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탈수효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수효소는 특정 분자로부터 물 분자를 제거하는 효소의 한 종류이다. 탈수효소 결핍은 고페닐알라닌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유전적 열성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델타-아미노레불린산 탈수효소, 세린 탈수효소, 아로게네이트 탈수효소 등이 존재하며, 각각 헴 그룹 생성, 세린을 피루브산으로 전환, 아로게네이트를 페닐알라닌으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해 효소 - 생성효소
    생성효소는 ATP, 시트르산, 트립토판, 슈도유리딘, 지방산, 셀룰로스와 같은 특정 물질을 합성하는 효소의 총칭이며, 셀룰로스 생성효소는 UDP 또는 GDP를 이용하여 셀룰로스를 합성한다.
  • 분해 효소 - 탈카복실화효소
    탈카복실화효소는 EC 4.1.1로 분류되며 탈카복실화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기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며 피루브산 탈카복실화효소, 히스티딘 탈카복실화효소, RuBisCO 등이 대표적이다.
탈수효소
개요
유형리ase의 하위 그룹
EC 번호4.2.1.-
다른 이름탈수 효소

2. 병리학

탈수효소 결핍은 혈액 내 페닐알라닌 과잉을 포함하는 덜 심각한 상태인 고페닐알라닌혈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4]

3. 예시


  • 델타-아미노레불린산 탈수효소(ADA-D)는 생성에 관여하며, 노출 시 활성이 감소한다.[5][6]
  • 세린 탈수효소는 세린피루브산암모니아로 전환하며, 단백질 섭취 증가 시 활성이 증가한다.[7]
  • 아로게네이트 탈수효소는 L-아로게네이트를 L-페닐알라닌으로 전환한다.[8]

3. 1. 델타-아미노레불린산 탈수효소 (ADA-D)

델타-아미노레불린산 탈수효소(ADA-D)는 혈액에서 발견되며, 글로빈 그룹 생성에 관여한다.[5] 에 노출된 사람은 델타-아미노레불린산 탈수효소 활성이 감소한다.[6]

3. 2. 세린 탈수효소

세린피루브산암모니아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주로 간에서 발견되며, 단백질 섭취가 증가한 식단에서는 세린 탈수효소의 활성이 증가한다.[7]

3. 3. 아로게네이트 탈수효소

아로게네이트 탈수효소는 고등 식물의 엽록체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는 L-아로게네이트를 L-페닐알라닌으로 전환하는 반응을 촉매한다.[8]

참조

[1] 간행물 Dehydratase http://medical-dicti[...]
[2] 간행물 Evidence that beta-hydroxyacyl-CoA dehydrase purified from rat liver microsomes is of peroxisomal origin 1992-10
[3] 웹사이트 ENZYME: 4.2.1.- http://enzyme.expasy[...] 2016-11-05
[4] 웹사이트 Dehydratase deficiency http://www.orpha.net[...] 2016-11-01
[5] 웹사이트 ALAD gene https://ghr.nlm.nih.[...]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6-11-04
[6] 간행물 Improved Method for Measurement of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Activity of Human Erythrocytes 1971-10
[7] 간행물 Reciprocal Induction and Repression of Serine Dehydratase and 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by Proteins and Dietary-Essential Amino Acids in Rat Liver 1973-01
[8] 간행물 Chloroplasts of higher plants synthesize L-phenylalanine via L-arogenate 1986-10
[9] 간행물 dehydratase http://medical-dicti[...]
[10] 웹사이트 ENZYME: 4.2.1.- http://enzyme.expasy[...] 2016-11-05
[11] 웹사이트 Orphanet: Dehydratase deficiency http://www.orpha.net[...] 2016-11-01
[12] 저널인용 dehydratase http://medical-dicti[...]
[13] 문서 Evidence that f-hydroxyacyl-CoA dehydrase purified from rat liver microsomes is of peroxisomal origin
[14] 웹인용 ENZYME: 4.2.1.- http://enzyme.expasy[...] 2016-11-05
[15] 웹사이트 Orphanet: Dehydratase deficiency http://www.orpha.net[...] 2016-11-01
[16] 웹사이트 ALAD gene https://ghr.nlm.nih.[...] 2016-11-04
[17] 문서 Improved Method for Measurement of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Activity of Human Erythrocytes
[18] 간행물 Reciprocal Induction and Repression of Serine Dehydratase and 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by Proteins and Dietary-Essential Amino Acids in Rat Liver http://onlinelibrary[...] 1973-01-01
[19] 문서 Chloroplasts of higher plants synthesize L-phenylalanine via L-arogena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