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벨칼레도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벨칼레도니는 오세아니아에 위치한 프랑스의 특별 공동체로, 1774년 제임스 쿡 선장에 의해 발견되었다. 약 5만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멜라네시아인과 폴리네시아인의 영향을 받았다. 1853년 프랑스 식민지가 되었으며, 니켈 매장량 세계 5위의 광업 중심지이다. 1956년 프랑스 해외 영토가 되었으며, 1980년대부터 독립 운동이 시작되어 여러 차례 국민 투표를 거쳤다. 3개의 주와 33개의 코뮌으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프랑스어와 28개의 카나크어를 사용한다. 문화적으로는 목각, 바구니 짜기, 카네카 음악 등이 있으며, 스포츠로는 축구, 농구, 경마 등이 인기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세아니아의 속령 - 니우에
    니우에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자치 국가로, 1974년 뉴질랜드와의 자유 연합을 통해 자치권을 획득했으며, 20명의 의회와 총리를 중심으로 정부를 운영하고, 외교와 국방은 뉴질랜드가 담당하며, 농업과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오세아니아의 속령 - 왈리스 푸투나
    왈리스 푸투나는 남태평양의 프랑스 해외 준주로, 왈리스 제도와 푸투나 제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폴리네시아 문화권에 속하고, 전통적인 세 왕국이 존재하며 프랑스 법과 관습법이 함께 적용된다.
  • 멜라네시아 - 뉴기니섬
    뉴기니섬은 오세아니아에 위치한 섬으로, 여러 국가의 식민 지배를 거쳐 현재 인도네시아령과 파푸아뉴기니령으로 나뉘어 있으며, 다양한 부족과 언어가 존재하고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한다.
  • 멜라네시아 - 파푸아인
    파푸아인은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거주하며 오스트랄로이드 인종에 속하고 다양한 고유 언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으로, 화전 농업, 수렵, 가축 사육을 하며 부계 씨족 중심의 사회를 이루고 독특한 풍습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 유전학 연구를 통해 데니소바인과의 유전적 혼합이 밝혀졌다.
  • 해외 프랑스 - 왈리스 푸투나
    왈리스 푸투나는 남태평양의 프랑스 해외 준주로, 왈리스 제도와 푸투나 제도로 이루어져 있으며 폴리네시아 문화권에 속하고, 전통적인 세 왕국이 존재하며 프랑스 법과 관습법이 함께 적용된다.
  • 해외 프랑스 - 클리퍼턴섬
    클리퍼턴섬은 멕시코 남서쪽 태평양에 위치한 프랑스령 환초 섬으로, 독특한 담수 석호와 생태학적 가치를 지니지만 환경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과거 영유권 분쟁을 겪은 바 있다.
누벨칼레도니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뉴칼레도니아 국기
국기
뉴칼레도니아 문장
문장
다른 표기
표어말의 땅, 나눔의 땅
국가프랑스
수도누메아
공용어프랑스어
지역 언어네고네어
파이시어
아지에어
드레후어
35개의 다른 토착어
면적18,575 km²
육지 면적18,275 km²
수면 비율1.6%
시간대UTC+11
ISO 3166-1NC
NCL
국가 코드+687
국가 도메인.nc
별칭(돌멩이)
정치
정치 체제자치 의회 종속 영토
국가 원수에마뉘엘 마크롱
고등판무관루이 르 프랑 (Louis Le Franc)
정부 수반루이 마푸 (Louis Mapou)
의회 의장베일마 팔라에오 (Veylma Falaeo)
관습 상원 의장이본 코나 (Yvon Kona)
입법부뉴칼레도니아 의회
프랑스 의회 대표상원 2석, 하원 2석
역사
프랑스 합병1853년 9월 24일
프랑스 해외 영토1946년
누메아 협정1998년 5월 5일
인구
인구 조사 (2019년)271,407명
인구 밀도14.5명/km²
경제
명목 GDP미화 94억 4천만 달러 (2019년)
1인당 명목 GDP미화 34,780 달러 (2019년)
통화CFP 프랑 (₣)
기타
모토말의 땅, 나눔의 땅
국가라 마르세예즈
우리 하나 되어 형제가 되자
최대 고도몽파니에 (1,628m)

2. 역사

누벨칼레도니는 7,900만 년에서 8,300만 년 전에 초대륙 곤드와나에서 분리된 대륙 젤란디아의 일부였다.[10] 인류가 누벨칼레도니에 거주한 가장 초기의 흔적은 라피타 문화가 태평양 대부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던 기원전 1600년~기원전 500년 또는 기원전 1300년~기원전 2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1] 라피타인들은 매우 숙련된 항해사이자 농부였다.[12] 최초의 정착지는 해안가에 집중되었고 기원전 1100년경부터 서기 200년 사이에 이루어졌다.[11]

음경 보호대와 창을 들고 포즈를 취한 카낙 전사 두 명, 1880년경


1774년 제임스 쿡은 누벨칼레도니를 처음 본 유럽인 중 한 명이었다.[13] 그는 섬의 북동쪽이 스코틀랜드를 떠올리게 한다는 이유로 "뉴 칼레도니"라고 명명했다.[13] 1788년 라페루즈 백작이 그랑테르의 서해안에 접근했고, 1793년부터 1796년 사이에는 영국 포경선 선장 윌리엄 레이븐이 로열티 제도를 처음 방문했다.[14] 1796년부터 1840년까지는 군도와의 산발적인 접촉만 기록되었다. 1793년부터 1887년 사이에는 약 50척의 미국 포경선이 그랑테르, 로열티 제도, 월폴, 헌터 지역에 있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15][16] 1840년 이후에는 샌달우드에 대한 관심으로 방문 선박과의 접촉이 더 잦아졌다.[11]

샌달우드 무역이 감소함에 따라 블랙버딩이라 불리는 새로운 사업이 대체되었는데, 이는 누벨칼레도니 등지에서 멜라네시아인들을 피지와 퀸즐랜드의 사탕수수 농장으로 데려가는 것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다.[17] 블랙버딩은 프랑스와 오스트레일리아 상인 모두가 행했지만, 누벨칼레도니의 경우 20세기 초 수십 년 동안 로열티 제도의 어린이들을 농장 농업에서 강제 노동을 위해 그랑테르로 납치하는 것을 포함했다.

런던 선교회와 마리스트 형제회의 첫 선교사들이 1840년대에 도착했다.[18] 1849년에는 미국 선박 ''커터''의 승무원이 푸마 부족에 의해 살해당하고 먹혔다.[19] 인육은 누벨칼레도니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다.[20]

2. 1. 원주민과 유럽인의 조우

태평양 서쪽 지역은 약 5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그 후 오스트로네시아인이 그 지역에 유입되었다. 멜라네시아 군도에 자리잡은 다양한 무리의 사람들을 라피타라고 한다. 이들은 기원전 1500년경, 현재의 누벨칼레도니와 프로방스드일루아요테(Province des îles Loyauté)인 이 군도로 들어왔다. 라피타는 항해술과 농경이 발달하여 태평양의 넓은 지역에 영향을 주었다.[197] 11세기부터 폴리네시아인이 유입되어 멜라네시아 군도의 사람들과 섞였다.

1774년 영국의 제임스 쿡 선장이 뉴질랜드 항해에서 이 곳 그랑드테르(Grande Terre)를 처음 발견하였으며, 자신의 출생지인 스코틀랜드를 기념하여 '뉴칼레도니아'(New Caledonia)라고 불렀다.[197] 이 항해에서 그는 누벨칼레도니의 북쪽에 있는 섬(바누아투)을 뉴헤브리디스(New Hebrides)라고 명명하였는데 이 역시도 스코틀랜드 북쪽에 있는 섬 이름을 따온 것이다. 그 후 1778년 프랑스의 라 페루스 탐험대가 찾아온 이래 영국-프랑스 양국의 식민정책의 쟁점이 되었다.

유럽인들은 천연두, 홍역, 이질, 인플루엔자, 매독, 한센병과 같은 새로운 질병들을 가져왔다. 많은 사람들이 이 질병들로 죽어갔다. 양측의 긴장감은 적대심으로 발전하였고, 1849년 포우마족 (Pouma)은 커터(Cutter)호의 선원을 살해하고 그 인육을 먹기에 이른다.

백단목 무역이 쇠퇴하자, 새로운 형태의 무역인 노예무역(blackbirding)이 이를 대체하였다. 노예무역은 누벨칼레도니, 프로방스드일루아요테, 바누아투, 파푸아뉴기니, 그리고 솔로몬 제도의 사람들을 노예로 하여 피지와 퀸즐랜드의 사탕수수 농장에서 일하도록 하였다. 영어 "blackbirding"은 이를 완곡하게 표현한 것이다. 이 무역은 20세기 초반에 중지되었다.

2. 2. 프랑스 식민 통치

1853년 나폴레옹 3세영국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식민지 건설에 대한 경계심으로 누벨칼레도니를 프랑스 영토로 선포했다.[13] 1864년부터 1922년까지 프랑스는 누벨칼레도니 남서 해안의 유형지에 2만 2천 명의 중죄인과 파리 코뮌 사회주의자, 알제리 카빌레 민족주의자 등 정치범을 보냈다.[22] 유형지 제도가 끝날 무렵, 유럽 이주민과 아시아 계약 노동자가 원주민 카낙족보다 많아졌다. 카낙족은 피지 등지로 노예로 팔려가거나 전염병으로 인해 수가 급감했다.

1864년 디아호트 강 유역에서 니켈이 발견되었고,[22] 1876년 Société Le Nickel|소시에테 르 니켈프랑스어 설립과 함께 본격적인 채굴이 시작되었다.[27] 프랑스는 이웃 섬, 뉴헤브리디스 제도, 일본, 네덜란드령 동인도, 프랑스 인도차이나 등지에서 광산 노동자를 수입했다.[22] 프랑스 정부의 유럽 이민 장려 시도는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22]

카낙족은 프랑스 경제와 광산 작업에서 배제되고 보호구역에 제한되었다.[22] 1878년 라포아의 아타이 고등 추장이 중앙 부족들을 통합, 게릴라전을 시작하여 200명의 프랑스인과 1,000명의 카낙족이 사망했다.[27]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군과 연합군은 일본에 맞서기 위해 누벨칼레도니에 주요 기지를 세웠다. 누메아는 미군 사령부 역할을 했고, 미군 군함 수리에 유리했다. 미국 제23보병사단은 "America"와 "New Caledonia"를 축약한 "Americal"로 불렸다. 미군 사령부 건물은 전후 "남태평양위원회"를 거쳐 태평양공동체로 개편되었다. 한편, 일본인 노동자와 일본계 주민들은 “적성 외국인”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강제 이송되거나, 전쟁 중 교환선을 통해 일본으로 귀국하거나, 패전까지 포로로 수용되었다.

2. 3. 자치권 확대와 독립 운동

1956년 뉴칼레도니아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 중 하나로 통합되었고, 이곳의 주민들은 프랑스 시민이 되었다. 1976년 프랑스는 뉴칼레도니아의 내정 문제에 자치를 허용하고 프랑스 정부를 대표하는 고위 행정관을 파리에서 임명하여 파견했다.

