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미 본드 (야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미 본드는 1870년대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한 투수이다. 1874년 브루클린 애틀랜틱스에서 데뷔하여, 하트퍼드 다크블루스, 보스턴 레드캡스를 거치며 1877년 메이저 리그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1877년과 1878년 2년 연속 40승을 기록하며 보스턴의 내셔널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1884년 선수 생활을 마감한 후 심판, 가죽 사업, 보스턴 시 공무원으로 활동했으며, 1941년 보스턴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일랜드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베네딕트 앤더슨
베네딕트 앤더슨은 민족주의 연구에 큰 영향을 준 아일랜드계 영국인 학자이자 저술가로, 그의 저서 『상상된 공동체』에서 제시한 '상상된 공동체' 개념은 민족주의를 인쇄 자본주의와 연결하여 분석하며 널리 인용되고, 동남아시아 정치와 문화를 연구하며 반제국주의적 시각과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저술 활동을 했다. - 아일랜드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모린 오하라
아일랜드 출신 배우 모린 오하라는 193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까지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며 《자메이카 여관》, 《노트르담의 꼽추》, 《리오 그란데》, 《침묵의 사나이》, 《페어런트 트랩》 등에 출연, "테크니컬러의 여왕"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강인하고 독립적인 여성 캐릭터를 연기하여 많은 사랑을 받았고 아카데미 명예상을 수상했다.
토미 본드 (야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토미 본드 |
원어 이름 | Thomas Henry Bond |
출생일 | 1856년 4월 2일 |
출생지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롱포드 주 그래나드 |
사망일 | 1941년 1월 24일 |
사망지 | 미국매사추세츠 주보스턴 |
포지션 | 투수 / 우익수 |
투구/타석 | 우투/우타 |
신장 | 5피트 7.5인치 (약 171.5 cm) |
체중 | 160 파운드 (약 72.6 kg) |
선수 경력 | |
데뷔 리그 | MLB |
데뷔 | 1874년 5월 5일 |
마지막 리그 | MLB |
마지막 경기 | 1884년 8월 11일 |
선수 경력 (팀) | 브루클린 애틀랜틱스 (1874) 하트포드 다크 블루스 (1875–1876) 보스턴 레드캡스 (1877–1881) 우스터 루비 레그스 (1882) 보스턴 레즈 (1884) 인디애나폴리스 후지어스 (1884) |
감독 경력 (팀) | 우스터 루비 레그스 (1882) |
기록 | |
승패 | 234–163 |
평균자책점 | 2.14 |
탈삼진 | 972 |
수상 | |
주요 성적 | 트리플 크라운 (1877) 내셔널 리그 최다 승리 (1877, 1878) 내셔널 리그 평균 자책점 (1877, 1879) 내셔널 리그 탈삼진 (1877, 1878) |
2. 선수 경력
토미 본드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10년간 선수로 활동하며 총 6개의 팀에서 뛰었다. 소속팀은 브루클린 애틀랜틱스 (1874), 하트퍼드 다크블루스 (1875–1876), 보스턴 레드캡스 (1877–1881), 우스터 루비레그스 (1882), 보스턴 레즈 (1884), 인디애나폴리스 후지어스 (1884)이다.[1] 또한 우스터 루비레그스 소속 시절 6경기 동안 감독을 맡기도 했다.[1]
선수 경력 동안 세 시즌이나 40승 이상을 기록했으며, 소속팀 보스턴 레드캡스의 내셔널 리그 페넌트 우승을 두 번 경험했다. 투수로서 대부분의 기록 부문에서 리그 상위 10위 안에 꾸준히 이름을 올렸다. 특히 1877년에는 내셔널 리그에서 다승(40승), 평균자책점(2.11), 탈삼진(170) 부문 모두 1위를 차지하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최초의 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는 위업을 세웠다.[5][3]
통산 투수 기록은 234승 163패, 386 완투, 42 완봉승 등을 기록했으며, 외야수나 내야수로도 출전하여 타자로도 활동했다.[3] 그는 패스트볼, 커브볼을 주로 던졌고, 선수 경력 후반에는 스핏볼을 사용하기도 했다.[2] 그의 통산 볼넷 대비 탈삼진 비율은 역대 최상위권에 해당한다.[3]
