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투스카로라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스카로라 전쟁은 1711년부터 1715년까지 현재의 노스캐롤라이나에서 투스카로라 족과 유럽 백인 정착민 간에 벌어진 무력 충돌이다. 17세기 초부터 백인과의 교역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던 투스카로라 족은 백인들의 토지 침탈과 노예 무역으로 인해 갈등을 겪었고, 결국 1711년 남부 투스카로라 족이 백인 정착민을 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노스캐롤라이나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백인 민병대와 동맹을 맺은 투스카로라 족 간의 전투 끝에 투스카로라 족은 패배했고, 많은 수가 죽거나 노예로 팔려갔으며, 일부는 뉴욕으로 이주했다. 전쟁 이후, 투스카로라 족은 영토를 상실하고 분열되었으며, 1715년에는 투스카로라 전쟁에 백인 편에서 참전했던 야마시 족이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야마시 전쟁을 일으키는 등, 주변 인디언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9년에는 투스카로라 족의 주요 요새였던 네오헤로카가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고, 2013년에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투스카로라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711년 투스카로라족의 포로가 된 크리스토프 폰 그라펜리트(1661-1743)와 존 로슨(1674-1711).
1711년 9월 16일 존 로슨의 처형.
기본 정보
분쟁 명칭투스카로라 전쟁
일부미국 인디언 전쟁
날짜1711년 9월 10일 – 1715년 2월 11일 ()
장소동부 노스캐롤라이나
결과영국 식민지의 승리
* 투스카로라족은 뉴욕으로 이주함
교전 세력
교전국 1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애팔래치족
카토바족
체로키족
야마시족
교전국 2투스카로라족
코리족
코테치니족
마차푼가족
마타무스키트족
뉴시오크족
팸리코족
세네카족
위톡족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에드워드 하이드| 존 반웰| 제임스 무어| 베른베르크 남작| 존 로슨|톰 블런트 추장}}
교전국 2 지휘관핸콕 추장

2. 배경

1653년부터 유럽 백인들이 노스캐롤라이나에 본격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했다. 당시 미국의 식민지는 거의 모든 현지의 인디언과 분쟁을 일으켰지만, 투스카로라 족은 50년 이상 노스캐롤라이나에 정착한 백인들과 평화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백인들이 계속해서 인디언 영토를 점유하면서 결국 노스캐롤라이나 인디언들은 파멸을 맞게 되었다.

2. 1. 유럽인의 식민지 정착

1653년부터 유럽 백인들이 노스캐롤라이나에 본격적으로 정착하기 시작했다.[1] 초기 50여 년간 투스카로라 족은 백인 정착민들과 비교적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백인 정착민들이 계속해서 인디언 영토를 잠식하면서 갈등이 심화되었다.[1]

당시 투스카로라 족은 톰 블런트 추장이 이끄는 북부 집단과 핸콕 추장이 이끄는 남부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다. 톰 블런트 추장 무리는 로어노크 강 주변, 오늘날 버티 카운티 지역에서 살았고, 핸콕 추장 무리는 뉴번 근처 팸플리코 강(오늘날 팸리코 강) 남쪽에 거주했다. 블런트 추장은 버티 지역 백인 이주민 블라운트 가와 친하게 지냈지만, 핸콕 추장 무리는 백인에게 습격당해 부족민이 노예로 팔려가는 피해를 입었다. 두 집단 모두 백인이 가져온 질병에 시달리고, 정착민에게 땅을 빼앗기는 상황이었다.[1]

정착민들이 투스카로라 영토에 더 가까이 다가오고 상호작용이 잦아지면서 자원 경쟁, 공유된 사냥터, 문화적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했다.[1] 특히 투스카로라는 존 로슨이 자신의 저술을 통해 해당 토지가 유럽인 정착에 유리하다고 강조하고, 투스카로라 영토를 침범한 뉴번 건설에 기여한 것을 문제 삼았다.[2]

결국 핸콕 추장 무리는 백인 정착민을 무력으로 쫓아낼 수밖에 없다고 결정했다. 톰 블런트 추장은 이 시점에서 전쟁에 관여하지 않았다.[1]

백인들은 인디언 추장을 수장 또는 "부족 지도자"라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합의제의 '조정자'였으며 부족을 '주도'하거나 '지배'하는 권력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백인들은 추장과 맹약하면 모든 부족민이 그것을 따라야 한다고 오해했다.[1]

