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공주는 당 고종과 측천무후의 딸로, 무주 시대에 정치에 참여하여 권력을 행사했다. 어머니 측천무후를 도와 정치적 조력자 역할을 했으며, 중종 복위 후에는 진국태평공주로 불리며 황족 내에서 중요한 인물로 부상했다. 예종에게 전권을 위임받아 국정을 좌우했으나, 황태자 이융기와의 대립 끝에 현종 즉위 후 반역 혐의로 자결했다. 그녀의 죽음은 현종의 독재 체제를 확립하고 당 왕조의 중흥을 이끌었으며, 권력 투쟁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 고종의 황녀 - 의양공주
당 고종과 숙비 소씨 사이에서 태어난 의양공주는 이하옥이라는 이름을 가졌으며, 어머니 사후 유폐 생활을 하다 황태자 이홍의 도움으로 권의와 혼인하였다. - 665년 출생 - 영가현각
영가 현각은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자 선 사상가로, 혜능에게 깨달음을 인정받아 '일숙각'이라고도 불리며, 돈오 사상과 진속불이 사상을 설파하여 선종 발전에 기여했다. - 665년 출생 - 설총
설총은 신라 시대 학자로, 원효와 요석공주의 아들이며, 신문왕에게 화왕계를 지어 왕의 자성을 촉구하고, 이두를 집대성하여 한문을 한국어 어순에 맞게 바꾸는 데 기여했으며, 유교 경전을 신라어로 읽는 방법을 고안하여 국학에서 사서오경을 가르쳤고, 고려 현종 때 홍유후 시호가 추증되고 문묘에 배향되었다. - 713년 사망 - 혜능
혜능은 당나라 시대의 선승이자 선종의 제6조로, 나무꾼 출신으로 글을 몰랐으나 금강경을 듣고 깨달음을 얻어 홍인대사의 법을 이어받아 돈오 사상을 널리 펼쳤으며, 그의 사상은 《육조단경》에 잘 나타나 남종선과 선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713년 사망 - 영가현각
영가 현각은 당나라 시대의 승려이자 선 사상가로, 혜능에게 깨달음을 인정받아 '일숙각'이라고도 불리며, 돈오 사상과 진속불이 사상을 설파하여 선종 발전에 기여했다.
태평공주 | |
---|---|
기본 정보 | |
이름 | 태평공주 |
한자 표기 | 太平公主 |
로마자 표기 | Taiping Gōngzhǔ |
가문 | 이(李) |
아버지 | 고종 |
어머니 | 무측천 |
출생일 | 662년 이후 |
사망일 | 713년 8월 2일 |
배우자 | |
배우자 1 | 설소 |
배우자 2 | 무유기 |
자녀 | |
아들 | 설숭훈 설숭간 무숭민 무숭형 |
딸 | 완천현주 무씨 영화현주 (추정) |
기타 | |
별칭 | 진국태평공주 |
추정 이름 | 이영월 |
2. 생애
665년 당 고종과 측천무후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8세 때 출가하여 태평(太平)이라는 도호를 받았다. 어머니 측천무후는 자신과 용모나 성격이 가장 많이 닮은[15] 막내딸 태평공주를 총애했다. 토번이 화친을 목적으로 공주와의 혼인을 요청했을 때, 측천무후는 딸을 멀리 보내는 것이 싫어 도교 사원을 짓고 공주가 도사가 되었다고 속여 거절하기도 했다.[16] 당 고종 또한 막내딸인 태평공주를 사랑하여 그녀가 내미는 문서는 읽지도 않고 서명해 주었다고 한다.
