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자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자마는 줄리어스 니에레레가 탄자니아 개발 계획의 근간으로 삼은 사회주의 이념이다. 니에레레는 민주집중제, 차별 철폐, 경제 핵심 요소의 국유화를 통한 사회, 경제, 정치적 평등을 우자마로 정의했다. 우자마는 유아 사망률 감소, 기대 수명 증가, 취학률 및 문해율 증가 등 사회 개발에 기여했으나, 경제 성장 역량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생산을 감소시켰다. 또한, 저항 세력 억압, 국영화, 관료주의, 강제 이주 정책 등 정치적, 경제적 문제점과 생태적 영향을 야기했다. 우자마는 탄자니아 힙합 음악과 아프리카계 미국인 기숙사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리어스 니에레레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은 1977년 탕가니카 아프리카 국민연합과 아프로시라지당의 합당으로 창당되어 1992년까지 일당 독재 체제를 유지했으며, 다당제 도입 후에도 탄자니아 정치를 주도하면서 초기 아프리카 사회주의를 표방했으나 현재는 혼합 경제적 접근과 평화 공존 외교를 추진하고 있다. - 스와힐리어 낱말 - 사파리
사파리는 동물원, 웹 브라우저, 미디어 콘텐츠, 핵 연구, 정보 기관, 축구 선수, 잠수함, 군사 부대, 랠리 대회, 살충제, 완구 회사, 필기구 시리즈, 밴드 명칭, 데이터베이스 제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 스와힐리어 낱말 - 하쿠나 마타타
하쿠나 마타타는 스와힐리어로 "문제 없다"라는 뜻으로, 1982년 노래 "잠보 브와나"와 1994년 영화 《라이온 킹》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나, 상표권 등록 이후 문화 전유 논란과 상업적 이용에 대한 비판이 있다.
| 우자마 | |
|---|---|
| 개요 | |
![]() | |
| 주요 인물 | 줄리어스 니에레레 |
| 관련 국가 | 탄자니아 |
| 이념적 기반 | 아프리카 사회주의 |
| 주요 목표 | 자립, 평등, 공동체 정신 |
| 관련 정책 | 집단화 (Villagization) |
| 어원 및 의미 | |
| 어원 | 스와힐리어 |
| 로마자 표기 | Ujamaa |
| 의미 | 가족애, 친족 관계, 형제애 |
| 핵심 가치 | 상호 존중, 공동 노동, 공동 재산 |
| 역사적 맥락 | |
| 배경 | 탄자니아 독립 이후 국가 건설 과정 |
| 주창 시기 | 1960년대 초 |
| 관련 문서 | 아루샤 선언 (1967년) |
| 주요 내용 | 사회주의적 자립 추구, 농촌 개발 강조 |
| 주요 내용 및 특징 | |
| 농촌 개발 | 우자마 마을 건설을 통한 공동체 생활 장려 |
| 교육 정책 | 실용적인 기술 교육 강조, 자립 정신 함양 |
| 경제 정책 | 국유화, 협동조합 활성화, 자력 갱생 추구 |
| 사회 정책 | 평등 사회 건설, 사회 복지 확대 |
| 영향 및 평가 | |
| 긍정적 영향 | 교육 및 의료 접근성 향상, 민족 통합 강화 |
| 부정적 영향 | 경제 성장 둔화, 강제 이주, 생산성 저하 |
| 비판 | 계획 경제의 비효율성, 개인의 자유 침해 |
| 현재적 의의 |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대표적인 사례, 개발 모델에 대한 논쟁 촉발 |
| 관련 인물 | |
| 주요 인물 | 줄리어스 니에레레 (탄자니아 초대 대통령) |
| 기타 관련 인물 | 아미르 자말, 오스카 캄보나 |
| 참고 문헌 | |
| 주요 저서 | 니에레레, 『자유와 사회주의』 니에레레, 『자유와 단결』 |
| 관련 연구 | Delehanty, Sean. "From Modernization to Villagization: The World Bank and Ujamaa." Diplomatic History 44.2 (2020): 289–314. Julius Nyerere, African socialist (2005) |
| 관련 개념 | |
| 관련 개념 | 아프리카 사회주의, 집단화, 자립 |
2. 이념과 실행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우자마를 탄자니아 개발 계획의 근간으로 삼아 사회, 경제, 정치적 평등을 제도화하고자 했다. 그러나 우자마 정책은 경제 성장을 위한 역량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며 생산량을 감소시켰고, 정치적 억압을 가져왔다는 비판도 있다. 니에레레는 독립 1년이 안 되어 저항 세력 분쇄를 위해 선제적 구금법을 도입했다.[6]
2. 1. 우자마의 개념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우자마를 탄자니아 개발 계획의 기초로 삼았다. 그는 우자마를 다음과 같은 개념으로 해석했다.[3]니에레레의 통치 아래 탄자니아는 사회 개발의 핵심 부분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고, 그의 정치적 이념은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예를 들어,[4]
- 유아사망률은 1965년 1천 명당 138명에서 1985년 110명으로 낮아졌다.
