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령은 군대가 적의 영토를 실제로 통제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국제법상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1907년 헤이그 육전 조약은 점령의 정의와 점령군의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제4차 제네바 협약은 점령지의 민간인 보호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점령은 군정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며, 점령 방식은 베를린 방식과 발칸 방식으로 나뉜다. 점령은 실질적인 통제력 상실, 평화 협정 체결, 국민투표를 통한 권한 이양 등으로 종료될 수 있다. 점령의 사례로는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점령,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점령 등이 있으며, 한국과 관련된 사례로는 일제강점기와 미군정, 독도 및 북방 영토 문제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점령 - 이스라엘 민정청
이스라엘 민정청은 1981년 이스라엘 군령에 의해 설립되어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의 민간 행정 업무를 담당하지만, 실질적으로 이스라엘 군과 신베트의 통제 하에 운영되며 팔레스타인 주민 억압 정책 시행 비판과 오슬로 협정 이후에도 서안 지구 내 주요 업무를 수행하며 논란이 되고 있다. - 군사점령 -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점령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점령은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이 서안 지구를 점령하여 정착촌 건설, 군사 통제 등의 정책을 시행하고, 팔레스타인이 이에 저항하며 국제 사회가 개입하는 복잡한 분쟁이다. - 군사독재 - 수단
수단 공화국은 아프리카 북동부에 위치하며, "흑인들의 땅"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누비아 왕국을 포함한 다양한 역사를 거쳐 정치적 불안과 인권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아랍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군사독재 - 대한민국 제5공화국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폭력적 진압과 국보위 설치를 통해 수립한 군사정권인 대한민국 제5공화국은 7년 단임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제8차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권위주의적 요소 유지와 인권 침해 문제, 정치적 억압 등으로 몰락하여 노태우 취임과 함께 종식되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점령 | |
---|---|
점령 | |
정의 | 한 국가 또는 국제 기구가 다른 국가의 영토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것 |
특징 | 영토에 대한 주권을 가지지 않음 점령 대상 국가의 동의 없이 진행 일시적인 성격 |
법적 근거 | |
국제법 | 전시국제법 및 무력충돌법 |
헤이그 협약 | 1907년 헤이그 육전 규칙 및 1949년 제네바 협약 |
점령의 종류 | |
군사 점령 | 군사력을 통한 점령 |
비군사 점령 | 정치적, 경제적 수단을 통한 점령 |
장기 점령 | 장기간 지속되는 점령 (예: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
단기 점령 | 단기간 진행되는 점령 |
점령의 영향 | |
정치적 영향 | 점령된 영토의 정치 체제 변화 주권 침해 점령 국가에 대한 저항 발생 |
경제적 영향 | 점령 국가의 자원 수탈 경제적 불평등 심화 |
사회적 영향 | 주민들의 이동 제한 인권 침해 사회적 불안정 증가 |
점령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 |
점령의 정당성 | 점령의 목적, 수단, 기간에 대한 논란 |
점령 국가의 의무 | 점령된 영토의 주민들의 복지를 고려해야 할 의무 |
점령의 종료 | 점령의 종료 방법 및 조건에 대한 논의 |
역사적 사례 | |
제2차 세계 대전 | 독일의 프랑스 점령 일본의 대한민국 점령 |
현대 |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 (2022년 ~ 현재) |
관련 주제 | |
식민주의 | 식민주의와의 차이점 및 유사점 |
강제 병합 | 강제 병합과의 차이점 |
괴뢰 정부 | 점령 국가에 의해 수립되는 괴뢰 정부 |
2. 군사 점령의 개념과 법적 근거
군사 점령은 한 국가의 영토가 다른 국가의 군대에 의해 실질적으로 통제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군사 점령은 "승리의 전리품은 승자의 것"[8]이라는 원칙에 따라 승전국의 권리로 여겨졌다. 그러나 에메 드 바텔은 『국제법』(1758)에서 영토 병합과 군사 점령을 구분하며, 후자는 국가의 "지속적인 존재"에 대한 자연적 권리 때문에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했다.[8] 에얄 벤베니스티는 현대 점령법의 기반이 "외세의 일방적인 행위를 통한 주권의 양도 불가능성" 원칙에 있다고 보았다.[9]
1907년 헤이그 협약의 "육상전쟁의 법규와 관습"(헤이그 제4협약)은 군사 점령을 성문화했다.[10] 이 협약 제42조는 "영토는 적군의 실제 지배하에 있을 때 점령된 것으로 간주된다"고 규정한다. 제43조는 점령군이 공공 질서와 안전을 보장하고 현지 법률을 존중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1949년 제4차 제네바 협약(GCIV)은 점령지 보호받는 민간인에 대한 보호를 강화했다.[11] GCIV는 점령지에서 점령국의 권한과 의무를 규정하고, 민간인의 강제 이송 및 추방을 금지한다. 유엔 헌장은 침략전쟁을 금지하고, GCIV 제47조는 전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토 이익을 제한한다.
