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탄자니아 혁명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자니아 혁명당(CCM)은 1977년 탕가니카 아프리카 국민연합과 아프로-시라지 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탄자니아의 집권 여당이다. 1961년 탕가니카 독립 이후 탄자니아 정치를 지배해 왔으며, 1992년 다당제 도입 전까지 유일한 합법 정당이었다. 5년마다 대통령을 선출하고 국회의원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현재 사미아 술루후 하산이 당 의장을 맡고 있다. 이념적으로는 보수주의를 표방하며, 범아프리카주의를 비판하고 탄자니아 국민주의를 강조한다.

2. 역사

1977년 줄리어스 니에레레의 주도로 탕가니카 아프리카 국민연합(TANU)과 아프로시라지당(ASP)이 합당하여 탄자니아 혁명당(CCM)이 창당되었다.[1] TANU는 탕가니카, ASP는 잔지바르의 집권당이었다.

탄자니아 혁명당은 1961년 탕가니카 독립 이후 탄자니아의 정치를 지배해 왔다. ASP와의 합당으로 1977년부터 잔지바르에서도 집권당이 되었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시민연합전선(CUF)과 변화와 투명성을 위한 연합(ACT) 등 야당의 도전을 받았다.[1][2]

1992년까지 탄자니아 혁명당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합법적인 정당이었다. 매 5년마다 당의 전국 의장은 자동적으로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국민 투표를 통해 재신임받았다. 동시에 유권자들은 국회 의원 후보자 2명에게 투표했다. 이러한 체제는 1992년 7월 1일 헌법 개정과 여러 정당의 설립 및 운영을 허용하는 법률 개정으로 바뀌었다.[1]

2. 1. 창당 배경 (1977년 이전)

줄리어스 니에레레의 주도로 1977년 2월 5일 탕가니카의 집권당인 탕가니카 아프리카 국민연합과 잔지바르의 집권당인 아프로시라지당이 합당하여 탄자니아 혁명당이 창당되었다.[1]

탄자니아 혁명당은 1961년 탕가니카 독립 이후 탄자니아의 정치를 지배해 왔다.[1] 1977년부터 아프로시라지당과의 합당으로 잔지바르에서도 집권당이 되었지만, 민주진보당 등 다른 정당들의 도전을 받았다.[1]

1992년까지 탄자니아 혁명당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합법적인 정당이었다.[1] 매 5년마다 당의 전국 의장은 자동적으로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국민 투표를 통해 재신임받았다.[1] 동시에 유권자들은 국회의원(번게) 후보자 2명에게 투표했다.[1] 이러한 체제는 1992년 7월 1일 헌법 개정과 여러 정당의 설립 및 운영을 허용하는 법률 개정으로 바뀌었다.[1]

2. 2. 단일 정당 체제 (1977년 ~ 1992년)

1977년 2월 5일 줄리어스 니에레레의 주도로 탕가니카 아프리카 국민연합(탕가니카)과 아프로시라지당(잔지바르)의 합당을 통해 창당되었다.

1992년까지 탄자니아에서 유일하게 합법적인 정당이었다. 매 5년마다 국가 의장은 자동적으로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국민 투표를 통해 취임이 확정되었다. 동시에 유권자들에게는 국회의원이나 번게 후보자 두 명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체제는 1992년 7월 1일 헌법 개정과 하나 이상의 정당 형성과 운영을 허용하고 규제하는 여러 법률이 국회에서 제정되면서 변화하였다.[1]

2. 3. 다당제 도입과 현재 (1992년 ~ 현재)

1992년 7월 1일 헌법 개정과 하나 이상의 정당 형성과 운영을 허용하고 규제하는 많은 법들이 국회에 의해 제정되면서, 탄자니아 혁명당은 1992년까지 탄자니아에서 유일하게 합법적으로 허용된 정당이었다. 매 5년마다 국가 의장은 자동으로 5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국민 투표를 통해 취임을 확정받았다. 동시에 유권자들에게는 국회 의원(번게) 후보자 2명이 제시됐다.[1] 1990년대 중반 이후 시민연합전선 (CUF)에 의해 권력 장악력이 더 도전받았으며, 이후 섬에서는 변화와 투명성을 위한 연합 (ACT)이 CUF의 지배력을 넘어섰다.[2]

3. 이념

줄리어스 니에레레가 실각한 이후 탄자니아 혁명당의 공식적인 이념은 제시되지 않았으나, 언론에서는 이 당을 보수주의 정당으로 묘사한다.[17] 오늘날 탄자니아 혁명당은 범아프리카주의를 비난하고, 탄자니아 국민주의를 표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알리 하산 므위니줄리어스 니에레레의 실각 이후 당을 장악하였으며, 남성우월주의와 반여성주의를 조장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19] 이 기간 동안 탄자니아 혁명당의 여성 당원들이 지위를 잃거나 추방되는 일이 빈번했고, 니에레레의 성별 할당제 추진 시도를 비롯한 진보적 정책은 폐기되었다.[20]