- 기대 수명은 1960년 37세에서 1984년 52세로 올랐다.
- 취학률은 급격한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1960년 25%(여성 취학률은 16%)에서 1985년 72%(여성 취학률은 85%)로 올랐다.
- 성인 문해율은 1960년 17%에서 1975년 63%로 올랐다.
그러나 우자마는 경제 성장을 위한 역량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며 생산량을 감소시켰다.[5] 1967년 국영화로 인해 탄자니아 정부는 탄자니아 최대의 고용주가 되었다. 세계은행 연구자들에 따르면, 구매력은 감소했고 고세율과 관료주의로 인해 사업가들이 책임 회피, 뇌물, 부패에 의존하는 환경이 조성되었다.[7] 1973년 집단 농장 촉진을 위한 강제 이동 정책이 비지지 작전이라는 이름 하에 추구됐다.[8]
2. 2. 사회 개발 성과
니에레레 통치 기간 탄자니아는 사회 개발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유아 사망률은 1965년 1,000명당 138명에서 1985년 110명으로 감소했고, 기대 수명은 1960년 37세에서 1984년 52세로 증가했다.[4] 취학률은 1960년 25%(여성 16%)에서 1985년 72%(여성 85%)로 크게 증가했으며, 성인 문해율 역시 1960년 17%에서 1975년 63%로 급증했다.[4] 이러한 성과는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았으며, 윤리적 원칙을 강조한 니에레레의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존경을 받았다.[4]2. 3. 경제적 문제점
우자마 정책은 생산성 감소와 경제 성장 역량 저하를 가져왔다는 비판을 받았다.[5] 1967년 국유화로 탄자니아 정부는 최대 고용주가 되었으나, 구매력은 감소했다.[7] 세계은행 연구자들에 따르면, 고세율과 관료주의는 사업가들이 탈세, 뇌물, 부패에 의존하는 환경을 조성했다.[7] 1973년에는 집단 농장 촉진을 위해 '비지지 작전'이라는 강제 이주 정책이 시행되었으나, 이는 오히려 역효과를 낳았다.[8]2. 4. 정치적 억압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독립 직후 반대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예방 구금법을 도입했다.[6] 1967년 국유화 정책으로 탄자니아 정부는 국내 최대 고용주가 되었으나, 구매력은 감소했다.[7] 세계은행 연구자들에 따르면, 높은 세금과 관료주의는 사업가들이 탈세, 뇌물 수수 및 부패에 의존하는 환경을 조성했다.[7] 1973년에는 비지지 작전 하에 집단 농업을 장려하기 위한 강제적인 집촌화 정책이 추진되었다.[8]3. 독립 탄자니아의 정치 구조
1961년 독립 이후 탄자니아는 식민지 시대의 유산을 극복하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했다. 영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연맹에 따라 현대 탄자니아의 본토 부분을 위임 통치령(구 독일 식민지)으로 유지했다. 본토는 탕가니카로 알려졌으며, 1964년 독립 이후 자치 섬 잔지바르(당시에는 대영 제국의 보호령)와 통합되어 현대 탄자니아를 형성했다. 식민 행정 기간 동안 풀뿌리 행정은 현지 촌장 또는 부족장("줌베" 시스템)의 통제를 받는 "토착 법원"에 위임되었다. 1960년경부터 많은 토착 대표 지도자 조직이 이 지역의 행정적 의무를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지역화된 형태의 정부 권력은 마을 대표의 출석률을 향상시켰으며, 실제로 이 기간 동안 마을 대표의 출석률과 월간 회의 참석률이 75%까지 증가했다.[9]
1961년 12월 9일 영국 통치로부터 독립한 후, 주권 국가인 탕가니카가 창설되었고 새로운 정치 질서가 필요했다(이후 1964년 잔지바르와 통합되어 현대 탄자니아를 형성).