선수 은퇴 후에는 1885년 내셔널 리그에서 17경기, 1891년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에서 1경기의 심판으로 활동한 기록이 있다. 1941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포레스트 힐스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6] 아일랜드의 야구 리그인 아이리쉬 베이스볼 리그에서는 매년 최고의 투수에게 '토미 본드 최우수 투수상'을 수여하며 그를 기리고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선수 경력 초기
토미 본드는 1856년 4월 2일 아일랜드 그라나드에서 영국인 아버지와 아일랜드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의 가족은 1862년에 미국 뉴욕 브루클린으로 이주했으며, 토미는 1870년대 초 그곳에서 아마추어 및 세미프로 야구를 시작했다.[2]본격적인 프로 선수 경력은 1874년 당시 내셔널 어소시에이션에 참가했던 브루클린의 브루클린 애틀랜틱스 클럽에서 시작되었다. 그해 투수로서 55경기에 등판했지만, 22승 32패를 기록하며 패전 수, 실점 수, 자책점, 피홈런 등 4개 부문에서 리그 최다를 기록하는 등 다소 부진한 출발을 보였다.[1] 그의 신인 시절인 1874년 10월 20일에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사상 노히터 달성에 아웃 카운트 하나만을 남겨두고 실패하기도 했다.[2]
이듬해인 1875년에는 하트퍼드 다크 블루스로 팀을 옮겼다. 하트퍼드 팀이 내셔널 리그에 가입한 1876년까지 2년간 소속되어 활동했으며, 이 기간 동안 2년 연속 1점대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투구를 선보였다. 하지만 1876년 7월 15일에는 조지 브래들리가 던진 메이저 리그 최초의 공식 노히터 경기에서 상대 팀 투수로서 패전을 기록하기도 했다.[2]
2. 2. 전성기
1874년 브루클린 애틀랜틱스 소속으로 프로 경력을 시작했으나, 22승 32패를 기록하며 다소 부진했다. 1875년 하트퍼드 다크블루스로 이적한 후 기량이 향상되어, 1876년 팀이 내셔널 리그에 가입한 해를 포함해 2년 연속 1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는 안정적인 투구를 선보였다.[2] 특히 1876년 7월 15일에는 조지 브래들리가 던진 메이저 리그 최초의 노히터 경기에서 패전 투수가 되기도 했다.[2]본드의 투수로서 전성기는 1877년 보스턴 레드캡스로 이적하면서 시작되었다. 이적 첫 해인 1877년, 그는 40승, 평균자책점 2.11, 170탈삼진을 기록하며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의 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는 위업을 세웠다.[5][3] 이는 팀의 내셔널 리그 우승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이듬해인 1878년에도 40승을 거두고 182탈삼진으로 2년 연속 리그 최다 탈삼진을 기록하며 보스턴의 2년 연속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1879년에는 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과 리그 최다인 11번의 완봉승을 기록했다.[2] 전성기 동안 그는 주로 패스트볼과 커브볼을 구사했으며, 선수 경력 후반에는 스핏볼을 던지기도 했다.[2]
이처럼 그는 1880년까지 내셔널 리그 초창기 보스턴 팀의 에이스 투수로 활약하며 팀의 두 차례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이 기간 동안 두 시즌 연속 40승을 포함하여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5]
2. 3. 선수 경력 후반
본드의 전성기는 보스턴 레드캡스 시절인 1877년부터 1880년까지였으나, 부상의 영향으로 1881년 이후에는 출장 기회가 크게 줄어 연간 몇 경기에만 출장하는 데 그쳤다.1882년에는 우스터 루비레그스 소속으로 뛰었으며, 이 기간 동안 6경기에서 팀의 감독을 맡기도 했다.[1] 1883년에는 한 해 동안 내셔널 리그에서 뛰지 않았다.
투수로서 본격적으로 복귀한 것은 1884년이었다. 이 해 유니온 어소시에이션의 보스턴 레즈에서 23경기에 등판하여 13승 9패를 기록했다. 시즌 중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의 인디애나폴리스 후지어스로 이적하여 5경기에 등판했지만, 인디애나에서는 승수를 올리지 못했다. 그해 8월 인디애나폴리스에서 방출되면서, 이후 선수로서 경기에 출장하는 일은 없었다.