원래 아프리카 사회주의를 옹호하고, 우자마로 알려진 집산화된 농업 시스템을 지지하며, 확고한 좌파 노선을 따랐던 탄자니아 혁명당은 오늘날 더 혼합 경제적 접근 방식을 옹호한다. 탄자니아 혁명당은 다음을 보장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현대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 국가의 수입을 증대시킬 생산성 증가

# 고용 증가 및 관리 개선

# 새롭고 현대적인 기술 습득

# 자국 제품을 위한 국내 및 국제 시장의 확대

# 정부가 사회 서비스, 인프라, 안보 및 국가 통치에 집중하는 동안 국가 경제의 원동력 역할을 하는 민간 부문의 개선 및 강화

탄자니아 혁명당의 주요 외교 정책 초점은 국제 체제 내에서의 경제 외교와 이웃 국가와의 평화로운 공존이다.

4. 지지 기반

탄자니아 혁명당의 지지 기반은 1995년 이후 시골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언론들은 해당 지역의 득표율이 저조하다는 점을 들어 조직적인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21] 1995년 탄자니아에서 다당제 민주주의가 시행된 이후에도 탄자니아 혁명당은 사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까지 권력을 유지하고 있다. 경험적 분석에 따르면 독립을 가져왔고 상대적인 평화를 유지해 온 정당에 대한 향수가 탄자니아 혁명당 지지 기반의 주요 원인이며, 나이는 탄자니아 혁명당에 대한 충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당은 자급자족 농민들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다.[8]

탄자니아 혁명당은 다당제 시스템 하에서 국가 및 잔지바르 자치령 수준에서 열린 모든 대통령 선거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에서 승리했으며, 입법부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다.

5. 역대 선거 결과

탄자니아 혁명당(CCM)은 1995년 탄자니아에서 다당제 민주주의가 시행된 이후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까지 집권 여당이다.[8] 이 당은 국가 및 잔지바르 자치구에서 실시된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으며,[8] 국회에서도 다수 의석을 차지하고 있다.

2005년 10월 30일에 치러진 잔지바르 대통령 및 하원 선거에서 현직 대통령이자 CCM 후보인 아마니 아베이드 카루메가 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고, CCM은 하원 50석 중 30석을 차지했다.

5. 1. 대통령 선거

탄자니아 혁명당(CCM)은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다당제 시스템 하에서 실시된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8]

2005년 12월 14일에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외무장관이자 CCM 후보인 자카야 키크웨테가 80.2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8] 2010년 10월 31일, 자카야 키크웨테는 61%의 득표율로 재선되었다.[9] 2015년 10월 30일, CCM의 존 마구풀리가 5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8]

2020년 탄자니아 총선에서 현직 대통령이자 CCM 대통령 후보인 존 마구풀리는 84% 이상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으며, 이는 1992년 다당제 시스템 도입 이후 이 당의 최대 승리였다. 그러나 이 선거는 마구풀리 대통령의 전례 없는 야당, 시민 사회, 언론 탄압으로 특징지어지는 상당한 민주주의 후퇴와 탄압 속에서 치러졌다.[11]

선거정당 후보득표수득표율결과
1980년줄리어스 니에레레5,570,88395.5%당선
1985년알리 하산 음위니4,778,11495.68%당선
1990년5,198,12097.78%당선
1995년벤자민 음카파4,026,42261.82%당선
2000년5,863,20171.74%당선
2005년자카야 키크웨테9,123,95280.28%당선
2010년5,276,82762.83%당선
2015년존 마구풀리8,882,93558.46%당선
2020년12,516,25284.40%당선


5. 2. 국회의원 선거

탄자니아 혁명당은 다당제 시스템 하에서 치러진 모든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으며(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 입법부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다.

2005년 12월 14일에 치러진 탄자니아 국회 선거에서 직접 선거를 통해 채워진 232석 중 탄자니아 혁명당은 206석을 차지했다.[8]

2010년 10월 31일, 탄자니아 혁명당은 239석의 직접 선거 의석 중 186석을 확보했다.[9]

2020년 탄자니아 총선에서 탄자니아 혁명당은 1992년 다당제 시스템 도입 이후 최대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 선거는 상당한 민주주의 후퇴와 탄압 속에서 치러졌다.[11]

선거당 대표득표수득표율 (%)의석+/–순위결과
1995년벤자민 음카파3,814,20659.22%214 / 285-501위압도적 다수 정부
2000년벤자민 음카파4,628,12765.19%243 / 285+291위압도적 다수 정부
2005년자카야 키크웨테7,579,89770%264 / 324+211위압도적 다수 정부
2010년자카야 키크웨테4,641,83060.20%253 / 357-111위압도적 다수 정부
2015년존 마구풀리8,021,42755.04%260 / 393+71위압도적 다수 정부
2020년존 마구풀리12,516,25284.40%350 / 393+901위압도적 다수 정부


6. 당 지도부

탄자니아 혁명당(CCM)은 당 의장, 부의장(본토 및 잔지바르), 사무총장 등으로 구성된 지도부를 두고 당의 주요 의사 결정과 활동을 이끈다.[1]

탄자니아 혁명당은 탄자니아 시골 지역에 강력한 정치적 기반을 가지고 있다.