2023년 미국 국방부(DOD)의 『전쟁법 매뉴얼』은 "교전 점령법은 일반적으로 (1) 단순 침략; (2) 우호 영토의 해방; (3) 비국제적 무력 분쟁; 또는 (4) 전후 상황(GC[IV]의 특정 조항 제외)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명시한다.
2. 1. 군사 점령의 정의
1907년 헤이그 협약은 "육상전쟁의 법규와 관습"(헤이그 제4협약)에서 군사 점령을 성문화했다.[10] 이 협약의 제3절 제42조는 "영토는 적군의 권한 아래에 실제로 놓여 있을 때 점령된 것으로 간주된다"고 명시하고 있다.[17] 즉, 점령은 점령군의 "사실상의 권위에 대한 영토의 복종"에 기반하며, 주관적인 인식에 의존하지 않는다.[17]제네바 협약 제2조는 무장 저항이 없더라도 "고도 당사국의 영토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점령의 모든 경우"에 이 정의가 적용된다고 명시한다.[18] 점령국이 점령지에 대한 정부 권한을 행사하는 행정 형태를 군정이라고 한다.
군정의 시작을 공식적으로 선포할 필요는 없으며, 점령이 시작되기 위해 특정 수의 인원이 배치되어야 할 필요도 없다.
1907년 제4차 헤이그 협약 제42조에 관한 판례에 따르면, 점령국의 효과적인 통제 기간과 반군, 테러리스트 또는 게릴라와의 충돌은 점령법의 적용에 중요하지 않으며 점령지의 법적 지위를 변경하지 않는다.[19] 1948년 미국 뉘른베르크 군사재판소는 점령국이 어떠한 법적 권리에 의해서도 적 영토를 점유하지 않으며, 불안정하고 일시적인 실제 통제만을 행사한다고 판결했다.[19]
과거에는 점령을 점령국에 의한 완전한 주권 장악으로 여겼지만, 국제법 개념이 성립하면서 군사 점령에서 주권이 완전히 점령국으로 이전된 것이 아니며 점령 종료와 함께 반환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2. 2. 국제법상 점령의 성격
에메 드 바텔(Emer de Vattel)은 1758년 저서 『국제법』에서 영토 병합과 군사 점령을 구분했다. 그는 점령이 국가의 "지속적인 존재"에 대한 자연적 권리 때문에 일시적인 것이라고 보았다.[8] 에얄 벤베니스티(Eyal Benvenisti)는 현대 점령법의 기반을 "외세의 일방적인 행위를 통한 주권 양도 불가능성" 원칙에서 찾는다. 그는 이 원칙에서 국제법이 점령군에 부과하는 기본적인 구조적 제약이 발생한다고 설명한다.[9]2. 3. 관련 국제 조약
1907년 헤이그 협약은 "육상전쟁의 법규와 관습"(헤이그 제4협약)에서 군사 점령을 성문화했다.[10] 제4차 제네바 협약(GCIV)은 1949년에 점령지의 민간인 보호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여, 점령 기간 동안 점령국의 의무를 규정한다.[11] 유엔 헌장(1945)은 침략전쟁을 금지하며, GCIV 제47조는 전쟁을 통해 영토 이익을 얻는 것을 제한한다.[11] 1977년 제1 추가 의정서는 점령에 관한 추가 조항을 포함하고 있지만, 미국 등 일부 국가는 이에 서명하지 않았다.3. 점령 방식과 유형
역사적으로 상당 기간 동안 지배적인 원칙은 "승리의 전리품은 승자의 것"이었다.[8] 에메 드 바텔은 『국제법』(1758)에서 영토 병합과 군사 점령을 구분하는 초기 체계를 제시했는데, 후자는 국가의 "지속적인 존재"에 대한 자연적 권리 때문에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8] 에얄 벤베니스티는 『점령의 국제법』(2012)에서 "현대 점령법의 기반은 외세의 일방적인 행위를 통한 주권의 양도 불가능성이라는 원칙이며, 이 원칙에서 국제법이 점령군에 부과하는 기본적인 구조적 제약이 생겨난다"고 설명한다.[9]
