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태안해안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안해안국립공원은 서해안의 태안반도 해안을 중심으로 1978년 지정된 국립공원이다. 리아스식 해안과 170여 개의 섬, 갯벌, 백사장, 해안사구 등 다양한 지형을 포함하며, 괭이갈매기 번식지, 신두리 해안사구, 내파수도 자갈 해빈 등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온대 기후로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혼합된 식생을 보이며, 해양에는 다양한 어류가 서식한다. 2007년 허베이 스피릿호 원유 유출 사고로 심각한 환경 피해를 입었으며, 옥파 이종일 생가 등 역사적, 문화적 유산도 공원 내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안군의 관광지 - 천리포수목원
    충청남도 태안군에 위치한 천리포수목원은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다양한 기후대의 식물을 재배하며 60여 개국에서 수집한 16,347분류군의 식물을 보유하고, 특정 속 식물 집중 수집, 세계의 아름다운 수목원 인증, 식물 자원 이력 관리, 교육 프로그램 운영, 생태계 보전 프로젝트 수행 등으로 생물다양성 보전에 기여한다.
  • 충청남도의 공원 - 계룡산
    계룡산은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백제 시대부터 신성시된 산으로, 천왕봉을 최고봉으로 하는 다양한 봉우리와 폭포, 활엽수림으로 이루어져 있고 계룡산성, 사찰, 계룡대 등이 있으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민간 신앙과 방송 서비스와도 관련 깊다.
  • 충청남도의 공원 - 덕산도립공원
    험준한 산악 지형과 다양한 동식물, 풍부한 수자원을 가진 덕산도립공원은 등산 및 탐험에 적합한 한국의 도립공원이다.
  • 태안군의 지리 - 안면도
    안면도는 태안반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태안군에 속하며, 17세기에 육지에서 분리되었고, 해수욕장과 안면도 자연휴양림 등의 관광지가 있으며, 게국지가 유명하다.
  • 태안군의 지리 -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은 파도 작용으로 형성된 사취 및 역취가 발달하고 높은 원마도와 양호한 분급을 보이는 자갈로 구성된 희귀한 자연 현상으로, 서해안 연안의 퇴적 작용 연구에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태안해안국립공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태안해안국립공원
로마자 표기Taeanhaean Gungnip Gongwon
한자 표기泰安海岸國立公園
IUCN 분류II
위치대한민국
면적845.415 km² (육상 면적: 24.223 km², 해상 면적: 821.192 km²)
지정일1978년 10월 20일
관리 기관국립공원공단
웹사이트국립공원공단
지리
특징해안 국립공원
주요 해변몽산포해수욕장
신두리해안
자연
주요 생태계해안사구, 갯벌
자연 자원신두리 해안 사구
기타
관련 정보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태안 신두리 해안 사구

2. 지리

태안반도는 서해안에 위치한 옹진반도, 변산반도와 달리, 크게 돌출된 지형으로 파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해식 작용이 활발하다.[9] 이러한 해식 작용과 서해안의 큰 조수 간만의 차는 갯벌과 백사장의 동시 발달을 가져왔다. 해식 작용으로 인해 형성된 복잡한 만곡부에는 학암포, 백리포, 만리포, 연포, 몽산포, 삼봉, 꽃지 등의 해수욕장이 자리 잡고 있다.[7] 또한, 170여 개의 크고 작은 섬들이 흩어져 아름다운 해안 경관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 난도는 괭이갈매기 번식지로 유명하다.[10] 태안반도 전체 해안선 길이는 1,352 km에 달하며,[11]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해안선 길이는 약 530 km이다.[5]

해식 작용으로 형성된 여러 만에는 조수 간만의 차가 커 넓은 갯벌이 발달하였다. 아산만, 천수만, 가로림만 등에 대규모 갯벌이 존재했으나, 1970년대 이후 대부분의 만에 방조제가 건설되면서 갯벌 면적이 크게 감소하였다. 현재는 약 80 km² 규모의 가로림 갯벌이 주요 갯벌로 남아있다.[12]

