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범아프리카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범아프리카주의는 아프리카인들의 역사, 문화, 정신 등을 통합하고, 노예 제도, 인종차별, 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의 가치를 증진하는 철학이다. 19세기 말 아이티 혁명 등에서 억압 종식을 위한 정치 운동으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 헨리 실베스터 윌리엄스의 아프리카 협회 설립과 1900년 런던에서 열린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를 통해 현대적 형태로 발전했다. 범아프리카 회의는 아프리카 탈식민화 문제를 제기하고, 크와메 느크루마의 가나 독립 이후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위한 정치적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를 거쳐 아프리카 연합(AU)으로 이어졌으며,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지역(AfCFTA) 출범을 통해 경제적 통합을 추진하고 있다. 소셜 미디어의 발달은 범아프리카주의를 확산시키고 있으며, 아프리카 연합은 대륙의 연대와 통합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범아프리카주의는 엘리트주의, 독재 정당화, 과거 지향적이라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에 관한 - 콰메 은크루마
    콰메 은크루마는 가나의 독립을 이끈 첫 번째 대통령이자 흑인 민족주의와 범아프리카주의에 기반한 정치 활동으로 아프리카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경제 정책 실패로 쿠데타로 실각하여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아프리카에 관한 - 마커스 가비
    자메이카 출신의 범아프리카주의 운동가이자 흑인 민족주의 지도자인 마커스 가비는 만국 흑인 진보 연합(UNIA)을 설립하여 흑인 권리 향상과 아프리카 귀환을 주장하며 흑인 경제 자립을 추진했으나, 우편 사기 혐의로 투옥 및 추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후대 흑인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아프리카 - 아프리카 연합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의 거의 모든 독립국가를 회원국으로 하는 정부간 국제기구이며, 경제 통합과 정치적 안정을 증진시키고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목표로 하며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 아프리카 - 구세계
    구세계는 유럽 중심적 관점에서 아메리카 대륙을 신세계로 지칭하며, 청동기 시대부터 문화적 접촉을 맺었던 북위 45도선과 25도선 사이의 온대 지역, 특히 지중해 지역을 포함한 아프로-유라시아 대륙을 의미한다.
  • 범아프리카주의 - 콰메 은크루마
    콰메 은크루마는 가나의 독립을 이끈 첫 번째 대통령이자 흑인 민족주의와 범아프리카주의에 기반한 정치 활동으로 아프리카 통일을 위해 노력했으나, 권위주의적 통치와 경제 정책 실패로 쿠데타로 실각하여 상반된 평가를 받는다.
  • 범아프리카주의 - 마커스 가비
    자메이카 출신의 범아프리카주의 운동가이자 흑인 민족주의 지도자인 마커스 가비는 만국 흑인 진보 연합(UNIA)을 설립하여 흑인 권리 향상과 아프리카 귀환을 주장하며 흑인 경제 자립을 추진했으나, 우편 사기 혐의로 투옥 및 추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후대 흑인 지도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범아프리카주의
지도
개요
유형민족주의
정치 운동
목표아프리카 대륙의 통합
아프리카인과 디아스포라의 단결
아프리카인의 권익 증진
관련 개념흑인 권력
아프리카 연합
네그리튀드
아프리카 르네상스
역사적 배경
기원19세기 후반, 서아프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의 지식인들
초기 사상가에드워드 윌모트 블라이든
마커스 가비
헨리 실베스터 윌리엄스
W.E.B. 듀보이스
콰메 은크루마
주요 사건1900년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
1919년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
1945년 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
1963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 (OAU) 창설
2002년 아프리카 연합 (AU) 출범
주요 사상
공통 유산아프리카인의 공통된 문화적, 역사적 유산 강조
아프리카인 연대모든 아프리카인과 디아스포라의 단결 촉진
반식민주의 및 반인종주의식민주의, 인종차별에 대한 저항 및 극복
아프리카 통합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통합 추구
자결 및 독립아프리카 국가들의 자결권 및 완전한 독립 지향
정치적 영향
아프리카 독립 운동아프리카 국가들의 독립 운동에 큰 영향
아프리카 연합아프리카 연합 창설 및 운영에 영향
디아스포라 운동전 세계 아프리카계 디아스포라의 권익 증진 운동에 영향
정치적 연대개발도상국 간 연대 강화에 기여
비판 및 논쟁
내부 갈등아프리카 내부의 민족적, 종교적 갈등 문제
서구와의 관계서구의 영향력 문제에 대한 다양한 입장 존재
실현 가능성범아프리카주의 이상 실현에 대한 비판적 시각
문화적 영향
아프리카 문화 부흥아프리카 문화, 예술, 문학 부흥에 기여
정체성 확립아프리카인의 정체성 확립에 영향
예술 및 문학아프리카 문학 및 예술 운동 활성화
주요 인물
사상가마커스 가비
W.E.B. 듀보이스
에드워드 윌모트 블라이든
콰메 은크루마
줄리어스 니에레레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활동가넬슨 만델라
파트리스 루뭄바
아메드 세쿠 투레
하일레 셀라시에
관련 단체
범아프리카 협회범아프리카 협회 (Pan-African Association)
아프리카 연합아프리카 연합 (African Union)
아프리카 통일 기구아프리카 통일 기구 (Organisation of African Unity)
관련 문서
관련 주제아프리카 민족주의
흑인 민족주의
탈식민주의
아프리카계 디아스포라

2. 기원

범아프리카주의는 "집단적 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와 민중 양쪽 모두의 목표로 존재한다.[10] 투생 루베르튀르, 장 자크 데살랭 등 아이티 혁명 지도자, 프랑수아 뒤발리에, 에메 세제르 같은 사상가,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조모 케냐타를 비롯한 여러 아프리카 정치 지도자들이 범아프리카주의를 지지했다.[11][12][13][14] 마커스 가비, 말콤 X 등 민권 운동가와 W. E. B. 두 보이스 같은 학자도 포함된다.[11][12][13][14]

범아프리카주의자들은 연대를 통해 아프리카 대륙이 잠재력을 발휘하고 모든 국민을 자립적으로 부양할 수 있다고 믿으며, 아프리카 전역의 연합이 전 세계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범아프리카주의가 아프리카의 "권력 통합"을 이끌어 세계 자원 재분배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믿는다.[15]

범아프리카주의자들은 사회주의 원칙을 지지하고 아프리카에 대한 외부의 정치, 경제적 개입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다. 범아프리카주의는 철학적으로 아프리카인들의 역사적, 문화적, 정신적 유산을 통합하고, 윤리적으로는 고대부터 아프리카 문명과 노예 제도, 인종차별, 식민주의 등에 대한 투쟁의 가치를 증진시킨다.[11]

19세기 말, 아이티 혁명과 같은 신세계 노예 폭동과 함께 억압 종식을 위한 범아프리카 정치 운동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2. 1. 초기 범아프리카주의 운동

범아프리카주의는 19세기 말, 노예 제도, 인종차별, 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의 산물로, 억압 종식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운동을 통합하려는 대륙 간 친아프리카 정치 운동으로 탄생했다. 종교적인 범아프리카주의 세계관의 또 다른 중요한 정치적 형태는 에티오피아 운동의 형태로 나타났다.[16]

런던에서는 아프리카의 아들들이라는 정치 단체가 있었는데, 1791년판 저서 ''Thoughts and Sentiments on the Evil of Slavery''에서 쿠옵나 오토바 쿠고아노가 이 단체를 언급했다.[17] 이 단체는 회의에 참석하고 서한 작성 운동을 조직했으며, 선전 자료를 발행하고 의회를 방문했다. 그들은 그랜빌 샤프, 윌리엄 피트 및 백인 폐지론 운동의 다른 구성원뿐만 아니라 국왕 조지 3세와 미래의 조지 4세웨일스 공에게 편지를 썼다.