2. 2. 투스카로라족의 분열

당시 투스카로라족은 크게 북부와 남부 두 집단으로 나뉘어 있었다. 북부 집단은 톰 블런트 추장의 지휘 아래 로어노크 강 유역(현재 버티 군)에 거주했다. 톰 블런트 추장은 버티 지역 백인 이주민 블라운트 가와 친하게 지냈다.[1] 남부 집단은 핸콕 추장의 지휘 아래 팸리코 강 남쪽(뉴번 근처)에 거주했으며,[1] 노예 사냥꾼들의 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1]

두 집단 모두 백인이 가져온 질병에 시달리고 있었으며, 정착민들에게 땅을 빼앗기는 상황이었다.[1] 결국 남부 핸콕 추장 무리들은 백인 정착민을 무력으로 쫓아낼 수밖에 없다고 결정했지만, 톰 블런트 추장은 이 시점에서 전쟁에 관여하지 않았다.[1]

백인들은 인디언 추장을 수장 또는 "부족 지도자"라고 믿었지만, 실제로는 합의제의 '조정자'였으며 부족을 '주도'하거나 '지배'하는 권력자가 아니었다. 그러나 백인들은 추장과 맹약하면 모든 부족민이 그것에 따라야 한다고 오해했다.[1]

2. 3. 백인과 인디언 간의 오해

백인들은 인디언 추장을 '부족 지도자' 또는 '왕'과 같은 권력자로 오해했다. 실제 인디언 사회는 합의제 민주주의를 따랐으며, 추장은 조정자 역할에 불과했다.[5] 그러나 백인들은 추장과의 약속을 부족 전체의 의무로 간주하는 오해를 했다.

3. 전쟁의 발발

18세기 초, 노스캐롤라이나에는 톰 블런트 추장이 이끄는 북부 투스카로라족과 핸콕 추장이 이끄는 남부 투스카로라족, 두 부족이 있었다. 블런트 추장은 로어노크 강의 버티 군 지역에 거주하며 지역 유력 가문과 친밀한 관계를 맺은 반면, 핸콕 추장은 뉴번 근처 팸리코 강 남쪽에 거주하며 노예 상인들의 습격과 납치로 고통받았다.

잉글랜드인들이 캐롤라이나에 정착하면서 투스카로라족은 이들과의 교역을 통해 이득을 얻었다. 특히 북부 투스카로라족은 잉글랜드인들로부터 무기와 금속 제품을 획득하여 다른 부족들에 대한 상업적 지배력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남부 투스카로라족은 유럽인 정착민의 수가 증가하면서 북부 투스카로라족으로부터 고립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식민지 개척자들은 투스카로라족 영토로 계속 진입했고, 자원 경쟁, 공유된 사냥터, 문화적 차이로 인해 갈등이 발생했다.[1]

투스카로라족은 존 로슨이 자신의 저술을 통해 유럽인 정착에 유리한 토지임을 강조하고, 뉴번 건설에 기여한 것을 문제 삼았다.[2] 정착민들이 동부 노스캐롤라이나의 늪지대 대신 비옥한 고지대를 찾아 서쪽으로 이동하고, 인디언 노예 무역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투스카로라족과 앵글로 식민지 개척자들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었다.[3][4]

이러한 상황에서 핸콕 추장이 이끄는 남부 투스카로라족은 코리, 코테크니, 마차풍가, 매터머스킷, 뉴즈, 팸리코, 세네콰, 위톡과 동맹을 맺고 정착민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블런트 추장이 이끄는 북부 투스카로라족은 전쟁에 개입하지 않았다. 일부 역사가들은 이 전쟁이 식민지 주민과 투스카로라족 간의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5]

3. 1. 남부 투스카로라족의 봉기 (1711년)

1711년 가을, 핸콕 추장이 이끄는 남부 투스카로라 족은 팸플리코 족, 코세치니 족, 코어 족, 마타마스키토 족, 마체펀고 족과 연합하여 로어노크 강, 뉴즈 강, 트렌트 강변의 농장과 배스 시를 공격했다.[13] 9월 22일에 시작된 이 공격은 존 로슨을 비롯한 주요 인사들을 포함하여 수백 명의 정착민을 살해하거나 피난길에 오르게 했다.[2] 당시 투스카로라족에게 포로로 잡혀 있었던 크리스토프 폰 그라펜리드, 베른베르크 남작은 여성들이 말뚝에 꿰이고, 80명 이상의 유아가 살해되었으며, 뉴번 정착지에서 130명 이상의 정착민이 살해되었다고 전했다.[6]

