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건은 일제강점기인 1938년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했다. 내무부, 전라남도지사,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 등을 거쳐 교통부, 농수산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제12대 국회의원과 서울특별시장을 지냈다. 김영삼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역임했고, 노무현 대통령 탄핵 심판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을 수행했다. 2007년 대선 후보직을 사퇴하고 정계에서 은퇴했으며, 2009년 이명박 정부에서 사회통합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지대학교 총장 - 박일경
    박일경은 일제강점기에 학위를 받고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를 거쳐 법제처장, 문교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여받았다.
  • 명지대학교 총장 - 정근모
    정근모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물리학자이자 과학기술정책가로서, 주요 과학기술 기관 설립을 주도하고 과학기술처 장관 등을 역임하며 국내 기초연구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한국형 원전 표준 설계 사업을 주도하여 원자력 기술 자립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농수산부 장관 - 박종문 (1932년)
    경북대학교 농학 박사 출신인 박종문(1932년)은 농촌진흥청 입사 후 농림부 및 농수산부 고위직,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농수산위원장,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강원도지사, 농수산부 장관, 그리고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을 역임하며 5공화국 시대 정치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관료이다.
  • 대한민국의 농수산부 장관 - 최각규
    최각규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 정치인으로 고등고시 합격 후 농수산부 장관, 상공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고 국회의원과 강원도지사를 지냈다.
  • 대한민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 한덕수
    한덕수는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으로, 제47대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의사 파업 대응과 의료 개혁을 추진했고, 대통령 탄핵 이후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탄핵소추로 직무가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고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각하
이름고건
로마자 표기Go Geon
한자 표기高建
출생일1938년 1월 2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경성부 청진정 (현재의 서울특별시종로구 청진동)
학력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정치학과 (학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도시계획학 (석사)
종교개신교(한국기독교장로회)
배우자조현숙
자녀3남 (장남: 고진)
고건 서명
서명
경력
주요 경력교통부 장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국회의원(민주정의당)
내무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국무총리
정당
소속 정당민주정의당 (1980–1990)
민주자유당 (1990–1995)
새천년민주당 (1998–2007)
주요 직책
대통령노무현 (직무 정지)
임기 시작2004년 3월 12일
임기 종료2004년 5월 14일
대통령 (국무총리)김영삼
노무현
임기 시작 (국무총리)1997년 3월 5일
2003년 2월 27일
임기 종료 (국무총리)1998년 3월 3일
2004년 5월 24일
전임 총리이수성
김석수
후임 총리김종필
이해찬
전임 시장김용래
조순
강덕기 (권한대행)
후임 시장박세직
이명박
임기 시작 (시장)1988년 12월 5일
1998년 7월 1일
임기 종료 (시장)1990년 12월 27일
2002년 6월 30일
훈장
훈장홍조근정훈장(1972년)
청조근정훈장(1982년)
몽골국 북극성훈장(2002년)

2. 생애

서울 출신으로, 본관은 제주 고씨이다. 1961년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 1988년 서울 올림픽 당시 서울특별시 시장(관선)을 지냈다. 김영삼 정권에서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아시아 금융 위기에 대처하였고, '행정의 달인'으로 불렸다.[19]

1998년 민선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었고, 임기 만료 후 2003년 노무현 정권에서 다시 국무총리에 임명되었다. 국회의 신임이 두터웠고, 실무형 인물로 평가받으며 노무현 정권을 지지하였다.

2004년 제17대 총선 이후 사퇴 의사를 밝혔으나, 노무현 대통령 탄핵으로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 헌법재판소의 탄핵 기각 결정 이후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났다.

2006년 8월 28일 시민단체 '희망한국·국민연대'를 창립, 2007년 대선 출마가 예상되었으나, 2007년 1월 16일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선언하였다.