1907년 헤이그 협약은 "육상전쟁의 법규와 관습"(헤이그 제4협약)에서 이러한 관습법을 성문화했다.[10] 1949년 제4차 제네바 협약(GCIV)은 적국 영토 점령을 규율하는 법률을 더욱 확대했다. GCIV의 상당 부분은 점령지의 보호받는 민간인과 관련이 있으며, 제3절에서 이 문제를 다룬다.[11] GCIV 제6조는 협약 대부분의 적용 기간을 제한한다. 군사 작전의 전반적인 종료 후 1년이 지나면 점령국은 협약의 특정 조항에만 구속된다.
유엔 헌장(1945)은 침략전쟁을 금지했으며, GCIV 제47조는 전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토 이익을 제한했다. 제49조는 보호 대상 민간인을 점령국의 영토 안팎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것을 금지한다. 제1 추가 의정서(1977)에는 점령을 다루는 추가 조항이 있지만, 미국을 포함한 많은 국가는 서명하지 않았다.
전쟁 결과로 영토 할양이 이루어지는 경우, 평화 조약에서 "수령국"을 명시하는 것은 해당 국가가 국제 사회로부터 해당 영토에 민정을 수립할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점령국의 군정은 평화 조약 발효 이후에도 법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된다. 윌리엄 E. 버키머의 『군정과 계엄령』(1914)에는 "군정은 법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점령 방식은 크게 독일에서 적용된 “베를린 방식”과 발칸반도와 일본에서 적용된 “발칸 방식”으로 나뉜다. "베를린 방식"은 독일 중앙 정부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 점령국 4개국 정부가 주권을 장악했다. "발칸 방식"은 점령지에 있는 피점령국 중앙정부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그 주권은 점령국의 감독이나 제한 하에 놓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 점령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연합국은 일본 점령을 전시 점령과 보장 점령의 성격을 모두 가진 특수 점령으로 간주했다.
3. 1. 보장 점령
국제협정의 이행을 보장하는 담보로서의 점령을 보장 점령이라고 한다. 이것은 통상 상대국과의 합의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며, 협정 이행 시에는 점령을 해제하고 시정권을 주권국에 반환하는 것이 원칙이다. 보장 점령의 예는 다음과 같다.- 청일전쟁 이후 시모노세키 조약 제8조에 근거한 일본의 웨이하이웨이 점령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국(협상국)의 독일 라인란트 점령
- 니항 사건 이후 사할린 주둔군에 의한 북사할린 보장 점령[36]
- 무솔리니 정권하의 이탈리아의 그리스 코르푸 섬 점령
통상 보장 점령에서는 군정이 시행되지 않고, 현지 기관을 이용한 간접 통치가 이루어진다.
