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은 라트비아의 철도 노선으로, 1875년 건설을 시작하여 1877년에 영업을 개시했다. 리가-투쿰스 I 구간으로 시작하여 1904년 투쿰스 II역이 개업했으며, 벤츠필스까지 연장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시설이 파괴되었고, 소련 시대에는 유르말라 지역의 관광객 증가로 승객 수가 늘었다. 1950년 리가-두불티 구간이 라트비아 최초의 전철 노선으로 개업했고, 1966년 투쿰스 II역까지 전철화되었다. 이 노선에는 총 24개의 역이 있으며, 리가 시내에는 5개, 유르말라에 14개의 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7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베를린 북부선
베를린 북부선은 베를린에서 슈트랄준트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19세기 중반 계획되어 1870년대에 개통되었으며, 베를린 북부 지역 발전에 기여했고, 독일 재통일 후 S반 노선 재개통 및 노선 개선 사업을 거쳐 현재 베를린 S반과 지역 열차가 운행 중이다. - 라트비아의 철도 노선 - 글루다-렌제선
글루다-렌제선은 1873년 옐가바에서 리투아니아의 마제이캬이까지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소련 시기 광궤로 개궤되어 리가-마제이캬이 등 노선에 기여했으나, 라트비아 재독립 이후 렌제까지 운행 구간이 단축되고 2010년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다. - 라트비아의 철도 노선 - 리가-루가지선
리가-루가지선은 리가와 루가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세계 대전과 독립의 영향, 독일군 보급로 사용, 소련 붕괴 후 경제적 어려움, 사고로 인한 전철화 구간 단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다양한 지역에 역이 위치해 있다.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 이름 |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 철도 |
원어 이름 | Dzelzceļa līnija Torņakalns—Tukums II |
![]() | |
노선 유형 | 철도 노선 |
노선 시스템 | 해당 정보 없음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위치 | 라트비아 |
기점 | 토르냐칼른스 역 |
종점 | 투쿰스 II 역 |
역 수 | 24개 |
노선 길이 | 65km |
개통일 | 1877년 9월 21일 |
폐쇄일 | 해당 정보 없음 |
소유주 | 해당 정보 없음 |
운영자 | 라트비안 철도 |
노선 성격 | 해당 정보 없음 |
차량기지 | 해당 정보 없음 |
사용 차량 | 해당 정보 없음 |
선로 길이 | 해당 정보 없음 |
선로 수 | 해당 정보 없음 |
기존 궤간 | 해당 정보 없음 |
하중 궤간 | 해당 정보 없음 |
최소 반경 | 해당 정보 없음 |
랙 시스템 | 해당 정보 없음 |
노선 번호 | 해당 정보 없음 |
전철화 방식 | 해당 정보 없음 |
속도 제한 | 해당 정보 없음 |
해발 고도 | 해당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일일 승객 수 | 해당 정보 없음 |
승객 수 | 해당 정보 없음 |
선로 구성 | |
토르냐칼른스-슬로카 | 복선 |
슬로카-투쿰스 II | 단선 |
전철화 정보 | |
전압 | 직류 3000V |
역 목록 (일부) | |
주요 역 | 토르냐칼른스 역 자술라욱스 역 데포 역 졸리투데 역 이만타 역 바비테 역 프리에다이네 역 리엘루페 역 불두리 역 진타리 역 마요리 역 두불티 역 야운두불티 역 품푸리 역 멜루지 역 아사리 역 바이바리 역 슬로카 역 쿠드라 역 케메리 역 스마르데 역 밀스칼네 역 투쿰스 I 역 투쿰스 II 역 |
기타 | |
![]() |
2. 역사
1872년 러시아 제국의 철도부에서는 발트 해 연안에 철도를 건설하기 위한 개인 투자자를 모집하였다. 이듬해 리가 시장인 알렉산더 팔틴을 대표로 한 리가-투쿰스 철도 회사가 설립되었고, 1875년 착공하여 58km 단선 철도가 건설되었다. 이후 1877년 9월 2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3] 초기 영업 구간은 리가-투쿰스 I(당시 명칭 투쿰스 동역)이었다. 1891년 리가-뒤나부르크 철도 회사에서 인수하였고, 1895년 국유화되었다. 20세기에 벤츠필스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1904년 투쿰스 II 역이 개업하였다. 건설 당시의 문제점은 리엘루페 강을 따라 가는 철교 및 해안 지대에 지어진 건물의 침수 피해였다. 1911년 슬로카 역 건물이 지어졌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여러 시설물이 파괴되었다.