선수 경력 후반에는 기존의 패스트볼, 커브볼과 더불어 스핏볼을 던지기도 했다.[2]
2. 4. 통산 기록
10년간 선수로 뛰며 3시즌 40승을 기록했고, 두 번 내셔널 리그 페넌트 우승을 경험했으며, 대부분의 투구 부문에서 10위 이내에 들었다. 1877년, 내셔널 리그 평균자책점(2.11), 다승(40), 탈삼진(170) 1위를 차지하며, 야구 역사상 최초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통산 408번 선발 등판해서 386 완투, 42 완봉, 234승 163패, 평균자책점 2.14[3]를 기록했다. 외야수와 내야수로도 출전했으며[3], 통산 타율 .238, 174타점, 213득점을 기록했다. 통산 볼넷 대비 탈삼진 비율은 5.0363으로, 이는 메이저 리그에서 1,000이닝 이상 던진 투수 중 역대 3위 기록이다.[3] (이전에는 130년 이상 이 기록을 보유했으며, 2018년 기준으로 은퇴한 투수 중에서는 여전히 1위 기록이다.[3])연도 | 소속팀 | 등판 | 선발 | 완투 | 완봉 | 홀드 | 승 | 패 | 세이브 | 승률 | 상대타자수 | 투구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평균자책점 | WHIP | ||||
---|---|---|---|---|---|---|---|---|---|---|---|---|---|---|---|---|---|---|---|---|---|---|---|---|---|
1874 | BRA | 55 | 55 | 55 | 1 | -- | 22 | 32 | 0 | -- | .407 | 2288 | 497.0 | 606 | 15 | 8 | -- | -- | 42 | 6 | 0 | 440 | 112 | 2.03 | 1.24 |
1875 | HAR | 40 | 39 | 37 | 6 | -- | 19 | 16 | 0 | -- | .543 | 1408 | 352.0 | 302 | 3 | 7 | -- | -- | 70 | 17 | 0 | 152 | 55 | 1.41 | 0.88 |
1876 | 45 | 45 | 45 | 6 | -- | 31 | 13 | 0 | -- | .705 | 1623 | 408.0 | 355 | 2 | 13 | -- | -- | 88 | 8 | 0 | 164 | 76 | 1.68 | 0.90 | |
1877 | BSN | 58 | 58 | 58 | 6 | -- | 40 | 17 | 0 | -- | .702 | 2165 | 521.0 | 530 | 5 | 36 | -- | -- | 170 | 18 | 0 | 248 | 122 | 2.11 | 1.09 |
1878 | 59 | 59 | 57 | 9 | -- | 40 | 19 | 0 | -- | .678 | 2159 | 532.2 | 571 | 5 | 33 | -- | -- | 182 | 13 | 0 | 222 | 122 | 2.06 | 1.13 | |
1879 | 64 | 64 | 59 | 11 | -- | 43 | 19 | 0 | -- | .694 | 2189 | 555.1 | 543 | 8 | 24 | -- | -- | 155 | 13 | 0 | 206 | 121 | 1.96 | 1.02 | |
1880 | 63 | 57 | 49 | 3 | -- | 26 | 29 | 0 | -- | .473 | 2082 | 493.0 | 559 | 1 | 45 | -- | -- | 118 | 24 | 0 | 298 | 146 | 2.67 | 1.23 | |
1881 | 3 | 3 | 2 | 0 | -- | 0 | 3 | 0 | -- | .000 | 113 | 25.1 | 40 | 3 | 2 | -- | -- | 2 | 3 | 0 | 17 | 12 | 4.26 | 1.66 | |
1882 | WOR | 2 | 2 | 0 | 0 | -- | 0 | 1 | 0 | -- | .000 | 62 | 12.1 | 12 | 0 | 7 | -- | -- | 2 | 1 | 0 | 13 | 6 | 4.38 | 1.54 |
1884 | BOS | 23 | 21 | 19 | 0 | -- | 13 | 9 | 0 | -- | .591 | 787 | 189.0 | 185 | 3 | 14 | -- | -- | 128 | 33 | 0 | 120 | 63 | 3.00 | 1.05 |
IND | 5 | 5 | 5 | 0 | -- | 0 | 5 | 0 | -- | .000 | 206 | 43.0 | 62 | 5 | 4 | -- | 2 | 15 | 7 | 0 | 51 | 27 | 5.65 | 1.54 | |
'84계 | 28 | 26 | 24 | 0 | -- | 13 | 14 | 0 | -- | .481 | 993 | 232.0 | 247 | 8 | 18 | -- | 2 | 143 | 40 | 0 | 171 | 90 | 3.49 | 1.14 | |
MLB:10년 | 417 | 408 | 386 | 42 | -- | 234 | 163 | 0 | -- | .589 | 15082 | 3628.2 | 3765 | 50 | 193 | -- | *2 | 972 | 143 | 0 | 1931 | 862 | 2.14 | 1.09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는 공식 기록 없음