현대 범아프리카주의는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헨리 실베스터 윌리엄스는 1897년경 아프리카 협회(이후 범아프리카 협회로 개명)를 설립하고, 1900년 런던에서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를 조직했다.[18][19][20]

1900년 7월 런던 웨스트민스터 타운 홀(현 칵스턴 홀)에서 열린 범아프리카 회의 초청장


범아프리카 회의는 1900년 런던에서 열린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에 이어 1919년 파리(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 1921년 런던(제2차 범아프리카 회의), 1923년 런던(제3차 범아프리카 회의), 1927년 뉴욕시(제4차 범아프리카 회의), 1945년 맨체스터(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에서 개최되어 아프리카의 탈식민화 문제를 제기했다.[21]

1922년 뉴욕시 할렘 레녹스 애비뉴에서 열린 세계 흑인 인민 연례 대회 개막식 행진 중 군복을 입고 "아프리카 잠정 대통령"으로 참석한 자메이카 출신의 마커스 가브리엘(Marcus Garvey)


1930년대, Nnamdi Azikiwe 박사의 미국, 아크라, 라고스에서의 반식민지 저술은 그를 영국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저명한 범아프리카주의자로 만들었다. 당시 식민지 장관이었던 올리버 스탠리는 아지키위(지크)를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고 불렀다. 지크는 에드워드 윌못 블라이든, W.E.B. 뒤부아, 마커스 가브리엘과 같은 서인도 제도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뿐만 아니라 J.E. 케이스리 헤이포드와 영국 서아프리카 국민 의회의 동맹국들과 같은 서아프리카인들의 범아프리카 사상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저술 "Renascent Africa"에서 앨런 록이 설명한 신흑인 운동을 모델로 한 "새로운 아프리카"에 대한 모호한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아지키위는 저술 외에도 범아프리카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서아프리카카리브해에서 미국서유럽에 이르는 흑대서양을 중심으로 지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활동했다.[22]

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는 아프리카 대륙과 디아스포라 출신의 반식민주의 활동가들을 한자리에 모은 중요한 모임이었다. 에이미 애슈우드 가브리엘과 에이미 자크 가브리엘과 같은 여성들은 회의 조직을 돕고 회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3]

3. 전개

범아프리카주의는 "집단적 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하며,[10] 정부 차원과 민중 차원의 목표로 존재한다. 투생 루베르튀르, 장 자크 데살랭, 앙리 크리스토프 등 다양한 인물들이 범아프리카주의를 지지했다.[11][12][13][14] 이들은 연대를 통해 아프리카 대륙이 잠재력을 발휘하고 모든 국민을 자립적으로 부양할 수 있다고 믿었다. 특히, 아프리카 전역의 연합은 전 세계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라고 보았다.

범아프리카주의 목표가 실현되면 아프리카의 "권력 통합"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는 "세계 자원의 재분배를 강요하고, 더욱 강렬한 심리적 에너지와 정치적 주장을 불러일으켜…미주 대륙의 사회적, 정치적 (권력) 구조를 불안하게 만들 것"이다.[15]

범아프리카주의자들은 종종 사회주의 원칙을 지지하고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외부의 정치적, 경제적 개입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철학으로서 범아프리카주의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아프리카인들의 역사적, 문화적, 정신적, 예술적, 과학적, 철학적 유산을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윤리 체계로서의 범아프리카주의는 고대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아프리카 문명과 노예 제도, 인종차별, 식민주의, 신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의 산물인 가치를 증진시킨다.[11]

19세기 말, 억압 종식을 목표로 대륙 간 친아프리카 정치 운동이 탄생했다. 런던에서는 오토바 쿠고아노가 언급한 아프리카의 아들들이라는 정치 단체가 활동했다.[17]

현대 범아프리카주의는 20세기 초, 헨리 실베스터 윌리엄스가 1897년경 아프리카 협회(이후 범아프리카 협회로 개명)를 설립하고, 1900년 런던에서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를 조직하면서 시작되었다.[18][19][20]

1930년대, 남디 아지키웨 박사는 미국, 아크라, 라고스에서 반식민지 저술 활동을 펼쳐 영국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저명한 범아프리카주의자가 되었다. 올리버 스탠리 당시 식민지 장관은 아지키위를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고 불렀다. 아지키위는 에드워드 윌못 블라이든, W. E. B. 뒤부아, 마커스 가비와 같은 인물들과 J. E. 케이스리 헤이포드와 영국 서아프리카 국민 의회의 동맹국들과 같은 서아프리카인들의 범아프리카 사상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Renascent Africa"에서 앨런 르로이 록이 설명한 신흑인 운동을 모델로 한 "새로운 아프리카"에 대한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아지키위는 서아프리카카리브해에서 미국서유럽에 이르는 흑대서양을 중심으로 범아프리카 정치에 참여했다.[22]

1957년 3월 가나가 독립하고 크와메 느크루마가 초대 수상 겸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24] 느크루마는 독립된 아프리카의 통합을 위한 주요 옹호자로 부상했다. 그는 "아프리카 대륙 전체의 지역 통합 추구"를 옹호하며 범아프리카주의에 대한 정치적 활동가적 접근 방식을 구현했다.[25] 이 시기는 "높은 범아프리카 야망의 황금기"로, 아프리카 대륙은 서구 열강으로부터 혁명과 탈식민화를 경험했고, 재생과 연대의 서사가 범아프리카 운동 내에서 추진력을 얻었다.[25]

느크루마의 범아프리카 원칙은 독립된 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의 공통점(제국주의하의 억압)을 인정하는 연합을 목표로 했다. 그의 범아프리카주의는 흑인 아프리카와 관련된 인종적으로 배타적인 운동이라는 가정을 넘어서 지역 통합의 정치적 담론을 채택했다.[26]

1958년 4월, 느크루마는 가나 아크라에서 제1차 범아프리카 인민 회의(AAPC)를 주최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외한 아프리카 대륙의 모든 독립국인 이집트, 에티오피아, 가나, 라이베리아, 리비아, 모로코, 튀니지, 수단이 참석했다.[26] 이 회의는 아랍 국가들과 흑인 아프리카 지역 간의 정치적, 사회적 연합을 보여주며 범아프리카 운동에서 기념비적인 사건이 되었다. 또한 국가 간의 통일과 반제국주의라는 공통된 아프리카 민족주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프란츠 파농기자이자 독립운동가, 알제리 FLN 당원으로 알제리 대표로 회의에 참석했다.[27]

회의 참석자들은 식민지 억압하에 있는 국가들의 투쟁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 "대륙의 해방"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에 대한 약속을 장려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한 식민지 압력에 대한 투쟁이 선언되었고 프랑스 식민 통치에 맞선 알제리의 FLN 투쟁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가 표명되었다.[28] 톰 음보야케냐의 노동조합 지도자이자 반식민주의 활동가로 이 회의에 참석하여 케냐의 독립을 촉구하기 위한 정치 활동의 속도를 높이는 데 영감을 주었다.[29]

1958년 이후, 아크라 회의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비동맹 외교 정책 수립과 국제 관계에 대한 아프리카 국가 간의 통합을 옹호함으로써 세계 무대에서 "아프리카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는 반둥 선언, 유엔 헌장 및 유엔 결정에 대한 충실도를 기반으로 했다.