전쟁의 피해로 1872년에 지어진 리엘루페 강을 건너는 철교가 파괴되었다. 1922년 철교 구간이 복구되고 1930년대 중반까지 작업이 계속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시 파괴되었다. 1941년부터 1949년까지는 이 노선을 비롯한 라트비아 철도 노선을 통해서 강제 이주를 당했다.
소련 시기에는 유르말라 지역이 인기있는 관광지였다. 청소년 수련원과 요양원, 휴가 별장이 지어졌고, 요양원에 소련 각 지역의 사람이 모이면서 승객이 계속 증가세를 보였다. 1950년 리가-두불티 구간이 라트비아의 첫 전철 노선으로 개업하였고, 이후 1951년 케메리, 1966년 투쿰스 II 역까지 전철화되었다.[4]
2. 1. 초기 역사 (1872년-1918년)
1872년 러시아 제국의 철도부는 발트 해 연안에 철도를 건설하기 위한 개인 투자자를 모집하였다. 이듬해 리가 시장인 알렉산더 팔틴을 대표로 한 리가-투쿰스 철도 회사가 설립되었고, 1875년 착공하여 58km 단선 철도가 건설되었다. 이후 1877년 9월 2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3] 초기 영업 구간은 리가-투쿰스 I(당시 명칭 투쿰스 동역)이었다. 1891년 리가-뒤나부르크 철도 회사에서 인수하였고, 1895년 국유화되었다. 20세기에 벤츠필스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1904년 투쿰스 II 역이 개업하였다. 건설 당시의 문제점은 리엘루페 강을 따라 가는 철교 및 해안 지대에 지어진 건물의 침수 피해였다. 1911년 슬로카 역 건물이 지어졌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여러 시설물이 파괴되었다.[3]2. 2. 세계 대전과 전후 복구 (1918년-1945년)
1872년 러시아 제국의 철도부는 발트 해 연안에 철도를 건설하기 위한 개인 투자자를 모집하였다. 이듬해 리가 시장인 알렉산더 팔틴을 대표로 한 리가-투쿰스 철도 회사가 설립되었고, 1875년 착공하여 58km 단선 철도가 건설되었다. 이후 1877년 9월 2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3] 1891년 리가-뒤나부르크 철도 회사에서 인수하였고, 1895년 국유화되었다. 20세기에 벤츠필스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1904년 투쿰스 II 역이 개업하였다. 건설 당시의 문제점은 리엘루페 강을 따라 가는 철교 및 해안 지대에 지어진 건물의 침수 피해였다. 1911년 슬로카 역 건물이 지어졌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여러 시설물이 파괴되었다.전쟁의 피해로 1872년에 지어진 리엘루페 강을 건너는 철교가 파괴되었다.[3] 1922년 철교 구간이 복구되고 1930년대 중반까지 작업이 계속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시 파괴되었다. 1941년부터 1949년까지는 이 노선을 비롯한 라트비아 철도 노선을 통해서 강제 이주를 당했다.