2009년 12월, 이명박 정부의 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에 취임하여 2010년 12월까지 활동하였다.[20][2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938년 1월 2일 일제강점기에 아버지 고형곤(高亨坤)과 어머니 인동 장씨(仁同 張氏) 희빈 장씨(禧嬪 張氏)의 종손 장정자 사이에서 3남 2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제주(濟州)로 고구려의 황태자 고말로(髙末老)의 후손이다. 고건 총리의 증조부는 노비 370명을 보유했다. 아버지 고형곤은 학술원 회원을 역임한 철학자이자,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 당시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였다. 형제 고석윤은 행정고시와 사법시험에 모두 합격했고, 이후 상공부 상역국장을 지내다 야당 정치인으로 활동하던 아버지가 검찰의 내사를 받자 공직을 사퇴한 후 로펌을 경영했다.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59년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을 지냈으며, 1961년 제13회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하였다.[1] 1968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 입학하여 1971년 도시계획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학력
경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졸업, 정치학 학사 (1956년 - 1960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졸업, 도시계획학 석사 (1968년 - 1971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연구원 (1983년)
미국 MIT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 (1984년)
원광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1992년)
미국 시러큐스대학교 명예 법학박사 (2001년 5월)


2. 2. 공직 진출과 주요 경력

1961년 고등고시 행정과에 합격한 후, 1962년 내무부 수습사무관을 시작으로 공직에 진출했다.[1] 이후 여러 보직을 거쳐 1965년 내무부 행정과 기획계장, 1968년 서기관으로 승진했다. 전라북도청 식산국장과 내무국장을 거쳐, 1971년부터 1973년까지 내무부 지방국 지역개발담당관, 새마을담당관 등을 지냈다.[27] 1973년 강원도 부지사, 내무부 지방국장을 거쳐, 1975년 전남지사를 역임했다. 1979년에는 대통령 정무제2수석비서관,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다.[27]

1980년 5월 17일 신군부가 비상계엄 확대조치를 내리자, 고건은 이를 군정으로 간주하고 사표를 제출했다.[27] 이후 1980년부터 1981년까지 교통부 장관, 1981년부터 1982년까지 농수산부 장관을 지냈다.[1]

1985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고,[1] 1988년에는 서울특별시 시장으로 임명되었다.[4] 1990년 문제가 있는 개발 제안을 승인하지 않아 시장직에서 해임되었으나,[2] 1998년 선거를 통해 시장직에 복귀하여 2002년까지 재임했다.[3] 재임 기간 동안 서울에 "천만 그루 나무 심기" 사업을 시작하고 더욱 강력한 배출가스 기준을 추진하여 도시의 녹지화에 크게 기여했다.[2]

1997년부터 1998년까지, 그리고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 국무총리를 역임했다.[4][5] 김영삼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내면서 아시아 금융 위기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했다.[19] 노무현 정부에서는 국회의 신임이 두터웠고, 착실한 실무형 인물로 평가받으며 경험이 부족한 국무위원(장관)이 많은 노무현 정권을 묵묵히 지지하였다.

2004년 4월 15일에 치러지는 제17대 총선 이후 사퇴할 의향을 밝혔으나, 3월 12일 국회에서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소추안이 가결됨에 따라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다.[6]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이 복권된 후인 5월 24일 국무총리직 사표를 제출하였고, 다음 날 수리되었다.[8][9]

고건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직책비고
1974년강원도 부지사
1975년 - 1979년전라남도지사
1979년 - 1980년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1980년 - 1981년교통부 장관
1981년 - 1982년농수산부 장관
1985년 - 1988년제12대 국회의원
1987년내무부 장관
1988년 - 1990년제22대 서울특별시장 (관선)
1997년 - 1998년제30대 국무총리김영삼 정부
1998년 - 2002년제31대 서울특별시장 (민선)
2003년 - 2004년제35대 국무총리노무현 정부
2004년 11월 - 현재시러큐스대학교 이사
2008년 2월 - 2010년 2월기후변화센터 이사장
2009년 12월 - 2010년 12월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


2. 3. 국무총리 역임과 대통령 권한대행

외환위기 당시 총리를 지냈던 고건은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결정을 내리기까지 임시 수반으로서의 역할을 해낼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28] 정치 분석가들은 고건의 풍부한 행정 경험과 격동의 시기에 안정적인 스타일의 리더십을 발휘해온 점을 평가했다.[28]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 첫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직무를 수행하던 중, 2004년 3월 12일 대한민국 국회가 193대 2로 노무현 대통령 탄핵소추를 의결하여 노무현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면서 헌법에 의거하여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다.[6][7]