- 통산 성적의 「*숫자」는, 불명 년도가 있음을 나타냄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석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루실패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타 | 타율 | 출루율 | 장타율 | OPS | |||
---|---|---|---|---|---|---|---|---|---|---|---|---|---|---|---|---|---|---|---|---|---|---|---|---|
1874 | BRA | 55 | 246 | 245 | 25 | 54 | 10 | 1 | 0 | 66 | 20 | 0 | 0 | -- | -- | 1 | -- | -- | 5 | 1 | .220 | .224 | .269 | .493 |
1875 | HAR | 72 | 289 | 289 | 32 | 77 | 11 | 3 | 0 | 94 | 33 | 5 | 1 | -- | -- | 0 | -- | -- | 5 | 6 | .266 | .266 | .325 | .592 |
1876 | 45 | 182 | 182 | 18 | 50 | 8 | 0 | 0 | 58 | 21 | -- | -- | -- | -- | 0 | -- | -- | 4 | -- | .275 | .275 | .319 | .593 | |
1877 | BSN | 61 | 260 | 259 | 32 | 59 | 4 | 3 | 0 | 69 | 30 | -- | -- | -- | -- | 1 | -- | -- | 15 | -- | .228 | .231 | .266 | .497 |
1878 | 59 | 236 | 236 | 22 | 50 | 4 | 1 | 0 | 56 | 23 | -- | -- | -- | -- | 0 | -- | -- | 9 | -- | .212 | .212 | .237 | .449 | |
1879 | 65 | 263 | 257 | 35 | 62 | 3 | 1 | 0 | 67 | 21 | -- | -- | -- | -- | 6 | -- | -- | 8 | -- | .241 | .259 | .261 | .519 | |
1880 | 76 | 290 | 282 | 27 | 62 | 4 | 1 | 0 | 68 | 24 | -- | -- | -- | -- | 8 | -- | -- | 14 | -- | .220 | .241 | .241 | .483 | |
1881 | 3 | 10 | 10 | 0 | 2 | 0 | 0 | 0 | 2 | 0 | -- | -- | -- | -- | 0 | -- | -- | 0 | -- | .200 | .200 | .200 | .400 | |
1882 | WOR | 8 | 32 | 30 | 1 | 4 | 0 | 0 | 0 | 4 | 2 | -- | -- | -- | -- | 2 | -- | -- | 3 | -- | .133 | .188 | .133 | .321 |
1884 | BOS | 37 | 166 | 162 | 21 | 48 | 8 | 0 | 0 | 56 | -- | -- | -- | -- | -- | 4 | -- | -- | -- | -- | .296 | .313 | .346 | .659 |
IND | 7 | 23 | 23 | 0 | 3 | 1 | 1 | 0 | 6 | -- | -- | -- | -- | -- | 0 | -- | 0 | -- | -- | .130 | .130 | .261 | .391 | |
'84계 | 44 | 189 | 185 | 21 | 51 | 9 | 1 | 0 | 62 | -- | -- | -- | -- | -- | 4 | -- | *0 | -- | -- | .276 | .291 | .335 | .626 | |
MLB:10년 | 488 | 1997 | 1975 | 213 | 471 | 53 | 11 | 0 | 546 | *174 | -- | -- | -- | -- | 22 | -- | *0 | *63 | *7 | .238 | .247 | .276 | .523 |
- 각 연도의 '''굵은 글씨'''는 리그 최고
- 「-」는 공식 기록 없음
- 통산 성적의 「*숫자」는, 불명확한 연도가 있음을 나타냄
3. 선수 경력 이후
본드는 1879년 아내 루이스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2]
프로 야구에서 은퇴한 후에는 내셔널 리그, 마이너 리그, 대학 경기에서 심판으로 활동했다.[2] 이후 1885년에는 내셔널 리그에서 17경기, 1891년에는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에서 1경기 심판으로 출장한 기록이 남아 있다. 그는 또한 아내의 가족 가죽 사업에서 일했으며, 수십 년 동안 보스턴 시에서 근무하기도 했다.[2]
1936년 야구 명예의 전당 원로 위원회 투표에서는 단 한 표를 얻는 데 그쳤다.[3]
본드는 1941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포레스트 힐스 묘지에 안장되었다.[4] 그가 사망했을 당시 그는 1878년 시즌의 마지막 생존 선수였으며, 내셔널 리그 첫 해(1876년)에 출전한 선수 중에서도 마지막까지 생존한 선수이기도 했다.
