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린업 타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린업 타자는 야구에서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여 득점하는 것이 기대되는 타순을 의미한다. 주로 팀 내에서 장타력과 타점 능력이 뛰어난 선수가 3, 4, 5번 타순에 배치되며, 4번 타자는 팀 내 최고의 타자가 맡는 것이 일반적이다. 클린업 타자는 득점 기회를 만들어 득점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영어권에서는 3, 4, 5번 타자를 묶어 다양한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루 게릭이 4번 타자로서 최다 타점을 기록했으며, 에디 머레이가 최다 경기 출장 및 최다 타석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격 (야구) - 스위치히터
스위치 히터는 야구에서 투수의 투구 방향에 따라 타석을 바꿔 타격하는 타자를 의미하며, 밥 퍼거슨이 최초의 스위치 히터로 기록된 후 메이저 리그, 일본 프로 야구, 한국 프로 야구 등에서 활약하며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 타격 (야구) - 홈런 더비
홈런 더비는 타자가 공을 쳐서 장타력을 겨루는 경기로, 다양한 규칙이 존재하며, 일본 프로 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에서 열리고, 야구 게임에서도 미니 게임 형태로 제공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 클린업 타자 | |
|---|---|
| 야구 | |
| 정의 | |
| 역할 | 팀 타선에서 가장 강력한 타자들이 배치되는 타순으로, 주로 3, 4, 5번 타자가 맡는다. |
| 목적 | 득점권에 주자가 있을 때, 장타나 안타로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여 득점하는 역할 |
| 타순 | 3번 타자: 출루율과 장타력을 겸비한 타자 4번 타자: 팀 내에서 가장 강력한 타자 (주로 홈런 타자) 5번 타자: 4번 타자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높은 타격 능력과 득점력을 가진 타자 |
| 역사 | |
| 유래 | "클린업(cleanup)"은 "청소하다"라는 뜻으로, 루상의 주자를 깨끗하게 쓸어 담아 홈으로 불러들인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
| 역할 및 중요성 | |
| 득점 기회 | 클린업 트리오는 득점 기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의 활약은 팀의 득점력과 승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 타선의 연결 | 클린업 트리오는 앞선 타자들의 출루를 바탕으로 득점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다음 타자들에게 기회를 연결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
| 기타 | |
| 관련 용어 | 중심 타선 3번 타자 4번 타자 5번 타자 해결사 |
2. 이론
클린업 타자는 앞선 타자들이 베이스에 도달하여 득점 기회를 만들면, 안타나 홈런을 쳐서 이 기회를 득점으로 연결하기 위해 기용된다.
사토자키 토모야는 유튜브 영상에서, NPB 드래프트에 지명되는 선수들은 투수와 포수를 제외하면 아마추어 시절부터 1번 또는 클린업 타자를 맡았던 선수가 일반적이라며 "아마추어 시절에 번트를 대는 (타순의) 녀석은 프로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라고 설명했다.[6]
2. 1. 타순별 역할
클린업 타자 앞 타순인 1번과 2번 타자는 빠른 발, 선구안, 높은 출루율을 바탕으로 득점 기회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3] 1번 타자는 주로 빠른 발과 선구안, 높은 출루율을 가진 선수가 맡는다.[3] 2번 타자는 공을 지속적으로 맞혀 주자를 진루시키고 득점권에 보낼 수 있는 컨택트 히터가 맡는 경우가 많다.[3] 이들은 번트를 통해 출루하기도 한다.[3]3번 타자는 보통 팀 내에서 가장 타율이 높은 타자가 맡으며, 출루와 득점 모두에 기여한다.[3] 스스로 득점을 올리기도 하지만, 클린업 타자가 같은 이닝에서 타석에 들어설 수 있도록 출루하는 역할도 중요하다.[3]
4번 타자는 팀 내 최고의 장타력과 클러치 능력을 갖춘 타자로, 득점 생산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이들은 높은 장타율과 타율을 갖춘 타자, 특히 득점권에 주자가 있을 때 강한 타자가 선호된다.[3]
5번 타자는 4번 타자의 백업 역할을 하며, 장타력과 클러치 능력이 중요하다.[3] 4번 타자와 비슷한 특징을 공유하며, 4번 타자 자리를 놓고 경쟁하기도 한다.[3]
3번 타자와 4번 타자는 상황에 따라 서로 타순을 바꿀 수 있다.[3]
3. 용어
클린업(cleanup)은 '깨끗이 치우다'라는 뜻으로, 야구에서는 루에 있는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여 득점하는 것을 기대하는 타순을 말한다. 루를 쓸어 담는다는 의미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3]
클린업 타자를 3, 4, 5번 타자로 위치시키는 것은 일본식 용법이며, 영어권에서는 4번 타자만을 클린업 타자로 지칭한다.[7] 이는 일본의 많은 영일 사전에도 그렇게 기재되어 있다. 3, 4, 5번 타자를 묶어서 표현하는 영어 단어로는 마티 키나트(Marty Keenaert)가 언급한 "center of the order"(오더의 중심), "heart of the order"(오더의 심장), "big guns of the order"(오더의 대포들), "meat of the order"(오더의 핵심) 등이 있다. 'order'는 'lineup'으로 대체할 수 있다.[8]
4. 지명타자
지명타자는 투수를 대신하여 타격을 하며 수비를 하지 않는 타자를 말한다. 지명타자는 팀 내에서 타격 능력이 좋은 선수 중 한 명을 기용하는 경우가 많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명타자는 보통 타순의 3번, 4번 또는 5번(클린업 타자) 자리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4] 지명타자 제도는 1973년 북미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아메리칸 리그에서 처음 도입되었고, 2022년에는 내셔널 리그에서도 채택되었다. 지명타자 제도가 없는 경기에서는 투수가 타석에 들어선다. 단, 다른 선수가 투수를 대타로 교체하는 경우에는 투수는 경기를 떠나고, 해당 팀의 다음 수비 이닝에 다른 선수로 교체된다.[4] 1973년부터 2022년까지 인터리그 경기에서 내셔널 리그가 홈팀일 경우, 아메리칸 리그 팀은 지명타자를 사용하지 않고 투수가 직접 타석에 들어섰다.