탄자니아 수도 도도마에 있는 CCM 본부.


탄자니아 남부 도시 린디에 있는 당 후보들의 벽화.

6. 1. 현재 지도부 (2023년 기준)

사미아 술루후 하산은 전 의장 겸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대통령이었던 존 폼베 마구풀리의 사망 이후 현재 차마 차 마핀두지 의장이다.[1]

현재 지도부 (2023년 기준)
직책이름
의장사미아 술루후 하산[1]
잔지바르 부의장후세인 음윈이[1]
본토 부의장압둘라흐만 키나나[1]
사무총장[엠브. 에마누엘 J. 은침비[1]
잔지바르 부사무총장모하메드 모하메드[1]
본토 부사무총장아남린기 마차[1]
조직 사무총장이사 우시[1]
정당 이념 및 홍보 사무총장아모스 마칼라[1]
정당 문제 및 국제 관계 사무총장라비아 대사[1]
경제 및 재무 사무총장프랭크 조지 하울 하와시 박사[1]
와자지 사무총장알리 하피[1]
UWT 사무총장조카테 음웨겔로[1]
UVCCM 사무총장조카테 U. 음웨겔로[1]


6. 2. 역대 의장

; 전국 의장

이름재임 기간
줄리어스 니에레레1977–1985
알리 하산 음위니1985–1995
벤자민 음카파1996–2006
자카야 키크웨테2006–2016
존 마구풀리2016–2021
사미아 술루후2021–현재



; 전국 부의장 (본토)

이름재임 기간
존 말레셀라
피우스 므세크와2007–2012
필립 망굴라2012–2022
압둘라흐만 오마르 키나나2022 – 현재



; 전국 부의장 (잔지바르)

이름재임 기간
살민 아무르
아마니 아베이드 카루메? – 2012
알리 모하메드 셰인2012–현재



; 사무총장

이름재임 기간
피우스 므세크와1977–1982
라시디 카와와1982–1990
호레이스 콜림바1990–1995
로렌스 가마1995–1997
필립 망굴라1997–2007
유수프 마캄바2007–2011
윌슨 무카마2011–2012
압둘라흐만 키나나2012–2018년 5월
바시루 앨리2018 – 2021년 4월
다니엘 쳉골로2021 – 현재


참조

[1] 웹사이트 Chama Cha Mapinduzi (CCM) has recorded numerous achievements including registering a total of 12 million members since 1977, the ruling party’s Secretary General Daniel Chongolo has said in Musoma, Mara.>>>bit.ly/3LewXok @ccm_tanzania https://x.com/dailyn[...]
[2] 뉴스 How Tanzania Got To This Point https://www.vice.com[...] 2020-11-02
[3] 뉴스 Tanzania's Political Pillar – an In-depth Look at Chama Cha Mapinduzi https://www.michuzi.[...] 2023-12-12
[4] 학술지 Why the CCM won't lose: the roots of single-party dominance in Tanzania 2012-04-26
[5] 뉴스 Three issues loom over Tanzania's political scene http://www.ft.com/cm[...] 2013-09-30
[6] 학술지 Tanzania: The Roots of Repression https://muse.jhu.edu[...] 2021
[7] 웹사이트 GAZETI TOLEO MAALUM LA JAMHURI YA MUUNGANO WA TANZANIA https://www.inec.go.[...]
[8] 학술지 Why the CCM won't lose: The roots of single-party dominance in Tanzania
[9] 뉴스 Tanzania election: Jakaya Kikwete re-elected president https://www.bbc.com/[...] 2010-11-05
[10] 웹사이트 Decisions of the Council http://www.socialist[...] Socialist International 2013-02
[11] 웹사이트 Unfinished Business: Magufuli's Autocratic Rule in Tanzania https://www.csis.org[...] 2021-02-05
[12] 웹사이트 Elections in Tanzania http://africanelecti[...] 2011-02-21
[13] 서적 China's Policy in Africa, 1958-7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4
[14] 학술지 Why the CCM won't lose: the roots of single-party dominance in Tanzania 2012-04-26
[15] 뉴스 Three issues loom over Tanzania's political scene http://www.ft.com/cm[...] 2013-09-30
[16] 웹인용 Tanzania: Background and Current Conditions http://www.fas.org/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1-08-31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웹인용 Mandate of the Parliament of Tanzania https://www.parliame[...]
[23] 웹인용 Functions of the Parliament of Tanzania https://www.parlia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