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은 2006년 아시안 베이스볼 컵에서 2위를 차지하고, 200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 우승하는 등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 일본인 코칭스태프 영입을 통해 전력 강화를 시도했으며,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는 2013년 예선에 참가했으나 탈락했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꾸준히 참가하여 5위권의 성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야구 컵에서도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야구 국가대표팀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사무라이 재팬'은 일본을 대표하는 야구팀으로, WBC에서 세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야구 일본 대표 마케팅 위원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 아시아의 야구 국가대표팀 - 중화 타이베이 야구 국가대표팀
    중화 타이베이 야구 국가대표팀은 중화민국을 대표하여 '차이니스 타이베이' 명칭으로 국제 대회에 참가하며, 아시아 야구 선수권 4회 우승, 아시안 게임 금메달, 올림픽 은메달, 그리고 2024년 WBSC 프리미어 12 우승을 기록한 야구 국가대표팀이다.
  • 야구 국가대표팀 - 오스트레일리아 야구 국가대표팀
    오스트레일리아 야구 국가대표팀은 1897년 창단되어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며 경험을 쌓았고,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은메달 획득 및 2023년 WBC 8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며 국제 무대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 호주의 국가대표 야구팀이다.
  • 야구 국가대표팀 -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 '사무라이 재팬'은 일본을 대표하는 야구팀으로, WBC에서 세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에서 두 차례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야구 일본 대표 마케팅 위원회를 통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기본 정보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태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
국가[[파일:Flag of Thailand.svg|22px]] 태국
연맹태국 야구 협회
연맹아시아 야구 연맹
감독마사오 도쿠나가
세계 야구 소프트볼 연맹 (WBSC) 랭킹
순위79위
최고 순위23위
최고 순위 기록일2012년 12월 31일
최저 순위79위
최저 순위 기록일2023년 3월 28일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5회
첫 출전1994년
최고 성적5위 (4회, 가장 최근: 2014년)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출전 횟수3회
첫 출전1997년
최고 성적5위 (2007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출전 횟수0회
첫 출전 연도해당 사항 없음
최고 성적해당 사항 없음
올림픽
출전 횟수0회
첫 출전 대회해당 사항 없음
최고 성적해당 사항 없음
프리미어 12
출전 횟수0회
첫 출전 연도해당 사항 없음
최고 성적해당 사항 없음
월드컵
출전 횟수1회
첫 출전 연도2007년
최고 성적그룹 스테이지 패퇴 (2007년)
인터컨티넨탈컵
출전 횟수1회
첫 출전 연도2010년
최고 성적9위 (2010년)

2. 역사

태국야구가 도입된 것은 1970년부터이다. 동남아시아 내에서는 강팀으로 평가받지만, 아시아 전체나 세계 무대에서는 아직 약체로 분류된다.

2000년대 들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2006년 아시안 베이스볼 컵에서 2위를 차지했고, 같은 해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에서는 필리핀을 꺾고 5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두었다. 200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필리핀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하기도 했다.

전력 강화를 위해 2007년에는 에모토 타케노리를 총감독으로 영입하는 등 일본인 지도자들을 대거 영입하여 팀을 정비했다. 같은 해 IBAF 월드컵과 제24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며 국제 경험을 쌓았다. 2012년에는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선에 처음 참가했으며, 어머니가 태국인인 전 메이저리거 조니 데이먼이 합류하기도 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현재 태국 야구는 동남아시아의 신흥 강호로 부상하며 필리핀과 경쟁하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일본인 지도자들의 영향으로 팀 스타일은 일본 고교 야구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팀 선수들은 대부분 국내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는 사회인이나 대학생으로 구성되며, 일부 선수들은 일본으로 야구 유학을 가기도 한다.

2. 1. 초창기 (1970년대 ~ 1990년대)

1970년부터 태국야구가 시작되었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강팀으로 평가받지만, 동남아시아 밖에서는 최약체로 평가받는다.

2. 2. 일본 코칭스태프 영입과 전력 강화 (2000년대)

2000년대 들어 태국 야구는 꾸준히 실력을 향상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2006년 아시안 베이스볼 컵에서 2위를 차지했고, 베이징 올림픽 야구 아시아 예선이기도 한 제24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의 1차 리그에 진출했다. 같은 해 열린 2006년 아시안 게임에서는 일본 등 강팀에게는 패배했지만, 필리핀을 꺾고 5위를 차지하며 성장 가능성을 보였다.

전력 강화를 위해 2007년 7월에는 일본 야구계 인사들을 대거 영입했다. 야구 평론가 에모토 타케노리가 총감독을 맡아 일본과 태국 간의 교류를 통한 팀 강화를 추진했다. 실제 현장 지도는 전 난카이 호크스 출신의 테라오카 타카시가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투수 코치로는 전 한신 타이거스의 와타나베 히로토시와 전 요코하마 베이스타즈의 카와하라 류이치가, 트레이너로는 스기타 카즈히사가 합류하는 등 일본식 팀 운영 시스템을 도입했다.

