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라토아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틀라토아니는 "말하는 자"라는 뜻의 나우아틀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왕", "군주", "지배자" 또는 "연설자"로 번역되며, 아즈텍 제국을 포함한 메소아메리카 지역의 최고 통치자를 지칭한다. 틀라토아니는 전쟁 계획 수립, 동맹과의 외교, 전사 관리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아즈텍 제국에서는 종신직으로, 신성한 존재로 여겨졌다. 테노치티틀란에는 11명의 틀라토아니가 있었으며, 마지막 틀라토아니인 콰우테목은 스페인 정복 이후 처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틀라토아니 | |
---|---|
개요 | |
직책 | 알테페틀(도시 국가)의 통치자 |
언어 | 나와틀어 |
스타일 | 후에이 틀라토아니(Hueyi tlahtoāni) |
거주지 | 테노치티틀란 |
임명 | 원로 위원회 |
시작 | 기원전 1376년경 |
종료 | 1521년 |
역대 통치자 | |
초대 통치자 | 아카마피치틀리 |
마지막 통치자 | 쿠아우테목 |
상세 정보 | |
설명 | 틀라토아니(tlahtoāni, 복수형: tlahtohqueh)는 나와틀어로 "말하는 자"를 의미하며, 알테페틀(āltepētl, 도시 국가)의 통치자를 가리킨다. |
칭호 | 후에이 틀라토아니(Hueyi tlahtoāni), "위대한 화자"라는 칭호도 사용되었다. |
여성 통치자 | 여성 통치자는 시우아틀라토아니(cihuātlahtoāni)라고 불렸다. |
통치 영역 | 통치 영역은 틀라토카틀랄리(tlahtohcātlālli)라고 불렸다. |
통치 궁전 | 통치 궁전은 틀라토카칼리(tlahtohcācalli)라고 불렸다. |
2. 어원
"틀라토아니"(tlahtoāni|nah)라는 용어는 "말하다"라는 뜻의 동사 tlahtoa|nah에서 파생된 행위 명사로, 문자 그대로 "말하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다. 영어로는 "왕", "군주", "지배자" 또는 어원에 따라 "연설자"로 다양하게 번역되어 왔다. 복수형은 ''tlahtohqueh|nci''이며, 구성 형태는 ''*tlahtohcā-|nci''이다. 예를 들어 ''tlahtohcāyōtl|nci''("통치, 왕국"), ''tlahtohcātlālli|nci''("왕실 영토"), ''tlahtohcācalli|nci''("왕궁") 등이 있다.[6]
아즈텍은 처음에는 4명의 혈족 대표가 통치했지만, 이후 틀라토아니가 지배하는 제도로 변화했다.[9] 새로운 틀라토아니는 트라코치칼카틀, 트라카테카틀, 에스콰와카틀, 트리란칼키라고 불리는 4명의 장의 합의로 선출되었다.[10] 규칙적으로는 많은 귀족 자제 중에서 선출되어야 했지만, 아즈텍 시대에는 새로운 틀라토아니가 항상 전임자의 자손이나 형제와 같은 혈족에서 선출되어 세습 군주제로 변화했다고 할 수 있다.[9]
관련 칭호로는 왕자 및 기타 저명한 귀족에게 주어지는 ''tlahtohcāpilli|nci''와 배우자 또는 공주를 포함한 귀부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는 ''cihuātlahtoāni|nci''가 있다.[7]
3. 권력 구조
아카마피치틀리가 테노치티틀란의 초대 틀라토아니로 선출된 이래, 마지막 쿠아우테목까지 11명이 틀라토아니 자리에 올랐다.
틀라토아니는 신성하게 여겨져 일반인의 눈에 띄는 일은 거의 없었다. 식사는 혼자 했고, 걸을 때는 발이 직접 땅에 닿지 않도록 깔개 위를 걸었다.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이 틀라토아니의 몸에 닿는 일도 없었다.[9]
틀라토아니 즉위식은 인간이 신이 되기 위한 것이었으며, 며칠, 때로는 몇 주에 걸쳐 행해졌다. 신임 틀라토아니로 선출된 자는 자신이 틀라토아니로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전투를 통해 포로를 얻어 돌아왔다. 축연은 4-5일에 걸쳐 행해졌으며, 테노치티틀란의 5개 성지에서 본인의 피를 포함한 제물을 바쳤다.[11] 틀라토아니는 한번 즉위하면 종신 그 지위에 있었다.[11]
스페인인 도래 이전에는 틀라토아니 행위에 대한 반대 행위는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단, 티소크는 모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
마지막 틀라토아니인 쿠아우테목은 1521년 에르난 코르테스에게 항복한 후, 코르테스의 온두라스 원정에 동행했지만, 그 도중 반란 혐의로 1525년에 처형되었다. 코르테스는 동행자 중에서 시우아코아틀의 후계자로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Juan Velázquez Tlacotzin|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nah을 선택했지만, 원정에서 돌아오기 전인 1526년에 병사했다. 테노치티틀란으로 돌아온 코르테스 등은 안드레스 데 타피아 모텔치우Andrés de Tapia Motelchiuh|안드레스 데 타피아 모텔치우nah라는 자를 후계자로 선출했지만, 그는 왕가의 혈통을 잇지 않았다.[13]
3. 1. 시우아코아틀
시우아코아틀은 틀라토아니 다음 가는 제2인자였다. 귀족 출신으로 법정 시스템의 최고 재판관을 역임하고, 하위 법원 판사를 임명했으며, 알테페틀의 재정을 관리했다.[4] 재상에 해당하는 시우아코아틀은 정치·경제·군사·종교에 걸쳐 권력을 가지고 있었다.[12]
3. 2. 전쟁 시의 역할
전쟁 시, 틀라토아니는 전투 계획을 수립하고 자신의 군대를 위한 전략을 세우는 책임을 맡았다. 그는 적의 알테페틀(도시 국가)로 파견된 다양한 정찰병, 전령, 스파이들로부터 정보를 받은 후 이러한 계획을 작성했다. 적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세한 정보가 보고서를 통해 그에게 전달되었으며, 이는 각 전투의 안전과 성공을 보장하는 데 필수적이었다.[8]
이러한 구성은 도시 구조에서 주변 지역에 이르기까지 매우 상세하게 작성되었다. 틀라토아니는 모든 분쟁에 대해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으며 전쟁 중 주요 의사 결정자였다.[8]
그는 또한 자신의 도시 국가에서 선물과 사절을 보내 동맹 통치자들의 지지를 얻는 책임을 맡았다. 전쟁 중 틀라토아니는 자신의 전사들의 사망과 포로가 된 상황을 즉시 보고받았다. 그는 또한 전사들의 전사 또는 포로 상황을 시민들에게 알리고, 성공한 전사들에게 선물을 전달하는 책임을 맡았다.
