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렴청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렴청정은 어린 군주를 대신하여 왕실의 여성, 주로 왕대비가 정사를 돌보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 시대에는 성종, 명종, 선조, 순조, 헌종, 철종, 고종 등의 어린 왕들이 즉위하면서 왕대비들이 수렴청정을 실시했다. 중국에서는 한나라, 북위, 송나라, 청나라 등 여러 왕조에서 수렴청정이 이루어졌으며, 특히 청나라의 서태후가 여러 차례 수렴청정을 통해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자 섭정 - 메이쇼 천황
    메이쇼 천황은 1629년 즉위하여 1643년 퇴위한 일본의 109대 천황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지진, 조선 사절 방문, 시마바라의 난 등의 사건을 겪었고, 1696년 사망했다.
  • 여자 섭정 - 진구 황후
    진구 황후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일본의 전설적인 인물로, 섭정 기간 동안 구마소 정벌과 삼한 정벌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며,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란과 왜곡된 측면이 비판적으로 검토되고, 문화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섭정 - 조조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사가, 시인이었던 조조는 뛰어난 능력으로 위나라의 기반을 다졌으나, 잔혹한 행위와 권력욕으로 인해 후대 평가에서 논쟁적인 인물이다.
  • 중국의 섭정 - 서광계
    서광계는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마테오 리치와 교류하며 서양 학문을 받아들이고 《기하원본》을 번역했으며, 농업, 천문학,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기고 《농정전서》를 편찬하여 중국 농학 발전에 기여했다.
  • 섭정 - 오토 폰 비스마르크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19세기 후반 독일 통일의 주역인 프로이센 왕국 출신 정치가로, 철혈 정책을 통해 독일 제국을 건설하고 초대 총리가 되어 강력한 국가를 건설했지만, 국내 정책과 외교는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섭정 - 호르티 미클로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군 제독 출신인 호르티 미클로시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헝가리 왕국의 섭정을 역임했으며, 전쟁 후 정치적 혼란 속에서 섭정으로 선출되었으나 나치 독일과의 동맹,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홀로코스트 책임 논란 등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수렴청정
기본 정보
정의수렴청정 (垂簾聽政)은 어린 군주를 대신하여 왕대비대왕대비가 정치를 대리하는 것을 말함
한자垂簾聽政
로마자 표기Suryeomcheongjeong
역사적 배경
기원요나라의 황태후 섭정에서 유래
중국요나라
청나라: 서태후의 수렴청정이 대표적
한국조선 시대에 주로 발생
한국사에서의 수렴청정
주요 사례문종 - 현덕왕후
단종 - 정희왕후
성종 - 정희왕후
명종 - 문정왕후
헌종 - 순원왕후
고종 - 조대비
긍정적 평가왕실의 안정과 국가 기틀 유지
부정적 평가외척 세력의 발호
정치적 혼란 야기
기타
관련 용어섭정

2. 조선의 수렴청정

조선 시대에는 어린 왕이 즉위하면 왕의 어머니인 왕대비나 할머니인 대왕대비가 정사를 대행했다.

순조는 10세에 즉위하여 계적증조모인 정순왕후대왕대비로서 3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 헌종은 7세에 즉위하여 할머니인 순원왕후대왕대비로서 7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 철종은 18세에 즉위하였으나 정치 능력이 부족하여 5촌 종숙모이자 양어머니인 순원왕후대왕대비로서 3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 고종은 11세에 즉위하여 9촌 삼종숙모이자 양어머니인 신정왕후대왕대비로서 1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

2. 1. 조선 전기

성종은 12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할머니인 정희왕후대왕대비로서 7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1] 명종은 11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어머니인 문정왕후대왕대비로서 8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 선조는 14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이복 숙모이자 양어머니인 인순왕후왕대비로서 1년 동안 수렴청정을 하였다.

대비기간주요 사건
성종정희왕후1469년 - 1476년조선 최초의 수렴청정, 공혜왕후의 붕어
명종문정왕후1545년 - 1553년을사사화
선조인순왕후1567년 - 1568년사림의 권력 확대


2. 2. 조선 후기

섭정관계기간주요 사건
성종정희왕후할머니 (대왕대비)1469년 - 1476년 (7년)조선 최초의 수렴청정, 공혜왕후 붕어
명종문정왕후어머니 (대왕대비)1545년 - 1553년 (8년)을사사화
선조인순왕후이복 숙모이자 양어머니 (왕대비)1567년 - 1568년 (1년)사림의 권력 확대
순조정순왕후계적증조모 (대왕대비)1800년 - 1803년 (3년)천주교 신자에 대한 탄압(신유사옥)
헌종순원왕후할머니 (대왕대비)1834년 - 1840년 (7년)세도정치의 번영기
철종순원왕후5촌 종숙모이자 양어머니 (대왕대비)1849년 - 1851년 (3년)삼정의 문란
고종신정왕후9촌 삼종숙모이자 양어머니 (대왕대비)1863년 - 1866년 (1년)흥선대원군 집정기의 시작


2. 3. 친정을 시작한 왕

연산군은 18세에 즉위하여 영의정 이극배의 섭정기를 한 달 간 지낸 후 친정을 시작했다. 숙종은 즉위 당시 13세였으나 명민하고 학문이 뛰어나 모후 명성왕후 김씨의 반대를 뿌리치고 영의정 허적의 섭정기를 한 달 간 지낸 후 친정을 시작했다.