직책이름주요 경력
총감독에모토 타케노리야구 평론가
감독테라오카 타카시난카이 호크스 선수
투수 코치와타나베 히로토시한신 타이거스 선수
투수 코치카와하라 류이치전 요코하마 베이스타즈 선수
트레이너스기타 카즈히사요코하마 스기타 접골원 운영



같은 해 11월, 대만에서 열린 IBAF 월드컵에 중국을 대신해 출전했으나 예선 리그에서 탈락했다. 제24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예선 리그 통과가 유력시되었으나, 홍콩전(8-4 승리) 승리에도 불구하고 파키스탄에 패하고 필리핀과 비기면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홍콩전에서는 국제야구연맹(IBAF) 규정에 맞지 않는 배트를 사용한 것이 발각되어 아웃 판정을 받는 장면이 있기도 했다. 하지만 2007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필리핀을 꺾고 우승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9년 아시안 베이스볼 컵에서는 첫 경기에서 스리랑카에 패하는 등 부진하며 5위에 머물렀다. 2012년에는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예선에 처음 참가했으며, 어머니가 태국인인 전 메이저리거 조니 데이먼이 합류해 화제를 모았으나, 필리핀과 뉴질랜드에 연달아 패배하며 예선에서 탈락했다.

이 시기 태국 야구는 동남아시아의 신흥 강호로 부상하며 필리핀에 필적할 정도의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팀의 스타일은 일본인 감독의 영향으로 일본 고교 야구와 비슷하며, 대표팀 선수들은 대부분 국내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는 사회인이나 대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선수들은 일본으로 야구 유학을 가기도 한다.

2. 3. 국제 대회 참가와 한계 (2010년대 ~ 현재)

2012년 제3회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WBC) 예선에 참가하였다. 이 대회에는 어머니의 국적을 따라 전 메이저 리그 선수인 조니 데이먼이 대표팀에 합류하기도 했다. 결과는 필리핀과 뉴질랜드에 2연패하여 예선 탈락했다.

최근 급부상하여 동남아시아 내에서는 신흥 강호로 평가받는다. 필리핀에 필적할 정도의 실력을 갖추고 있지만, 동남아시아 밖에서는 여전히 최약체로 평가받는 한계가 있다. 팀의 스타일은 일본인 감독의 영향으로 일본의 고교 야구와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표팀 선수들은 주로 국내 아마추어 리그에서 활동하며 생업을 병행하는 사회인 선수나 대학생으로 구성되며, 일부 선수는 일본으로 야구 유학을 가기도 한다.

3. 국제 대회 성적

(내용 없음)

3. 1.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WBC)

대회 연도개최지본선 결과예선 결과
라운드순위득점실점
2006미국, 일본, 푸에르토리코불참예선 미실시
2009미국, 일본, 푸에르토리코, 멕시코, 캐나다불참예선 미실시
2013미국, 일본, 푸에르토리코, 대만예선 탈락02420
2017미국, 일본, 대한민국, 멕시코불참불참
2023미국, 일본, 대만불참불참
2026
합계--02420


3. 2.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기록
연도결과순위득점실점
1994년예선 라운드5위122344
1998년예선 라운드6위131957
2002년불참
2006년예선 라운드5위141039
2010년예선 라운드5위122525
2014년예선 라운드5위121435
2018년순위 결정전8위254675
2022년순위 결정전7위342957
합계1022166332


3. 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wikitext

연도성적
1995년은메달 (2위)
1997년금메달 (1위)
1999년불참
2001년동메달 (3위)
2002년동메달 (3위)
2004년금메달 (1위)
2006년동메달 (3위)
2009년5위
2010년동메달 (3위)


3. 4.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SEA Games)

wikitext

  • 2005: 은메달 (2위)
  • 2007: 금메달 (1위)
  • 2011: 동메달 (3위)
  • 2019: 은메달 (2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기록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
2005준우승2위6425632
2007우승1위550676
20113위3위4223514
2019준우승2위5323629
총계1회 우승4/42014619481


3. 5. 동아시아 야구 컵

연도결과
1995-- 은메달 2위
1997-- 금메달 1위
1999불참
2001-- 동메달 3위
2002-- 동메달 3위
2004-- 금메달 1위
2006-- 동메달 3위
20095위
2010-- 동메달 3위


4. 역대 감독


  • 와타나베 히로토시
  • 테라오카 타카시
  • 토쿠나가 마사오
  • 우에노 마사타다[4]

5. 주요 선수


  • 시라쿠라 키사다: 투수
  • 스티키앗 븐남: 내야수
  • 수파랏 티파카콘노: 외야수
  • 료토 아리야스: 외야수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ai Baseball https://baseballasia[...] 2024-12-02
[2] 웹사이트 2013 World Baseball Classic Qualifiers (Rosters) https://www.baseball[...] 2024-11-30
[3] 웹사이트 WBSC - World Baseball Softball Confederation http://www.wbsc.org/[...]
[4] 웹사이트 福津市の上野正忠さん 3度目、タイ野球代表監督に 「来年のアジア大会、8位目標」 /福岡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3-06-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