1959년, 크와메 느크루마, 기니아메드 세쿠 투레 대통령, 라이베리아의 윌리엄 텁먼 대통령은 산니켈리에서 만나 국가 정체성과 자율적인 헌법 구조를 유지하면서 독립된 아프리카 국가들의 통합 달성을 위한 원칙을 제시하는 산니켈리 선언문에 서명했다.[30][31]

1960년, 제2차 범아프리카 인민 회의가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렸다.[32] 범아프리카 인민 기구(AAPO)의 회원 자격은 "알제리 잠정 정부, 카메룬, 기니, 나이지리아, 소말리아, 아랍연합공화국"의 참여로 증가했다.[33] 이 회의는 운동 내부의 이념적 차이를 강조했다. 1960년 이후의 불일치는 범아프리카 운동 내에서 카사블랑카 진영과 브라자빌 진영이라는 두 개의 경쟁 세력으로 이어졌다.[34]

1962년, 알제리가 프랑스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을 얻었고 아메드 벤 벨라가 대통령직을 맡았다. 벤 벨라는 범아프리카주의와 아프리카 통합을 강력히 옹호했다. FLN의 무장 해방 투쟁 이후, 벤 벨라는 UN에서 연설하고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고 포르투갈 식민주의와 싸우는 아프리카 해방 운동에 대한 군사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독립 아프리카의 역할을 강조했다.[35]

1963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아프리카 정상 회의에서 32개 아프리카 국가가 모여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를 설립했다. OAU 헌장이 만들어졌으며, 자유 투사와 탈식민화를 지원함으로써 회원국의 생활 수준을 높이고 주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정된 "노력"을 정의한다.[36] 1963년 정상 회의에서 아프리카 해방 위원회(ALC)가 구성되었다. 알제리의 벤 벨라 대통령은 해방 운동 지원을 옹호하며 즉시 "재정에 1억 프랑을 기부했고 포르투갈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상품을 보이콧한 최초의 기구 국가 중 하나였다".

1969년, 알제리는 7월 21일 범아프리카 문화 축제를 개최했으며 8일 동안 계속되었다.[37] 이 시기 알제리는 "아프리카와 제3세계의 투쟁의 등불"이었으며,[37] 전 세계의 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에 영감을 주었다. 이 축제에는 흑표범을 포함하여 아프리카 국가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출신의 수천 명이 참석했다. 이는 알제리 혁명의 원칙을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며, 식민주의라는 공통 경험하에서 범아프리카 정체성의 재정의를 상징했다.[37]

말콤 X (1964년)


범아프리카주의의 상징인 크와메 느크루마


1972년 크와메 느크루마 사망 후, 무아마르 카다피가 범아프리카주의 운동 지도자의 역할을 맡았고, "아프리카 연합국"의 출현을 위해 아프리카 통합을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했다.[38]

우간다에서 열린 1994년 제7차 범아프리카 회의에서 여성 문제가 구체적으로 다루어졌다. 회의에서 처음으로 여성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성찰이 요청되었다. 회의 이틀 전에 사전 회의가 열려 여성의 목소리와 우려에 귀 기울일 수 있는 틀을 제공했다. 300명 이상이 참석했으며, 그중 74%가 여성이었다. 이 회의에는 주로 우간다 여성이 참석했으며, 성기 절제와 강간 및 기타 학대 행위로부터 어린 가정부 보호와 같은 여성 문제에 초점을 맞춘 자체 의제를 설정했다.[40]

미국에서는 이 용어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민권 운동 기간 동안 등장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정체성 정치의 이념인 아프로센트리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41]

3. 1. 범아프리카 회의의 개최

범아프리카주의는 19세기 말, 아프리카 대륙에서 노예 무역으로 끌려온 아프리카인의 후손인 미국과 카리브해 지역 흑인들에 의해, 자신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운동으로 시작되었다.

1900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출신의 변호사 헨리 실베스터 윌리엄스(Henry Sylvester Williams)가 범아프리카 회의를 런던에서 개최했다.[18][19][20]

잠시 주춤한 후, W. E. B. 뒤부아가 1919년 파리에서 제2차 범아프리카 회의를 개최했다. 1921년, 1923년, 1927년에도 잇달아 회의가 개최되었다.[21] 1935년, 아프리카에서 가장 오래된 독립국인 에티오피아이탈리아의 침략을 받자(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유럽과 미국에 거주하는 아프리카계 주민들 사이에서 에티오피아 지원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범아프리카주의는 더욱 힘을 얻게 되었다.

1945년 10월, 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가 맨체스터에서 개최되었다.[21] 이 회의에는 기존의 유럽과 미국 거주자들뿐만 아니라, 크와메 은크루마와 조모 케냐타 등 아프리카 대륙 출신 참가자들이 대거 참여하여, 이후 범아프리카주의는 아프리카 대륙에 뿌리내리게 되었고 각 식민지의 독립 운동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3. 2. 아프리카 대륙에서의 범아프리카주의

범아프리카주의는 "집단적 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0] 범아프리카주의는 정부 차원과 민중 차원의 목표로 존재한다. 범아프리카주의 지지자로는 투생 루베르튀르, 장 자크 데살랭, 앙리 크리스토프, 프랑수아 뒤발리에, 에메 세제르,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조모 케냐타, 에드워드 윌못 블라이든, 남디 아지키웨, 파트리스 루뭄바, 줄리어스 니에레레, 로버트 소부크웨, 아흐메드 세쿠 투레, 크와메 느크루마, 소부자 2세 국왕, 로버트 무가베, 토마스 상카라, 크와메 투레, 존 폼베 마구풀리 박사, 무아마르 카다피, 월터 로드니, 요웨리 카구타 무세베니, 조셉 로버트 러브와 같은 민중 운동가, 마커스 가비, 말콤 X와 같은 민권 운동가, W. E. B. 두 보이스, 앙테노르 피르맹 등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학자 등이 포함된다.[11][12][13][14] 범아프리카주의자들은 연대가 아프리카 대륙이 그 잠재력을 충족하여 모든 국민을 자립적으로 부양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믿는다. 특히, 아프리카 전역의 연합은 전 세계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다.

범아프리카주의 목표의 실현은 아프리카의 "권력 통합"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세계 자원의 재분배를 강요하고, 더욱 강렬한 심리적 에너지와 정치적 주장을 불러일으켜…미주 대륙의 사회적, 정치적 (권력) 구조를 불안하게 만들 것"이다.[15]

범아프리카주의 지지자들, 즉 "범아프리카인" 또는 "범아프리카주의자"들은 종종 사회주의 원칙을 지지하고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외부의 정치적, 경제적 개입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다.