영국 BBC는 고건을 "한국의 안정적인 리더(South Korea's "steady" leader)"라는 기사에서 "미스터 안정(Mr.stability)", "행정의 달인(Master Administrator)"으로 지칭하며, 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정국을 안정시키고 원활히 돌아가도록 하는 역할을 잘 해 온 인물이라고 평가했다.[28] BBC는 고건이 핵심 요직에 있을 때마다 나라를 뒤흔들 만한 대형 사건이 많았다면서 그가 특히 보수파들에게 어필하면서 노무현 대통령을 잘 보좌해 왔다고 평가했다. 또, BBC는 대미 관계에 있어 비굴한 아부는 하지 않겠다며 대선 당시부터 마찰을 빚어왔던 노무현 대통령과 달리, 고건은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데 있어 신중한 태도를 보여 왔다는 점을 강조했다.[28]

고건은 2개월 동안 이라크 파병 문제나 경제 문제, 특히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의 공정한 관리라는 역할을 무리 없이 수행했다는 평을 받는다. 노무현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한 후 자동으로 대통령 권한대행을 종료하고 5월 24일 국무총리직에서 물러났다.[8][9]

2. 4. 노무현 대통령과의 갈등

노무현 대통령 탄핵 기간 중 고건은 민심과 국회의 분노를 수습하는 등 무난한 노력을 보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대통령직에 복귀한 노무현은 고건을 총리로 기용한 것은 인사 실패라고 비판하며 설전을 벌였다.[29]

2006년 12월 15일, 고건은 광주 전남 방문에서 "정부가 할 일은 안 하고, 해서는 안 될 일을 하면서 남의 탓만 하고 있다"며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비판했다.[29] 이에 노무현은 12월 21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회에서[30] 고건 총리 기용에 대해 "중간에 선 사람이 양쪽을 끌어 당기질 못하고 스스로 고립되는 그런 결과가 되기도 했다"며 "하여튼 실패한 인사다. 결과적으로 실패해 버린 인사다"라고 말했다.[29]

고건 총리 측은 '평가는 국민의 몫'이라고 즉각 반박했다.[29] 고건의 한 측근은 "(고건 전 총리가) 사상 초유의 탄핵 사태를 맞아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로서 위기를 원만하게 수습한 고 전 총리에 대한 평가는 국민의 몫이다"라고 말했다.[29][31]

12월 22일, 고건은 성명을 발표하고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을 "자가당착이며 자기부정"이라고 비판했다.[30] 그는 노무현 대통령 등의 고립에 대해 "따돌림 당한 것은 오만과 독선, 무능력 탓[30][32]"이라고 반박했다.

고건은 "노 대통령과 참여정부가 국민으로부터 따돌림을 당했다면 상생과 협력의 정치를 외면하고, 오만과 독선에 빠져 국정을 전단(專斷)한 당연한 결과[30][33][32][34]"라고 비판했다. 또한 "내가 총리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여당이 원내 제1당이었음에도 국정운영은 난맥을 거듭했다[30][32]"고 지적했다.

고건은 "헌정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 사태를 맞아 권한대행으로서 국민의 협조를 얻어 국가적 위기를 원만하게 수습한 데 대한 평가는 국민의 몫"이라며 "국가 최고지도자의 언행은 신중하고, 절제돼야 한다.[30][34]"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고 전 총리가 노 대통령을 비롯한 참여정부와의 인연을 완전하게 끊는 계기로 삼을 것 같다"는 분석이 제기되었다.[34] 그의 한 측근은 "참여정부 초대 총리라는 타이틀이 오히려 부담이 되는 상황이었다"며 "노 대통령의 발언 때문에 이제 부담없이 '이혼도장'을 찍을 수 있게 됐다[34]."고 밝혔다.

2006년 12월 21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회에서 노무현은 고건의 국무총리 임명에 대해 "중간에 선 사람은 양쪽을 모두 끌어들이지 못하고 스스로 고립되는 결과가 되었다. 아무튼 실패한 인사였다"라고 말했다.[24][25] 이에 대해 고건은 2017년에 "완전히 사실과 다르다. 여야를 아울러 국정을 수행한 것은 나였고, 퇴임 2년 후 노무현 대통령이 그 발언을 했을 때는 노 대통령 본인이 고립된 것이 사실인 것 같다. 나는 총리직을 사퇴한 후 수년 후의 이야기이고, 시계열에 대한 착오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나의 총리 재임 기간에는 여야 협의가 잘 되었다고 하는 기록이 남아 있다."라고 말했다.[24]

2. 5. 정계 은퇴 이후

2007년 1월 16일, 고건은 대선 후보직을 사퇴하고 정계에서 은퇴했다.[13] 그러나 2009년 12월 21일, 이명박 대통령에 의해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14][15] 고건은 사회통합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2010년 12월까지 재임했다.[20][21]

3. 학력

1956년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0년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71년에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공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 하버드 대학교 객원 연구원, 1984년 MIT 국제문제연구소 객원연구원을 역임했다[1].