3. 1.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 (TANU)
줄리어스 니에레레가 이끌었던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은 주로 농촌 주민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성장하였다.[10] TANU는 마을 조직의 정치 구조를 만들어 정치적 대표성을 지역화하였고, 이를 통해 5년 만에 당 지지율을 10만 명에서 100만 명으로 늘릴 수 있었다.[10]TANU는 독립할 국가의 노동 계층 인구의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노동 및 농업 협동조합을 당에 통합하였다. 당 지도자들은 "사파리"로 알려진 여행을 통해 지역 마을 지도자(대부분 마을 원로)와 연락을 유지하고 지역 사회의 특정 문제에 대해 논의했다(식민 행정에서 물려받은 관행). 국경이 설정되면, 개인들이 구역을 대표하기 위해 선출되었다. Gerrit Huizer가 제안한 바와 같이, 이 선출된 관리들은 "세포 경계 위원회"로 알려졌다.[11]
3. 2. 지역 사회와의 소통
TANU 지도자들은 "사파리"를 통해 지역 마을 지도자(대부분 마을 원로)와 연락을 유지하고 지역 사회의 문제점을 논의했다. 이는 식민 행정에서 물려받은 관행이었다.[11] 국경이 설정되자, 구역을 대표하기 위해 개인들이 선출되었다. 헤릿 후이저(Gerrit Huizer)가 제안한 것처럼, 이 선출된 관리들은 "세포 경계 위원회"로 알려졌다.[11]4. 아루샤 선언
1967년, 탄자니아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은 아루샤 선언을 통해 우자마 이념을 공식화하고, 국가 발전의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
4. 1. 우자마 이념의 구체화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우자마 개념을 바탕으로 국가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그는 우자마를 다음과 같이 구체화했다.[3]줄리어스 니에레레가 이끌던 탄자니아는 윤리적 원칙을 정책의 기반으로 삼아 국제적인 주목과 존경을 받았다. 니에레레의 통치 아래 탄자니아는 사회 발달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다. 예를 들어, 다음 표와 같다.[4]
| 지표 | 1960년 | 1965년 | 1975년 | 1984년 | 1985년 |
|---|---|---|---|---|---|
| 영아 사망률 (출생아 1,000명당) | 138명 | 110명 | |||
| 출생 시 기대 수명 | 37세 | 52세 | |||
| 초등학교 등록률 (해당 연령 그룹) | 25% (여성 16%) | 72% (여성 85%) | |||
| 성인 문맹률 | 63% | 17% |
하지만 우자마 정책은 생산량 감소를 초래하여 경제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5]
독립 1년 후, 니에레레는 반대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예방 구금법을 도입했다.[6] 1967년 국유화 정책으로 정부는 국내 최대 고용주가 되었다. 그러나 구매력이 감소했고,[7] 높은 세금과 관료주의로 인해 사업가들이 탈세, 뇌물, 부패에 의존하는 환경이 조성되었다는 세계은행 연구원들의 지적도 있었다.[7] 1973년에는 비지지 작전 하에 집단 농업을 장려하기 위한 강제적인 집촌화 정책이 추진되었다.[8]
탄자니아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은 국가가 경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고 믿었다. 이는 모든 시민의 복지를 보장하고, 착취를 방지하며, 계급 없는 사회에 부합하지 않는 부의 축적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12]
4. 2. 자립 경제와 5개년 계획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아루샤 선언에서 자립 경제 구축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두 차례의 '5개년 계획'을 제시했다.[9] 이 계획들은 특히 농촌 지역의 농업 및 산업 생산량 증가와 개발 성과 달성을 목표로 했으며, 그 해결책으로 "우자마 마을" 건설을 추진했다.[9]우자마 이념에 따르면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공동체였고, 개인은 부차적이었다.[13] 또한, 공동 생활의 중요성과 우자마 이념에 부합하는 농업 개발 관련 경제 관행 변화를 장려했다. 우자마는 단순한 국내 사회 프로젝트가 아니라, 아프리카 사회주의가 달성될 수 있고 완전한 자립 경제를 창출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에 증명하는 것이었다.