식민지 주지사였던 에드워드 하이드는 노스캐롤라이나 민병대를 소집하고, 사우스캐롤라이나 의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의회는 존 반웰 대령이 지휘하는 600명의 민병과 360명의 인디언을 파견했다.[13]

3. 2. 노스캐롤라이나의 대응과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지원

1711년 노스캐롤라이나 주지사 에드워드 하이드는 민병대를 소집하고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지원을 요청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는 존 반웰 대령이 이끄는 600명의 민병대와 360명의 인디언 지원군을 파견했다.[13] 1712년 이들은 뉴스 강변의 나한츠 요새에서 남부 투스카로라족을 공격하여 큰 타격을 입혔다. 300명 이상의 투스카로라족 전사들이 사망하고, 100여 명(주로 여성과 어린이)이 포로로 잡혀 노예로 팔렸다.[13]

4. 전세의 역전과 톰 블런트의 배신

1711년 가을, 핸콕 추장이 이끄는 남부 투스카로라 족은 팸플리코 족, 코세치니 족, 코어 족, 마타마스키토 족, 마체펀고 족과 연합하여 로어노크 강, 뉴스 강, 트렌트 강변 농장과 바스 시 등 넓은 범위의 정착민을 습격했다. 1711년 9월 22일에 시작된 첫 공격으로 수백 명의 정착민이 죽었고, 정치적 중심 인물들도 죽거나 피해 다녀야 했다.

식민지 주지사였던 에드워드 하이드는 노스캐롤라이나 민병대를 소집하고, 사우스캐롤라이나 의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의회는 존 반웰 대령이 지휘하는 600명의 민병과 360명의 인디언을 파견했다. 이 부대는 1712년 뉴스 강변의 나한츠 요새에서 남부 투스카로라 족과 크레이븐 카운티의 다른 부족을 공격하여 큰 피해를 입혔다. 300명 이상의 인디언이 죽고 100여 명이 포로가 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여자와 아이로 노예로 팔려갔다.

이런 상황에서 백인들은 톰 블런트에게 핸콕 추장 무리를 진압하는 것을 도우면 투스카로라 족 전체를 통치할 기회를 주겠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백인들은 추장을 '부족 지배자'로 오해하고 있었기 때문에, 중재자 역할을 했던 핸콕 추장을 죽임으로써 남부 투스카로라 족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벗어나 뉴욕으로 이주를 시작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4. 1. 톰 블런트의 협력

톰 블런트는 백인 정착민들이 핸콕 추장 체포를 돕는 대가로 투스카로라 족 전체 통치권을 제안하자, 이를 수락했다. 톰 블런트는 핸콕 추장을 체포했고, 백인들은 1712년 핸콕 추장을 처형했다.[7] 이는 동족을 배신하고 제국주의 침략자들의 앞잡이가 된 행위로 볼 수 있다.

4. 2. 네오헤로카 요새 함락 (1713년)

1713년, 남부 투스카로라 족은 그린 카운티에 있던 네오헤로카 요새를 함락당했다.[8] 이 전투에서 900명 이상이 죽거나 포로로 잡혔다.[13] 네오헤로카는 당시 투스카로라 요새 중 하나였다. 다른 요새로는 토룬타, 이넨니츠, 케테크나가 있었으며, 이 요새들은 모두 투스카로라 전쟁 중에 노스캐롤라이나 식민지 주민들에 의해 파괴되었다.[9]

네오헤로카 요새에 대한 고고학적 분석에 따르면, 투스카로라 족은 북미에서 화기, 폭발물, 포병과 같은 현대적인 전쟁 방식에 적응하고 있었다.[10] 그러나 투스카로라 족은 상대방이 사용한 정교한 포병과 폭발물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네오헤로카 요새에서 패배했다.[10] 사실, 네오헤로카 요새는 "...동시대 유라시아계 미국인 개척지 요새와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우월했다."[10] 제임스 무어 대령과 그의 사우스캐롤라이나 군대는 약 950명을 살해하거나 생포하여 카리브해 또는 뉴잉글랜드로 노예로 팔았다.[11]

5. 전쟁의 결과

1718년 6월, 살아남은 투스카로라족은 정착민과 조약을 체결하고 현재 버티 카운티에 있는 로어노크 강 토지 이용을 인정받았다. 이 지역은 이미 톰 블런트 추장(블런트라는 이름을 사용) 등 북부 부족의 영토였다. 노스캐롤라이나 의회는 톰 블런트에게 "톰 블런트 왕"이라는 칭호를 주었지만, 인디언 사회는 합의제민주주의이며, "왕"과 같은 군주제는 없었다.

