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턴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템플턴역은 캐나다 밴쿠버에 있는 스카이 트레인 캐나다선의 역이다. 거리층에 출구가 있고, 대합실에는 개집표기와 자동 발매기가 있으며, 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번 승강장은 워터프론트 방면, 2번 승강장은 YVR-공항 방면 열차가 정차한다. 북쪽 입구는 맥아더글렌 디자이너 아울렛 밴쿠버 공항으로 접근 가능하며, 남쪽 입구는 주차장에 인접해 있다. YVR-공항, 시아일랜드 센터, 템플턴역을 포함한 시아일랜드 내 역에서는 YVR AddFare 요금이 부과되지만, 템플턴역 이용 시에는 추가 요금이 없다. 템플턴역은 밴쿠버 국제공항과 다운타운 밴쿠버를 연결하며, 향후 터미널 시설 및 주차장 건설 계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카이트레인 (밴쿠버)의 철도역 - 오크리지-41번 애비뉴역
오크리지-41번 애비뉴역은 2009년에 개통된 스카이트레인 역으로, 서41번로와 캠비가의 교차로 근처에 위치하며,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버스 노선과 연결된다. - 스카이트레인 (밴쿠버)의 철도역 - 킹 에드워드역
킹 에드워드역은 2009년 개통한 밴쿠버 캐나다선의 역으로, 에드워드 7세를 기념하는 킹 에드워드 애비뉴에서 역명이 유래했으며, 독특한 승강장 구조와 퀸 엘리자베스 공원 인근 위치, 그리고 다양한 버스 노선과의 연결로 대중교통 이용이 용이하다. - 스카이트레인 캐나다선 - 오크리지-41번 애비뉴역
오크리지-41번 애비뉴역은 2009년에 개통된 스카이트레인 역으로, 서41번로와 캠비가의 교차로 근처에 위치하며,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버스 노선과 연결된다. - 스카이트레인 캐나다선 - 마린 드라이브역
마린 드라이브역은 2009년에 개업한 캐나다 라인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며, 밴쿠버 시내 유일의 지상역으로 주거 지역과 상업 시설 주변에 위치하고, 트롤리버스 및 버스 노선과 환승 가능하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선유도역
선유도역은 서울 지하철 9호선의 지하역으로 신목동역과 당산역 사이에 있으며,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중앙 2선의 급행열차 통과선을 갖추고 2009년 7월 24일 개통하여 선유도공원 등 주변 시설 이용객 증가와 함께 꾸준히 이용객 수가 늘고 있다. - 2009년 개업한 철도역 - 마라빌라역
마라빌라역은 이스트 3번가에 있는 로스앤젤레스 메트로 금선 역으로, 두 개의 선로와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12시 15분까지 운행한다.
템플턴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명 | 템플턴 |
원어 역명 | Templeton |
![]() | |
소재지 | 7600 Grauer Road, Richmond |
좌표 | 49 |
관할 | 트랜스링크 밴쿠버 국제공항 |
역 구조 | 평면 |
개업일 | 2009년 8월 17일 |
코드 | TM |
승강장 | 상대식 승강장 |
트랙 | 2 |
노선 정보 | |
노선 1 | 스카이트레인 캐나다선 |
전역 1 | 브리지포트 |
후역 1 | 시아일랜드 센터 |
2. 역 정보
템플턴역은 밴쿠버 국제공항의 일부인 시아일랜드에 있는 캐나다선의 역이다. 이 역에는 두 개의 입구가 있는데, 북쪽 입구는 템플턴역 도로에 인접해 있으며 맥아더글렌 디자이너 아울렛 밴쿠버 공항으로 접근할 수 있다. 남쪽 입구는 넓은 주차장에 인접해 있다.[4] 시아일랜드의 모든 역에서는 YVR-공항, 시아일랜드 센터, 템플턴역을 포함하여 5CAD의 추가 요금인 "YVR AddFare"가 적용된다.[5] 다만, 템플턴역에서 승차하는 경우에는 추가 요금이 부과되지 않으며, YVR-공항, 시아일랜드 센터, 템플턴역 간의 이동은 무료이다.[5]
2. 1. 역 구조
내행영어외행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