1967년 국유화 정책으로 정부는 국내 최대 고용주가 되었으나, 구매력은 감소했다.[7] 세계은행 연구원들에 따르면, 높은 세금과 관료주의는 사업가들이 탈세, 뇌물, 부패에 의존하는 환경을 조성했다.[7] 1973년에는 집단 농업을 장려하기 위해 비지지 작전 하에 강제적인 집촌화 정책이 추진되었다.[8]
4. 3. 공동체 의존성
우자마 이념에 따르면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공동체였고, 개인은 부차적인 존재였다.[13] 우자마 이념은 공동 생활과 농업 개발과 관련된 경제 관행의 변화, 그리고 농업 개발을 장려했다. 우자마는 단순한 국내 사회 프로젝트가 아니라, 아프리카 사회주의가 달성될 수 있고 완전한 자립 경제를 창출하는 데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세계에 증명하는 것이었다. 탄자니아가 자립 경제를 갖는 것이 필요했음에도 불구하고, 우자마의 지역 관행은 공동체에 대한 의존을 장려했다.5. 우자마 마을과 탄자니아 마을화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우자마 개념을 통해 중앙 민주주의 창설을 통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평등 제도화, 귀속 신분에 근거한 차별 철폐, 그리고 경제 핵심 부문의 국유화를 추구했다.[3] 그의 지도력은 윤리적 원칙을 강조하여 국제적인 주목과 존경을 받았으며, 탄자니아는 영아 사망률 감소, 기대 수명 증가, 초등학교 등록률 증가, 성인 문맹률 감소 등 사회 발전에 있어 큰 진전을 이루었다.[4] 그러나 우자마는 생산량 감소를 야기하여 경제 성장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5]
독립 직후, 니에레레는 반대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예방 구금법을 도입했다.[6] 1967년 국유화 정책으로 정부는 최대 고용주가 되었으나, 구매력은 감소했고,[7] 높은 세금과 관료주의는 사업가들이 탈세, 뇌물, 부패에 의존하는 환경을 조성했다.[7] 1973년에는 비지지 작전 하에 강제적인 집촌화 정책이 추진되었다.[8]
아루샤 선언에서 제시된 우자마 이데올로기는 제1차 5개년 계획의 핵심 내용이었으며, 탄자니아 남부 루부마 주 손게아 지역에서 시작되었다.[9] 우자마 이념은 공동체를 중시하고, 공동 생활과 농업 개발을 장려했다. 이는 단순한 국내 프로젝트가 아니라, 아프리카 사회주의와 자립 경제의 가능성을 세계에 증명하는 것이었다.