2. 3. 소련 시대 (1945년-1991년)
1941년부터 1949년까지 이 노선을 비롯한 라트비아 철도 노선을 통해 강제 이주가 이루어졌다.[4]소련 시기에는 유르말라 지역이 인기있는 관광지였다. 청소년 수련원과 요양원, 휴가 별장이 지어졌고, 요양원에 소련 각 지역의 사람이 모이면서 승객이 계속 증가세를 보였다.[4] 1950년 리가-두불티 구간이 라트비아의 첫 전철 노선으로 개업하였고, 이후 1951년 케메리, 1966년 투쿰스 II 역까지 전철화되었다.[4]
2. 4. 현재 (1991년- )
1872년 러시아 제국의 철도부는 발트 해 연안에 철도를 건설하기 위한 개인 투자자를 모집하였다. 1875년 착공하여 58km 단선 철도가 건설되었고, 1877년 9월 21일 영업을 시작하였다.[3] 1891년 리가-뒤나부르크 철도 회사에서 인수하였고, 1895년 국유화되었다. 20세기에 벤츠필스까지 노선이 연장되었고, 1904년 투쿰스 II 역이 개업하였다. 1911년 슬로카 역 건물이 지어졌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여러 시설물이 파괴되었다.전쟁으로 1872년에 지어진 리엘루페 강을 건너는 철교가 파괴되었다. 1922년 철교 구간이 복구되고 1930년대 중반까지 작업이 계속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다시 파괴되었다. 1941년부터 1949년까지는 이 노선을 비롯한 라트비아 철도 노선을 통해서 강제 이주를 당했다.
소련 시기에는 유르말라 지역이 인기있는 관광지였다. 1950년 리가-두불티 구간이 라트비아의 첫 전철 노선으로 개업하였고, 이후 1951년 케메리, 1966년 투쿰스 II 역까지 전철화되었다.[4]
3. 역 목록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에는 총 24개의 역이 있으며, 리가 시내에는 토르냐칼른스(Torņakalns), 자술라욱스(Zasulauks), 데포(Depo), 졸리투데(Zolitūde), 이만타(Imanta) 역을 포함하여 5개의 역이 있다. 리가에서 투쿰스 II(Tukums II) 역까지는 1시간 23분이 소요되며, 거리는 68km이다.
3. 1. 리가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에는 총 24개의 역이 있으며, 리가 시내에는 토르냐칼른스(Torņakalns), 자술라욱스(Zasulauks), 데포(Depo), 졸리투데(Zolitūde), 이만타(Imanta) 역을 포함하여 5개의 역이 있다. 리가에서 투쿰스 II 역까지는 1시간 23분이 소요되며, 거리는 68km이다.3. 2. 바비테
3. 3. 유르말라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에는 총 24개의 역이 있으며, 이 중 14개가 유르말라에 있다. 유르말라를 통과하는 역은 프리에다이네, 리엘루페, 불두리, 진타리, 마요리, 두불티, 야운두불티, 품푸리, 멜루지, 아사리, 바이바리, 슬로카, 쿠드라, 케메리 역이다.3. 4. 엔구레
3. 5. 투쿰스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에는 총 24개의 역이 있으며, 리가 시내에 5개, 바비테에 1개, 유르말라에 14개, 엔구레에 2개, 투쿰스에 2개 역이 있다. 리가에서 출발하여 투쿰스 II 역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은 1시간 23분이며, 리가에서의 거리는 68km이다.리가 시내에는 토르냐칼른스(Torņakalns), 자술라욱스(Zasulauks), 데포(Depo), 졸리투데(Zolitūde), 이만타(Imanta) 역이 있다. 바비테에는 바비테(Babīte) 역이, 유르말라에는 프리에다이네(Priedaine), 리엘루페(Lielupe), 불두리(Bulduri), 진타리(Dzintari), 마요리(Majori), 두불티(Dubulti), 야운두불티(Jaundubulti), 품푸리(Pumpuri), 멜루지(Melluži), 아사리(Asari), 바이바리(Vaivari), 슬로카(Sloka), 쿠드라(Kūdra), 케메리(Ķemeri) 역이 있다. 엔구레에는 스마르데(Smārde), 밀스칼네(Milzkalne) 역이 있으며, 투쿰스에는 투쿰스 I(Tukums I), 투쿰스 II(Tukums II) 역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ubliskās lietošanas dzelzceļa infrastruktūras pārskats 2011
http://www.ldz.lv/te[...]
Latvian Railways
2010-06-05
[2]
웹사이트
Latvijas dzelzceļu līnijas
http://www.railwaymu[...]
Latvian Railway History Museum
2010-10-09
[3]
웹사이트
Latvijas dzelzceļa vēstures muzejs
http://www.railwaymu[...]
2014-03-29
[4]
서적
Железные дороги Латвии
Jumava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