남부 투스카로라족은 팸플리코 강 유역의 고향에서 쫓겨나 버티로 강제 이주당했다. 1722년 버티 카운티가 설립되면서, 이후 수십 년 동안 남아있던 투스카로라족의 땅은 종종 '인디언을 위한 것'이라는 명목으로 조금씩 매각되어 빼앗겼다.

투스카로라 전쟁에서 백인 정착민을 도운 야마시족 등은 1715년부터 야마시 전쟁을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일으켰다.

5. 1. 투스카로라족의 이주와 분열

1718년 6월, 살아남은 투스카로라족은 정착민과 조약을 체결하여 현재 버티 카운티에 있는 로어노크 강 유역의 토지 이용을 인정받았다. 이 지역은 이미 톰 블런트 추장(블런트라는 이름을 사용) 등 북부 부족의 영토였으며, 넓이는 227km2였다. 노스캐롤라이나 의회는 톰 블런트에게 "톰 블런트 왕"이라는 칭호를 주었지만, 인디언 사회는 합의제민주주의이며, "왕"과 같은 군주제는 없었다.[7]

남부 투스카로라족은 팸플리코 강 유역의 고향에서 쫓겨나 버티로 강제 이주당했다. 1722년 버티 카운티가 설립되면서, 이후 수십 년 동안 남아있던 투스카로라족의 땅은 종종 '인디언을 위한 것'이라는 명목으로 조금씩 매각되어 빼앗겼다.

결정적인 패배 이후, 많은 투스카로라족이 뉴욕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그곳에서 그들은 호데노쇼니 연맹의 다섯 부족에 합류하여 1722년 여섯 번째 부족으로 받아들여졌다. 일부 투스카로라 부족은 수십 년 동안 블런트와 함께 노스캐롤라이나에 남아 있다가 1802년에 마지막으로 뉴욕으로 떠났다.[7]

5. 2. 야마시 전쟁 (1715년)

투스카로라 전쟁에서 백인 정착민의 아군이 된 야마시 족 등의 인디언은 1715년부터 ‘야마시 전쟁’을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일으켰다.[12] 투스카로라 전쟁은 이 지역에 지속적인 평화를 가져다주지 못했다. 1715년 4월 15일 성금요일에 아팔라치족, 사바나족, 로어 크릭족, 체로키족, 야마시족 등 여러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우스캐롤라이나를 공격했는데, 이들은 모두 투스카로라 전쟁 당시 바른웰과 무어 대령의 동맹이었다. 이 공격으로 야마시 전쟁이 시작되었다.[12]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야마시족과 다른 부족들은 투스카로라 전쟁을 통해 식민 정착민들이 아메리카 원주민 노예 무역에 깊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투스카로라 전쟁은 노예로 삼을 수 있는 이 지역 아메리카 원주민의 수를 급격히 감소시켰다. 이를 염두에 두고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부족들은 선제 공격을 결정했다. 한 역사가의 말처럼 "인디언으로서 함께 뭉쳐서, 식민지가 더 강해지기 전에 공격하고, 상인들을 죽이고, 농장을 파괴하고, 찰스 타운을 불태우고, 노예 매매를 끝내는 것이 낫다".[12]

야마시 전쟁 동안, 제임스 무어 대령의 동생인 모리스 무어 대령은 야마시족과의 전투에서 연대를 이끌었다. 그의 연대에는 투스카로라 전쟁 당시 자신들과 싸웠던 야마시족에 대항해 싸우기를 열망하는 약 70명의 투스카로라 전사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야마시 전쟁 이후, 이 투스카로라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관리들의 요청에 따라 사우스캐롤라이나에 남아 동맹으로서 스페인과 그들의 아메리카 원주민 동맹으로부터 식민지를 보호했다. 이 합의의 일환으로 사우스캐롤라이나는 투스카로라 전쟁 중에 빼앗은 노예 1명을 임무 수행 중 사망한 각 투스카로라족과 포획한 각 적대적인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해 투스카로라족에게 돌려주었다. 이 기간 동안, 투스카로라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정부로부터 존경을 받아 식민지 내에서 토지를 받게 되었다.[12]

야마시 전쟁과 나머지 투스카로라족과 이 지역의 다른 아메리카 원주민 집단 간의 다른 갈등은 투스카로라 전쟁이 남부 아메리카 원주민 간의 관계를 불안정하게 만들었음을 보여주는 예이다.