5. 1. 리토와의 성공과 인구 이동
루부마 주 손게아 지역의 리토와는 우자마 마을 건설의 성공적인 사례로, 이 지역에서 대규모 인구 이동을 촉진했다. 인류학자 존 샤오에 따르면, 1973년 9월부터 1975년 6월까지 700만 명 이상, 1975년 6월부터 1976년 말까지 추가로 400만 명이 새로운 정착촌으로 이주하여 우자마 마을 건설에 참여했다.[14]5. 2. 우자마 마을 구조
우자마 마을은 학교와 시청 등 공공시설을 중심으로 주택들이 배치되었고, 그 주변을 공동 농업 농장이 둘러싸는 형태로 건설되었다.[15] 각 가구는 자급자족을 위한 농업 활동을 위해 약 1acre 정도의 개별 경작지를 할당받았다. 그러나 주변 농지는 공동 경작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다.[15]우자마 마을의 구조와 직무 설명은 각 마을의 개발 정도에 따라 달랐다. 농업 기반 시설이 적고 인구가 적은 마을은 사람들 사이에 더 큰 분업이 있었다.[16] 많은 사람들이 협동조합에서 땅을 갈고 주요 작물을 심는 데 시간을 보냈다. 인구가 많은 공동체는 분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더 큰 우자마 마을이 개발되면서 농업 생산량뿐만 아니라 노동 관행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우자마 마을이 점점 더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일을 덜 하려고 했고 종종 초과 근무를 강요받는 처벌을 받았다.[17]
5. 3. 마을 구조와 직무
우자마 마을의 구조와 직무는 각 마을의 발전 정도에 따라 달랐다. 농업 기반 시설이 적고 인구가 적은 초기 마을에서는 분업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6] 많은 사람들이 협동조합에서 땅을 갈고 주요 작물을 심는 데 시간을 보냈다. 그러나 인구가 많은 대규모 우자마 마을은 분업 문제에 직면했으며, 농업 생산량뿐만 아니라 노동 관행에도 문제가 발생했다. 마을이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일을 덜 하려 했고, 종종 초과 근무를 강요받는 처벌을 받기도 했다.[17]탄자니아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은 지역 우자마 마을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TANU는 깨끗한 물 공급, 건축 자재, 물품 자금 등 더 많은 자원을 제공했다. 또한, 선거를 실시하고 더 큰 정당을 위한 대표자를 선출하여 지역 사회와 중앙 정부 간의 소통을 지원했다.[18]
5. 4. 비지지 프로젝트
비지지 프로젝트는 우자마 마을화 과정에서 농업 생산을 중앙집중화하기 위한 전문 농업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우자마 마을의 인구가 250가구 이상을 유지하도록 보장했으며, 농업 단위는 10개의 셀 단위로 나뉘어 공동 생활과 TANU 관계자와의 소통을 쉽게 하였다.[19] 비지지 프로젝트는 도시 형태의 마을을 설계하여, 이전에는 시골 탄자니아에서 볼 수 없었던 주요한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19] 우자마 프로그램은 5개년 계획에서 비지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사회주의적 공동 생활 내에서 농업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비지지 프로젝트의 가장 큰 실패 중 하나는 허위 정보의 생성이었다. TANU 관계자들은 성공 지표를 부풀리기 위해 기존의 우자마 마을을 새로 형성된 마을로 기록하는 경우가 많았다.[20]6. 우자마와 젠더
우자마 사회주의 운동은 탄자니아의 경제 생산 방식뿐만 아니라 가족 역학 관계, 특히 성 역할에 큰 영향을 미쳤다.[19] 탄자니아 시골의 남녀는 가족의 생계 유지를 위해 필요한 수확량과 수입을 얻고자 각자의 농장을 계속 경작했다("특히 캐슈 작물"[22]).
6. 1. 핵가족 지향
우자마 프로젝트는 ''핵가족''이라는 개념을 지지했다.[19]이후 개발된 집촌화 노력 내의 핵가족은 형제애와 공동체 관계보다는 가구에 초점을 맞추어 우자마의 사회주의적 이상 간의 내부적 긴장을 조성했다. 이는 나중에 우자마 마을 내 권력 투쟁의 원인이 되었다.[19]
6. 2. 우모자 와 완와케 와 탄가니카 (UWT)
탄자니아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은 사회 내 여성의 권리와 평등을 대표하는 정부 부서인 우모자 와 완와케 와 탄가니카(UWT)를 만들었다.[19]UWT는 여성이 사회주의 사회에 통합되는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설계되었지만, 이 부서의 관리들은 중요한 TANU 관리들의 아내였고 다소 가부장적인 의제를 추진했다는 것이 분명해졌다.[19] UWT는 탄자니아 여성의 문맹률을 낮추고 여성만을 위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교육 기관은 여성들에게 "더 나은 아내"가 되고 아내로서의 역할에서 사회에 더 기여하는 방법을 가르쳤다.[19] 예를 들어, 이러한 여성 교육 기관에서 "유아 관리 + 영양 및 도시의 건강 문제"[19]와 같은 수업이 가르쳐졌다. UWT가 나중에 여성들에게 구조 개발의 개념을 가르치기 시작했지만, 그들은 여전히 가정 경제학의 영역에서 가르침을 받았다.[21]
6. 3. 농촌 지역 여성의 역할
우자마 사회주의 운동은 탄자니아 내 가족 역학 관계, 특히 성 역할을 변화시켰다. 우자마 프로젝트는 '핵가족' 개념을 지지했다.[19]탄자니아 시골의 남녀는 가족을 위해 생계 유지에 필요한 수확량과 수입을 제공하기 위해 각자의 농장을 계속 경작했다(특히 캐슈 작물[22]).