3. 2. 전시 점령
1907년 헤이그 협약은 "육상전쟁의 법규와 관습"(헤이그 제4협약)의 제3절 "적국의 영토에 대한 군사 권한"에서 전시 점령을 성문화했다.[10] 헤이그 육전 조약 42조는 전시 점령을 적국 영토(임대지, 준영토 포함)에 침입한 군대가 적국의 권력을 배제하고 일정 지역을 자국 권력 안에서 통치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해당 절의 처음 두 조항은 다음과 같다.
제42조.
영토는 적군의 실제 지배하에 있을 때 점령된 것으로 간주된다.
점령은 그러한 권한이 확립되고 행사될 수 있는 영토에만 미친다.
제43조.
합법적인 권한이 점령군의 손에 넘어갔을 때, 점령군은 가능한 한 공공 질서와 안전을 회복하고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하며, 절대적으로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 나라에서 시행 중인 법률을 존중해야 한다.
1949년에 적국의 영토 점령을 규율하는 이러한 법률은 제4차 제네바 협약(GCIV)의 채택으로 더욱 확대되었다. GCIV의 상당 부분은 점령지의 보호받는 민간인과 관련이 있으며, 제3절 "점령지"는 이 문제를 다루는 특정 절이다.
군사 점령(military occupation)은 다른 나라의 영토, 거점, 정치·경제 중추 등을 군대가 점유·점거하는 것을 말한다. 국제법상 점령은 군사 점령만을 가리키며, “정복”, “침입”, 무주지 점유 등과는 구별된다.
과거에는 점령이 점령국에 의한 완전한 주권 장악으로 여겨졌지만, 국제법 개념이 성립하면서 군사 점령에서 주권이 완전히 점령국으로 이전되는 것이 아니라 점령 종료와 함께 반환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3. 3. 점령 방식의 구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점령 방식은 크게 "베를린 방식"과 "발칸 방식"으로 나뉜다."베를린 방식"은 독일의 중앙 정부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점령국 4개국 정부가 주권을 장악하는 방식이다.[1] "발칸 방식"은 점령지에 있는 피점령국 중앙정부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그 주권은 점령국의 감독이나 제한 하에 놓이는 방식이다.[1]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 점령에 대해서는 보장 점령설, 전시 점령설, 특수 점령설이 있다.[1] 연합국은 일본 점령을 전시 점령이라고도 보장 점령이라고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행했으며, 순수한 전시 점령이나 보장 점령이 아닌 특수 점령이라는 견해가 많다.[1]
4. 점령의 종료와 권한 이양
점령은 다양한 방식으로 종료될 수 있다. 에얄 벤베니스티(Eyal Benvenisti)에 따르면, 점령국의 실질적인 통제력 상실(점령자가 더 이상 권한을 행사할 수 없는 경우), 평화협정 체결을 통한 주권자(축출된 정부 또는 원주민 정부)의 진정한 동의, 또는 국민투표를 통해 점령 지역 주민이 승인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원주민 정부에 권한을 이양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20]
1907년 헤이그 협약은 "육상전쟁의 법규와 관습"(헤이그 제4협약)에서 이러한 관습법을 성문화했다.[10] 1949년 제4차 제네바 협약(GCIV) 채택으로 적국 영토 점령을 규율하는 법률이 더욱 확대되었다. GCIV는 점령지의 보호받는 민간인과 관련이 있으며, 제3절: 점령지에서 이 문제를 다룬다.[11]
유엔 헌장은 침략전쟁을 금지했으며, GCIV 제47조는 전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토 이익을 제한했다. 제49조는 점령국이 보호 대상 민간인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을 금지한다.[11]
전쟁 결과로 영토가 할양되는 경우, 평화 조약에서 "수령국"을 명시하는 것은 해당 국가가 국제 사회로부터 해당 영토에 민정을 수립할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점령국의 군정은 평화 조약 발효 이후에도 법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된다. 윌리엄 E. 버키머(William E. Birkhimer)의 『군정과 계엄령』(Military Government and Martial Law)에 따르면, "군정은 법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된다"는 것이 규칙이다.