뉴칼레도니아는 1986년부터 유엔의 비자치 지역 리스트에 올라있다. 1985년에는 카나키 민족해방전선(FLNKS)의 독립투쟁이 시작되었다. 장 마리 티바우가 이끌고 있던 카나키 민족해방전선은 "Kanaky"의 독립을 주장하였다. FLNKS가 일으킨 분쟁은 1988년 우베아에서 일어난 유혈 인질극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다. 이로 인한 누벨칼레도니 사회의 불안감은 1988년 마티농 협약과 1998년 누메아 협약에서 자치권 향상을 합의하기에 이른다. 이 협약은 불가역적 권력 이양과 뉴칼레도니아 시민권, 뉴칼레도니아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공식적인 상징 (국기 등), 2014년 이후에는 언제나 가능한 프랑스로부터의 독립과 관련한 첨예한 문제에 대하여 국민투표에 상정하는 권한의 위임 등을 규정하고 있다.[13]

2018년 10월에 프랑스령 뉴칼레도니아의 독립을 묻는 독립투표를 하였으나 지역 유권자중 57%가 독립을 반대하여 프랑스의 영토로 남게 되었다. 대부분의 주민들은 프랑스와 독립하면 경제적인 타격이 커질 것이라고 생각하여 반대하였다고 한다.

카나크의 깃발. 독립 시 카나키 국기가 될 예정


멜라네시아인의 정치 참여는 초기에는 유럽인의 공산당이나 기독교 단체가 주도했지만, 1953년 “두 가지 피부색, 하나의 국민”이라는 구호 아래 유니옹 카레도니앵(UC, 사회주의 정당)이 결성되었다.[172] 탈식민지화 운동은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으며, “카나크 정체성 회복 요구”라는 구체적인 형태를 띠었다. 이는 원주민으로서의 권리 회복 요구의 정치적 선언이기도 하다.[173] 원주민들은 1960년대 이후 정당을 결성하여 권리 주장과 독립 운동, 원주민 문화 부흥 활동 등을 시작했고, 뉴칼레도니아는 1986년 이후 1947년에 한때 제외되었던 유엔 비자치영토 목록에 다시 등재되었다.

1985년, 원주민 문화 부흥 활동의 선두에 섰던 장-마리 티바우가 이끄는 카나크 사회주의 민족 해방 전선(FLNKS)은 독립을 선동했다. 장-마리 티바우 등은 독립 국가 “카나키” 건립을 주장했다. FLNKS 지도자 암살을 계기로 카나크인들의 폭동이 시작되어 확대되었고, 뉴칼레도니아 전역에 계엄령이 선포되는 사태가 되었다. 특히 1988년 4월 22일, 독립 과격파가 27명의 프랑스 국가헌병대원과 1명의 판사를 인질로 잡고 로열티 제도 우베아섬의 동굴에 감금하여 4명을 살해한 사건이 최대의 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은 5월, 해군 특수부대, GIGN, EPIGN 등의 진입으로 과격파를 사살함으로써 해결되었지만, 특수부대 측에도 희생자가 발생했다. GIGN 대장이 1990년에 발표한 수기에 따르면, 제압 후 무저항이었던 과격파가 폭행·사살되었고, 그 사실을 프랑스 정부가 은폐했다고 한다.[174]

혼란 속에서 프랑스 정부는 1987년에 약속대로 주민투표를 실시했고, 이듬해 1988년에 마티뇽 협정이 체결되어 자치 확대가 약속되었다. 협정을 체결한 장-마리 티바우는 1989년에 독립 과격파에 의해 암살되었고 FLNKS는 혼란에 빠졌다.

이후에도 자치를 위한 운동과 협의가 진행되어, 1998년에는 누메아 협정이 체결되어 주민에게 권한을 이양하는 과정을 “불가역적인 것”으로 규정했다. 프랑스 시민권과는 별개의 “뉴칼레도니아 시민권”을 도입하고, 뉴칼레도니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공적인 상징(뉴칼레도니아 “국기” 등)을 프랑스 국기와는 별도로 제정하고, 프랑스 정부가 뉴칼레도니아 특별 공동체에 단계적으로 권한을 이양하여, 최종적으로는 외교, 국방, 사법권, 통화 발행을 제외한 권한은 뉴칼레도니아에 전면적으로 이양하고, 2014년부터 2018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독립 또는 프랑스 잔류 여부에 대한 주민투표를 실시하는 등이 규정되었다. 2018년 11월 4일에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지만, 독립 반대가 득표율 56.40%로 과반수를 차지하여 부결되었다.[175][176] 2019년 5월 12일에는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프랑스 잔류를 지지하는 독립 반대파의 득표율이 근소한 차이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정청 소재지 누메아의 고등 대표 사무소 발표에 따르면, 전체 54석 중 독립 반대파인 우파가 28석, 독립 지지파가 26석을 획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77] 2020년 10월 4일의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에서는 독립 반대가 득표율 53.3%로 과반수를 차지하여 다시 부결되었다.[178]

2021년 2월 3일, 발레사의 니켈 사업 매각을 둘러싸고 독립 지지파 5명의 장관이 사임을 표명하여, 독립 반대파 티에리 산타 정권이 사실상 붕괴되었다.[179][180] 2월 17일, 의회에서 실시된 선거에서 새로운 장관이 선출되었고, 11개의 장관직 중 과반수인 6석을 독립 지지파가 획득했다. 정부 수반은 장관 다수결로 선출되기 때문에, 협정 이후 처음으로 독립파 정권 출범에 크게 진전되었다.[181][182] 같은 해 7월 7일에 실시된 5차 선출 선거에서 마침내 FLNKS 소속 독립파인 루이 마푸가 산타를 누르고 당선되었다.[183]

2021년 9월 20일, 프랑스 국방부 산하 군사학교 전략연구소(IRSEM)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 전략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여, 재외 중국인을 이용한 중국 공산당의 선전 활동, 국제기구 침투, 인터넷 정보 조작 등을 분석하고, 중국이 잠재적 적국의 약화를 노리고 뉴칼레도니아에서 독립 운동을 부추기고 있다고 보고했다.[184]

2021년, 독립파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외출 제한,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 장례 문제로 인해 투표 연기를 프랑스 정부에 호소했지만 거절당하고 투표 보이콧을 촉구했다. 같은 해 12월 12일, 누메아 협정에서 정한 마지막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 결과는 독립 반대 96.5%, 독립 찬성 3.5%였지만, 독립파의 대다수가 보이콧을 실시하여 투표율은 43.9%로 전회의 85.7%의 절반이었다.[185]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투표 실시 및 결과를 정당화했고, 보이콧한 독립파는 결과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186]

멜라네시아 국가와 멜라네시아계 민족 단체로 구성된 멜라네시아 스피어헤드 그룹은 다수의 보이콧으로 정당한 주민투표가 아니며 무효이며, 유엔 헌장 제1조와 자결에 관한 유엔 결의 1514에 위반된다고 성명을 발표했다.[187][188]

2023년 1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처음으로 일본의 영사 기관인 누메아 주재 일본 총영사관이 신설되었다.[171]

2024년 5월, 뉴칼레도니아 원주민 카나크 주민 일부가 지금까지 “1998년 이전에 뉴칼레도니아에서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사람”으로 제한되었던 지방 선거 참정권을 “현지에 10년 이상 거주하는 주민”으로 확대한다는 헌법 개정안이 프랑스 본국 의회에 제출되어 가결된 것을 계기로 원주민 표의 비중이 줄어들 것이라는 반발이 일어나 폭동이 발생했다. 수도와 공항 등을 잇는 간선 도로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방화, 약탈 등이 발생했기 때문에 같은 달 15일에 일시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프랑스 본국에서 치안 부대와 군대가 파견되어 공항 출입이 어려워져 공항이 폐쇄되었으며, 인근 국가 등의 군용기가 외국인의 출국을 시도했고, 이로 인해 체류 일본인도 출국했다.[189] 같은 달 23일 프랑스 본국 대통령이 방문하여 지방 참정권 관련 헌법 개정 절차를 연기할 생각을 밝혔고,[190] 같은 달 27일에는 일본 외무성이 출국을 원하는 단기 체류 일본인의 출국을 확인했으며,[191] 같은 달 28일에는 계엄령이 해제되었지만, 그 후에도 산발적인 충돌이 계속되어 야간 통행 금지령은 해제되지 않았다.[192][193][194][195]

또한, 이번 독립파를 지원한 것은 아제르바이잔이라고 프랑스 장관이 주장했다. 프랑스가 아제르바이잔과 대립하는 아르메니아를 지원하고 있는 것이 배경이라는 관측이 있다.[195]

3. 지리

뉴칼레도니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동쪽, 남태평양 멜라네시아 지역에 위치한 섬으로, 면적은 18,575.5㎢이다. 프랑스어로는 누벨칼레도니(Nouvelle-Calédonie)라고 하며, 영어식 표현인 뉴칼레도니아(New Caledonia)로도 불린다. 칼레도니아는 스코틀랜드를 라틴어로 지칭하는 말로, '새로운 스코틀랜드'라는 뜻이다. 원주민 카나크어로는 카나키(Kanaky)라고도 한다.

뉴칼레도니아는 고대 곤드와나 초대륙의 일부였던 젤란디아에 속하며, 약 6600만 년 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분리되어 이동하다 약 5000만 년 전 현재 위치에 자리 잡았다.[75] 본섬은 중앙 산맥을 기준으로 길게 나뉘며, 북쪽의 몽 파니에(Mont Panié, 1629m)와 남동쪽의 몽 훔볼트(Mont Humboldt, 1618m)가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78] 동쪽 해안은 울창한 숲으로 덮여 있고,[78] 서쪽 해안은 넓은 사바나와 평야가 펼쳐져 있어 농사에 적합하며, 광물이 풍부한 산지가 많다.[78]

뉴칼레도니아에서 가장 긴 강은 디아호트 강으로, 약 100km에 걸쳐 흐른다.[76] 이 강은 몽 파니에 산 서쪽 절벽에서 시작해 섬 북쪽 끝까지 흐르며, 바이 다르쿠르로 북서쪽으로 유입된다.[76][77] 섬 대부분은 습윤 상록수림으로 덮여 있고, 저지대에는 사바나가 주로 나타난다.[88] 총 면적 24000km2에 달하는 뉴칼레도니아 석호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석호 중 하나이며, 주변의 뉴칼레도니아 산호초와 함께 2008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78][79]

2020년 9월 9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본 뉴칼레도니아의 산호초

3. 1. 기후

뉴칼레도니아는 열대 기후이며, 11월부터 3월까지는 덥고 습한 계절로 기온은 27°C~30°C이다. 6월부터 8월까지는 서늘하고 건조한 계절로 기온은 20°C~23°C이다.[78] 두 계절 사이에는 짧은 간격이 두 번 있다.[13] 열대 기후는 해양의 영향과 무역풍에 의해 크게 완화되며, 습도는 80%에 가까울 수 있다.[78] 연평균 기온은 23°C이며, 기록상 최고 기온과 최저 기온은 각각 39.1°C와 2.3°C이다.[13]

6월부터 9월까지는 한랭기로, 수온이 21°C까지 내려가고 평균 기온은 대체로 낮에는 24°C, 밤에는 15°C 정도이다. 해변에서 여유롭게 보내려는 여행객들은 이 냉기를 피해야 하나, 도보 여행자들에게는 이 시기가 뉴칼레도니아를 방문하기에 좋은 때이다.[198]

강수량 기록에 따르면 섬 내부에서 강수량의 차이가 매우 크다. 가라리노에서 기록된 3000mm의 강수량은 서해안 평균의 세 배이다. 엘니뇨의 영향으로 건조한 시기도 있다.[13] 12월부터 4월 사이에는 열대 저기압과 사이클론으로 인해 풍속이 100km/h를 초과하고, 돌풍은 250km/h에 달하며, 매우 많은 강수량을 기록할 수 있다.[13] 뉴칼레도니아에 마지막으로 영향을 미친 사이클론은 2021년 3월의 사이클론 니란이다.