4. 사망
본드는 1941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서 84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포레스트 힐스 묘지에 안장되었다.[6][4] 그가 사망했을 당시, 그는 1878년 시즌의 마지막 생존 선수였다. 또한 내셔널 리그 첫 해인 1876년에 출전한 선수 중 마지막 생존자이기도 했다.[4]
5. 업적 및 평가
토미 본드는 10년간 선수로 뛰며 3시즌 동안 40승 이상을 기록했고, 보스턴 레드캡스 소속으로 두 번의 내셔널 리그 페넌트 우승(1877년, 1878년)을 경험했다. 선수 시절 대부분의 투구 부문에서 리그 10위 안에 들었다.
특히 1877년에는 내셔널 리그에서 평균자책점 (2.11), 다승 (40승), 탈삼진 (170개) 부문 모두 1위를 차지하며, 메이저 리그 역사상 최초의 투수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이듬해인 1878년에도 40승과 182탈삼진으로 다승과 탈삼진 부문 리그 1위를 기록했으며, 1879년에는 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과 함께 리그 최다인 11번의 완봉승을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으로 내셔널 리그 설립 초기 보스턴 레드캡스의 주력 투수로서 팀의 2년 연속 리그 우승(1877, 1878)에 크게 기여했다.
통산 기록으로는 408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386번의 완투와 42번의 완봉을 포함해 234승 163패를 기록했다. 그의 통산 삼진/볼넷 비율은 4.44로, 이는 메이저 리그에서 1000이닝 이상 던진 투수들 중 역대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5] 투수 외에도 외야수나 내야수로 경기에 나서 .238의 타율과 174타점, 213득점을 기록하기도 했다.
선수 은퇴 후에는 1885년 내셔널 리그에서 17경기, 1891년 아메리칸 어소시에이션에서 1경기 심판으로 활동한 기록이 있다. 그는 내셔널 리그가 출범한 1876년에 활동했던 선수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했던 인물이기도 하다.
아일랜드의 야구 리그인 아이리쉬 베이스볼 리그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려 매년 최고의 투수에게 '토미 본드 최우수 투수상'을 수여하고 있다.
'''주요 기록'''
- 최다승: 2회 (1877년, 1878년)
- 최우수 평균자책점: 2회 (1877년, 1879년)
- 최다 탈삼진: 2회 (1877년, 1878년)
참조
[1]
웹사이트
Tommy Bond Statistics and History
https://www.baseball[...]
2019-10-27
[2]
sabrbio
Chris Rainey
2019-10-27
[3]
웹사이트
Career Leaders & Records for Strikeouts / Base On Balls
https://www.baseball[...]
Baseball Reference
2017-10-09
[4]
웹사이트
Tommy Bond's career statistics
http://www.retroshee[...]
Retrosheet, Inc
2009-04-07
[5]
웹인용
Career Leaderboards
http://www.fangraphs[...]
팬그래프
2009-09-16
[6]
웹인용
Tommy Bond's career statistics
http://www.retroshee[...]
레트로시트
200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