4. 1. 점령 종료의 조건
점령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종식될 수 있다. 에얄 벤베니스티(Eyal Benvenisti)에 따르면, 점령국의 실질적인 통제력 상실, 즉 점령자가 더 이상 권한을 행사할 수 없을 때, 평화협정 체결을 통한 주권자(축출된 정부 또는 원주민 정부)의 진정한 동의, 또는 국민투표를 통해 점령 지역 주민이 승인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원주민 정부에 권한을 이양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20]
4. 2. 군정의 지속
1907년 헤이그 협약에서 성문화된 군사 점령 관련 법률은 제4차 제네바 협약을 통해 더욱 확대되었다. 제4차 제네바 협약은 점령지의 민간인을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제3절: 점령지에서 이 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룬다.[11]유엔 헌장은 침략 전쟁을 금지하고 있으며, 제4차 제네바 협약 제47조는 전쟁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영토 이익을 제한한다. 또한, 제49조는 점령지 민간인을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11]
전쟁 결과로 영토가 할양되는 경우, 평화 조약에서 "수령국"을 명시하는 것은 단순히 해당 국가가 국제 사회로부터 해당 영토에 민정을 수립할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요 점령국의 군정은 평화 조약 발효 이후에도 법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된다. 윌리엄 E. 버키머(William E. Birkhimer)의 『군정과 계엄령』(Military Government and Martial Law)에 따르면, "군정은 법적으로 대체될 때까지 지속된다"는 것이 규칙이다.
5. 점령 사례
역사적으로 "승리의 전리품은 승자의 것"이라는 원리가 지배적이었다.[8] 에메 드 바텔은 『국제법』(1758)에서 영토 병합과 군사 점령을 구분했는데, 군사 점령은 국가의 "지속적인 존재"에 대한 자연적 권리 때문에 일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8] 에얄 벤베니스티는 『점령의 국제법』(2012)에서 "현대 점령법의 기반은 외세의 일방적인 행위를 통한 주권의 양도 불가능성이라는 원칙"이라고 설명한다.[9]
1907년 헤이그 협약은 이러한 관습법을 성문화했다.[10] 1949년 제4차 제네바 협약은 점령지의 민간인 보호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11] 유엔 헌장(1945)은 침략전쟁을 금지했으며, 제4차 제네바 협약 제47조는 점령을 통한 영토 이익 획득을 제한했고, 제49조는 점령지 주민의 강제 이주를 금지했다.
제1 추가 의정서(1977)에는 점령 관련 추가 조항이 있지만, 미국 등 일부 국가는 서명하지 않았다.
군사 점령의 정의와 관련하여, 2023년 미국 국방부의 『전쟁법 매뉴얼』은 "교전 점령법은 일반적으로 (1) 단순 침략, (2) 우호 영토의 해방, (3) 비국제적 무력 분쟁, (4) 전후 상황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명시한다.[16]
역사 속 다양한 점령 사례들은 다음과 같다.
- 갈리아 (점령자: 로마군)
- 1511년 이후, 말라카 (점령자: 포르투갈군)
- 1665년, 북아메리카의 네덜란드 "뉴암스테르담 식민지" (점령자: 영국군) → 뉴욕으로 개명됨.