섬의 기후는 계절에 따라 비가 매우 많이 내린다. 5월부터 11월까지는 비교적 강수량이 적어 쾌적하다. 동쪽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무역풍이 산맥에 부딪히면서 많은 비를 내리게 하여 섬에는 많은 열대우림이 형성되어 있다. 연간 강수량은 로열티 제도에서 약 1500mm, 본섬 동부 저지대에서 약 2000mm, 본섬 산악 지대에서는 2000mm~4000mm에 달한다. 본섬 서쪽은 산맥의 그림자에 가리기 때문에 비가 비교적 적고 연간 강수량은 1200mm이다.

3. 2. 생태계

뉴칼레도니아 남부의 풍경


뉴칼레도니아는 매우 독특한 동식물 분류군을 많이 보유하고 있으며,[81] 1평방킬로미터당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다양성을 자랑한다.[81] 그랑테르 섬의 중앙 산맥으로 인해 다양한 생태적 지위, 지형 및 미기후가 형성되어 고유종이 번성하게 되었다.[81] 뉴칼레도니아는 니켈 산업으로 인해 다른 국가들에 비해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매우 높다. 2019년 1인당 55.25톤의 CO2를 배출한 반면, 프랑스는 4.81톤이었다.[82] 뉴칼레도니아의 뛰어난 생물다양성과 멸종 위기에 처한 상태는 이곳을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생물다양성 핫스팟 중 하나로 만들었다.[83]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현존하는 속씨식물 계통인 ''암보렐라''


누벨칼레도니아의 일드팡 섬에 있는 ''아라우카리아 콜루나리스''


뉴칼레도니아의 동식물은 수천만 년 전 곤드와나에서 분리되었을 때 이 지역에 고립된 조상 종에서 유래했다.[86] 고유종뿐만 아니라, 속, 과, 심지어 목 전체가 섬에만 독특하게 존재한다.

지구상의 어떤 유사한 지역보다 더 많은 열대 겉씨식물 종이 누벨칼레도니아에 고유종으로 존재한다. 44종의 토착 겉씨식물 중 43종이 고유종이며, 유일하게 알려진 기생 겉씨식물인 ''파라시탁수스 우스타''도 포함된다.[89] 또한 알려진 35종의 ''아라우카리아'' 중 13종이 누벨칼레도니아에 고유종이다.[81] 세계에서 가장 다양한 계통의 속씨식물인 ''암보렐라 트리코포다''가 있으며, 이는 모든 속씨식물의 분지군의 기저부에 있거나 그 근처에 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현존하는 양치식물 종인 ''시아테아 인터메디아''도 누벨칼레도니아에 고유종이다. 산성 토양에서 매우 흔하며, 보통 휴경지나 숲의 개간지에서 발견되며, 동해안에서는 1년에 약 1m씩 자란다. 또한, 특히 ''시아테아 노바에칼레도니에''와 같은 다른 ''시아테아'' 종도 있다.[87]

뉴칼레도니아는 남부 너도밤나무 (''노토파구스'') 종이 토착종인 지구상의 다섯 지역 중 하나이며, 이곳에는 5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9]

뉴칼레도니아에는 주로 남쪽에 있는 금속 함유 토양에서 발생하는 자체 버전의 마키 (''마키 미니에르'')가 있다.[88] 초염기성암 토양(광산 지대)은 대부분의 외래 식물 종이 적응하기 어려운 토양의 독성 광물 함량에 적응한 많은 토착 식물 종의 피난처 역할을 해왔으며, 따라서 서식지 침입이나 토착 식물의 이동을 방지해 왔다.[89]

뉴칼레도니아 영토 내에는 누벨칼레도니아 열대우림과 누벨칼레도니아 건조림의 두 가지 육상 생태 지역이 있다.[90]

카구, 고유종인 날지 못하는 새


뉴칼레도니아는 뛰어난 식물 다양성과 고유종 비율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들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100종이 넘는 조류가 뉴칼레도니아에 서식하며, 그중 24종은 고유종이다.[91] 이러한 고유 조류 종 중 하나는 뉴칼레도니아까마귀로, 영장류에 필적하는 도구 제작 능력으로 유명하다.[92] 이 까마귀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도구를 만들어내는 놀라운 지능과 능력으로 유명하며, 인간을 제외하고는 연구된 어떤 동물보다도 가장 복잡한 도구를 만듭니다.[93]

고유종인 카구[94]는 민첩하고 빠르게 달릴 수 있는 날지 못하는 새이지만, 날개를 사용하여 나뭇가지를 타고 오르거나 활강할 수 있다. 울음소리는 개 짖는 소리와 비슷하다. 단형종인 Rhynochetidae과, Eurypygiformes목에 속하는 유일하게 살아남은 종이다.[95]

뉴칼레도니아의 강과 호수에는 11종의 고유 어류와 14종의 고유 십각목 갑각류가 있다. ''Neogalaxias''와 같이 일부 종은 매우 좁은 지역에만 서식한다.[96] 앵무조개—살아있는 화석으로 간주되며 중생대 말에 멸종된 암모나이트와 관련이 있습니다—는 뉴칼레도니아 주변 태평양 해역에서 서식한다.[96] 주변 해역에는 산호해에 속하는 다양한 해양 어류가 있다.

뉴칼레도니아는 많은 종의 조류, 파충류, 어류에도 불구하고 포유류 종이 매우 적다. 9종이 있으며, 그중 6종은 고유종이다.[1]

몇몇 뉴칼레도니아 종들은 크기가 매우 크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Ducula goliath''는 현존하는 나무비둘기 중 가장 큰 종이며, ''Rhacodactylus leachianus''는 세계에서 가장 큰 도마뱀붙이이고, ''Phoboscincus bocourti''는 2003년 재발견될 때까지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큰 스킨크이다.[96]

인간이 정착하기 전 뉴칼레도니아에 존재했던 많은 동물상은 현재 멸종되었다. 여기에는 현존하는 어떤 종과도 가까운 관계가 없는 1m가 넘는 새인 ''Sylviornis''와 쥐라기 시대에 현존하는 거북이와 갈라진 거대한 뿔 달린 거북이인 ''Meiolania''가 포함된다.

4. 정치

카나크 사회는 4,000~5,000 가구 기반 씨족부터 영토를 구성하는 8개의 관습 지역(aires coutumières)까지 여러 계층의 관습적 권위가 존재한다. 씨족은 씨족장이 이끌며 341개의 부족으로 구성되고, 각 부족은 부족장이 이끈다. 부족들은 다시 57개의 관습적 족장령(chefferies)으로 그룹화되며, 각 족장령은 족장이 이끌고 관습 지역의 행정 구역을 형성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뉴칼레도니아의 자유를 확보하는 데 기여한 미국 군인들을 기리는 의식에서의 Jean Lèques


관습 상원은 카나크 사람들의 다양한 전통 평의회의 의회이며, 카나크 정체성과 관련된 법률 제안에 대한 관할권을 갖는다.[45] 관습 상원은 각 전통 평의회가 임명한 16명의 위원으로 구성되며, 관습 지역당 2명의 대표가 있다.[45] 자문 역할에서 관습 상원은 누메아 협정에서 정의된 "카나크 정체성"과 관련된 법률 제안에 대해 협의해야 한다.[45] 또한 정체성, 민사 관습 법규 및 토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법률 제안에 대해 심의 역할을 한다.[45] 매년 8월 또는 9월에 새로운 의장이 임명되며, 의장직은 8개의 관습 지역 간에 순환한다.[45]

카나크 사람들은 결혼, 입양, 상속 및 일부 토지 문제와 같은 민사 문제에 대해 관습 당국에 의지한다. 프랑스 행정부는 일반적으로 관습 시스템에서 내려진 결정을 존중한다. 그러나 그들의 관할권은 형사 사건에서 크게 제한되며, 체벌 사용을 포함한 관습 사법 시스템과 관련된 일부 문제는 프랑스의 인권 의무와 충돌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뉴칼레도니아의 군대(프랑스어: Forces armées de Nouvelle-Calédonie, FANC)는 약 2,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며, 주로 쿠마크(Koumac), 난다이(Nandaï), 톤투타 국제공항(La Tontouta International Airport), 플럼(Plum), 누메아(Nouméa)에 배치되어 있다.[46] 육군은 해병대(프랑스어: Troupes de marine)의 연대인 태평양 해병보병연대(프랑스어: Régiment d'infanterie de marine du Pacifique)로 구성된다. 700명 규모의 연대 중 약 80%는 프랑스 본토에서 단기(4개월) 파병된 병력으로 구성된다. 2018년 기준으로 연대 내 현지 모집 인원은 약 30명에 불과했다.[47]

해군은 다음과 같은 프랑스 해군의 여러 함정으로 구성된다: 플로레알급 프리깃 1척, 뱅드미에르급 프리깃 1척, 댕트르까스토급 순찰 지원함인 댕트르까스토(D'Entrecasteaux)와 오귀스트 베네빅(Auguste Benebig), 그리고 펠릭스 에부에급 순찰함인 펠릭스 에부에(Félix Éboué). 프랑스 해군은 2025년까지 펠릭스 에부에급 순찰함의 두 번째 함정인 장 트라나페(Jean Tranape)를 뉴칼레도니아에 배치하여 연안 순찰 능력을 강화할 예정이다.[48][49] 또한, 2025년까지 상륙장비(프랑스어: Engins de Débarquement Amphibie – Standards, EDA-S) 1척이 뉴칼레도니아에 있는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 상륙장비는 해안 및 하천 작전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50]

2010년대 후반 기준, 뉴칼레도니아에 있는 프랑스 해군 항공대와 공군 부대에는 25F 전대(Flotilla 25F)에서 운용하는 해군의 다쏘 팔콘 20 가디언 해상 감시기 2대가 포함되었는데, 이들은 2025/26년부터 더 현대적인 다쏘 팔콘 2000 알바트로스로 대체될 예정이다.[51][52] 또한 공군 52 "톤투타" 중대(52 "Tontouta" Squadron)의 CASA/IPTN CN-235 수송기 2대와 에어로스파시알 SA 330 퓨마 헬리콥터 3대가 있다.[53][54] 2022년 이전에는 뱅드미에르급 프리깃이 에어로스파시알 알루엣 III 헬리콥터를 운용했지만, 2022년에 이 기종이 퇴역하면서 유로콥터 도핀 N3로 대체되고 있다.[55][56] 2022년 프랑스 공군은 에어버스 A400M 아틀라스에어버스 A330 MRTT 피닉스급 공중급유기의 지원을 받아 3대의 다쏘 라팔 전투기를 프랑스에서 뉴칼레도니아로 3주간의 훈련을 위해 배치하는 능력을 시연했다.[57][58]

또한, 약 855명의 프랑스 국가헌병대 병력이 4개 중대, 27개 대대, 그리고 여러 특수 및 기동 헌병대 부대로 나뉘어 군도에 주둔하고 있다. 2021년 독립에 관한 국민투표와 같은 기간 동안, 이들 병력은 프랑스 본토에서 파견된 병력으로 상당히 증강되었다.[59] 항공 부대에는 유로콥터 AS350 에큐뢰유 헬리콥터 2대가 포함되며,[60] 해상헌병대는 순찰정 둠베아호(프랑스어: Vedette côtière de surveillance maritime ''Dumbea'')를 배치하고 있다.[61][46]

1985년 이후 카나크 주민에 의한 강력한 독립 운동이 전개되어 한때 폭동내전에 가까운 상태에 이르렀다. 1986년, 유엔 비식민지화위원회는 뉴칼레도니아를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하였다.