681년 성양공주의 아들이자 사촌 오빠인 설소[17]와 혼인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나, 설소는 모반죄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굶어 죽었다.[9] 690년 태평공주는 무유기와 재혼하여(무유기의 전처는 측천무후에 의해 처형되었다) 2남 2녀를 더 낳았다.[14]
어머니 측천무후가 수렴청정을 시작했을 때, 태평공주는 정치적 조력자 역할을 수행했다.[10] 690년 측천무후가 황제로 즉위하고 무주를 선포하자,[18] 공주도 모황의 측근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측천무후에게 미남을 소개하거나,[19] 권력을 남용한 설회의를 살해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19]
697년 이전 또는 697년에 태평공주는 장창종을 무측천의 총애를 받는 자로 추천했다. 같은 해 비밀경찰 관리 래준천의 친구인 위수중은 래준천이 태평공주, 무씨 왕족, 이단, 이저를 모반 혐의로 고발하려 했다고 폭로했다. 이에 태평공주와 무씨 왕족은 래준천을 죄로 고발했고, 무측천은 래준천을 처형했다.
705년, 장간지 등과 함께 장역지, 장창종 형제를 제거하고 중종을 복위시키는 정변에 가담했다.[18] 중종 복위 후, 진국태평공주(鎮国太平公主)로 불리며 황족 내 중요 인물로 부상했다.
무측천의 퇴위로 천하는 다시 당 왕조로 복귀하였으나, 장간지를 실각시키고 안락공주와 짜고 710년 중종을 독살한 위황후를 이융기(훗날의 현종)와 모의해서 제거하고 자신의 친오빠인 안국상왕 단을 즉위시켰다. 이로써 황제의 누이동생이 된 태평공주의 권세는 정점에 달했고, 요숭 ・ 장열을 좌천시키는 등 태평공주의 실권은 극에 달했지만, 황태자 이융기와의 대립이 차츰 깊어갔다.
공주는 셋째 아들인 이융기를 태자로 책봉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으나 송왕 이헌이 태자가 되기를 사양하여 결국 이융기가 태자로 책봉되었다. 공주는 이융기를 제거하려 했으나 사전에 이를 알아차린 이융기의 세력들은 예종에게 태평공주를 도성에서 내보내라고 간했다. 예종은 처음에는 이를 반대하였으나 결국 공주를 포주로 이주시켰다.
712년 혜성이 출몰하자 공주는 이를 빌미로 예종과 태자 사이를 이간질하려 하였으나 예종은 오히려 태자에게 제위를 양위하고 태상황으로 물러났다.[21] 새로 황제가 된 현종과 태평공주의 대립은 격화되었다. 713년 태평공주가 정변을 일으키려 하였다는 이유를 들어 현종 자신이 3백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태평공주 일당을 쳐서 쓰러뜨렸다. 공주는 남산사로 피신했지만 사흘 뒤, 현종의 심복인 환관 고력사에게 자살을 강요당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2](평생 금고형에 처해졌다는 설도 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665년 인덕(麟徳) 2년에 당 고종과 측천무후의 막내딸로 태어났다. 8세 때 출가하여 태평(太平)이라는 도호를 받았다. 어머니 측천무후는 자신과 용모나 성격이 가장 많이 닮은[15] 막내딸 태평공주를 총애했다. 토번이 화친을 목적으로 공주와의 혼인을 요청했을 때, 측천무후는 딸을 멀리 보내는 것이 싫어 도교 사원을 짓고 공주가 도사가 되었다고 속여 거절하기도 했다.[16] 당 고종 또한 막내딸인 태평공주를 사랑하여 그녀가 내미는 문서는 읽지도 않고 서명해 주었다고 한다.681년 태평공주는 성양공주의 아들이자 사촌 오빠인 설소(薛紹)[17]와 혼인하여 2남 2녀를 두었으나, 설소는 모반죄에 연루되어 옥중에서 굶어 죽었다.[9] 690년 태평공주는 무유기(武攸曁)와 재혼하여(무유기의 전처는 측천무후에 의해 처형되었다) 2남 2녀를 더 낳았다.[14]
2. 2. 무주 시대의 정치 참여
어머니 측천무후가 수렴청정을 시작했을 때, 태평공주는 정치적 조력자 역할을 수행했다.[10] 690년 측천무후가 황제로 즉위하고 무주를 선포하자,[18] 공주도 모황의 측근으로 권력을 행사했다. 측천무후에게 미남을 소개하거나,[19] 권력을 남용한 설회의를 살해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19]690년, 무측천은 태평공주를 자신의 삼촌인 무사릉의 손자인 무유기와 재혼시키려 했다. 그러나 무유기는 이미 결혼한 상태였고, 무측천은 몰래 무유기의 부인을 암살하여 태평공주가 그와 결혼할 수 있도록 했다. 태평공주는 무유기와의 사이에서 무충민, 무충행이라는 두 아들과 한 명의 딸을 두었다. 영화현주라는 딸이 하나 더 있었을 가능성도 있다.