- 19세기 말, 웨이하이 (점령자: 일본군)
- 1940년~1944년, 프랑스 (점령자: 나치 독일군). 관련 항목: 나치 독일의 프랑스 점령
- 1941년~1945년, 홍콩 (점령자: 일본군). 관련 항목: 일본 점령기의 홍콩
- 1945년~1972년, 일본 오키나와현 (점령자: 미군). 관련 항목: 미국의 오키나와 지배
- 1945년~1952년, 일본 (점령자: 연합국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 관련 항목: 연합군 점령하의 일본
- 1952년~현재, 일본 시마네현 오키노시마정에 있는 독도. 대한민국에 의한 점령
- 1945년~현재, 일본 홋카이도의 북방영토. 러시아 연방에 의한 점령. 관련 항목: 북방영토 문제
- 1948년~현재, 티베트 (점령자: 중국 인민해방군). 관련 항목: 중화인민공화국에 의한 티베트 병합
- 1967년~현재, 요르단강 서안 지구·가자 지구·골란 고원 (점령자: 이스라엘 방위군)
- 1990년~1991년, 쿠웨이트 (점령자: 이라크). 관련 항목: 쿠웨이트 침공
- 2014년~현재, 크림반도 및 우크라이나 남동부 4개 주 (점령자: 러시아). 관련 항목: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
- 2022년~현재, 쿠르스크주 (점령자: 우크라이나). 관련 항목: 우크라이나의 쿠르스크주 점령

5. 1. 제1차/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점령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발생한 군사 점령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점령 적 지역 행정부(OETA), 1917년~1920년 동안 중동 대부분을 포함 – 프랑스(OETA 북부)와 영국(OETA 남부) 영역으로 분리됨[8]
- 연합군 점령하 독일 (1945–4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8]

5. 2. 1945년 이후 장기 점령
1907년 헤이그 협약은 "육상전쟁의 법규와 관습"(헤이그 제4협약)에서 점령에 대한 내용을 성문화했다.[10] 1949년 제4차 제네바 협약은 점령지의 민간인 보호에 대한 내용을 추가하며 국제법을 더욱 발전시켰다.[11] 유엔 헌장(1945)은 침략전쟁을 금지했고,[11] 제4차 제네바 협약 제47조는 점령을 통한 영토 이익 획득을 제한했다.[11] 제49조는 점령지 주민의 강제 이주를 금지했다.[11]1945년 이후 장기간 지속된 점령의 사례는 다음과 같다.
점령국 | 점령 지역 | 기간 | 비고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나미비아 | [21] | |
인도네시아 | 동티모르 | [21] | |
터키 | 북키프로스 | 1974년~현재 | [29] |
모로코 | 서사하라 | 1975년~현재 | [30] 이후 대부분 지역 병합 |
이스라엘 | 서안 지구(동예루살렘 포함), 가자 지구, 골란 고원 | 1967년~현재 | [22] 골란 고원은 1981년 사실상 병합[22] |
5. 3. 기타 장기 점령 (논란)
1833년부터 영국이 포클랜드 제도(아르헨티나는 말비나스 제도라고 주장)를 점령하고 있다.[23] 1950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이 티베트를 점령했다.[23] 1893년에는 미국이 하와이를 점령했다.[23]5. 4. 20세기 후반의 점령
- 이집트의 가자 점령 (1949/59–1967)
- 인도의 고아 점령 및 병합 (1961)[24]
- 인도네시아의 서뉴기니 점령 및 병합 (1963)[25][26]
- 이스라엘의 서골란 고원 점령 (1967년~현재)[27][28]
- 터키의 북키프로스 점령 (1974년~현재)[29]
- 소말리아의 에티오피아 오가덴 점령 (1977–1978)
- 인도네시아의 동티모르 점령 및 병합 (1975–1999)
- 모로코의 서사하라 점령 및 대부분 지역 병합 (1975)[30]
- 이라크의 쿠웨이트 점령 및 병합 (1990–1991)
5. 5. 21세기 점령
- 2003년~2011년 이라크 전쟁 동안 미국이 이라크를 점령했다. (참조: 연합임시행정부)[31]
- 2006년~2009년 동안 에티오피아가 소말리아를 점령했다.[31]
- 1992/2008년 이후 러시아가 조지아를 점령하고 있다. (참조: 러시아-조지아 전쟁 동안 러시아가 점령한 고리와 포티)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2014년~현재) 중:
- * 2014년 이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돈바스 지역과 크림 반도 일부를 점령한 후, 2014년 크림 반도를 병합했다.[32] (참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군사 개입, 돈바스 전쟁)
-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현재) 중 점령:
- ** 하르키우주, 헤르손주, 자포리자주 및 미콜라이우주 일부를 점령한 후, 점령 지역을 부분 병합했다.