1998년, 프랑스 정부와 독립파 조직인 FLNKS, 카레도니아 공화국 운동이 체결한 누메아 협정에 따라 2018년 11월 4일, 2020년 10월 4일, 그리고 2021년 12월 12일에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지만, 세 번 모두 독립 반대가 과반수를 차지하여 독립은 부결되었다.[167][168][169]

멜라네시아인의 정치 참여는 초기에는 유럽인의 공산당이나 기독교 단체가 주도했지만, 1953년 “두 가지 피부색, 하나의 국민”이라는 구호 아래 유니옹 카레도니앵(UC, 사회주의 정당)이 결성되었다.[172]

탈식민지화 운동은 196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으며, “카나크 정체성 회복 요구”라는 구체적인 형태를 띠었다. 이는 원주민으로서의 권리 회복 요구의 정치적 선언이기도 하다.[173] 원주민들은 1960년대 이후 정당을 결성하여 권리 주장과 독립 운동, 원주민 문화 부흥 활동 등을 시작했고, 뉴칼레도니아는 1986년 이후 1947년에 한때 제외되었던 국제연합 비자치영토 목록에 다시 등재되었다. 이 목록에는 인근의 섬나라인 미국령 사모아, 뉴질랜드령 토켈라우 등이 포함되어 있다.

1985년, 원주민 문화 부흥 활동의 선두에 섰던 장-마리 티바우(Jean-Marie Tjibaou)가 이끄는 카나크 사회주의 민족 해방 전선(FLNKS)은 독립을 선동했다. 장-마리 티바우 등은 독립 국가 “카나키” 건립을 주장했다. FLNKS 지도자 암살을 계기로 카나크인들의 폭동이 시작되어 확대되었고, 뉴칼레도니아 전역에 계엄령이 선포되는 사태가 되었다. 특히 1988년 4월 22일, 독립 과격파가 27명의 프랑스 국가헌병대원과 1명의 판사를 인질로 잡고 로열티 제도 우베아섬의 동굴에 감금하여 4명을 살해한 사건이 최대의 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은 5월, 해군 특수부대, GIGN, EPIGN 등의 진입으로 과격파를 사살함으로써 해결되었지만, 특수부대 측에도 희생자가 발생했다. GIGN 대장이 1990년에 발표한 수기에 따르면, 제압 후 무저항이었던 과격파가 폭행·사살되었고, 그 사실을 프랑스 정부가 은폐했다고 한다.[174]

혼란 속에서 프랑스 정부는 1987년에 주민투표를 실시했고, 1988년에 마티뇽 협정이 체결되어 자치 확대가 약속되었다. 협정을 체결한 장-마리 티바우는 1989년에 독립 과격파에 의해 암살되었고 FLNKS는 혼란에 빠졌다.

이후에도 자치를 위한 운동과 협의가 진행되어, 1998년에는 누메아 협정이 체결되어 주민에게 권한을 이양하는 과정을 “불가역적인 것”으로 규정했다. 프랑스 시민권과는 별개의 “뉴칼레도니아 시민권”을 도입하고, 뉴칼레도니아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공적인 상징(뉴칼레도니아 “국기” 등)을 프랑스 국기와는 별도로 제정하고, 프랑스 정부가 뉴칼레도니아 특별 공동체에 단계적으로 권한을 이양하여, 최종적으로는 외교, 국방, 사법권, 통화 발행을 제외한 권한은 뉴칼레도니아에 전면적으로 이양하고, 2014년부터 2018년 사이의 어느 시점에 독립 또는 프랑스 잔류 여부에 대한 주민투표를 실시하는 등이 규정되었다. 2018년 11월 4일에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지만, 독립 반대가 득표율 56.40%로 과반수를 차지하여 부결되었다.[175][176] 2019년 5월 12일에는 의회 선거가 실시되었고, 프랑스 잔류를 지지하는 독립 반대파의 득표율이 근소한 차이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정청 소재지 누메아의 고등 대표 사무소 발표에 따르면, 전체 54석 중 독립 반대파인 우파가 28석, 독립 지지파가 26석을 획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177] 2020년 10월 4일의 프랑스로부터의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에서는 독립 반대가 득표율 53.3%로 과반수를 차지하여 다시 부결되었다.[178]

2021년 2월 3일, 발레사의 니켈 사업 매각을 둘러싸고 독립 지지파 5명의 장관이 사임을 표명하여, 독립 반대파 티에리 산타 정권이 사실상 붕괴되었다.[179][180] 2월 17일, 의회에서 실시된 선거에서 새로운 장관이 선출되었고, 11개의 장관직 중 과반수인 6석을 독립 지지파가 획득했다. 정부 수반은 장관 다수결로 선출되기 때문에, 협정 이후 처음으로 독립파 정권 출범에 크게 진전되었다.[181][182] 같은 해 7월 7일에 실시된 5차 선출 선거에서 마침내 FLNKS 소속 독립파인 루이 마푸(Louis Mapou)가 산타를 누르고 당선되었다.[183]

2021년 9월 20일, 프랑스 국방부 산하 군사학교 전략연구소(IRSEM)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 전략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하여, 화교를 이용한 중국 공산당의 선전 활동, 국제기구 침투, 인터넷 정보 조작 등을 분석하고, 중국이 잠재적 적국의 약화를 노리고 뉴칼레도니아에서 독립 운동을 부추기고 있다고 보고했다.[184]

2021년, 독립파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인한 외출 제한,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 장례 문제로 인해 투표 연기를 프랑스 정부에 호소했지만 거절당하고 투표 보이콧을 촉구했다. 같은 해 12월 12일, 누메아 협정에서 정한 마지막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 결과는 독립 반대 96.5%, 독립 찬성 3.5%였지만, 독립파의 대다수가 보이콧을 실시하여 투표율은 43.9%로 전회의 85.7%의 절반이었다.[185]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투표 실시 및 결과를 정당화했고, 보이콧한 독립파는 결과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186]

멜라네시아 국가와 멜라네시아계 민족 단체로 구성된 멜라네시아 스피어헤드 그룹은 다수의 보이콧으로 정당한 주민투표가 아니며 무효이며, 유엔 헌장 제1조와 자결에 관한 유엔 결의 1514에 위반된다고[187] 성명을 발표했다.[188]

2023년 1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처음으로 일본의 영사 기관인 누메아 주재 일본 총영사관이 신설되었다.[171]

2024년 5월, 뉴칼레도니아 원주민 카나크 주민 일부가 지금까지 “1998년 이전에 뉴칼레도니아에서 선거인 명부에 등록된 사람”으로 제한되었던 지방 선거 참정권을 “현지에 10년 이상 거주하는 주민”으로 확대한다는 헌법 개정안이 프랑스 본국 의회에 제출되어 가결된 것을 계기로 원주민 표의 비중이 줄어들 것이라는 반발이 일어나 폭동이 발생했다. 수도와 공항 등을 잇는 간선 도로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하고 방화, 약탈 등이 발생했기 때문에 같은 달 15일에 일시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프랑스 본국에서 치안 부대와 군대가 파견되어 공항 출입이 어려워져 공항이 폐쇄되었으며, 인근 국가 등의 군용기가 외국인의 출국을 시도했고, 이로 인해 체류 일본인도 출국했다.[189] 같은 달 23일 프랑스 본국 대통령이 방문하여 지방 참정권 관련 헌법 개정 절차를 연기할 생각을 밝혔고,[190] 같은 달 27일에는 일본 외무성이 출국을 원하는 단기 체류 일본인의 출국을 확인했으며,[191] 같은 달 28일에는 계엄령이 해제되었지만, 그 후에도 산발적인 충돌이 계속되어 야간 통행 금지령은 해제되지 않았다.[192][193][194][195]

또한, 이번 독립파를 지원한 것은 아제르바이잔이라고 프랑스 장관이 주장했다. 프랑스가 아제르바이잔과 대립하는 아르메니아를 지원하고 있는 것이 배경이라는 관측이 있다.[195]

5. 행정 구역

누벨칼레도니는 3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


  • 남부 주 (''province Sud''): 주도는 누메아이다.
  • 북부 주 (''province Nord''): 주도는 코네이다.
  • 로열티 제도 주 (''province des îles Loyauté''): 주도는 리푸이다.


누벨칼레도니 행정 구역


누벨칼레도니의 주별 면적과 인구
주도면적 (km2)인구 (2019년 기준)[73]
남부 주누메아9,407212,082명
북부 주코네7,34849,910명
로열티 제도 주리푸1,98118,353명



이들 주는 다시 33개의 코뮌(시)으로 나뉜다.[74] 포야는 유일하게 두 개의 주에 걸쳐 있는 코뮌인데, 주요 정착지와 대부분의 인구가 있는 북쪽 절반은 북부 주에, 2019년 기준 210명의 주민만 거주하는 남쪽 절반은 남부 주에 속한다.