5. 한국 프로야구의 클린업
한국 프로야구에서도 클린업 타선은 팀 공격력의 핵심으로 여겨진다. 주로 장타율이 좋은 타자가 많지만, 팀에 따라 다르다. 다만 공통적으로 중요한 순간 주자를 불러들일 수 있는 클러치 능력이 중요하다. 지명타자를 사용하지 않는 리그에서는 6, 7번에 놓기 마련인 "테이블 세터를 볼 수 있는 선수"를 5번에 놓기도 한다.[6] 동양 야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최고의 타자를 4번에 놓는다.
6. 기록 (MLB)
다음은 2020 시즌 종료 시점까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4번 타자(클린업 타자)와 관련된 주요 기록들이다.[5]
6. 1. 클린업 타자로 최다 타점
2020 시즌 종료 기준으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4번 타자(클린업 타자)로 가장 많은 타점을 기록한 선수는 루 게릭이다.[5]| 순위 | 선수 | 타점 |
|---|---|---|
| 1 | 루 게릭 | 1,515 |
| 2 | 에디 머레이 | 1,340 |
| 3 | 프레드 맥그리프 | 1,224 |
| 4 | 매니 라미레즈 | 1,215 |
| 5 | 조 디마지오 | 1,207 |
| 6 | 알 시몬스 | 1,206 |
| 7 | 알버트 벨 | 1,184 |
| 8 | 짐 보텀리 | 1,167 |
| 9 | 윌리 스타젤 | 1,131 |
| 10 | 카를로스 델가도 | 1,112 |
6. 2. 클린업 타자로 최다 경기 출장
2020 시즌 종료 기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4번 타자(클린업 타자)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는 에디 머레이이다.[5]| 순위 | 선수 | 경기 수 |
|---|---|---|
| 1 | 에디 머레이 | 2,041 |
| 2 | 프레드 맥그리프 | 1,826 |
| 3 | 호너스 와그너 | 1,812 |
| 4 | 윌리 맥코비 | 1,622 |
| 5 | 루 게릭 | 1,545 |
| 6 | 윌리 스타젤 | 1,535 |
| 7 | 짐 보텀리 | 1,525 |
| 8 | 그렉 루진스키 | 1,521 |
| 9 | 데이브 윈필드 | 1,484 |
| 10 | 냅 라지오 | 1,458 |
6. 3. 클린업 타자로 최다 타석
2020 시즌 종료 기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 클린업 타순으로 가장 많은 타석을 기록한 선수는 에디 머레이이다.[5]| 순위 | 선수 | 타석 |
|---|---|---|
| 1 | 에디 머레이 | 8,775 |
| 2 | 프레드 맥그리프 | 7,777 |
| 3 | 호너스 와그너 | 7,708 |
| 4 | 루 게릭 | 7,004 |
| 5 | 짐 보텀리 | 6,742 |
| 6 | 윌리 맥코비 | 6,659 |
| 7 | 윌리 스타젤 | 6,545 |
| 8 | 그렉 루진스키 | 6,477 |
| 9 | 데이브 윈필드 | 6,351 |
| 10 | 앨버트 벨 | 6,332 |
7. 기타
이전 출력에서는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었습니다. 원문 소스가 없이는 주어진 지시사항을 따르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은 유효하지 않으며, 원문 소스가 제공되어야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Optimizing Your Lineup By The Book
http://www.beyondthe[...]
2009-03-17
[2]
서적
The Book: Playing the Percentages in Baseball (Playing the Percentages in Baseball)
Createspace Independent
[3]
서적
Baseball Between the Numbers: Why Everything You Know About the Game Is Wrong
Basic Books
[4]
웹사이트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American and National Leagues?
http://entertainment[...]
2012-08-26
[5]
웹사이트
Batting Split Finder
https://stathead.com[...]
Sports Reference
2021-01-25
[6]
Youtube
〇〇してる人はプロになれない
https://www.youtube.[...]
Satozaki Channel
2022-10-19
[7]
웹사이트
From ace to yakker, a glossary of baseball slang
https://www.mlb.com/[...]
2024-03-24
[8]
서적
야구의 영어A to Z:佐山和夫가 말하는 미국 야구 용어
삼수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