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스터-체벤 협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로스터-체벤 협정은 1757년 7년 전쟁 중 영국과 북독일 제후들의 연합군이 프랑스군에게 열세에 놓인 상황에서 체결된 휴전 협정이다. 컴벌랜드 공작이 이끄는 연합군은 하스텐베크 전투 패배 후 프랑스군에게 쫓겨 덴마크령까지 후퇴했고, 조지 2세의 비밀 지시와 덴마크의 중재를 통해 휴전이 합의되었다. 협정으로 연합군은 해체되고 영국과 제후들은 전쟁에서 이탈했지만, 하노버는 프랑스의 점령 하에 놓였다. 그러나 영국 정부는 동맹국 프로이센의 반발과 대륙 전쟁 지속 의지로 인해 이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고, 컴벌랜드 공작은 실각했다. 이후 로스바흐 전투에서 프랑스가 패배하고 영국이 하노버를 탈환하면서 협정은 파기되었고 연합군이 재결성되어 7년 전쟁은 계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클로스터-체벤 협정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클로스터-체벤 협정 |
다른 명칭 | 체벤 수도원 협약 체벤 조약 |
원어 명칭 (독일어) | Konvention von Kloster Zeven |
장소 | 클로스터체벤 근처 |
날짜 | 1757년 9월 18일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프랑스 왕국 |
교전국 2 | 하노버 선제후국 |
서명 | |
프랑스 측 서명자 | 리카르드 드 듀락, 뒤케 드 리슐리에 |
하노버 측 서명자 | 빌헬름, 컴벌랜드 공작 |
결과 | |
결과 | 하노버 군의 해산 및 프랑스 점령 |
무효화 | |
무효화 시점 | 1757년 11월 |
7년 전쟁의 일부 | |
7년 전쟁 | 7년 전쟁 |
2. 배경
7년 전쟁 발발 이후,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이 이끄는 영국과 북부 독일 제후 연합군은 데스트레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 군에게 밀려 계속 후퇴했다. 결국 하스텐벡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하노버 방어에 실패한 연합군은 리슐리외 공작에게 쫓겨 덴마크령 국경까지 후퇴하여 더 이상 도망갈 곳이 없었다.[5]
7년 전쟁 발발 이후, 컴벌랜드 공작이 이끄는 영국과 북부 독일 제후 연합군은 데스트레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군에게 밀려 계속 후퇴했다. 하스텐벡 전투에서 패배하며 하노버 방어에 실패한 연합군은 리슐리외 공작에게 쫓겨 덴마크령 경계까지 몰려 더 이상 갈 곳이 없었다.
7년 전쟁 발발 이후, 컴벌랜드 공작이 이끄는 영국과 북부 독일 제후 연합군은 데스트레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 군에게 밀려 계속 후퇴했다. 하스텐벡 전투에서 패배하여 하노버를 방어할 수 없게 된 연합군은 리슐리외 공작에게 쫓겨 덴마크령 경계까지 후퇴하여 더 이상 도망갈 곳이 없었다.
이 협정으로 연합군이 해체되면서, 영국과 제국 제후는 대륙 전쟁에서 이탈하였다. 군인들은 각 나라로 귀환할 수 있었지만, 하노버는 프랑스의 점령 하에 있게 되었다.[5] 리슐리외는 독일 북부에 동영을 위한 거점을 확보해 만족했지만, 적군의 무장 해제도, 군인의 포로화도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국에서는 이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다. 리슐리외는 동계 휴가로 일시 귀환한다는 명목으로 본국으로 귀국하여, 다시 독일로 파견되지 못했다.