뉴칼레도니아 코뮌 지도 (연회색과 진회색은 각각 북부와 남부 주)


행정 체계는 1999년 2월 16일 의회에서 통과된 유기법과 일반법의 결과이다.[74]

또한, 카나크 각 부족별 과제에 대처하기 위해 8개의 전통 지역(aires coutumières)이 존재한다. 이들의 사법권은 지역 내에 거주하는 카나크 이외의 민족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6. 경제

누벨칼레도니는 2019년 GDP 94.4억달러를 기록하며 남태평양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가진 국가 중 하나이다.[3] 2019년 1인당 명목 GDP는 시장 환율 기준 34780USD였다.[3] 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 하와이보다는 낮지만, 오세아니아의 다른 독립국 및 비자치 지역보다는 높다. 그러나 소득 분배의 불균형이 심각하고[128] 경제적으로 우위를 점하는 남부 지방과 개발이 덜 된 북부 지방 및 로열티 제도 간의 오랜 구조적 불균형이 존재한다.[129] 2020년 5월 기준 누벨칼레도니의 통화는 유로에 고정된 CFP 프랑이며, 환율은 1유로당 119.3 CFP 프랑이다.[130] 이는 해외 발권소(Institut d'Émission d'Outre-Mer)에서 발행한다.[131]

실질 GDP는 2010년대 전반기에는 전 세계 니켈 가격 상승과 고용 증가에 따른 국내 수요 증가, 그리고 강력한 기업 투자에 힘입어 연평균 +3.3% 성장했지만, 2010년대 후반에는 현지 니켈 산업이 위기에 직면하고 독립을 위한 여러 차례의 주민투표로 인해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연평균 +0.2%에 그쳤다.[3]

2011년 누벨칼레도니아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액은 21.1억달러였으며, 그중 75.6%가 광물 제품과 합금(주로 니켈 광석과 페로니켈)이었다.[3] 같은 해 상품 및 서비스 수입액은 52.2억달러였다.[3] 상품 수입의 22.1%는 프랑스 본토와 그 해외 도서부에서, 16.1%는 다른 유럽 연합 국가에서, 14.6%는 싱가포르(주로 연료), 9.6%는 오스트레일리아, 4.5%는 미국, 4.2%는 뉴질랜드, 2.0%는 일본, 27.0%는 기타 국가에서 수입되었다.[132] 2011년 상품 및 서비스 무역 적자는 31.1억달러였다.[3]

프랑스의 재정 지원은 상당하며 GDP의 15% 이상을 차지하여 경제 건전성에 기여한다.[133] 관광은 연간 10만 명의 방문객으로 쿡 제도의 40만 명, 바누아투의 20만 명에 비해 저조하다.[134] 대부분의 토지는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식량의 약 20%를 수입에 의존한다.[133] FAOSTAT에 따르면, 누벨칼레도니아는 (33위), 타로(44위), 플랜테인(50위), 코코넛(52위)의 주요 생산국이다.[135] 누벨칼레도니아의 배타적 경제 수역은 1.4e6km2에 달한다.[136] 건설업은 GDP의 약 12%를 차지하며, 2010년에는 봉급 근로자의 9.9%를 고용했다.[128] 제조업은 식품, 섬유, 플라스틱 가공과 같은 소규모 활동에 국한되어 있다.[128]

역사적으로 풍부한 자연을 바탕으로 관광업이 성행해 왔으며, 해안가와 일드팡 섬(Île des Pins) 등의 섬에는 리조트가 들어서 있어 프랑스 본토는 물론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다.

2019년 GDP(명목) 1인당 (미국 달러)
style="text-align:left;" |54,255
style="text-align:left;" |42,329
style="text-align:left;" |62,818
style="text-align:left;" |2,878
style="text-align:left;" |34,780
style="text-align:left;" |41,259
style="text-align:left;" |21,615
style="text-align:left;" |6,143
style="text-align:left;" |2,344
style="text-align:left;" |24,731
style="t.ext-align:left;" |3,187
style="text-align:left;" |4,323
style="text-align:left;" |12,928
style="text-align:left;" |5,101
style="text-align:left;" |3,979
style="text-align:left;" |17,676
style="text-align:left;" |15,675
style="text-align:left;" |4,293
style="text-align:left;" |1,514
style="text-align:left;" |9,365
style="text-align:left;" |5,052
출처:[3][121][122][123][124][125][126][127]


6. 1. 니켈 산업

뉴칼레도니아 토양에는 세계 니켈 매장량의 약 25%가 포함되어 있다.[137] 1860년대에 니켈이 발견되었다.[140] 코발트 매장량은 세계 4위, 니켈 매장량은 세계 5위이며, 세계 5위의 니켈 생산량을 보유하고 있다. 니켈 광업은 GDP의 20%, 수출의 9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규모의 페로니켈 생산지이다.

뉴칼레도니아의 니켈광산


뉴칼레도니아 남부의 개울. 붉은색은 토양 내 산화철과 니켈의 풍부함을 보여준다.


2000년대 후반 금융 위기는 니켈 산업에 큰 타격을 입혔는데, 2009년 니켈 가격이 전년 대비 31.0%나 급락하는 등 2년 연속으로 큰 폭의 하락을 경험했다.[138] 가격 하락으로 인해 많은 생산업체들이 생산량을 줄이거나 아예 생산을 중단하여 2008년 대비 세계 니켈 공급량이 6% 감소했다.[138]

이러한 상황과 악천후가 겹치면서 해당 분야 사업자들은 생산 목표를 하향 조정해야 했다.[138] 따라서 광물 채굴 활동은 전년 대비 8% 감소했다.[138] 니켈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8%에서 2009년 5%로 감소했다.[138] 2009년 하반기 초에는 수요 회복과 함께 추세 전환이 나타나면서 현지 금속 생산량이 2.0% 증가했다.[138] 2020년 3월 보고서에 따르면 "뉴칼레도니아는 세계 4위의 니켈 생산국이며, 지난 1년 동안 가격이 26% 상승했습니다."라고 언급하고 있다.[139]

일본의 니켈 광석 연간 총 수입량 약 400만 톤 중 약 50%가 이곳에서 출하되고 있다. 니켈은 주로 스테인리스를 비롯한 각종 전자재료, 축전지 재료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2021년 3월, 테슬라는 고로 광산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BBC 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는 "제품 및 지속가능성 기준 향상과 배터리 생산을 위한 니켈 확보를 위한 기술 및 산업 파트너십"이다. 지분 대부분을 보유한 발레(Vale)는 이 거래가 고용과 경제에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는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에 니켈을 대량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공급을 확보"하고자 했다.[139]

7. 인구와 주민

201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누벨칼레도니의 인구는 271,407명이었다.[9] 인구 구성은 카낙 41.2%, 유럽계 24.1%, 왈리스와 푸투나계 8.3%, 타히티인 2.0%, 인도네시아계 중 자바족 1.4%, 니우바투계 0.9%, 베트남인 0.8%, 기타 아시아계(주로 중국계) 0.4% 등이다. 이외에도 여러 공동체에 속한다고 응답한 혼혈이 11.3%였고, 자신을 "뉴칼레도니아인"이라고 밝히거나 민족 집단을 밝히기를 거부한 사람이 7.5%, 기타가 2.1%였다.

1969년부터 1972년까지 니켈 경기로 유럽인과 폴리네시아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원주민인 카나크 멜라네시아인들은 소수 민족이 되었지만 여전히 가장 큰 민족 집단이었다.[29] 2004년 조사에서는 멜라네시아인 42.5%, 유럽인 37.1%였으나, 2019년 조사에서는 카낙족의 비율이 증가하고(39.1% → 41.2%) 유럽계 비율이 감소(27.2% → 24.1%)하는 추세를 보였다.

카낙족의 사회는 씨족을 기반으로 하며, '육지' 또는 '바다' 씨족으로 구분된다. 카나크 사회에는 4,000~5,000 가구 기반 씨족부터 8개의 관습 지역(aires coutumières)까지 여러 단계의 관습적 권위가 존재한다. 씨족은 씨족장이 이끌며 341개의 부족으로 구성되고, 각 부족은 부족장이 이끈다. 부족들은 다시 57개의 관습적 족장령(chefferies)으로 그룹화된다.[45] 카나크 사람들은 결혼, 입양, 상속 등 민사 문제에 대해 관습 당국에 의존하며, 프랑스 행정부는 일반적으로 관습 시스템의 결정을 존중한다.

유럽인들은 프랑스가 섬에 형무소를 설립하면서 정착하기 시작했다. 죄수들이 형기를 마치면 정착할 토지를 받았다. 유럽인은 칼도슈와 조레유로 나뉜다. 칼도슈는 초기 프랑스 정착민의 후손이며, 조레유는 프랑스 본토 출신 이민자를 의미한다.[12]

알자지라 영어의 2015년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19세기 후반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추방된 아랍-베르베르인들의 후손이 인구의 최대 10%를 차지한다고 한다. 이들은 부라일 코뮌 등에 거주하며, 아랍 이름과 이슬람 종교 등 알제리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110]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연간 인구 증가율은 0.2%로 둔화되었으며,[98] 인구의 30%가 20세 미만이다.[99] 합계 출산율은 2014년 여성 1명당 2.2명에서 2019년 1.9명으로 감소했다.[99]

'칼레도니아'는 오늘날 스코틀랜드에 해당하는 지역을 가리키는 라틴어 명칭이다. 한편, '카나키'(Kanaky)라는 명칭은 프랑스어, 영어, 그리고 현지 원주민카나크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멜라네시아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는 '누벨칼레도니'보다 '카나키'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카나키라는 명칭은 폴리네시아어로 '인간'을 의미하며, 폴리네시아인의 자칭으로 사용되는 '카나카(kanaka)'에서 유래했다. 카나카라는 단어는 후에 프랑스인들이 폴리네시아와 멜라네시아를 포함한 모든 태평양 원주민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하게 되었다. 한편, 프랑스어화된 카나크(Canaque)는 경멸적인 표현으로 사용되었다.[170]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뉴칼레도니아의 멜라네시아계 원주민들이 정당을 결성하고 독립을 요구하기 시작하면서, 경멸적인 표현이었던 카나크는 멜라네시아인의 정치적 해방과 민족적 자긍심을 상징하는 단어가 되었다.

7. 1. 언어

프랑스어공용어이며, 인구의 1/3은 오세아니아어군 언어를 사용한다. 주요 관광지에서는 중국어일본어도 사용된다.[111]

프랑스어는 프랑스 식민지 건설과 함께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가장 외딴 마을에서조차 사용되고 있다. 1953년 이전까지는 공교육에 대한 보편적 접근이 부족했고, 이민과 민족적 다양성으로 인해 오랫동안 전체 인구에 걸쳐 유창성 수준이 크게 달랐다.[111] 그러나 인구조사 결과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프랑스어가 보편화되었다. 2009년 인구조사에서 15세 이상 인구의 97.3%가 프랑스어를 말하고 읽고 쓸 수 있다고 응답했으며, 1.1%만이 프랑스어를 전혀 모른다고 응답했다.[112] 인구의 거의 전반적인 이해를 감안하여 2014년과 2019년 인구조사에서는 프랑스어 구사 능력에 대한 질문이 없었다.

뉴칼레도니아에서 사용되는 28개의 카나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오세아니아어군에 속한다.[113] 이 중 8개 언어는 부모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자녀를 위한 선택 과목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4개 언어는 학사 학위까지 교육됨), 이들 언어의 홍보를 담당하는 아카데미가 있다.[114]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세 가지 토착어는 드레후어(리푸에서 사용됨), 넨고네어(마레에서 사용됨), 파이치어(그랑드테르 북부에서 사용됨)이다.[114] 그 외에도 이아이어(우베아에서 사용됨)가 있다. 2019년 인구조사에서 15세 이상 인구의 44.0%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나크어를 어느 정도 구사한다고 응답했으며(2009년 인구조사의 41.3%에서 증가), 56.0%는 어떤 카나크어도 구사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2009년 인구조사의 58.7%에서 감소).[115][112]

이민 인구 중 다른 중요한 언어 공동체로는 왈리스어, 푸투나어, 타히티어, 자바어, 베트남어, 중국어, 비스라마어 사용자들이 있다.