철학으로서 범아프리카주의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아프리카인들의 역사적, 문화적, 정신적, 예술적, 과학적, 철학적 유산을 통합하는 것을 의미한다. 윤리 체계로서의 범아프리카주의는 고대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아프리카 문명과 노예 제도, 인종차별, 식민주의, 신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의 산물인 가치를 증진시킨다.[11]

19세기 말, 억압 종식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운동을 통합하려는 대륙 간 친아프리카 정치 운동이 탄생했다. 런던에서는 아프리카의 아들들이라는 정치 단체가 있었는데, 오토바 쿠고아노는 1791년판 저서 ''Thoughts and Sentiments on the Evil of Slavery''에서 이 단체를 언급했다.[17]

현대 범아프리카주의는 20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헨리 실베스터 윌리엄스는 1897년경 아프리카 협회(이후 범아프리카 협회로 개명)를 설립하고, 1900년 런던에서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를 조직했다.[18][19][20]

범아프리카 회의는 1900년 런던에서 열린 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에 이어 1919년 파리(제1차 범아프리카 회의), 1921년 런던(제2차 범아프리카 회의), 1923년 런던(제3차 범아프리카 회의), 1927년 뉴욕시(제4차 범아프리카 회의), 1945년 맨체스터(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에서 개최되었으며, 아프리카의 탈식민화 문제를 제기했다.[21]

1930년대, 남디 아지키웨 박사의 미국, 아크라, 라고스에서의 반식민지 저술은 그를 영국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저명한 범아프리카주의자로 만들었다. 올리버 스탠리 당시 식민지 장관은 아지키위를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고 불렀다. 아지키위는 에드워드 윌못 블라이든, W. E. B. 뒤부아, 마커스 가비와 같은 서인도 제도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뿐만 아니라 J. E. 케이스리 헤이포드와 영국 서아프리카 국민 의회의 동맹국들과 같은 서아프리카인들의 범아프리카 사상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Renascent Africa"에서 앨런 르로이 록이 설명한 신흑인 운동을 모델로 한 "새로운 아프리카"에 대한 모호한 프로그램을 제시했다. 아지키위는 저술 외에도 서아프리카카리브해에서 미국서유럽에 이르는 흑대서양을 중심으로 범아프리카 정치에 지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참여했다.[22]

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는 아프리카 대륙과 디아스포라 출신의 반식민주의 활동가들을 한자리에 모은 중요한 모임이었다. 에이미 애슈우드 가브리엘과 에이미 자크 가브리엘과 같은 여성들은 회의 조직을 돕고 회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3]

1945년 10월, 제5차 범아프리카 회의가 맨체스터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는 유럽과 미국 거주자들뿐만 아니라, 크와메 느크루마와 조모 케냐타 등 아프리카 대륙 출신 참가자들이 대거 참여하여, 이후 범아프리카주의는 아프리카 대륙에 뿌리내리게 되었고 각 식민지의 독립 운동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1957년 3월 가나가 독립하고 크와메 느크루마가 최초의 수상 겸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24] 느크루마는 독립된 아프리카의 통합을 위한 주요 옹호자로 부상했다. 가나 대통령은 "아프리카 대륙 전체의 지역 통합 추구"를 옹호하면서 범아프리카주의에 대한 정치적 활동가적 접근 방식을 구현했다.[25] 이 시기는 "높은 범아프리카 야망의 황금기"를 나타냈다. 아프리카 대륙은 서구 열강으로부터 혁명과 탈식민화를 경험했고, 재생과 연대의 서사는 범아프리카 운동 내에서 추진력을 얻었다.[25]

느크루마의 범아프리카 원칙은 독립된 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의 공통점(즉, 제국주의하의 억압)을 인정하는 연합을 목표로 했다. 느크루마 하의 범아프리카주의는 흑인 아프리카와 관련된 인종적으로 배타적인 운동이라는 가정을 넘어서 지역 통합의 정치적 담론을 채택했다.[26]

1958년 4월, 느크루마는 가나 아크라에서 제1차 범아프리카 인민 회의(AAPC)를 주최했다. 이 회의에는 정치 운동과 주요 정치 지도자들의 대표가 초청되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제외하고 아프리카 대륙의 모든 독립국인 이집트, 에티오피아, 가나, 라이베리아, 리비아, 모로코, 튀니지, 수단이 참석했다.[26] 이 회의는 아랍 국가로 간주되는 국가들과 흑인 아프리카 지역 간의 정치적, 사회적 연합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범아프리카 운동에서 기념비적인 사건이었다. 또한 국가 간의 통일과 반제국주의라는 공통된 아프리카 민족주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프란츠 파농기자이자 독립운동가, 알제리 FLN 당원으로 알제리 대표로 회의에 참석했다.[27]

FLN의 프랑스 식민 통치에 대한 무장 투쟁을 고려하여 회의 참석자들은 식민지 억압하에 있는 국가들의 투쟁을 지지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대륙의 해방"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에 대한 약속을 장려했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대한 식민지 압력에 대한 투쟁이 선언되었고 프랑스 식민 통치에 맞선 알제리의 FLN 투쟁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가 표명되었다.[28] 톰 음보야라는 케냐의 노동조합 지도자이자 반식민주의 활동가도 이 회의에 참석하여 케냐의 독립을 촉구하기 위한 정치 활동의 속도를 높이는 데 영감을 주었다.[29]

1958년 이후, 아크라 회의는 미국과 소련 사이의 비동맹 외교 정책 수립과 국제 관계에 대한 아프리카 국가 간의 통합을 옹호함으로써 세계 무대에서 "아프리카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는 반둥 선언, 유엔 헌장 및 유엔 결정에 대한 충실도를 기반으로 했다.

1959년, 크와메 느크루마, 기니아메드 세쿠 투레 대통령, 라이베리아의 윌리엄 텁먼 대통령은 산니켈리에서 만나 국가 정체성과 자율적인 헌법 구조를 유지하면서 독립된 아프리카 국가들의 통합 달성을 위한 원칙을 제시하는 산니켈리 선언문에 서명했다.[30][31] 이 선언은 범아프리카주의에 대한 수정된 이해와 독립 국가들의 통합을 촉구했다.

1960년, 제2차 범아프리카 인민 회의가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렸다.[32] 범아프리카 인민 기구(AAPO)의 회원 자격은 "알제리 잠정 정부(아직 독립을 쟁취하지 못했기 때문), 카메룬, 기니, 나이지리아, 소말리아, 아랍연합공화국"의 참여로 증가했다.[33] 이 회의는 독립된 아프리카 국가들 사이의 정치 및 경제적 연합을 촉구하는 느크루마의 주장에 대한 동의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운동 내부의 이념적 차이를 강조했다. 1960년 이후의 불일치는 범아프리카 운동 내에서 카사블랑카 진영과 브라자빌 진영이라는 두 개의 경쟁 세력으로 이어졌다.[34]

1962년, 알제리가 프랑스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을 얻었고 아메드 벤 벨라가 대통령직을 맡았다. 벤 벨라는 범아프리카주의와 아프리카 통합을 강력히 옹호했다. FLN의 무장 해방 투쟁 이후, 벤 벨라는 UN에서 연설하고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고 포르투갈 식민주의와 싸우는 아프리카 해방 운동에 대한 군사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하는 독립 아프리카의 역할을 강조했다.[35]

통일된 목소리를 찾기 위해 1963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아프리카 정상 회의에서 32개 아프리카 국가가 모여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를 설립했다. 이 정상 회의에서 OAU 헌장이 만들어졌으며, 자유 투사와 탈식민화를 지원함으로써 회원국의 생활 수준을 높이고 주권을 보호하기 위한 조정된 "노력"을 정의한다.[36] 1963년 정상 회의에서 아프리카 해방 위원회(ALC)가 구성되었다. 알제리의 벤 벨라 대통령은 해방 운동 지원을 옹호하며 즉시 "재정에 1억 프랑을 기부했고 포르투갈과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상품을 보이콧한 최초의 기구 국가 중 하나였다".