고건 학력
학교학위
경기고등학교졸업
서울대학교정치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공학 석사
하버드 대학교객원 연구원
MIT 국제문제연구소객원연구원


3. 1. 명예 박사 학위

4. 평가 및 비판

고건은 행정의 달인, 유능한 관료, 물러설 때와 나설 때를 아는 현명한 관료라는 평가를 받으며, 청렴하다는 평가 또한 받고 있다.[1]

4. 1. 긍정적 평가

고건은 행정의 달인, 유능한 관료, 물러설 때와 나설 때를 아는 현명한 관료라는 평가를 받는다.[1] 새마을운동을 기획한 주무 책임자로서 농촌 부흥 운동을 진두지휘했으며, 새마을운동의 성공으로 최연소 도지사(전라남도, 37세)가 되었다.[1] 세계 5대 지하철 교통망 구축, 난지도 생태공원 조성, 서울 도시고속도로 건설, 한옥마을 복원 등이 주요 업적으로 거론된다.[1]

"청렴은 사명감 이전에 나의 생존법칙이다"라고 고백할 정도로 그의 청렴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1] 오랜 공직 생활 동안 스캔들이나 부정부패에 연루된 적이 없으며, 이는 그가 행정의 달인이 된 배경으로도 작용했다.[1]

1990년 2월 초 한보 수서택지 분양 당시 청와대 등으로부터 수의계약 압력을 받았으나 끝내 거부하였고, 이 사건이 서울시장(관선) 자리에서 물러나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1] 당시 수서 특혜 분양 수사 결과 많은 사람이 구속되었으나 서울시 공무원은 단 한 명도 연루되지 않아 '클린 서울'이라는 명성을 얻었다.[1] 1998년 국제투명성기구로부터 세계 청렴인상을 받으며 청렴성을 국제적으로 공인받았다.[1]

4. 2. 부정적 평가

한자 부활파로도 알려져 있다.[22][23]

노무현은 2006년 12월 21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회에서 고건의 국무총리 임명에 대해 "중간에 선 사람은 양쪽을 모두 끌어들이지 못하고 스스로 고립되는 결과가 되었다. 아무튼 실패한 인사였다"라고 평가했다.[24][25] 이에 대해 고건은 2017년에 "완전히 사실과 다르다. 여야를 아울러 국정을 수행한 것은 나였고, 퇴임 2년 후 노무현 대통령이 그 발언을 했을 때는 노 대통령 본인이 고립된 것이 사실인 것 같다. 나는 총리직을 사퇴한 후 수년 후의 이야기이고, 시계열에 대한 착오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나의 총리 재임 기간에는 여야 협의가 잘 되었다고 하는 기록이 남아 있다."라고 반박했다.[24]

2017년 12월 회고록에서 고건은 박근혜와 보수 정계에 대해 혹평했다. 그는 "박근혜를 검증하지 않고 대통령으로 선택한 것이 아닌가. 보수 진영은 승리하기 위해 이렇게 해야 한다는 진영 대결의 논리 그리고 결과다."라고 말했다. 또한, "2016년 10월 30일, 박근혜 대통령의 초청으로 청와대에서 사회 원로 몇 사람과 차를 마시면서 '국민의 의혹과 분노는 한계를 넘어섰다. 성역 없는 수사를 표명하고, 국정 시스템을 쇄신하여 새로운 국정의 모습을 보여달라'고 건의했지만, 박근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결국 촛불집회가 일어나 탄핵안이 발의·가결되었다"고 밝혔다.[24]

5. 가족 관계

관계이름
할아버지고병소
할머니조씨
아버지고형곤 (1906년 4월 16일 ~ 2004년 6월 25일)
어머니장정자 (1914년 ~ 2001년 5월 14일)
큰형고석윤
작은형고경 (1936년 ~ 요절)
큰여동생고혜경
작은여동생고혜련
배우자조현숙 (1938년 ~ 2021년 9월 29일)
장남고진 (1961년 10월 11일 ~ )
차남고휘 (1962년 ~ )
삼남고위 (1968년 ~ )