7. 2. 종교

로마 가톨릭교회가 70%, 개신교가 16%이며, 14%는 무교 혹은 기타 종교이다. 주요 종교는 기독교이며, 인구의 절반은 가톨릭 신자이다. 대부분의 유럽인, 우베아 서부 사람들, 베트남인, 멜라네시아인 및 폴리네시아인 소수 민족의 절반이 가톨릭 신자이다.[29] 가톨릭은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에 의해 전래되었다. 이 섬에는 수많은 개신교 교회가 있으며, 그중 자유 복음주의 교회와 뉴칼레도니아 및 로열티 제도의 복음주의 교회가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29] 이들 신자들은 거의 전적으로 멜라네시아인들이다.[29] 개신교는 20세기 후반에 영향력을 확대해왔고 계속 성장하고 있다. 다른 여러 기독교 단체들과 6,000명이 넘는 무슬림들도 있다.[29][117] (뉴칼레도니아의 이슬람교 및 뉴칼레도니아의 바하이교 참조.) 누메아는 누메아 로마 가톨릭 대교구의 중심지이다.

종교비율
가톨릭60%
프로테스탄트30%
기타10%


8. 문화

후프 나무(''Montrouziera cauliflora'')로 만든 목각은 전통 부족 사회의 신앙을 반영하는 현대적인 예술 형태이며, 토템, 가면, 문인방(chambranle), 또는 카나크 가옥 지붕을 장식하는 일종의 화살인 지붕장식(flèche faîtière)을 포함한다.[141] 바구니 짜기는 부족 여성들이 널리 실천하는 공예로, 일상 생활 용품을 만든다.[141]

칼도슈(Caldoche)들, 뉴칼레도니아에서 태어난 유럽계 사람들


이탈리아 건축가 렌조 피아노(Renzo Piano)가 설계하고 1998년에 문을 연 장 마리 찌바우 문화센터(Jean-Marie Tjibaou Cultural Centre)는 카나크 문화의 상징이다.[141]

카네카(Kaneka (music))는 레게에서 영감을 받은 지역 음악의 한 형태로, 1980년대에 시작되었다.[141]

므와 카(Mwâ Ka)는 프랑스의 뉴칼레도니아 합병을 기념하는 높이 약 12m의 토템 폴로, 2005년에 개관되었다.[142]

  • 콜린 히긴스 - 영화 감독
  • 크리스티앙 카랑부 - 전 축구 선수
  • 프레드릭 피키옹 - 전 축구 선수
  • 로랑 가네 - 전 사이클 선수
  • 세바스티앵 바르마인 - 럭비 유니온 선수

9. 교통

누메아 톤투타 국제공항은 누메아에서 북서쪽으로 약 50km 떨어져 있으며, 파리, 도쿄, 시드니, 오클랜드, 브리즈번, 멜버른, 오사카, 파페에테, 나디, 왈리스, 포트빌라 공항과 뉴칼레도니아를 연결한다.[161] 대부분의 국내 항공편은 국제 항공사인 에어칼린이 운항한다.[162] 크루즈선은 누메아의 가르 마리팀에 정박한다.[163] 여객 및 화물선인 ''하바나''호는 매달 한 번 바누아투포트빌라, 말라쿨라, 산토로 항해한다.[163]

뉴칼레도니아의 도로망은 다음과 같다.

번호명칭구간
11번 국도 (Route territoriale 1, RT1)누메아 - 쿠마크 북쪽 네우에 강
22번 국도 (Route territoriale 2)리푸 섬의 리푸 공항 - 남쪽
33번 국도 (Route territoriale 3)난디에서 RT1과 합류 - 티와카 강
44번 국도 (Route territoriale 4)무에오 근처에서 RT1과 합류 - 발전소[164]



과거 누메아-파이타 구간에서 운행되었던 유일한 철도인 누메아-파이타 철도가 있었다.

10. 스포츠

1998년 FIFA 월드컵에서 프랑스와 함께 우승을 차지한 뉴칼레도니아의 축구 선수 크리스티앙 카렘뵈(Christian Karembeu)


뉴칼레도니아에서 열리는 가장 큰 스포츠 행사는 FIA 아시아 태평양 랠리 챔피언십(FIA Asia Pacific Rally Championship) (APRC)의 한 라운드이다.

뉴칼레도니아 축구팀은 1950년에 창단되었고, 2004년에 FIFA에 가입하였다.[154] FIFA에 가입하기 전에는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Oceania Football Confederation)에서 옵서버 자격을 가지고 있었고, FIFA 회원 자격과 함께 공식적으로 OFC 회원국이 되었다. 뉴칼레도니아는 남태평양 게임(South Pacific Games)에서 5회 우승(최근 2007년)을 차지했으며, OFC 네이션스컵(OFC Nations Cup)에서 두 차례 3위를 기록했다. 크리스티앙 카렘뵈(Christian Karembeu)는 뉴칼레도니아 출신 전 축구 선수이다. 뉴칼레도니아의 17세 이하 대표팀은 2017년 FIFA U-17 월드컵에 진출했다.

농구는 뉴칼레도니아에서 언론과 팬들 모두에게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뉴칼레도니아 국가대표팀은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155] 뉴칼레도니아 최고의 농구 클럽 팀은 AS 6e Km과 AS Dumbea이다.[156]

경마와 여성 크리켓 경기도 뉴칼레도니아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157]

럭비 리그 팀은 2004년 퍼시픽컵(Pacific Cup)에 참가했다. 2020년에는 뉴칼레도니아에 럭비 리그 팀인 Pacifique Trieze를 만들어 호주 퀸즐랜드컵(Queensland Cup)에 참가할 계획이 세워졌다.[158]

뉴칼레도니아는 해외 투어를 하는 국가 시범 수영팀을 보유하고 있다.

"투르 시클리스트 드 누벨 칼레도니(Tour Cycliste de Nouvelle-Calédonie)"는 보통 10월에 열리는 여러 날에 걸친 사이클링 스테이지 경주이다. 이 경주는 코미테 시클리스트 뉴칼레도니(Comite Cycliste New Caledonia)가 주최하며, 호주, 뉴질랜드, 프랑스, 레위니옹, 유럽 및 타히티 출신의 선수들을 유치한다. 호주의 브렌던 워싱턴은 2005년부터 2009년 사이에 세 번이나 이 경주에서 마지막으로 들어와 뉴칼레도니아에서는 "라테른 루즈"로 알려져 있다.

뉴칼레도니아 핸드볼 팀은 뉴질랜드 웰링턴에서 열린 2008년 오세아니아 핸드볼 네이션스컵(Oceania Handball Nations Cup)에서 호주를 이기고 우승했다.

인터나시오날 드 누벨 칼레도니(Internationaux de Nouvelle-Calédonie)는 1월 첫째 주에 열리는 테니스 토너먼트이다. 2004년부터 이 토너먼트는 ATP 챌린저 투어(ATP Challenger Tour)의 일부이며, 선수들은 보통 1년 중 첫 번째 그랜드 슬램인 오스트레일리아 오픈(Australian Open)을 준비하기 위해 참가한다.

뉴칼레도니아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은 여러 차례 금메달을 획득했다.[159]

11. 미디어

레 누벨 칼레도니앵프랑스어(Les Nouvelles Calédoniennes)은 이 군도 유일의 일간 신문이다.[143][144][145] 월간 간행물인 르 시앵 블뢰프랑스어(Le Chien bleu)는 뉴칼레도니아의 뉴스를 패러디한다.[146]

라디오 방송국은 다섯 곳이 있다. 공영 방송사 RFO 라디오 뉴칼레도니아(Outre-Mer 1ère|RFO radio Nouvelle-Calédonie), 오세안 FM(Océane FM)(이 지역 사회에서 가장 최근에 설립된 방송국), 청소년 대상 방송국 NRJ, 라디오 지이도(Radio Djiido)(장 마리 티바우(Jean-Marie Tjibaou)가 설립), 라디오 리듬 블뢰(Radio Rythmes Bleus)가 있다.[145] 마지막 두 방송국은 뉴칼레도니아 원주민인 다양한 카낙 사람들(Kanak people) 집단을 주요 대상으로 한다("Djiido"는 북부 주의 이엥옌(Hienghène)에서 사용되는 푸아이어(Fwâi language)의 용어로, 전통 카낙 가옥 지붕의 짚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금속 스파이크를 의미한다).

텔레비전의 경우, 공영 방송사 프랑스 텔레비전(France Télévisions)은 지역 채널 레조 우트르메르 1르(Réseau Outre-Mer 1re)와 함께 프랑스 2(France 2), 프랑스 3(France 3), 프랑스 4(France 4), 프랑스 5(France 5), 프랑스 24(France 24), 아르테(Arte TV|Arte)를 운영한다.[147] 카날 플러스 칼레도니(CanalSat Calédonie|Canal Plus Calédonie)는 카날+(Canal+ (French TV channel)|Canal+)와 TF1을 포함하여 프랑스어로 17개의 디지털 채널을 방송한다.[148]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은 2011년 9월에 종료되어 뉴칼레도니아의 디지털 텔레비전 전환(digital television transition)이 완료되었다.[149] 프랑스 방송 당국은 새로운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인 NCTV와 NC9에 대한 입찰을 검토했다.[150] NCTV는 2013년 12월에 개국했다.[151]

언론은 자유롭게 운영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국경 없는 기자회(Reporters Without Borders)는 2006년 독립 지지 단체 구성원들에 의한 RFO 직원에 대한 "협박과 폭력"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다.[152] 뉴칼레도니아의 방송은 본국 프랑스 공화국의 방송국 프랑스 텔레비지옹이 자회사로 두고 있는 해외 영토용 채널인 RFO가 담당한다. 뉴칼레도니아에서는 RFO의 뉴칼레도니아 지국인 RFO New Caledonia가 방송하고 있다. 그 외에 채널 칼레도니 등이 있다.