1969년, 알제리는 7월 21일 범아프리카 문화 축제를 개최했으며 8일 동안 계속되었다.[37] 이 시기 알제리는 "아프리카와 제3세계의 투쟁의 등불"이었으며,[37] 전 세계의 식민주의에 대한 투쟁에 영감을 주었다. 이 축제에는 흑표범을 포함하여 아프리카 국가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출신의 수천 명이 참석했다. 이는 알제리 혁명의 원칙을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며, 식민주의라는 공통 경험하에서 범아프리카 정체성의 재정의를 상징했다.[37] 이 축제는 아프리카와 제3세계에서 알제리 부메디엔 대통령의 위상을 더욱 강화했다.[37]

1972년 크와메 느크루마 사망 후, 무아마르 카다피가 범아프리카주의 운동 지도자의 역할을 맡았고, 느크루마와 마찬가지로 "아프리카 연합국"의 출현을 위해 아프리카 통합을 가장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사람이 되었다.[38]

우간다에서 열린 1994년 제7차 범아프리카 회의에서야 여성 문제가 구체적으로 다루어졌다. 회의에서 처음으로 여성의 역할과 필요성에 대한 성찰이 요청되었다. 회의에서 어떤 여성 문제를 제기할지를 조직하기 위해 회의 이틀 전에 사전 회의가 열려 여성의 목소리와 우려에 귀 기울일 수 있는 틀을 제공했다. 300명 이상이 참석했으며, 그중 74%가 여성이었다. 이 회의에는 주로 우간다 여성이 참석했으며, 성기 절제와 강간 및 기타 학대 행위로부터 어린 가정부 보호와 같은 여성 문제에 초점을 맞춘 자체 의제를 설정했다.[40] 제7차 범아프리카 회의에 참가한 여성들은 범아프리카 여성 해방 기구를 위한 의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고, 회의 기간 동안 매일 만나 그러한 운동의 물류 문제를 논의했다.

미국에서는 이 용어가 1960년대에서 1970년대 민권 운동 기간 동안 등장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정체성 정치의 이념인 아프로센트리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41]

4. 한계와 극복 노력

범아프리카주의의 목표 실현은 아프리카의 "권력 통합"으로 이어져 "세계 자원의 재분배를 강요하고, 더욱 강렬한 심리적 에너지와 정치적 주장을 불러일으켜…미주 대륙의 사회적, 정치적 (권력) 구조를 불안하게 만들 것"이라고 여겨진다.[15]

범아프리카주의자들은 종종 사회주의 원칙을 지지하고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외부의 정치적, 경제적 개입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다.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의 ''네그리튀드'' 운동과 모부투 세세 세코의 ''오텐티시테'' 관점처럼, 고유한 전통적인 아프리카 문화, 사회, 가치관으로 회귀하려는 노력으로 간주되기도 한다.[71]

범아프리카주의 문헌에서 중요한 주제는 대륙 내 여러 국가 간의 역사적 연관성과 제국주의식민주의에 저항하기 위한 협력의 이점이다.[72]

1960년대 후반, 일부 대학에서는 "범아프리카 연구학과"를 설립했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는 1969년 민권 운동에 대한 직접적인 반응으로 학과를 설립했으며, 시러큐스 대학교는 범아프리카 연구 석사 학위를 제공한다.[74]

4. 1. 독립 이후의 분열

범아프리카주의는 "집단적 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0] 범아프리카주의 지지자들은 연대가 아프리카 대륙이 그 잠재력을 충족하여 모든 국민을 자립적으로 부양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믿는다. 특히, 아프리카 전역의 연합은 전 세계 아프리카 사람들에게 힘을 실어줄 것이다.

독립 당시 크와메 느크루마, 아흐메드 세쿠 투레, 모디보 케이타 등은 아프리카 국가 연합 결성을 추진하는 등 범아프리카주의에 기반한 아프리카 합중국 구상을 지지하였다. 그러나 지도자들 간의 의견 불일치, 각 식민지의 내부 상황 차이, 그리고 분리 독립파 지도자의 다수 존재 등으로 인해 결국 아프리카는 50개 가까운 국가로 분할되었다.

1963년 아프리카 통일에 대해 대립했던 카사블랑카 그룹과 몬로비아 그룹을 중재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에 의해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가 설립된 것은 범아프리카주의의 승리였지만, 각국의 협조는 미흡했고 각국은 각자 고난의 길을 걷고 있어 범아프리카주의의 이상에는 아직 멀었다. 하지만 2002년 OAU의 해산과 함께 아프리카 연합(AU)이 설립되는 등 범아프리카주의는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4. 2.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와 아프리카 연합(AU)

1963년 아프리카 통일에 대해 대립했던 카사블랑카 그룹과 몬로비아 그룹을 중재한 에티오피아의 하일레 셀라시에 1세에 의해 아프리카 통일 기구(Organisation de l'unité africaine, OAU)가 설립된 것은 범아프리카주의의 승리였다. 그러나 각국의 협조는 미흡했고 각국은 각자 고난의 길을 걷고 있어 범아프리카주의의 이상에는 아직 멀었다. 하지만 2002년 OAU의 해산과 함께 아프리카 연합(Union africaine, AU)이 설립되는 등 범아프리카주의는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4. 3. 범아프리카주의에 대한 비판

범아프리카주의는 "집단적 자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10] 그러나 비평가들은 이 이념이 아프리카계 사람들의 경험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획일화한다고 지적한다.[15] 또한, 아프리카 대륙 내 국가들과 디아스포라 공동체 간의 বিদ্যমান한 분열을 극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비판한다.[15]

범아프리카주의는 아프리카의 교육받은 부르주아 엘리트 중심의 운동으로, 일반 아프리카인들의 이익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 케냐의 좌파 언론인 필립 오치엥은 1971년에 "대중들이 그 운동에 대해 알든 모르든 상관없이, 범아프리카주의는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계급의 운동이었다"라고 비판했다.[80]

크와메 느크루마는 "전 아프리카 대륙을 지배하려는 유일한 야망을 가진 과대망상증 환자"라는 의심을 받았다.[81] 새롭게 독립한 아프리카 국가들은 느크루마의 정치적 통합 아프리카 구상을 자국의 주권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여 반대했다.[82] 특히 펠릭스 우푸에-보뉘 코트디부아르 대통령은 느크루마의 강력한 반대자였으며, 두 사람은 갈등 관계에 있었다.