참조

[1] 웹사이트 고건 이력 http://www.agendanet[...] 2023-02-12
[2] 웹사이트 SU Board of Trustees elects Goh, honors Menschel https://news.syr.edu[...] 2024-01-07
[3] 웹사이트 Acting leader learned role through 6 administrations https://koreajoongan[...] 2024-01-07
[4] 뉴스 고건 https://web.archive.[...] 2010-01-22
[5] 웹사이트 Former Prime Ministers https://www.opm.go.k[...] 2024-01-07
[6] 뉴스 Parliament Impeaches South Korea President https://www.nytimes.[...] 2004-03-13
[7] 뉴스 South Korea Parliament Votes To Strip President of Powers https://www.nytimes.[...] 2004-03-12
[8] 웹사이트 S.Korea PM resigns over row with president https://www.upi.com/[...] 2024-01-07
[9] 웹사이트 Roh accepts Prime Minister's resignation https://www.nzherald[...] 2024-01-07
[10] 웹사이트 Asia: South Korea: New Prime Minister https://www.nytimes.[...] 2024-01-07
[11] 웹사이트 S. Korean President Replaces Three Cabinet Members - 2004-06-30 https://www.voanews.[...] 2024-01-07
[12] 웹사이트 Goh Kun to Run for President on Center Coalition Ticket http://english.chosu[...] The Chosun Ilbo 2006-06-02
[13] 뉴스 South Korea Contender Drops Out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1-16
[14] 웹사이트 Goh Kun to seek social integration https://koreajoongan[...] 2024-01-07
[15] 웹사이트 [Editorial] Achieving social unity in S. Korea requires a change in Lee's domestic policies https://english.hani[...] 2024-01-07
[16] 웹사이트 삶과 추억 고건 前총리 부친 고형곤 박사 별세 https://www.joongang[...] 2004-06-25
[17] 웹사이트 ‘고건 전 총리 아들’ 고진,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에 임명 https://www.jjan.kr/[...] 2022-07-29
[18]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19] 뉴스 "고건 대행, 안정적 리더쉽 발휘할것"-외신들(高建代行、安定的リーダシップ発揮するはず-外信) http://news.naver.co[...] 2004-03-13
[20] 뉴스 사회통합위 출범.."갈등치유 기대"(社会統合委出帆。。“葛藤治癒期待”) http://www.yonhapnew[...] 2009-12-23
[21] 뉴스 고건 사회통합위원장 사의(高建社会統合委員長辞意) http://www.hani.co.k[...] 2010-12-16
[22] 웹사이트 隨筆(수필) (3) [경이 건이] https://newslibrary.[...] 1940-01-21
[23] 웹사이트 재상이 된「꼬마 건이」 https://newslibrary.[...] 1997-03-05
[24] 웹사이트 고건 "박근혜, 오만·불통·무능…아버지 기념사업이나 했어야" https://www.chosun.c[...] 2017-12-01
[25] 웹사이트 노 대통령, "고건 씨 기용은 실패한 인사" https://news.sbs.co.[...] 2006-12-22
[26] 기타
[27] 뉴스 고건의 반격 "군정 반대해 사표낸 나를... https://news.naver.c[...]
[28] 뉴스 (탄핵)"고건 대행, 안정적 리더쉽 발휘할것"-외신들 http://news.naver.co[...] 이데일리 2004-03-13
[29] 뉴스 盧 '고건 총리 기용은 실패한 인사' 발언 일파만파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06-12-22
[30] 뉴스 고건 "노대통령 자가당착" 정면 비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12-22
[31] 뉴스 노대통령, “고건 총리 기용은 실패한 인사” http://www.hani.co.k[...] 한겨레 2006-12-21
[32] 뉴스 대통령발언 고건 전총리 정면반박 http://www.ytn.co.kr[...] YTN 2006-12-22
[33] 뉴스 분노한 고건, 盧대통령 정면 공격 http://news.hankooki[...] 한국일보 2006-12-22
[34] 뉴스 고건 "부담없이 이혼도장 찍게 됐다"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6-12-22
[35] 뉴스 사회통합위 출범.."갈등치유 기대"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9-12-23
[36] 웹인용 고건(髙建) 전 총리, 사회통합위원장 이임사 http://www.jejugo.co[...] 2012-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