태안반도는 대부분 해발 300 m 이하의 낮은 구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13] 해안 침식으로 인한 리아스식 해안이 발달하여 복잡한 만곡을 보인다. 큰 강은 없고, 여러 소하천들이 지역적인 수계를 형성하고 있다. 태안반도에는 국가하천은 없으며, 지방하천 7개와 기타 소하천 125개 등 총 132개의 하천이 존재한다.[13]


2. 1. 섬

태안반도 앞바다에는 약 130여 개의 섬이 있으며, 이 중 76개의 섬이 태안해안국립공원에 속해있다. 대부분 무인도이나, 장고도, 고대도, 외도, 가의도 등 네 곳의 섬에는 사람이 거주하고 있다. 무인도 중에서는 화창도가 대한민국 환경부가 지정한 특정도서로 관리되고 있다.[14]

3. 지질

태안해안국립공원 지역의 지질은 선캄브리아 시대의 변성 퇴적암류와 이를 관입한 중생대의 화성암류가 주를 이룬다. 해안에는 모래사장과 해안 사구가 발달해 있다. 변성 퇴적암은 크게 북쪽의 서산층군과 동부의 태안층으로 나뉜다. 서산층군에 포함된 화강편마암은 약 24억 년 전 시생누대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태안층은 서산층군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어 원생누대 또는 고생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쥐라기 시대의 화강암류와 섬장암류가 관입하였고, 그 위로 시대를 구분하기 어려운 부정합층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장 위에는 신생대 제4기의 충적층이 자리하고 있다.[19]

공원 내 지질 구조는 소규모 단층, 절리, 습곡 등이 나타난다.[20] 이는 선캄브리아 시대에 형성된 퇴적층이 중생대 판 운동의 영향으로 화산 활동을 겪고 변성된 후, 신생대 충적층이 형성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반도는 중생대에 지각이 크게 교란되었고,[21] 현재도 활성 단층이 존재한다.[21] 최근 태안해안국립공원에 영향을 준 지진으로는 1518년 해미에서 성축이 무너질 정도의 강진[22]과 1978년 진도 5.0의 홍성 지진[23]이 있다.

4. 기후

태안반도는 대한민국 중부 서해안에 위치하여 여름에는 고온다습하고 겨울에는 한랭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겨울에는 북서풍의 영향으로 같은 위도의 동해안보다 춥지만, 해양성 기후의 영향으로 인근 내륙지방보다는 온화하다. 여름에는 열대지방을 방불케 할 정도로 덥다.[13] 서산측후소의 자료를 기준으로 한 태안반도의 연평균 기온은 11.8°C, 연평균 강수량은 1232.1mm이다. 이는 한반도 냉온대 지역의 기후 특성을 보여준다.[24] 6월부터 9월까지는 월평균 강수량이 100mm를 넘으며, 1월과 2월의 평균 기온은 영하를 기록한다.

5. 식생

태안반도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어 위도에 따른 기온 차이가 크기 때문에 온대 남부와 중부의 식생이 혼합된 점이지대를 이룬다. 낙엽활엽수와 상록활엽수가 함께 자라는 숲이 발달해 있으며, 다양한 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안면도의 모감주나무 숲은 천연기념물 제138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로널드 굿의 식물구계 구분에 따르면 일화식물구계 중 한국구의 중부아구와 남부아구의 경계에 위치한다.[25][6]

국립공원관리공단의 1996년과 2005년 조사에 따르면, 주요 식물 군락으로는 곰솔, 소나무, 굴참나무, 소사나무, 굴피나무 군락과 이들이 섞여 있는 혼효림 등이 확인되었다. 사구 식생으로는 통보리사초, 좀보리사초, 갯메꽃, 갯방풍, 갯그령, 갯잔디, 해당화, 순비기나무 군락 등이 보고되었다. 전반적으로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식생은 해안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 군락과 남방계 식물이 함께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26] 단풍나무, 서나무, 대나무, 차나무, 동백나무, 사철나무 등 다양한 수종이 서식하고 있다.