아프리카 통일 기구와 같은 범아프리카주의 단체들은 줄리어스 니에레레 탄자니아 대통령 등으로부터 아프리카인의 권리를 보호하지 않는 "독재자들의 위원회"라는 비난을 받았다.[1] 이디 아민, 로버트 무가베, 무아마르 카다피 등 아프리카 통일 기구와 아프리카 연합 의장을 역임한 지도자들은 범아프리카주의적 수사를 통해 권력을 정당화하면서도 심각한 인권 침해 혐의를 받았다. 탄디카 므칸다위레 말라위 경제학자는 "범아프리카주의와 아프리카 지역 조정의 가장 큰 약점 중 하나는 아프리카인들을 스스로 만든 폭군으로부터 보호하지 못했다는 점이다"라고 지적했다.[83]

범아프리카주의는 식민지 이후 아프리카가 직면한 현대적인 문제와는 무관하며 "과거에 갇혀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84] 또한, 복잡한 민족, 종교적 차이와 갈등을 간과하고 표면적인 "아프리카" 또는 "흑인" 정체성에만 지나치게 집중하며, 식민주의와 같은 "공통의 적"을 설정하여 이념의 관련성과 정당성을 유지하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된다.[85]

5. 21세기 범아프리카주의

21세기에도 범아프리카주의는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아프리카 연합(AU) 설립 등에서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디지털 혁명 이후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는 아프리카인들 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범아프리카주의 원칙의 성장을 촉진했다.[57] 2015년 보츠와나 작가 시얀다 모후트시와(Siyanda Mohutsiwa)가 제안한 #IfAfricaWasABar 해시태그는 아프리카인들이 상호 작용에 대한 비전을 공유하게 했다.[60] 힙합은 전 세계 흑인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힘으로 부상했으며, 범아프리카적 사고방식의 산물로 묘사된다.[104]

1963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현재의 아프리카 연합) 설립에 범아프리카 사상이 영향을 미쳤다.[15] 아프리카 연합은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 지역(AfCFTA) 출범으로 장기적인 경제 성장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GDP가 2.5조달러가 넘는 대륙 전역의 국가들을 연결한다.[64] 또한, 유럽 연합과 유사하게 아프리카 연합 국가 거주민이 대륙 전역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유 이동 정책을 제안했다.[66]

탄자니아 우지지의 벽화

5. 1. 소셜 미디어와 범아프리카주의

디지털 혁명 이후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는 아프리카인들 간의 연결을 강화하여 범아프리카주의 원칙의 성장을 촉진했다.[57] 아프리카 인구의 약 43%가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며, 페이스북(Facebook), 트위터(Twitter), 유튜브(YouTube)가 가장 인기 있는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이다.[58][59]

트위터는 이러한 활동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2015년 보츠와나의 작가 시얀다 모후트시와(Siyanda Mohutsiwa)가 제안한 #IfAfricaWasABar 해시태그는 아프리카인들이 상호 작용에 대한 비전을 공유할 수 있게 했다.[60] 나이지리아의 아티스트 부르나 보이(Burna boy)는 범아프리카주의를 지도 철학으로 삼고 아프리카를 모계 대륙이자 인류의 발상지로 보며,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와의 다리를 다시 놓는 것을 믿고 있다.[61]

디지털 미디어는 교육 부문에도 영향을 미쳤다. 범아프리카주의 단체들은 인터넷을 통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학습 결과를 개선하려 노력했다. 우봉고는 '아킬 앤 미(Akil and Me)'와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아프리카 청소년의 읽기 능력 향상을 돕고 있으며, 탄자니아(Tanzania)의 연구에서는 우봉고 콘텐츠와 어린이 수학 능력 향상 간의 연관성이 발견되었다.[62][63]

힙합은 전 세계 흑인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힘으로 부상했다. 힙합 문화는 범아프리카적 사고방식의 산물로 묘사되며, 전 세계 아프리카계 사람들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한다. 힙합은 흑인 정체성을 인증하는 통로가 되어 범아프리카주의의 통합적인 힘을 만들어낸다. 21세기에는 힙합 문화가 아프리카 대륙 전역의 다양한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예를 들어, 세네갈의 Y'en a Marre는 힙합 아티스트들을 중심으로 2012년 압둘라예 와데 전 대통령을 실각시키는 데 기여했다.[104]

5. 2. 아프리카 연합(AU)의 역할

범아프리카 사상은 1963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현재의 아프리카 연합) 설립에 영향을 미쳤다.[15] 21세기에 아프리카 연합이 아프리카 대륙을 위해 설정한 가장 큰 목표 중 하나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 개선이었다. 특히 아프리카 대륙 자유무역 지역(AfCFTA) 출범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 조치가 취해졌다. 이 자유무역 지역은 GDP가 2.5조달러가 넘는 대륙 전역의 국가들을 연결한다.[64] COVID-19의 출현으로 시행이 지연되었지만, 장기적으로 아프리카 연합은 이 협정이 산업화를 촉진하고 무역을 크게 증진시키며 대륙 전역의 경제 통합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65]

아프리카 연합은 대륙 내 이동과 관련된 정책 변경도 추진해 왔다. 유럽 연합의 현행 협정과 유사하게, 아프리카 연합은 연합 국가 거주민이 대륙 전역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다른 국가에서 경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유 이동 정책을 제안했다.[66] 대다수 국가가 공식적으로 이 협정에 서명하지 않았고, 성공 가능성에 대해 비판적인 국가들도 있지만, 아프리카 연합은 이 정책을 대륙 전역의 연대와 통합이라는 목표를 향한 중요한 진전으로 계속 보고 있다.[66][67]

세계화와 연결성 증대의 시대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연합의 대륙 전역 연대 목표를 약화시키는 과제들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들 중 상당수는 수십 년 동안 지속되어 왔으며, 일관성 없는 조약 이행, 비효율적인 거버넌스, 외국 경제 강대국의 지속적인 개입 등이 포함된다.[65] 미국, 영국, 프랑스의 영향력은 여전히 남아 있으며, 중국과 같은 새로운 국가들이 정치적, 경제적으로 아프리카 대륙에 점점 더 개입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이 시대를 "아프리카에 대한 새로운 쟁탈전"이라고 부른다.[65]

1963년 아프리카 통일에 대해 대립했던 카사블랑카 그룹과 몬로비아 그룹을 중재한 하일레 셀라시에 1세에 의해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가 설립된 것은 범아프리카주의의 승리였지만, 각국의 협조는 미흡했고 각국은 각자 고난의 길을 걷고 있어 범아프리카주의의 이상과는 아직 거리가 멀다. 하지만 2002년 OAU의 해산과 함께 아프리카 연합(AU)이 설립되는 등 범아프리카주의는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5. 3. 주요 범아프리카주의자

범아프리카주의는 "집단적 자립"의 필요성을 강조한다.[10] 범아프리카주의는 정부 차원과 민중 차원의 목표로 존재한다. 범아프리카주의 지지자로는 투생 루베르튀르, 장 자크 데살랭, 앙리 크리스토프, 프랑수아 뒤발리에, 에메 세제르, 하일레 셀라시에 1세, 조모 케냐타, 에드워드 윌못 블라이든, 남디 아지키웨, 파트리스 루뭄바, 줄리어스 니에레레, 로버트 소부크웨, 아흐메드 세쿠 투레, 크와메 느크루마, 소부자 2세 국왕, 로버트 무가베, 토마스 상카라, 크와메 투레, 존 폼베 마구풀리 박사, 무아마르 카다피, 월터 로드니, 요웨리 카구타 무세베니, 조셉 로버트 러브와 같은 민중 운동가, 마커스 가비, 말콤 X와 같은 민권 운동가, W. E. B. 두 보이스, 앙테노르 피르맹 등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의 학자 등이 포함된다.[11][12][13][14]

1930년대 미국, 아크라, 라고스에서 반식민지 저술을 한 Nnamdi Azikiwe 박사는 영국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저명한 범아프리카주의자로 알려졌다. 당시 식민지 장관은 그를 "가장 위험한 인물"이라고 불렀다. 그는 서인도 제도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에드워드 윌못 블라이든, W.E.B. 뒤부아, 마커스 가브리엘과 영국 서아프리카 국민 의회의 동맹국들과 같은 서아프리카인들의 범아프리카 사상에서 영감을 얻었다.