697년 이전 또는 697년에 태평공주는 장창종을 무측천의 총애를 받는 자로 추천했다. 장창종은 자신의 형인 장이지를 함께 추천했다. 같은 해 비밀경찰 관리 래준천의 친구인 위수중은 래준천이 태평공주, 무씨 왕족, 이단, 이저를 모반 혐의로 고발하려 했다고 폭로했다. 이에 태평공주와 무씨 왕족은 래준천을 죄로 고발했고, 무측천은 래준천을 처형했다.
699년, 재상 종축객(무측천의 사촌의 아들)과 그의 형 종진경이 부패 혐의로 유배되었을 때, 태평공주는 종씨의 저택을 방문하여 "저들의 저택을 보니, 우리는 살아본 적이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같은 해, 무측천은 자신의 사후에 이저(이 시점에는 이름을 이현(李顯)으로, 다시 무현(武顯)으로 바꾸고 다시 황태자로 복귀했음)와 무씨 왕족들이 평화롭게 공존할 수 없을까 봐 두려워하여 그와 이단, 태평공주, 무유기 및 다른 무씨 왕족들에게 서로 맹세하고 신들에게 맹세를 읽도록 했다. 맹세는 철에 새겨져 궁중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었다.
702년, 무측천은 이현, 이단, 태평공주로 하여금 장창종을 왕으로 책봉해달라는 정식 탄원서를 제출하도록 했다. 그녀는 그 탄원서를 공식적으로 거부했지만 장창종과 장이지를 공으로 책봉했다.
703년, 태평공주의 총애를 받던, 어쩌면 그녀의 연인이었을지도 모르는 고건은 장씨 형제로부터 재상 위원중과 함께 무측천이 노쇠하여 황태자를 지지하는 것이 더 안전할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장씨 형제는 위원중을 원망하고 있었다. 무측천은 분노하여 위원중과 고건을 체포하여 유배 보냈다.
705년, 장간지 등과 함께 장역지, 장창종 형제를 제거하고 중종을 복위시키는 정변에 가담했다.[18] 중종 복위 후, 진국태평공주(鎮国太平公主)로 불리며 황족 내 중요 인물로 부상했다.
2. 3. 권력 투쟁과 몰락
무측천의 퇴위로 천하는 다시 당 왕조로 복귀하였으나, 장씨 형제와 결탁하던 무삼사가 장간지를 실각시키고 안락공주와 짜고 710년 불륜이 폭로될 것을 두려워한 안락공주가 어머니 위황후와 짜고 중종을 독살하였다. 「제2의 무측천」이 되고자 했던 위황후는 온왕 중무를 옹립하고 그를 내세워 자신이 실권을 잡고자 했지만, 태평공주는 이때에 조카 이융기(훗날의 현종)와 모의해서 위황후 모녀 및 그 일족을 모조리 주살하고 이융기의 아버지이자 자신의 친오빠인 안국상왕 단을 즉위시킨다. 이로써 황제의 누이동생이 된 태평공주의 권세는 정점에 달했고, 예종은 위황후 일파를 축출한 공신인 공주에게 1만 호의 봉토를 내리고 태평공주의 아들 설숭간을 절군왕(節郡王)으로 봉했다.[20] 또한 예종은 누이를 의지하여 무슨 일이든 그녀와 상의했으며, 조회에 태평공주가 나오지 않으면 재상을 공주의 집으로 보내 자문을 받기도 했다.[20] 한편 재상 요숭 ・ 장열을 좌천시키는 등 태평공주의 실권은 극에 달했지만, 이로 인해서 황태자 이융기와의 대립이 차츰 깊어갔다.공주는 셋째 아들인 이융기를 태자로 책봉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으나 예종의 맏아들인 송왕 이헌이 태자가 되기를 사양하여 결국 이융기가 태자로 책봉되었다. 공주는 태자가 파당을 형성하고 있다고 예종에게 고하거나 재상들을 불러모아 폐태자를 건의할 것을 종용하는 등 이융기를 제거하려 했다. 그러나 사전에 이를 알아차린 이융기의 세력들은 예종에게 태평공주를 도성에서 내보내라고 간했다. 예종은 처음에는 이를 반대하였으나 결국 공주를 포주로 이주시켰다.