3. 중국의 수렴청정

중국에서 여성인 황태후가 남성인 조정 신하와 직접 대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황제의 옥좌 뒤에 어렴을 드리우고 그 안에 앉아 정무를 행한 것에서 유래하여 수렴청정이라 불렸다.[1]

어린 황제인 경우에는 황후가 수렴청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황후의 예는 매우 적고, 황태후라고 해도 일본의 제도에서는 태황태후가 되는 예나, 선황의 재위 중에는 황후가 아니었지만 어린 황제의 생모이기 때문에 황태후가 된 예도 있다.[1]

유명한 예로는 전한의 여태후, 측천무후(스스로 황제가 됨), 서태후 등이 있다.[1] 또한, 1980년대에는 덩샤오핑이 총서기나 당 주석의 경험이 없음에도, 총서기나 총리를 뒤에서 조종하여 최고 실력자로 군림했던 것을 풍자하여 "수렴청정"이라고 불린 적이 있었다.[1]

후한에서는 태후 두씨가 의붓아들인 영제 재위 시기인 168년에 환관 세력을 배척하기 위해 수렴청정을 하였다.

3. 1. 한나라

여태후는 아들인 혜제 재위 기간(기원전 195년 ~ 기원전 188년)과 손자인 전소제, 후소제 재위 기간(기원전 188년 ~ 기원전 180년)에 수렴청정을 하였다.[1] 이 시기 조왕 유여의와 그의 생모 척부인 등이 살해되었다.[1]

3. 2. 북위

문명태후 풍씨는 헌문제 재위 시기(465년 ~ 469년)와 효문제 재위 시기(471년 ~ 490년)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을 했다. 1차 수렴청정 기간에는 승상 을혼을 살해하였고, 2차 수렴청정 기간에는 반록제, 삼장제, 균전제 등 여러 개혁을 실시했다.

영태후 호씨는 효명제 재위 시기(515년 ~ 520년, 525년 ~ 528년)에 걸쳐 두 차례 수렴청정을 했다. 1차 수렴청정 기간에는 주변 국가와의 외교 개선과 불교 진흥에 힘썼으며, 2차 수렴청정 기간에는 중앙 집권 강화를 추진했다.

태후시기황제주요 사건
문명태후 풍씨465년 ~ 469년헌문제승상 을혼 살해
문명태후 풍씨471년 ~ 490년효문제반록제, 삼장제, 균전제 등 개혁 실시
영태후 호씨515년 ~ 520년효명제주변 국가 외교 개선, 불교 진흥
영태후 호씨525년 ~ 528년효명제중앙 집권 강화


3. 3. 송나라

황후섭정 기간주요 사건
장헌태후 유씨인종 재위 시: 1022년 - 1033년군정 개혁, 서하요나라에 대한 우호 외교
선인태후 고씨철종 재위 시: 1085년 - 1093년왕안석의 신법(희녕 신법) 폐지, 신법당 축출, 구법당 복권(원우갱화)
흠성태후 향씨휘종 재위 시: 1100년 - 1101년신법당과 구법당의 융화
원우황후 맹씨재상 장방창의 요청: 1127년고종을 황제로 옹립
수성태황태후 오씨양손 광종 재위 시: 1194년광종의 폐위를 결정하고 영종을 황제로 옹립
수명태후 양씨양자 이종 재위 시: 1224년 - 1232년금나라에 대한 우호 외교


3. 4. 청나라

동태후는 청나라 함풍제의 후궁이자 동치제의 서모로, 2차례 수렴청정을 하였다.

기간주요 사건귀정 이유
1861년 - 1873년태평천국의 난 평정, 측근 환관 안덕해 처형동치제의 대혼 및 친정
1874년 - 1881년청불 전쟁해당없음



서태후는 함풍제의 후궁이자 동치제의 생모로, 3차례 수렴청정을 하였다.

기간주요 사건귀정 이유
1861년 - 1873년태평천국의 난 평정, 측근 환관 안덕해 처형동치제의 대혼 및 친정
1874년 - 1887년청불 전쟁, 동태후의 붕어광서제의 친정. 그러나 혼란을 우려한 중신들의 요청에 따라 3년간의 "훈정"을 조건으로 했으며, 실제로는 그 후에도 실권을 장악했다.
1898년 - 1908년무술 정변, 청일 전쟁, 의화단의 난해당없음



효정경황후광서제의 황후이자, 선통제 재위 시 수렴청정을 하였다.

기간주요 사건
1908년 - 1912년선통제의 퇴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