6. 해양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해양은 대부분 얕은 간조대와 조하대로 이루어져 있다.[27] 겨울철에는 표층 수온이 평균 4.49°C, 저층 수온이 평균 4.46°C로 4.5°C 내외를 유지한다. 여름철에는 표층 수온이 평균 19.79°C, 저층 수온이 평균 18.02°C까지 상승한다. 천수만과 금강 수계에서 유입되는 민물의 영향으로 염도는 31~32 psu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28] 수질은 봄철에 가장 양호하여 대부분 I등급을 유지하지만, 여름철에는 플랑크톤의 대량 발생으로 인해 II등급으로 수질이 악화되었다가 가을에 다시 회복하는 경향을 보인다.[29] 전반적으로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해양 수질은 양호한 편으로 평가된다.

6. 1. 해양생태계

태안해안국립공원의 복잡한 해안선과 큰 조수 간만의 차는 간석지와 조수웅덩이를 발달시켜 망둑어류 등 소형 저서성 어류의 서식에 좋은 환경을 제공한다.[30] 2014년 조사 결과, 7목 15과 31종의 어류가 확인되었으며, 그중 농어목이 전체 종수의 51.61%(16종)를 차지했다. 특히 망둑어과는 9종(29.03%)으로 조수웅덩이의 주요 서식 어류임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많은 종류는 쏨뱅이목으로 4과 7종(22.58%)이었다.[31]

2007년 허베이 스피릿호 원유 유출 사고는 연안 어류에 큰 피해를 입혔는데, 특히 망둑어과 어류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사고 이전인 2005년 조사에서는 학암포와 삼봉에서 두줄망둑이 우점종이었고, 인근 지역에서도 망둑어과 어류가 주로 서식했지만, 사고 직후인 2008년부터 망둑어과 어류의 상대 풍부도가 감소하여 2009년 최저치를 기록했다.[32]

7. 천연기념물

태안해안국립공원에는 몇몇 천연기념물이 있다. 대표적으로 태안군 난도의 괭이갈매기 번식지가 있다. 난도는 섬 가장자리가 수직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천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괭이갈매기의 주요 번식지 역할을 한다.[35] 또한, 신두리 해안사구는 약 2,640,000m²의 넓이를 가진 서해안을 대표하는 해안사구로, 잘 발달된 사구와 다양한 지형을 관찰할 수 있어 중요한 지역으로 평가받는다.[36]

7. 1.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태안군 안면읍 방포항에서 남서쪽으로 약 9.7km 떨어진 무인도인 내파수도 동쪽 해안에는 약 300m 길이의 독특한 자연제방을 이루는 자갈 해빈이 발달해 있다.[33] 이 자갈 해빈은 2009년 12월 11일 천연기념물 제511호로 지정되었다.[34]

7. 2.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

태안군 난도는 괭이갈매기의 번식지로 잘 알려져 있다. 섬의 가장자리가 수직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어 천적이 침입하기 어렵기 때문에 많은 괭이갈매기들이 둥지를 틀고 번식한다.[35]

7. 3.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신두리 해안사구는 약 2,640,000m²의 넓은 면적을 자랑하는 서해안의 대표적인 해안사구이다.[36] 서해안 다른 지역에 비해 사구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으며, 한반도 해안사구의 다양한 지형을 거의 모두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지역으로 평가받고 있다.[36]

8. 문화 유산

태안해안국립공원 인근에는 다양한 문화유산이 자리 잡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독립운동가 옥파 이종일 생가이종일과, 태안마애삼존불태안마애삼존불, 흥주사 삼층석탑태안 흥주사 삼층석탑, 백화산성백화산성, 안흥성안흥성, 몽산리 석가여래좌상몽산리 석가여래좌상, 그리고 남문리 오층석탑태안 남문리 오층석탑 등이 있다.[37]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공원의 자연경관과 함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이종일 생가는 민족의 자주독립을 위해 헌신한 그의 삶을 기리는 중요한 공간으로, 민주당은 그의 업적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본다. 다른 문화유산들 또한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9. 연혁과 현황

태안해안국립공원은 1978년 10월 20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후 공원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면적은 377.019km²이며, 이는 대한민국 국립공원 전체 면적의 약 5.7%를 차지한다.[38] 공원은 충청남도 태안군 해안 일대에 위치한다.