인터넷에서는 뉴칼레도니아에 국한되지 않고 본국의 프로바이더도 이용된다. 신문은 매점 등에서의 판매가 주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ew Caledon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12-06
[2] 웹사이트 Structure de la population et évolutions http://www.isee.nc/p[...]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4-11-16
[3] 웹사이트 Evolution du PIB et du PIB par habitant https://www.isee.nc/[...]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21-05-14
[4] 간행물 LOI no 1999-209 du 19 mars 1999 organique relative a la Novelle Calédonie http://www.legifranc[...] 1999-03-21
[5] 웹사이트 Présentation http://www.nouvelle-[...] 2013-01-30
[6] 서적 South Pacific Handbook https://books.google[...] David Stanley 2015-10-18
[7] 웹사이트 European Union Overseas Territories and Countries https://www.overseas[...] 2023-12-26
[8] 웹사이트 Overseas Countries and Territories - European Commission https://internationa[...] 2023-12-26
[9] 웹사이트 268 767 habitants en 2014 http://www.isee.nc/p[...]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4-11-16
[10] 웹사이트 Hidden boundaries of lost continent 'Zealandia' revealed in incredible detail https://www.livescie[...] 2021-03-25
[11] 웹사이트 Histoire / La Nouvelle-Calédonie http://www.nouvelle-[...] 2012-11-20
[12] 서적 New Caledoni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5-10-18
[13] 웹사이트 Rapport annuel 2010 http://www.ieom.fr/I[...] IEOM Nouvelle-Calédonie 2013-01-30
[1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Discovery and Exploration of the Pacific Island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5
[15] 웹사이트 New Caledonia and International Seaport History. The Maritime Heritage Project. http://www.maritimeh[...] 2017-11-12
[16] 서적 Where the Whalers Went: An index of the Pacific Ports and Islands visited by American Whalers (and some other ships) in the 19th Century Pacific Manuscripts Bureau
[17] 웹사이트 De Kanaka à Kanak: l'appropriation d'un terme générique au profit de la revendication identitaire http://documents.ire[...] Université de la Nouvelle-Calédonie 2013-01-30
[18] 웹사이트 Charting the Pacific – Places http://www.abc.net.a[...] 1998-10-13
[19] 서적 New Caledoni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5-10-18
[20] 서적 From Primitive to Postcolonial in Melanesia and Anthrop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5-10-18
[21] 서적 Bulletin de la Société générale des prisons
[22] 서적 France's Overseas Frontier: Départements et territoires d'outre-m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0-18
[23] 저자
[24] 학술지 Supporting the Free French in New Caledonia: First Steps in Australian Diplomacy https://www.isfar.or[...] 2024-05-26
[25] 서적 The Government and the People, 1939–1941 https://s3-ap-southe[...] Australian War Memorial 2009-08-06
[26] 서적 World War 2 Pacific Island Guid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5-10-18
[27] 서적 South Pacific Handbook https://books.google[...] David Stanley 2015-10-18
[28] 학술지 Australia's Economic Ambitions in French New Caledonia, 1945–1955 https://www.jstor.or[...] 2022-04-28
[29] 백과사전 New Caledonia
[30] 뉴스 Second night of riots shakes New Caledonia: 'I didn't think it could come to this' https://www.lemonde.[...] 2024-05-16
[31] 뉴스 France Declares State of Emergency Amid Protests in New Caledonia https://www.nytimes.[...] 2024-05-15
[32] 학술지 Environmental violence and crises of legitimacy in New Caledonia https://www.scienced[...] 2009-05
[33] 서적 France in the South Pacific: Power and Politics ANU Press 2013-05
[34] 뉴스 Land and Independence in New Caledonia https://www.cultural[...] 1991-06
[35] 뉴스 Nouvelle-Calédonie : ce que contient l'" accord politique " sur le référendum d'autodétermination http://www.lemonde.f[...] 2017-11-03
[36] 뉴스 New Caledonia sets date for independence referendum https://www.theguard[...] 2018-03-20
[37] 잡지 New Caledonia Votes to Remain Part of France http://time.com/5444[...] 2018-11-05
[38] 뉴스 New Caledonia voters choose to stay part of France https://www.latimes.[...] 2020-10-04
[39] 뉴스 New Caledonia referendum: South Pacific territory rejects independence from France https://www.bbc.com/[...] 2020-10-04
[40] 뉴스 French territory of New Caledonia held its third and last independence referendum where 96.49 voted against independence https://www.france24[...] 2021-12-12
[41] 뉴스 New Caledonia votes to stay in France; separatists boycott https://apnews.com/a[...] 2021-12-12
[42] 뉴스 New Caledonia: 'Shots fired' at police in French territory amid riots over voting reforms https://www.france24[...]
[43] 웹사이트 Les différentes élections http://www.nouvelle-[...] 2011-05-27
[44] 웹사이트 Resultats de l'election presidentielle – Nouvelle Caledonie http://www.interieur[...] Government of France
[45] 웹사이트 Sénat coutumier http://www.nouvelle-[...]
[46] 웹사이트 Les Forces armées de Nouvelle-Calédonie http://www.defense.g[...] 2012-12-20
[47] 웹사이트 Le Régiment d'Infanterie de Marine du Pacifique-Nouvelle Calédonie se distingue lors d'un exercice en Australie; Zone Militaire https://www.opex360.[...] 2018-09-19
[48] 웹사이트 New French overseas patrol vessels set for 2023 service entry https://www.shephard[...] 2022-08-04
[49] 웹사이트 POM : Le premier patrouilleur reprend ses essais à Brest, le second en achèvement à Boulogne https://www.meretmar[...] 2022-09-21
[50] 웹사이트 First Two EDA-S Next Gen Amphibious Landing Craft Delivered to French DGA https://www.navalnew[...] 2021-11-25
[51] 웹사이트 Les avions de surveillance maritime Gardian prolongés à Tahiti et Nouméa https://www.meretmar[...] 2024-12-13
[52] 웹사이트 French Navy to receive new eyes in the sky from Dassault https://www.aerotime[...] 2022-11-18
[53] 웹사이트 Forces armées en Nouvelle-Calédonie; Ministère des Armées https://www.defense.[...] 2023-02-11
[54] 웹사이트 FANC – Bilan du déploiement du BSAOM D'Entrecasteaux dans le Pacifique Sud; Ministère des Armées https://www.defense.[...] 2023-02-10
[55] 웹사이트 French Navy will receive first three Airbus Dauphin N3 at December 1 https://aircosmosint[...] 2022-11-18
[56] 웹사이트 Marine Nationale Dossier d'Information, p. 23 https://www.colsbleu[...] 2023-01-01
[57] 웹사이트 French Air and Space Force Rafales Train Alongside Royal Australian Air Force Growlers https://militaryleak[...] 2022-08-27
[58] 웹사이트 France successfully conducts long-range strategic deployment to Asian-Pacific region https://ac.nato.int/[...]
[59] 뉴스 Covid, mourning and the spectre of violence: New Caledonia prepares for blighted independence vote https://www.theguard[...] 2021-12-07
[60] 웹사이트 COMGEND – Commandant de la gendarmerie pour la Nouvelle-Calédonie et les îles Wallis et Futuna / Sécurité / Services de l'État / Accueil – Les services de l'État en Nouvelle-Calédonie https://www.nouvelle[...]
[61] 웹사이트 Vedette Côtière de Surveillance Maritime (VCSM) Boats https://www.homeland[...] Homelandsecurity Technology 2022-08-28
[62] 웹사이트 Trust and Non-Self-Governing Territories (1945–1999)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017-06-29
[63] 웹사이트 New Caledonia sets date for independence referendum https://amp.theguard[...] 2018-03-19
[64] 웹사이트 Paris meeting to prepare New Caledonia independence vote http://www.radionz.c[...] 2016-02-02
[65] 웹사이트 New Caledonia votes 'non' to independence from France https://www.theguard[...] 2018-11-04
[66] 웹사이트 New Caledonia rejects independence from France for second time https://www.theguard[...] 2020-10-05
[67] 웹사이트 Les accords de Nouméa http://www.gouv.nc/s[...] 2008-08-11
[68] 웹사이트 Société : La Nouvelle-Calédonie choisit un hymne et une devise https://web.archive.[...] 2008-08-11
[69] 웹사이트 Nouvelle-Calédonie: Voeu sur le drapeau Kanaky de 2010 http://www.axl.cefan[...] 2021-11-26
[70] 웹사이트 Voeux n° 1 du treize juillet 2010 http://www.juridoc.g[...] 2021-11-26
[71] 웹사이트 Roch Wamytan: "descendre le drapeau kanak est un geste ignoble, il ne faut plus parler de destin commun!" https://la1ere.franc[...] 2014-05-09
[72] 웹사이트 Sarkozy calls for dialogue over New Caledonia violence http://www.france24.[...] France 24 2011-08-26
[73] 웹사이트 Populations légales des provinces de Nouvelle-Calédonie en 2019 − Populations légales de Nouvelle-Calédonie en 2019 https://www.insee.fr[...]
[74] 웹사이트 Présentation – L'Outre-Mer http://www.outre-mer[...]
[75] 서적 Boyer & Giribet 2007
[76] 백과사전 Diahot River
[77] 웹사이트 The impacts of opencast mining in New Caledonia http://www.greenston[...] United Nations University
[78] 웹사이트 Données Géographiques http://www.nouvelle-[...]
[79] 웹사이트 Lagoons of New Caledonia: Reef Diversity and Associated Ecosystems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80] 뉴스 Earthquake triggers 3ft wave tsunami warnings across South Pacific https://www.independ[...] 2023-05-19
[81] 서적 New Caledoni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5-10-18
[82] 웹사이트 EDGAR – The Emissions Database for Global Atmospheric Research https://edgar.jrc.ec[...] 2021-04-24
[83] 논문 Biodiversity hotspot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2000-02-00
[84] 웹사이트 Bruno Van Peteghem https://web.archive.[...]
[85] 웹사이트 Indigenous Kanaks Take On Inco in New Caledonia https://web.archive.[...] 2006-07-19
[86] 논문 Amalgamating eastern Gondwana: The evolution of the Circum-Indian Orogens 2005-08-00
[87] 웹사이트 La flore de Nouvelle-Calédonie – Deuxième partie http://www.futura-sc[...] 2004-08-18
[88] 논문 New Caledonia: a very old Darwinian island?
[89] 웹사이트 La flore de Nouvelle-Calédonie – Première partie http://www.futura-sc[...] 2004-08-18
[90]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91] 논문 Feral cats threaten the outstanding endemic fauna of the New Caledonia biodiversity hotspot https://hal.archives[...] 2017-10-01
[92] 논문 Shaping of hooks in New Caledonian crows
[93] 뉴스 Clever New Caledonian crows go to parents' tool school http://news.bbc.co.u[...] 2010-10-26
[94] 서적 The Life of Birds BBC 1998
[95] 웹사이트 Kagu http://www.oiseaux-b[...]
[96] 웹사이트 La Biodiversité http://www.endemia.n[...]
[97] 뉴스 New Caledonia court bans shark culls amid environmental backlash https://www.theguard[...] 2024-01-08
[98] 웹사이트 The Population at Different Censuses https://www.isee.nc/[...]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99] 웹사이트 La croissance démographique fléchit nettement en Nouvelle-Calédonie entre 2014 et 2019 https://www.isee.nc/[...]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100] 웹사이트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en Nouvelle-Calédonie en 2009 – 50 000 habitants de plus en 13 ans http://www.insee.fr/[...]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ues (INSEE.fr)