(이전 답변에서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어야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문서
Anderson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조지 2세는 윌리엄 피트 등 대신들에게는 비밀로 하고 컴벌랜드 공작에게 프랑스와 협상해도 좋다는 허락을 미리 내려두었다. 한편, 리슐리외도 프로이센의 전력에 여유를 갖게 하기 위해 작센에 군대를 파견해야 했기에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섰다. 덴마크의 중재를 바탕으로 협상이 열렸고, 휴전이 합의되었다.[5]
3. 협정 체결 과정
이런 상황에 대비해 조지 2세는 윌리엄 피트 등 대신들에게는 비밀로 하고 컴벌랜드 공작에게 프랑스와 협상해도 좋다는 허락을 내렸다. 리슐리외 공작 역시 프로이센의 전력에 여유를 갖게 하기 위해 작센에 군대를 파견해야 했기에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덴마크의 중재로 협상이 시작되어 휴전이 합의되었다.[5]
이 협정으로 연합군은 해체되었고, 영국과 제국 제후는 대륙 전쟁에서 이탈했다. 병사들은 각자의 나라로 돌아갈 수 있었지만, 하노버는 프랑스의 보장 점령 하에 놓이게 되었다.[5] 리슐리외는 독일 북부에 동계 야영을 위한 거점을 확보해 만족했지만, 적군의 무장 해제나 병사들의 포로화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프랑스 본국에서는 이 협정을 인정하지 않았다. 리슐리외는 동계 휴가를 이유로 본국에 귀환했지만, 다시 독일로 돌아오지 못했다.
영국에서도 이 협정은 인정받지 못했다. 영국 정부는 동맹국인 프로이센의 항의를 받았고, 대륙 전투에서 이탈할 생각도 없었기 때문이다. 피트에게 추궁당한 조지 2세는 협정 체결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부인하며 컴벌랜드를 소환했다.[6] 조지 2세는 컴벌랜드에게 "나를 파멸시키고, 네 얼굴에 먹칠을 했구나!"라고 말한 뒤 대화를 나누지 않았다. 컴벌랜드는 사령관직을 사임하고 군에서 은퇴했다. 그는 페르디난트 공작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프랑스는 무장 해제만이라도 하기 위해 협정 재협상을 제의했지만, 로스바흐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프로이센군에게 대패했다. 영국은 협상을 뒤엎고, 분산되어 겨울을 나던 프랑스군을 기습하여 하노버에서 몰아냈다. 그리고 다시 독일 제후의 군대를 모아 연합군을 구성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프랑스군과 싸웠다.
4. 협정 내용
이러한 상황에 대비하여 조지 2세는 윌리엄 피트 등 대신들에게는 비밀로 하고 컴벌랜드 공작에게 프랑스와 협상해도 좋다는 허락을 내렸다. 리슐리외 또한 프로이센의 전력을 분산시키기 위해 작센에 군대를 파견해야 했기에 적극적으로 협상에 나섰다. 덴마크의 중재로 협상이 열렸고, 휴전이 합의되었다.
이 협정으로 연합군은 해체되었고, 영국과 제국 제후는 대륙 전쟁에서 이탈했다. 군인들은 각 나라로 귀환할 수 있었지만, 하노버는 프랑스의 점령 하에 있게 되었다.[5]
5. 협정의 파기와 그 이후
한편 영국에서도 이 협정은 인정되지 않았다. 정부는 동맹국인 프로이센의 항의를 받았고, 또한 스스로도 대륙의 전쟁에서 이탈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이다. 피트로부터 추궁당한 조지 2세는 이런 내용의 협정을 체결한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고 부인하고 컴벌랜드 공작을 소환했다.[6] 궁전에 입궐한 컴벌랜드 공작의 얼굴을 보면서 조지 2세는 “오, 아들아! 나를 파멸시키고, 네 얼굴에 먹칠을 했구나!”라며, 이후에는 말을 나누지 않았다. 컴벌랜드 공작은 사령관직을 그만두고 군대를 은퇴했다. 그는 페르디난트 공작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프랑스는 무장 해제만이라도 하도록 협정의 재협상을 제의했지만, 그 전에 로스바흐 전투가 벌어지며 프랑스군은 프로이센 군대에 대패했다. 그래서 영국은 돌연 강경하게 협상을 뒤엎고, 분산되어 동영을 하던 프랑스군을 덮쳐 하노버에서 쫓아냈다. 그리고 다시 독일 제후의 군대를 집합시켜 연합군을 구성하여 전쟁이 끝날 때까지 프랑스군과 싸웠다.
6. 평가 및 영향
참조
[2]
서적
The Military Life of Frederick the Great
Antheneum, New York
1986
[3]
문서
Anderson
[4]
문서
日本の文献ではいずれも8日締結となっているが独語版では条件交渉が10日までかかったとしている。
[5]
문서
Anderson
[6]
서적
The Military Life of Frederick the Great
Antheneum, New York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