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리메니아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리메니아속은 트리메니아과에 속하는 8종의 식물 속이다. 이 속의 종들은 솔로몬 제도, 뉴기니, 마르키즈 제도,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 누벨칼레도니, 피지, 사모아 등에서 발견된다. APG IV 분류 체계에 따르면 트리메니아과는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의 유일한 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3년 기재된 식물 - 미역
    미역은 동아시아 원산의 갈조류로, 식용 해조류이자 건강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전 세계로 확산되어 침입종 문제도 야기하며, 부착기, 줄기, 잎으로 구성되고, '와카메'에서 유래한 이름과 함께 고대부터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1873년 기재된 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트리메니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트리메니아 웨인만니아에폴리아 99
트리메니아 웨인만니아에폴리아
기본 정보
학명Trimenia (plant)
명명자Seem. (1873)
이전 학명Piptocalyx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
트리메니아과 (Trimeniaceae)
과 명명자Gibbs, 1917
하위 분류
8종 (본문 참조)
모식종T. weinmanniifolia Seem.

2. 하위 분류


  • ''트리메니아 부겐빌렌시스''(Trimenia bougainvilleensis) (Rodenb.) A.C.Sm. - 솔로몬 제도[1]
  • ''트리메니아 마크루라''(Trimenia macrura) (Gilg & Schltr.) Philipson - 뉴기니[1]
  • ''트리메니아 마르케센시스''(Trimenia marquesensis) F.Br. - 마르키즈 제도[1]
  • ''트리메니아 무어이''(Trimenia moorei) (Oliv.) Philipson - 뉴사우스웨일스주, 퀸즐랜드주[1]
  • ''트리메니아 네오칼레도니카''(Trimenia neocaledonica) Baker f. - 누벨칼레도니[1]
  • ''트리메니아 누쿠히벤시스''(Trimenia nukuhivensis) W.L.Wagner & Lorence - 마르키즈 제도[1]
  • ''트리메니아 파푸아나''(Trimenia papuana) Ridl. - 뉴기니[1]
  • ''트리메니아 와이만니이폴리아''(Trimenia weinmanniifolia) Seem. - 피지, 사모아[1]

총 8종이 인정된다.[1]

3. 계통 분류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트리메니아과를 속씨식물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의 유일한 과로 분류하며,[5]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및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6][7] 그 이전의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속씨식물군 아래에 목을 따로 두지 않고 트리메니아과만 인정했다.[8]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9]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다.[10]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11] 1964년 엥글러 분류 체계는 관상식물문(Siphonogamae[=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ychlamyde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다.[12]

3. 1. APG 분류 체계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트리메니아과를 속씨식물군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의 유일한 과로 분류하며,[5]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및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6][7] 그 이전의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속씨식물군 아래에 목을 따로 두지 않고 트리메니아과만 인정했다.[8]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9]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다.[10]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11] 1964년 엥글러 분류 체계는 관상식물문(Siphonogamae[=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ychlamyde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다.[12]

3. 2. 기타 분류 체계

2016년 APG IV 분류 체계에서는 트리메니아과를 속씨식물군 아우스트로바일레이아목의 유일한 과로 분류하며,[5] 이는 2009년 APG III 분류 체계 및 2003년 APG II 분류 체계의 분류와 동일하다.[6][7] 그 이전의 1998년 APG 분류 체계에서는 속씨식물군 아래에 목을 따로 두지 않고 트리메니아과만 인정했다.[8]

1992년 손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9] 1981년 크론퀴스트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문(Magnoliophyta[=속씨식물]) 목련강(Magnoliopsida[=쌍떡잎식물]) 목련아강(Magnoliid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다.[10] 1980년 달그렌 분류 체계는 트리메니아과를 목련강(Magnoliopsida[=속씨식물]) 목련아강(Magnoliideae[=쌍떡잎식물]) 목련상목(Magnolianae) 녹나무목(Laurales) 아래에 분류했으며,[11] 1964년 엥글러 분류 체계는 관상식물문(Siphonogamae[=종자식물]) 속씨식물아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ychlamydeae) 목련목(Magnoliales) 아래에 분류했다.[12]

참조

[1] 웹사이트 "''Trimenia'' Seem." https://powo.science[...] 2024-08-22
[2] 웹사이트 Trimeniaceae Gibbs https://powo.science[...] 2024-08-22
[3] 문서 A Contribution to the Phytogeography and Flora of the Arfak Mountains
[4] 문서 Flora Vitiensis
[5]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s://academic.oup[...]
[6]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s://academic.oup[...]
[7] 저널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 https://academic.oup[...]
[8] 저널 An Ordinal Classification for the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http://www.bergiansk[...]
[9] 저널 Classification and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10] 서적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11] 저널 A revis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the angiosperms
[12] 서적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üder Borntraeger 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