[101] 웹사이트 Population Structure of Communities https://www.isee.nc/[...]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20-10-29
[102] 웹사이트 Communauté d'appartenance – INSEE – ISEE /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de 2009 en Nouvelle-Calédonie http://xt.isee.nc/xt[...]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5-08-24
[103] 서적 New Caledonia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5-10-18
[104] 웹사이트 New Caledonian Javanese, in New Caledonia https://joshuaprojec[...] Joshua Project 2020-12-14
[105] 웹사이트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2009 http://www.isee.nc/p[...]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3-01-30
[106] 간행물 Recensement de la population 2014 http://www.isee.nc/c[...]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9-12-14
[107] 웹사이트 DONNEES DE CADRAGE http://www.isee.nc/p[...]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108] 학술지 New Caledonia http://muse.jhu.edu/[...] 2008-03-28
[109] 뉴스 Noumea Journal; On an Island in the Pacific, but Far From at Peace https://query.nytime[...] 1988-07-26
[110] 뉴스 Exile in New Caledonia https://web.archive.[...] Al Jazeera English 2015-09-14
[111] 웹사이트 Situation linguistique en Nouvelle-Calédonie https://web.archive.[...] Vice-Rectorat de Nouvelle-Calédonie 2013-01-30
[112] 웹사이트 Principales caractéristiques des individus de 15 ans et plus, par province de résidence et sexe https://www.isee.nc/[...]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3-02-28
[113] 웹사이트 Langues https://web.archive.[...] 2011-10-15
[114] 웹사이트 La Population De Nouvelle-Caledonie https://web.archive.[...] La maison de la Nouvelle-Calédonie 2013-01-30
[115] 웹사이트 Population, ménages et logement par province, en 2019 – P20 Population de 15 ans et plus, selon le genre, la connaissance d'une langue kanak et la province de résidence par groupe d'âge décennal https://www.isee.nc/[...]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23-03-06
[116] 웹사이트 The Global Religious Landscape https://web.archive.[...] Pewforum.org 2015-10-02
[117] 서적 Asia in the Pacific Islands: Replacing the West https://books.google[...] editorips@usp.ac.fj 2012-08-24
[118] 웹사이트 Emerging Pacific Leaders Dialogue 2010 New Caledonia Report https://web.archive.[...] Commonwealth Study Conferences Australia 2018-03-01
[119] 웹사이트 What is education like in New Caledonia? https://newcaledonia[...] 2013-02-28
[120] 웹사이트 Presentation UNC en Anglais 2012 http://unc.nc/wp-con[...] University of New Caledonia 2018-03-01
[12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 April 2022 https://www.imf.org/[...] IMF 2022-05-13
[122] 웹사이트 Les grands indicateurs des comptes économiques https://web.archive.[...] Institut de la statistique de la Polynésie française (ISPF) 2022-02-01
[123] 웹사이트 GDP by State https://www.bea.gov/[...] Bureau of Economic Analysis (BEA) 2022-02-01
[124] 웹사이트 Guam – Table 1.1. Gross Domestic Product https://www.bea.gov/[...] Bureau of Economic Analysis (BEA) 2022-02-01
[125] 웹사이트 American Samoa – Table 1.1. Gross Domestic Product https://www.bea.gov/[...] Bureau of Economic Analysis (BEA) 2022-02-01
[126] 웹사이트 Commonwealth of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 Table 1.1. Gross Domestic Product https://www.bea.gov/[...] Bureau of Economic Analysis (BEA) 2021-05-14
[127] 웹사이트 Table 1: Cook Islands Gross Domestic Product at Current Prices by Industry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the Cook Islands –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ic Management 2022-02-01
[128] 웹사이트 New Caledonia – Information Paper https://web.archive.[...] NZ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3-01-30
[129] 웹사이트 Concluding session, Special Committee on Decolonization approves two texts on New Caledonia, Tokelau; hears appeals to heed criticism of its work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3-01-30
[130] 웹사이트 XE: Convert EUR/XPF. Euro Member Countries to Comptoirs Français du Pacifique (CFP) Franc https://www.xe.com/c[...] 2020-05-16
[131] 웹사이트 Vie pratique – L'Outre-Mer http://www.outre-mer[...] 2013-01-30
[132] 웹사이트 Commerce extérieur – Séries longues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3-08-01
[133] 웹사이트 New Caledon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01-25
[134] 뉴스 Nouvelle-Calédonie: où en est le processus d'indépendance? http://www.lemonde.f[...] 2011-08-26
[135] 웹사이트 FAOSTAT 2008 by Production http://faostat.fao.o[...] 2008-06-06
[136] 웹사이트 Présentation – L'Outre-Mer http://www.outre-mer[...] 2013-01-30
[137] 웹사이트 Nickel gleams again in New Caledonia http://www.metalbull[...] 2001-12-03
[138] 웹사이트 Les comptes économiques rapides de Nouvelle-Calédonie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2013-01-30
[139] 뉴스 Tesla partners with nickel mine amid shortage fears https://www.bbc.com/[...] 2021-03-05
[140] 웹사이트 Tesla gets involved in New Caledonia mine to secure nickel supply https://www.mining.c[...] 2021-03-05
[141] 웹사이트 La Culture https://web.archive.[...] Tourisme Nouvelle-Calédonie 2013-01-30
[142] 웹사이트 Mwâ Ka in Noumea, New Caledonia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3-01-30
[143] 일반
[144] 웹사이트 PFF stands in solidarity with Les Nouvelles Calédoniennes http://www.scoop.co.[...] 2014-03-11
[145] 웹사이트 Vivre en Nouvelle-Calédonie http://www.gitesnouv[...] Gîtes Nouvelle Calédonie 2013-01-30
[146] 웹사이트 Le Chien bleu : Journal satirique de Nouvelle-Calédonie. Y en aura pour tout le monde! https://web.archive.[...] 2018-07-17
[147] 웹사이트 Télévision Numérique Terrestre (TNT) http://www.gouv.nc/p[...] 2018-07-17
[148] 웹사이트 Grille TV – Canal+ Calédonie https://web.archive.[...] 2018-07-17
[149] 웹사이트 L'Outre-mer dit adieu à l'analogique – Audiovisuel – Info – Nouvelle-Calédonie – La 1ère https://web.archive.[...]
[150] 웹사이트 Two new New Caledonia television channels proposed https://web.archive.[...] 2011-10-12
[151] 웹사이트 NCTV, c'est parti! http://www.lnc.nc/ar[...] 2013-12-09
[152] 뉴스 Regions and territories: New Caledonia http://news.bbc.co.u[...] 2013-01-16
[153] 뉴스 Karembeu, France & New Caledonia – a complex relationship https://www.newindia[...] 2018-10-12
[154] 웹사이트 New Caledonia joins the world football community https://www.fifa.com[...] FIFA 2004-05-24
[155] 웹사이트 New Caledonia National Basketball Team – An Unknown Champion https://www.visitnew[...] 2019-11-13
[156] 뉴스 Beniela Adjouhgniope,le colosse de l'AS 6e Km https://www.lnc.nc/a[...]
[157] 웹사이트 Women's Cricket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158] 웹사이트 Pacifique Treize: The French-speaking Pacific team who want to join Queensland Cup https://www.loverugb[...] 2020-05-08
[159] 뉴스 Let's Go Local: The Sand Dunes And Café Planet For Drau https://fijisun.com.[...] 2021-03-20
[160] 웹사이트 What Do People Eat in New Caledonia? https://newcaledonia[...] 2013-01-30
[161] 웹사이트 Présentation https://web.archive.[...] Aéroport international de Nouméa la Tontouta 2013-01-30
[162] 웹사이트 Transport http://www.isee.nc/a[...] Institute of Statistics and Economic Studies (ISEE-NC)
[163] 웹사이트 Transport in New Caledonia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3-01-30
[164] 웹사이트 Site de la DITTT – Infrastructures routières https://web.archive.[...] 2018-07-17
[165] 웹사이트 Vœu no 1 du 13 juillet 2010 http://www.axl.cefan[...]
[166]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17-01-17
[167] 뉴스 ニューカレドニア フランスからの独立投票、11月に https://mainichi.jp/[...] 2018-03-19
[168] 뉴스 独立、再び否決 住民投票で賛否僅差―仏領ニューカレドニア https://www.jiji.com[...] 2020-10-04
[169] 뉴스 仏領ニューカレドニア 独立否決 独立派がボイコット 大統領、「フランスに留まる」と結果を正当化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1-12-12
[170] 서적 講座 世界の先住民族 -ファースト・ピープルズの現在- 09 オセアニア 明石書店 2005
[171] 뉴스 <関学研究室から~神戸三田キャンパス>ニューカレドニア 総合政策学部・津田睦美教授 | 三田 | 神戸新聞NEXT https://www.kobe-np.[...] 神戸新聞NEXT
[172] 서적 <ニューカレドニア> 10 カナク 明石書店 2005
[173] 서적 カナク 明石書店 2005
[174] 웹사이트 「天国にいちばん近い島」で起きた事件を映画化 監督に聞く https://www.nikkei.c[...] 2012-11-22
[175] 웹사이트 Referendum 2018 https://www.referend[...] 2018-11-04
[176] 뉴스 仏領ニューカレドニアの差別と血に濡れた独立運動 https://www.newsweek[...] Newsweek 2018-11-08
[177] 뉴스 仏領ニューカレドニアで議会選、独立反対派が小差で過半数制す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9-05-13
[178] 뉴스 独立、再び否決 住民投票で賛否僅差―仏領ニューカレドニア https://www.jiji.com[...] 時事ドットコム 2020-10-04
[179] 웹사이트 New Caledonia's government collapses over independence vote https://asia.nikkei.[...] Nikkei Asia 2021-02-03
[180] 웹사이트 New Caledonia coalition collapses over independence, mineral resources https://www.rfi.fr/e[...] 라디오 프랑스 인터내셔널 2021-02-03
[181] 웹사이트 New Caledonia: Pro-independence parties win majority in snap elections https://www.euronews[...] ユーロニュース 2021-02-17
[182] 웹사이트 New Caledonia's pro-independence camp wins historic election https://www.rnz.co.n[...] 라디오・뉴질랜드 2021-02-19
[183] 뉴스 En Nouvelle-Calédonie, un indépendantiste kanak, Louis Mapou, devient pour la première fois chef du gouvernement collégial https://www.lemonde.[...] 2021-07-08
[184] 뉴스 仏軍事研究所が「中国の影響力」報告書 沖縄を標的と指摘 https://www.sankei.c[...] 2021-10-05
[185] 웹사이트 フランス領ニューカレドニア、三たび独立否決 https://www.nikkei.c[...] NHK
[186] 뉴스 仏領ニューカレドニア 独立否決 独立派がボイコット 大統領、「フランスに留まる」と結果を正当化 https://www.sankei.c[...] 2021-12-12
[187] 웹사이트 France under Pacific scrutiny after New Caledonia referendum impasse https://www.aspistra[...] ASPIストラテジスト
[188] 웹사이트 ‘Null and void’: boycott clouds New Caledonia’s final poll on independence https://www.theguard[...] ガーディアン
[189] 웹사이트 ニューカレドニアでなぜ暴動?人気のリゾート地で何が? https://www3.nhk.or.[...]
[190] 웹사이트 マクロン大統領 ニューカレドニア訪問 憲法改正手続き延期へ https://www3.nhk.or.[...]
[191] 뉴스 ニューカレドニアに短期滞在の日本人 希望者全員が出国 https://www3.nhk.or.[...] NHK
[192] 뉴스 フランス領ニューカレドニア 暴動から2か月 影響は長期化 https://www3.nhk.or.[...] NHK
[193] 뉴스 ニューカレドニア、暴動で非常事態宣言 改憲案のフランス議会採決に抗議 https://www.cnn.co.j[...] CNN 2024-05-16
[194] 뉴스 仏領ニューカレドニア 大規模暴動続く 日本人観光客も足止め https://www3.nhk.or.[...] NHK 2024-05-16
[195] 웹사이트 (社説)仏は鉱物産地の混乱収束を https://www.nikkei.c[...] 2024-05-28
[196] 방송 ガイアの危機~資源争奪の世紀を生き抜く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 2008-01-03
[197] 일반
[198] 서적 South Pacific & Micronesia https://archive.org/[...] Lonely Planet 2006
[199] 웹사이트 The Population at Different Censuses https://www.isee.nc/[...] 2020-11-02
[200] 뉴스 허니문 특집-꿀처럼 달콤한 그 시간을 누려라 ② 해외 http://www.travie.co[...] 한국여행신문사 2009-03-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