가나의 독립과 함께 크와메 느크루마는 범아프리카주의의 주요 옹호자로 부상했다. 케냐의 노동조합 지도자이자 반식민주의 활동가인 톰 음보야도 범아프리카주의 운동에 참여하였다.

알제리가 프랑스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을 얻은 뒤 아메드 벤 벨라는 범아프리카주의와 아프리카 통합을 강력히 옹호했다.

크와메 느크루마 사망 후, 무아마르 카다피가 범아프리카주의 운동 지도자의 역할을 맡았다.

미국에서는 아프로센트리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41]

클레노라 허드슨-윔스는 흑인 여성의 업적과 성과에 특별히 초점을 맞춘 아프리카나 우먼니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반식민지, 반제국주의적 범아프리카주의 단체에 깊이 관여한 에이미 자크 가비(Amy Jacques Garvey)와 마르크스-레닌주의 철학을 범아프리카주의에 통합한 클라우디아 존스(Claudia Jones)가 있다.[42]

미국에서는 오들리 무어(Audley Moore)와 다라 아부바카리가 범아프리카 사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앨리스 빅토리아 알렉산더 킨로크는 헨리 실베스터 윌리엄스(Henry Sylvester Williams)와 토마스 J. 톰슨과 함께 아프리카 협회를 공동 설립하였다. T셰포 무블라네 몰로이 박사는 킨로크를 "범아프리카주의의 창립 어머니"라고 부른다.[46]

잔 마르탱 시세(Jeanne Martin Cissé)는 기니의 독립과 아프리카 여성의 권리를 식민지 논쟁의 최전선으로 가져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펀밀라요 랜섬-쿠티(Funmilayo Ransome-Kuti)(FRK)는 아베오쿠타 여성 연합을 결성하여 여성 권리 운동을 하였다.

로버트 소부크웨가 이끄는 범아프리카주의 회의는 아프리카인들의 억압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다른 범아프리카주의 단체로는 마커스 가비의 유니버설 니그로 개량 협회 및 아프리카 공동체 연맹, 트랜스아프리카, 그리고 국제 인민 민주 우후루 운동이 있다.[70]

모부투 세세 세코의 ''오텐티시테''관점이 있다.[71]

시러큐스 대학교는 범아프리카 연구 석사 학위를 제공한다.[74]

아프리카 문제 연구회(CAA)는 맥스 예르간과 폴 로브슨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범아프리카주의에 대한 관련 정보와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 최초의 주요 미국 단체였다.

미국 단체는 마울라나 카렝가에 의해 설립되었다.

트랜스아프리카는 랜달 로빈슨에 의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아프리카 디아스포라 집단에 정치적,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92]