7. 생태적 영향
우자마 프로젝트는 경제, 정치뿐 아니라 생태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존 샤오(John Shao) 등의 학자들은 우자마의 정치적, 생태적 사업에서 나타나는 모순을 지적했다.[23]
강수량은 토지의 농업적 활용에 중요했으며, 줄리어스 니에레레 대통령과 TANU 정부의 강제 정착 정책은 여러 생태적 문제를 야기했다.
7. 1. 강수량과 농업
강수량은 토지의 농업적 활용 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연간 약 76.20cm~약 101.60cm의 강수량을 보이는 지역은 주요 작물 및 면화와 같은 상업적 생산물 재배에 적합했다.[24] 그러나 약 50.80cm 이하의 토지는 일반적으로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주로 방목에 사용되었다.[24]7. 2. 강제 정착의 영향
줄리어스 니에레레 대통령과 TANU 정부의 강제 정착 정책은 여러 생태적 문제를 야기했다. 강제 정착 기간 동안 TANU는 농업 지원을 위한 인공적인 수단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수확량 단속을 강화했다. 이로 인해 농민들의 생산 의욕이 저하되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토지가 제대로 개발되지 못했다.[25] 토지가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지 못하면서 작물 수확량이 부진해졌을 뿐만 아니라, 생물 다양성도 감소하는 결과를 초래했다.[25]8. 우자마 프로젝트의 쇠퇴와 종말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우자마 개념을 중앙 민주주의 창설을 통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평등의 제도화, 귀속 신분에 근거한 차별 철폐, 그리고 경제 핵심 부문의 국유화로 구체화했다.[3]
니에레레의 탄자니아 지도력은 윤리적 원칙을 강조하여 국제적인 주목과 존경을 받았다. 그의 통치 하에 탄자니아는 영아 사망률 감소, 기대 수명 증가, 초등학교 등록률 증가, 성인 문맹률 감소 등 사회 발달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다.[4] 그러나 우자마는 생산량 감소를 초래하여 경제 성장 능력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5]
독립 1년 만에 니에레레는 반대 세력을 억압하기 위해 예방 구금법을 도입했다.[6] 1967년 국유화 정책으로 정부는 최대 고용주가 되었지만, 구매력은 감소했다.[7] 세계은행 연구원들에 따르면, 높은 세금과 관료주의는 사업가들이 탈세, 뇌물, 부패에 의존하게 만들었다.[7] 1973년에는 집단 농업을 장려하기 위해 비지지 작전 하에 강제적인 집촌화 정책이 추진되었다.[8] 우자마 프로그램 붕괴의 내부 요인으로는, 1970년대 공동 농장에서 나오는 개인 자본 부족으로 인한 자작농들의 공동 생활 반발이 있었고, 이로 인해 니에레레 대통령은 강제 이주를 명령했다.[26]
8. 1. 대중의 저항
1970년대에는 공동 농장에서 나오는 개인 자본이 부족했기 때문에, 자작농들은 자신의 농장을 떠나 공동 생활로 이동하는 것에 저항했다. 이로 인해 줄리어스 니에레레 대통령은 우자마 마을로의 강제 이주를 명령했다.[26]9. 대중문화 속의 우자마
탄자니아의 힙합 음악은 우자마의 핵심 사상과 주제에 큰 영향을 받았다.[27] 또한 코넬 대학교와 스탠포드 대학교에는 우자마의 이름을 딴 아프리카계 미국인 테마 학부 기숙사가 있다.[29]
9. 1. 힙합 음악의 우자마 정신
세기 전환기에 우자마 원칙은 "뜻밖의 출처, 즉 탄자니아 거리의 래퍼와 힙합 아티스트"를 통해 부활했다.[27] 은퇴 이후 수년간 부패한 정부 지도자와 정치인에 대한 반응으로, 단결, 가족, 평등의 주제가 대부분의 음악에서 메시지로 전달되었다. 이는 노동 계급 억압에 대한 대응이자 일종의 저항이었다.[27] 협동 경제 원칙, 즉 "지역 주민들이 서로 협력하여 생활 필수품을 제공하는 것"[28]은 많은 탄자니아 힙합 아티스트의 가사에서 찾아볼 수 있다.9. 2. 아프리카계 미국인 기숙사
코넬 대학교와 스탠포드 대학교에는 우자마의 이름을 딴 아프리카계 미국인 테마 학부 기숙사가 있다.[29]참조
[1]
논문
From Modernization to Villagization: The World Bank and Ujamaa
[2]
웹사이트
Julius Nyerere, African socialist
https://libcom.org/l[...]
2005
[3]
논문
Julius Nyerere: Reflections on the Legacy of his Socialism
[4]
서적