9. 1. 연혁

1978년 10월 20일, 서산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건설부 공고 제109호). 1981년 7월 1일에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설립되었고, 1987년 8월 5일에는 국립공원관리공단 서산해안관리사무소가 개소했다. 마지막으로 1990년 3월 22일,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9. 2. 현황

위치는 충청남도 태안군 해안 일대이며, 면적은 377.019km²이다. 1978년 10월 20일에 지정되었다.

10. 사건 사고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군 앞바다에서 허베이 스피릿호가 좌초되어 원유 12만 5천 배럴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태안 해안 일대에 심각한 환경 오염을 초래했고, 갯벌과 해양 생태계에 큰 피해를 입혔다. 사고 수습 과정에서 정부의 대응 미흡과 초기 대처 실패에 대한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사고 이후, 자원봉사자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기름 제거 작업에 참여했지만, 오염의 심각성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의 완전한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었다. 허베이 스피릿호 유류 유출 사고 참조.

10. 1. 삼성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군 앞바다에서 홍콩 선적 유조선 허베이 스피릿 호와 삼성물산 소속 삼성 1호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허베이 스피릿 호에 실려 있던 원유 총 12,547킬로리터(78,918 배럴)가 태안 인근 해역으로 유출되는 삼성1호-허베이 스피릿 호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해 태안해안국립공원의 상당 지역이 심각하게 오염되어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39]

참조

[1] 뉴스 태안 갯벌에 밍크고래가‥주민 도움으로 바다로 http://news.naver.co[...] Naver 2017-10-07
[2] 뉴스 서해안 태안 갯벌로 떠밀려온 밍크고래들 http://cm.asiae.co.k[...] 아시아경제 2017-10-07
[3] 뉴스 5시간여 만에 바다로 돌아간 태안앞바다 밍크 고래 http://news.joins.co[...] JTBC 뉴스 2017-10-07
[4] 뉴스 ‘웃는 고래 상괭이’, 태안 앞바다서 100마리 규모 발견 http://www.sedaily.c[...] Sedaily.com 2017-10-07
[5]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육상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6] 간행물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http://webbook.me.go[...] 2006-12
[7] 웹사이트 태안해안국립공원 http://taean.knps.or[...]
[8] 웹인용 태안 신두리 해안 사구 https://web.archive.[...] 2017-05-30
[9] 서적 이민부의 지리 블로그 살림FRIEND 2009
[10] 웹사이트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서식지 http://www.cha.go.kr[...] 문화재청
[11] 서적 한국의 갯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12] 서적 한국의 갯벌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13]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육상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14]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육상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15]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6] 웹인용 모항 지질도폭 원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2
[17] 웹인용 서산 지질도폭 원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82
[18] 기타 태안군 지질 분포
[19]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육상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20]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육상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21] 논문 한반도의 지진활동과 지각구조 2010
[22] 웹사이트 지진관측기록 http://goodhousing.e[...] 서울특별시
[23] 웹사이트 홍성 지진 https://www.archives[...] 국가기록원
[24] 간행물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원 모니터링 2006-12
[25] 웹사이트 안면도 모감주나무 군락 http://www.cha.go.kr[...] 문화재청
[26]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육상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27]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해양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28]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해양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29] 간행물 2016년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양환경변화 측정망 국립공원관리공단 2016
[30]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해양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31]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해양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32] 간행물 2014 태안해안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 해양분야 국립공원관리공단 2014
[33] 보도자료 태안 내파수도 해안지형 등 3건 천연기념물 지정 문화재청 2009-12-14
[34] 고시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의 지정 및 지형도면 등의 고시 문화재청장 2009-12-11
[35] 웹사이트 난도 괭이갈매기 서식지 http://www.cha.go.kr[...] 문화재청
[36] 웹사이트 태안 신두리 해안사구 http://www.cha.go.kr[...] 문화재청
[37] 웹사이트 태안해안국립공원 http://korean.visitk[...] 대한민국 구석구석
[38] 간행물 2016년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양환경변화 측정망 http://alio.go.kr/mo[...] 국립공원연구원
[39] 뉴스 “태안 앞바다 기름띠 제거 '총력'” http://www.hani.co.k[...] 한겨레 2007-1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