ka-na
http://www.palaeolex[...]
Palaeolexicon. Word study tool of Ancient languages
[9]
웹사이트
pa-ka-na
http://minoan.deadit[...]
Deaditerranean
2014-03-21
[10]
서적
Griechisches Etymologisches Woerterbuch
[11]
간행물
Čop Historische Sprachforschung
[12]
서적
Warfare in medieval Europe, c.400-c.1453
https://www.worldcat[...]
[13]
서적
Warfare in medieval Europe, c.400-c.1453
https://www.worldcat[...]
[14]
웹사이트
Leaf-Blades? -- myArmoury.com
http://www.myarmoury[...]
[15]
서적
The sword in early Medieval Northern Europe : experience, identity, representation
https://www.worldcat[...]
[16]
웹사이트
Sword: La Tène II
https://www.britishm[...]
2022-06-18
[17]
웹사이트
ξίφος
http://www.perseus.t[...]
ペルセウス電子図書館
2016-11-19
[18]
서적
The Book of the Sword
Chatto and Windus
[19]
서적
Woodhouse's English-Greek Dictionary
https://www.lib.uchi[...]
George Routledge & Sons
2016-11-20
[20]
저널
AN IVORY SCABBARD CHAPE FROM SEUTHOPOLIS REDISCOVERED: EVIDENCE FOR A XIPHOS FROM EARLY HELLENISTIC THRACE?
http://www.academia.[...]
Archaeologia Bulgarica
2016-11-20
[21]
웹인용
ξίφος
http://www.perseus.t[...]
페르세우스 프로젝트
2016-11-19
[22]
서적
The Book of the Sword
Chatto and Windus
[23]
서적
Woodhouse's English-Greek Dictionary
https://www.lib.uchi[...]
George Routledge & Sons
2016-11-20
[24]
저널
AN IVORY SCABBARD CHAPE FROM SEUTHOPOLIS REDISCOVERED: EVIDENCE FOR A XIPHOS FROM EARLY HELLENISTIC THRACE?
http://www.academia.[...]
Archaeologia Bulgarica
2016-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