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테도노박테르균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테도노박테르균류는 2목 3과 3속 5종으로 구성된 세균 분류군으로, 방선균과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부엽토나 지열 지대의 퇴적토에서 주로 발견되며, 호기성 조건에서 기균사와 포자를 형성한다. 게놈 크기가 크고, 리포다당이 없으며 그람 염색에서 양성으로 염색된다. 고온에서 기균사를 형성하고, 기균사로부터 출아에 의해 직접 포자가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16S rRNA 계통 분석을 통해 클로로플렉서스문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크테도노박테르균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Ktedonobacteria |
학명 (수정) | Cavaletti et al. 2007 |
분류 | |
도메인 | 세균 |
문 | 녹만균문 |
강 | 크테도노박테르균강 |
하위 분류 | |
목 | 크테도노박테르균목 테르모겜마티스포라목 |
2. 특징
크테도노박테르균류는 2목 3과 3속 5종이 기재되어 있으며, 모두 방선균과 유사한 특징을 가진다. 대부분 부엽토나 지열 지대의 퇴적토에서 채취되며, 호기성이며 기균사와 포자를 형성한다[1]. 게놈 크기도 매우 크며, ''Ktedonobacter racemifer''는 14 Mbp[1]로 전체 원핵생물 중 두 번째로 큰 게놈을 가지고 있다. 리포다당이 없고 그람 염색에서는 양성으로 염색된다. 이 때문에 처음에는 방선균으로 오분류되었지만, 나중에 16S rRNA 계통 분석에 의해 클로로플렉서스문으로 변경되었다. 클로로플렉서스문 역시 그람 양성균을 포함하는 문이지만 소수이며, 대부분 혐기성 세균으로 기균사나 포자의 보고 사례는 그전까지 존재하지 않았다[1].
크테도노박테르균류는 현재 2목 3과 3속 5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선균과 다른 특유의 성질로는 고온에서의 기균사 형성, 기균사로부터의 출아에 의해 직접 포자가 형성되는 점이 있다(출아 포자)[1]. 반면, 방선균은 기균사의 분절에 의해 포자가 형성되는 예가 많다(분절 포자).
3. 하위 분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T. foliorum''
''T. onikobensis''
3. 1. 크테도노박테르균목 (Ktedonobacterales)
크테도노박테르균목은 크테도노박테르균과와 테르모스포로트릭스과를 포함한다.[1]
과 | 속 |
---|---|
크테도노박테르균과 | 크테도노박테르균속 |
테르모스포로트릭스과 | 테르모스포로트릭스속 |
3. 1. 1. 크테도노박테르균과 (Ktedonobacteraceae)
크테도노박테르균속(''Ktedonobacter'') Cavaletti et al. 2007:* 크테도노박테르균 (''K. racemifer'') Cavaletti et al. 2007
3. 1. 2. 테르모스포로트릭스과 (Thermosporotrichaceae)
테르모스포로트릭스속 (''Thermosporothrix'')- ''T. hazakensis''
3. 2. 테르모겜마티스포라목 (Thermogemmatisporales)
테르모겜마티스포라과는 테르모겜마티스포라속을 포함한다.[1]3. 2. 1. 테르모겜마티스포라과 (Thermogemmatisporaceae)
테르모겜마티스포라속( ''Thermogemmatispora'')은 ''T. foliorum''와 ''T. onikobensis''를 포함한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