- ** 2022년 초 체르니히우주,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폴타바주, 키이우주, 수미주 및 지토미르주 일부와 즈미이니섬을 이전 부분적으로 점령했다. (참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연표 (2022년 2월 24일 – 4월 7일), 즈미이니섬 전투)
- 2016년 이후 시리아 반군을 지원하기 위해 터키의 시리아 북부 점령이 이루어졌다.
- 예멘 내전 중 2018년 아랍에미리트의 소코트라 점령이 있었다.
6. 한국과 관련된 점령 사례
한국은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외세의 점령을 경험했다.
참조
[1]
서적
Transitional Justice for Israel/Palestine: Truth-Telling and Empathy in Ongoing Conflict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AG
[2]
학술지
Prolonged Military Occupation: The Israeli-Occupied Territories Since 1967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3]
서적
The international law of occup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Living with the enemy: the ethics of belligerent occupation
https://web.archive.[...]
2018-11-30
[5]
학술지
Occupational Hazards: Why Military Occupations Succeed or Fail
https://www.jstor.or[...]
2004
[6]
서적
The Politics of Military Occupation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7]
학술지
What is a Military Occupation?
[8]
학술지
Property and the Law of Belligerent Occupation: A Reexamination
[9]
서적
The International Law of Occupation,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0]
웹사이트
The Avalon Project – Laws of War : Laws and Customs of War on Land (Hague IV); October 18, 1907
https://avalon.law.y[...]
2022-06-30
[11]
웹사이트
Protected persons
https://casebook.icr[...]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12]
위키소스
Article 4, GCIV
https://www.wikisour[...]
[13]
웹사이트
Convention (IV) relative to the Protection of Civilian Persons in Time of War. Geneva, 12 August 1949.: Commentary of 1958: Article 70 - Penal legislation. VII. Offences committed before occupation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14]
미국정부문서
MEMORANDUM FOR THE FILES: Whether Persons Captured and Detained in Afghanistan are "Protected Persons" under the Fourth Geneva Convention
https://www.justice.[...]
2005-08-05
[15]
웹사이트
THE LAW OF ARMED CONFLICT: Neutrality
https://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16]
미국정부문서
Department of Defense Law of War Manual: June 2015 (Updated July 2023)
https://ogc.osd.mil/[...]
2023-07-31
[17]
뉴스
Determining the beginning and end of an occupation under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18]
위키소스
Article 2, GCIV
https://www.wikisour[...]
[19]
서적
The Law of Occupation Continuity and Change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nd its Interaction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https://books.google[...]
BRILL
[20]
서적
The International Law of Occupation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2-02-23
[21]
서적
The Role of National Courts in Applying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22]
뉴스, 서적, 학술지
다양한 출처에서 인용된 이스라엘 점령에 대한 정보
[23]
웹사이트
The War Report 2014
https://www.rulac.or[...]
2022-06-30
[24]
서적
Remembering the Fall of Portuguese India in 1961
Tribuna da Historia
[25]
웹사이트
UNTEA and UNRWI: United Nations Involvement in West New Guinea During the 1960's
https://web.archive.[...]
2021-02-11
[26]
뉴스
Freedom of the press in Indonesian-occupied West Papua
https://www.theguard[...]
2019-07-22
[27]
웹사이트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https://documents.un[...]
2023-12-11
[28]
뉴스
Israel's Occupation of the Golan Heights Is Illegal and Dangerous
https://foreignpolic[...]
2019-02-05
[29]
뉴스
Cyprus may have missed its last chance for reunification
https://www.economis[...]
2017-07-09
[30]
웹사이트
Saharan provinces – Taking Cherry Blossom Case as an Example
https://www.policyce[...]
[31]
뉴스
Ethiopia ends Somalia occupation
https://www.theguard[...]
2009-01-26
[32]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УКРАЇНИ №32/2019
https://www.presiden[...]
[33]
사전
広辞苑 第六版 「占領」
[34]
사전
大辞泉「占領」
[35]
백과사전
ブリタニカ百科事典「占領」
[36]
논문
保障占領下北樺太における日本人の活動 (1920-1925)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大学院経済学研究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