Mwalimu: the influence of Nyerere
https://books.google[...]
Britain-Tanzania Society
[5]
뉴스
Africa's bright future
https://www.bbc.co.u[...]
BBC News Magazine
2012-11-02
[6]
서적
Mwalimu: The Influence of Nyerere
https://books.google[...]
Britain-Tanzania Society
1994
[7]
서적
Curbing corruption: toward a model for building national integrity
https://books.google[...]
[8]
간행물
Land Tenure and Mining In Tanzania
http://www.cmi.no/pu[...]
Chr. Michelson Institute
2008
[9]
논문
Theujamaa village program in tanzania: new forms of rural development
1973-06
[10]
논문
Theujamaa village program in tanzania: new forms of rural development
1973-06
[11]
논문
Theujamaa village program in tanzania: new forms of rural development
1973-06
[12]
웹사이트
Arusha Declaration
http://library.fes.d[...]
TANU
[13]
웹사이트
Julius Nyerere {{!}} Biography, Philosophy, & Achievemen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24
[14]
논문
The Villagization Program and the Disruption of the Ecological Balance in Tanzania
1986
[15]
논문
Theujamaa village program in tanzania: new forms of rural development
1973-06
[16]
논문
Theujamaa village program in tanzania: new forms of rural development
1973-06
[17]
논문
Theujamaa village program in tanzania: new forms of rural development
1973-06
[18]
논문
Theujamaa village program in tanzania: new forms of rural development
1973-06
[19]
논문
Militants, Mothers, and the National Family: Ujamaa, Gender, and Rural Development in Postcolonial Tanzania
2010-03
[20]
논문
Militants, Mothers, and the National Family: Ujamaa, Gender, and Rural Development in Postcolonial Tanzania
2010-03
[21]
논문
Militants, Mothers, and the National Family: Ujamaa, Gender, and Rural Development in Postcolonial Tanzania
2010-03
[22]
논문
Militants, Mothers, and the National Family: Ujamaa, Gender, and Rural Development in Postcolonial Tanzania
2010-03
[23]
논문
The Villagization Program and the Disruption of the Ecological Balance in Tanzania
1986
[24]
논문
The Villagization Program and the Disruption of the Ecological Balance in Tanzania
1986
[25]
웹사이트
Tanzania - Independen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5-15
[26]
논문
Why Did the Ujamaa Village Policy Fail? - Towards a Global Analysis
https://www.jstor.or[...]
1980
[27]
문서
‘Ni wapi Tunakwenda’: Hip Hop Culture and the Children of Arusha
Pluto Press
[28]
웹사이트
Denied:1up! Software
http://austinweeklyn[...]
[29]
웹사이트
Ujamaa | Residential Education
https://resed.stanfo[...]
2018-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