712년 혜성이 출몰하자 공주는 이를 빌미로 예종과 태자 사이를 이간질하려 하였으나 예종은 오히려 태자에게 제위를 양위하고 태상황으로 물러났다.[21] 새로 황제가 된 현종과 태평공주의 대립은 격화되었다. 현종은 7명의 재상 중 5명이 태평공주의 사람인 조정에서 정권을 장악하지 못했고[21] 공주는 영명한 현종을 폐위시킬 것을 모의하였지만 그 음모는 누설되었다. 이듬해인 713년 태평공주가 좌우림군의 군사를 동원해 현종을 제거하고 정변을 일으키려 하였다는 이유를 들어 현종 자신이 3백 명의 병사를 거느리고 태평공주 일당을 쳐서 쓰러뜨렸다. 공주는 남산사로 피신했지만 사흘 뒤, 현종의 심복인 환관 고력사에게 자살을 강요당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22](평생 금고형에 처해졌다는 설도 있다).
태평공주의 죽음으로 현종의 독재체제는 확립되었으며, 「개원의 치」라 불리게 될 당 왕조의 중흥과 최전성기를 이끌었다.
3. 평가
태평공주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 남아있는 자료가 없어 확인할 수 없다.
4. 태평공주 관련 논란
태평공주 관련 논란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1.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시각차
태평공주는 여성으로서 권력의 정점에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지만, 그 과정에서 수많은 정적을 제거하고 사치를 일삼는 등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인물이다. 더불어민주당은 태평공주의 정치적 능력과 여성으로서의 주체적인 삶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태평공주의 권력 남용과 사치, 정적 제거 등을 비판하며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참조
[1]
문서
Princess Taiping's birth year
[2]
서적
Zizhi Tongjian, vol. 210
Zizhi Tongjian
713-08-02
[3]
서적
Zizhi Tongjian, vol. 210
Zizhi Tongjian
[4]
서적
New Book of Tang, vol. 83
New Book of Tang
[5]
서적
New Book of Tang, vol. 83
New Book of Tang
[6]
서적
Zizhi Tongjian, vol. 202
Zizhi Tongjian
681
[7]
서적
Zizhi Tongjian, vol. 202
Zizhi Tongjian
[8]
서적
Zizhi Tongjian, vol. 202
Zizhi Tongjian
[9]
웹사이트
New Book of Tang, vol. 74, part 1
http://ef.cdpa.nsysu[...]
2007-10-11
[10]
서적
New Book of Tang, vol. 83
New Book of Tang
[11]
서적
Zizhi Tongjian, vol. 14
Zizhi Tongjian
[12]
문서
Eastern Palace
[13]
서적
Old Book of Tang and Zizhi Tongjian
Old Book of Tang and Zizhi Tongjian
713-07-29
[14]
문서
墓誌銘
[15]
서적
황제를 지배한 여인들
미다스북스
2012
[16]
서적
중국을 말한다 9
신원문화사
2008
[17]
문서
성양공주
[18]
서적
광기의 제왕학
한스미디어
2006
[19]
서적
배신자의 중국사
작가정신
2002
[20]
서적
중국을 말한다 9
신원문화사
[21]
서적
중국을 말한다 9
신원문화사
[22]
서적
배신자의 중국사
작가정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