참조

[1] 논문 All Roads Led to Montreal: Black Power, the Caribbean and the Black Radical Tradition in Canada 2007-09-01
[2] 논문 Pan Africanism, Myth and History in African and Caribbean Drama https://www.questia.[...] 2012-12-01
[3] 서적 Pan Africanism: Politics, Economy and Social Change in the Twenty-first Century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6
[4] 서적 History: Learner's Book https://books.google[...] New Africa Books 2006
[5] 웹사이트 Pan-Africanism http://exhibitions.n[...]
[6] 서적 New Dictionary of the History of Ideas The Gale Group
[7] 논문 Internationalists, sovereigntists, nativists: Contending visions of world order in Pan-Africanism 2020-01-01
[8] 웹사이트 AU in a Nutshell http://www.au.int/en[...]
[9] 웹사이트 Pan-Africanism https://www.britanni[...] 2020-05-24
[10] 웹사이트 The objectives of the PAP http://www.pan-afric[...]
[11] 서적 Pan-Africanism, and the Politics of African Citizenship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9-26
[12] 서적 Anti-Imperial Metropolis http://www.cambridge[...]
[13] 뉴스 Ghana re-evaluates Nkrumah http://www.globalpos[...] 2009-10-21
[14] 논문 Pan-Africanism: A Brief History of An Idea in the African World Editions Présence Africaine 1988
[15] 서적 African Philosophy and Thought Systems: A Search for a Culture and Philosophy of Belonging https://books.google[...] Langaa RPCIG 2016
[16] 웹사이트 Pan-Africanism http://exhibitions.n[...] 2017-02-16
[17] 웹사이트 First-hand accounts from slavers - The abolitionist campaigns - National 5 History Revision https://www.bbc.co.u[...] 2022-12-27
[18] 뉴스 The History of Pan-Africanism http://www.newint.or[...] 2000-08-05
[1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an Africanism http://www.padeap.ne[...]
[20] 서적 The Contingencies of Pan-African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4
[21] 서적 From the Sixth Pan-African Congress to the Free South Africa Movement http://www.noeasyvic[...] Africa World Press 2007
[22] 논문 A gilded cage? Nnamdi Azikiwe's Pan-Africanism as governor-general of Nigeria, 1960–63 https://uwe-reposito[...] 2021-03-01
[23] 논문 Women, Gender Politics and Pan-Africanism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 뉴스 Biography of Ghana's first President, Dr Kwame Nkrumah http://www.graphic.c[...] 2016-03-08
[25] 서적 African Intellectuals: Rethinking Politics, Language, Gender and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Codesria/London: Zed Books 2005
[26] 서적 Pan-Africanism: a short political guide Frederick A. Praeger 1965
[27] 서적 Pan-African History: Political Figures from Africa and the Diaspora Since 1787 Routledge 2003
[28] 서적 Pan-Africanism 1965
[29] 서적 The Politics of The Independence of Kenya Palgrave MacMillan 1999
[30] 서적 Pan-African History 2003
[31] 서적 Pan-Africanism 1965
[32] 서적 Pan-Africanism 1965
[33] 서적 Pan-Africanism 1965
[34] 서적 African Political Thought Palgrave Macmillan 2012
[35] 서적 Pan-African History 2003
[36] 뉴스 African states unite against the white rule http://news.bbc.co.u[...] BBC News 2017-03-23
[37] 서적 Algeria: Anger of the Dispossesse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8
[38] 서적 African Political Thought Springer 2012
[39] 서적 Postcolonialism: An Historical Introduction Blackwell Publishing Ltd 2001
[40] 학술지 Pan-African Women Organising for the Future: The Formation of the Pan-African Women's Liberation Organisation and Beyond
[41] 서적 Pan Africanism in the African Diaspora: An Analysis of Modern Afrocentric Political Movement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997
[42] 웹사이트 Pan-Africanism, feminism, and finding missing Pan-Africanist women https://www.pambazuk[...] 2016-05-26
[43] 학술지 Mothers of Pan-Africanism: Audley Moore and Dara Abubakari https://www.jstor.or[...] 2021-11-15
[44] 학술지 Caribbean Women and Pan-Africanism 1996
[45] 학술지 Significant Black South Africans in Britain before 1921: Pan-African Organisations and the Emergence of South Africa's First Black Lawyers https://www.tandfonl[...] 2021-11-15
[46] 학술지 Book Review -The Pan African Pantheon: Prophets, Poets and Philosophers Edited by Adekeye Adebajo https://mayihlomenew[...] 2021-11-16
[47] 학술지 Family Problems in Africa https://heinonline.o[...] 2021-11-16
[48] 학술지 Emotional Diplomacy and Human Rights at the United Nations https://www.corteidh[...] 2021-11-16
[49] 학술지 Family Problems in Africa https://heinonline.o[...] 2021-11-18
[50] 학술지 Femmes, Pouvoir et Prise de Décision En Afrique Au Sud Du Sahara https://www.jstor.or[...] 2021-11-16
[51] 학술지 Fela's Foundation: Examining the Revolutionary Songs of Funmilayo Ransome-Kuti and the Abeokuta Market Women's Movement in 1940s Western Nigeria https://www.jstor.or[...] 2021-11-16
[52] 학술지 Fela's Foundation: Examining the Revolutionary Songs of Funmilayo Ransome-Kuti and the Abeokuta Market Women's Movement in 1940s Western Nigeria https://www.jstor.or[...] 2021-11-16
[53] 학술지 Igbo Wome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Nigeria, 1800s-2005 https://www.jstor.or[...] 2021-11-16
[54] 학술지 'For their freedoms': The anti-imperialist and international feminist activity of Funmilayo Ransome-Kuti of Nigeria https://www.scienced[...] 2021-11-16
[55] 학술지 'For their freedoms': The anti-imperialist and international feminist activity of Funmilayo Ransome-Kuti of Nigeria https://www.scienced[...] 2021-11-16
[56] 학술지 'For their freedoms': The anti-imperialist and international feminist activity of Funmilayo Ransome-Kuti of Nigeria https://www.scienced[...] 2021-11-15
[57] 학술지 Charles Quist-Adade and Wendy Royal, eds., Re-engaging the African Diasporas: Pan-Africanism in the Age of Globalization . Newcastle upon Tyne: Cambridge Scholars, 2016. Pp. 377. $74.00 (cloth). 2019-01-01
[58] 웹사이트 Africa: internet penetration 2021 https://www.statista[...] 2022-04-27
[59] 웹사이트 A social media boom begins in Africa https://www.un.org/a[...] 2022-04-27
[60] 학술지 Pan-Africanism as a laughing matter: (Funny) expressions of African identity on Twitter 2019-06-01
[61] 웹사이트 Burna Boy: The Afropolitan troubadour https://guardian.ng/[...] 2023-12-16
[62] 뉴스 Ubongo Launches Words and Sounds with Akili to Promote Pan-African Early Literacy Ventures Africa 2022-03-05
[63] 학술지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television and mathematics capability in Tanzania 2021-03-01
[64] 웹사이트 Africa for Africans: A Lost Promise? https://egyptianstre[...] 2022-04-27
[65] 학술지 Pan-Africanism in the 21st century: African union and the challenges of cooperation and integration in Africa 2021-11-30
[66] 뉴스 Many more Africans are migrating within Africa than to Europe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22-04-27
[67] 학술지 African Union Migration Policies: A Route to African Unity? 2019-08-13
[68] 학술지 Edward Wilmot Blyden and Panafricanism: The Ideological Roots of Islam and Black Nationalism in the United States https://doi.org/10.1[...] 1997
[69] 학술지 Sculpting a Pan-African Culture in the Art of Négritude: A Model for African Artist http://www.jpanafric[...] 2006-12-01
[70] 서적 Pan Africanism, region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in Africa Palgrave Macmillan 2020
[71] SSRN Post-Neo-Functionalism, Pan-Africanism and Regional Integration in Africa: Prospects and Challenges of the Proposed Tripartite Free Trade Area (T-FTA) 2015-07-03
[72] book Pan Africanism, region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in Africa Palgrave Macmillan 2020
[73] 웹사이트 About Us https://web.archive.[...] Csus.edu 2015-10-15
[74] 웹사이트 The M.A. in Pan African Studies http://aas.syr.edu/g[...]
[75] 웹사이트 The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Negro Peoples of the World http://en.wikisource[...] 2007-10-06
[76] 뉴스 25,000 NEGROES CONVENE.; International Gathering Will Prepare Own Bill of Rights. https://www.nytimes.[...] 1920-08-02
[77] 뉴스 NEGROES ADOPT BILL OF RIGHTS: Convention Approves Plan for African Republic and Sets to Work on Preparation of Constitution of the Colored Race Negro Complaints Aggression Condemned Recognition Demanded 1920-08-17
[78] 웹사이트 What Are The Pan-African Colors? https://www.worldatl[...] 2018-08-23
[79] book Flag Lore of All Nations https://archive.org/[...] Millbrook Press 2001
[80] book We are an African people : independent education, black power, and the radical imagination 2016
[81] book Kwame Nkrumah and Félix Houphouët-Boigny : divergent perspectives on African independence and unity 2019
[82] journal Kwame Nkrumah and the Panafrican Vision: Between Acceptance and Rebuttal 2016-10-27
[83] book Nationalism and national projects in Southern Africa : new critical reflections 2013
[84] journal Pan-Africanism and the Politics of History 2013-09
[85] journal Pan – Africanism and the rising ethnic distrust in Nigeria: An assessment https://www.iannajou[...] 2019-10-10
[86] 웹사이트 Pan African Women's Organization | UIA Yearbook Profile | Union of International Associations https://uia.org/s/or[...]
[87] book Pan-Africanism in Barbados: An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the Major 20th-century Pan-African Formations in Barbados https://books.google[...] New Academia Publishing, LLC
[88] 웹사이트 Pan African Women Association https://www.pawa.no/
[89] book Paul Robeson
[90] 웹사이트 Council on African Affairs http://africanactivi[...]
[91] 웹사이트 Philosophy, Principles, and Program http://www.us-organi[...]
[92] 웹사이트 TransAfrica https://africanactiv[...] African Activist Archive
[93] 웹사이트 Transafrica Forum (1977-) https://www.blackpas[...] 2009-12-18
[94] 웹사이트 What African Holocaust? - Opinion https://archive.toda[...]
[95] 웹사이트 The MAAFA (African Holocaust) http://www.swagga.co[...] 2007-02-08
[96] journal African American Folklore: Its Role in Reconstructing African American History https://www.jstor.or[...]
[97] 웹사이트 Francis Okechukwu Ohanyido http://www.africares[...] African Resource 2006-10-07
[98] 웹사이트 Pan-Africanism https://africancolle[...] 2023-10-31
[99] 웹사이트 Kawaida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100] 웹사이트 A Kawaida Rightful Reading of History: Culture, Consciousness and Struggle https://lasentinel.n[...] 2019-07-18
[101] book Hip-hop Turns 30: Whatcha Celebratin' For? 2005-01-04
[102] journal Keepin' it Real: Black Youth, Hip-Hop Culture, and Black Identity
[103] 웹사이트 Pan-Africanism in the 21st Century, Challenges and Prospects - Part 1 of 10 https://www.youtube.[...] 2016-03-12
[104] journal The New Type of Senegalese under construction: Fadel Barro and Aliou Sane on Yenamarrisme after Wade 2014-03-01
[105] 웹사이트 'Les Afriques': le nouveau journal de la finance africaine https://www.afrik.co[...] 2007-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