5. 3. 노예 무역의 변화

투스카로라 전쟁과 야마시 전쟁은 캐롤라이나 식민지의 노예 무역에 있어 전환점이 되었다. 1717년까지 사우스캐롤라이나는 노예 무역을 규제하기 시작했다.[12] 두 전쟁 이후, 노예로 삼을 수 있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수가 상당히 감소했다. 이 시기에 아메리카 원주민은 노예보다 동맹으로서 더 가치 있는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이는 북아메리카 지배권을 두고 프랑스와 영국 간의 지속적인 권력 투쟁 때문이었다. 식민주의자들이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동맹을 추구하면서, 흑인 노예화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5. 4. 투스카로라족 영토의 상실

1718년 6월, 살아남은 투스카로라족은 정착민과 조약을 맺고 현재의 버티 카운티에 있는 로어노크 강 유역의 토지 이용을 인정받았다. 이 지역은 이미 톰 블런트 추장 등 북부 부족의 영토였으며, 그 넓이는 227km2였다. 톰 블런트 추장은 블런트라는 이름을 받았고, 노스캐롤라이나 의회는 그에게 "톰 블런트 왕"이라는 칭호를 주었다. 덧붙여서 인디언 사회는 합의제 민주주의이며, "왕"과 같은 군주제 사회 시스템은 없었다.

남부 투스카로라족은 팸리코 강 유역의 고향에서 쫓겨나 버티로 강제 이주당했다. 1722년 버티 카운티가 설립되었고, 이후 수십 년간 남아 있던 투스카로라족의 땅은 종종 '인디언을 위한 것'이라는 명목으로 조금씩 매각되거나 빼앗겼다.

6. 현대의 평가와 기념

2009년 네오헤로카 요새가 국립 사적지로 지정되었고,[1] 2013년에는 기념비 제막식과 기념 행사가 열려 뉴욕과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온 투스카로라족 후손들이 참석했다.[1]

6. 1. 국립 사적지 지정 (2009년)

2009년 7월 17일, 네오헤로카 요새는 국립 사적지에 등재되었다.[1] 2013년 3월에는 그곳에 기념비가 세워지고 기념식이 거행되었으며, 뉴욕과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온 투스카로라족 후손들이 이 행사에 참석했다.[1]

6. 2. 기념 행사 (2013년)

2013년 3월, 네오헤로카 요새에서 기념비 제막식과 함께 기념 행사가 열렸다. 이 행사에는 뉴욕과 노스캐롤라이나에서 온 투스카로라족 후손들이 참석했다.[1]

참조

[1] 서적 The Tuscarora War : Indians, settlers, and the fight for the Carolina colonie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2] PhD For the Men on the Ground : an examination of the Tuscaroras-colonial relations in North Carolina before and during the Tuscarora War https://thescholarsh[...] East Carolina University 2014
[3] 서적 The Tuscarora War : Indians, Settlers, and the Fight for the Carolina Colonie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4] 서적 The Tuscarora War : Indians, Settlers, and the Fight for the Carolina Colonie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5] 간행물 John Lawson, the Outbreak of the Tuscarora Wars, and "Middle Ground" Theory https://web.archive.[...] Journal of the North Carolina Association of Historians 2010-04
[6] 문서 Christoph Von Graffenried's Account of the Founding of New Bern
[7] 뉴스 The Tuscarora War https://www.ncpedia.[...] North Carolina Literary Review 1992
[8] 웹사이트 North Carolina Archaeology: Fort Neoheroka http://www.arch.dcr.[...] Department of Cultural Resources
[9] 간행물 The Tuscarora War: Culture Clash in North Carolina Central States Archaeological Journal 2020-03-30
[10] 웹사이트 Architecture of a Tuscarora Fortress: The Neoheroka Fort and the Tuscarora War (1711–1715) https://www.coastalc[...] Coastal Carolina Indian Center 2020-03-30
[11] 서적 A People and A Nation 2005
[12] 서적 The Tuscarora War : Indians, settlers, and the fight for the Carolina colonie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3
[13] 웹사이트 http://www.arch.dc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