4. 아즈텍의 틀라토아니
틀라토아니 다음 지위는 재상에 해당하는 시와코아틀이었으며, 정치·경제·군사·종교에 걸쳐 권력을 가졌다.[12]
스페인인의 도래 이전에 틀라토아니의 행위에 대한 반대는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단, 티소크는 모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2]
마지막 틀라토아니인 콰우테목은 1521년 에르난 코르테스에게 항복한 후, 코르테스의 온두라스 원정에 동행했지만, 그 도중 반란 혐의로 1525년에 처형되었다. 코르테스는 동행자 중에서 시와코아틀의 후계자로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Juan Velázquez Tlacotzinnah을 선택했지만, 원정에서 돌아오기 전인 1526년에 병사했다. 테노치티틀란으로 돌아온 코르테스 등은 안드레스 데 타피아 모텔치우Andrés de Tapia Motelchiuhnah라는 자를 후계자로 선출했지만, 그는 왕가의 혈통을 잇지 않았다.[13]
4. 1. 선출 방식
아즈텍은 처음에는 4명의 혈족 대표가 통치했지만, 이후 틀라토아니가 지배하는 제도로 변화했다.[9] 새로운 틀라토아니는 트라코치칼카틀, 트라카테카틀, 에스콰와카틀, 트리란칼키라고 불리는 4명의 장의 합의로 선출되었다.[10] 규칙적으로는 많은 귀족의 자제 중에서 선출되어야 했지만, 아즈텍 시대에 새로운 틀라토아니는 항상 전임자의 자손이나 형제와 같은 혈족에서 선출되게 되었고, 세습 군주제로 변화했다고 말할 수 있다.[9]초대 아카마피치틀리가 테노치티틀란의 틀라토아니로 선출된 이래, 마지막 쿠아우테목까지 11명이 틀라토아니의 자리에 올랐다. 한번 틀라토아니가 된 자는 퇴위하지 않고, 종신 그 지위에 있었다.[11]
4. 2. 테노치티틀란의 역대 틀라토아니

테노치티틀란에는 11명의 ''틀라토아케''가 있었다. 이츠코아틀부터 테노치티틀란의 ''틀라토아니''는 아즈텍 제국의 ''후에이 틀라토아니''였다.
재위 기간 | 이름 |
---|---|
1376년 ~ 1395년 | 아카마피치틀리 |
1395년 ~ 1417년 | 위칠리위틀 |
1417년 ~ 1427년 | 치말포포카 |
1427년 ~ 1440년 | 이츠코아틀 |
1440년 ~ 1469년 | 모테코수마 1세 |
1469년 ~ 1481년 | 아샤야카틀 |
1481년 ~ 1486년 | 티속 |
1486년 ~ 1502년 | 아우이초틀 |
1502년 ~ 1520년 | 모테코수마 2세 |
1520년 | 쿠이틀라와크 |
1520년 ~ 1521년 | 콰우테목 |
아즈텍은 처음에는 4명의 혈족 대표가 통치했지만, 이후 틀라토아니가 지배하는 제도로 변화했다.[9] 새로운 틀라토아니는 4명의 장(각각 트라코치칼카틀, 트라카테카틀, 에스콰와카틀, 트리란칼키라고 불림)의 합의로 선출되었다.[10] 규칙적으로는 많은 귀족의 자제 중에서 선출되어야 했지만, 아즈텍 시대에 새로운 틀라토아니는 항상 전임자의 자손이나 형제와 같은 혈족에서 선출되게 되었고, 세습 군주제로 변화했다고 말할 수 있다.[9]
초대 아카마피치틀리가 테노치티틀란의 틀라토아니로 선출된 이래, 마지막 콰우테목까지 11명이 틀라토아니의 자리에 올랐다.
4. 3. 신성성
아즈텍의 틀라토아니는 신성하게 여겨져 일반인의 눈에 띄는 일이 거의 없었다. 식사는 혼자 했고, 걸을 때에는 발이 직접 땅에 닿지 않도록 깔개 위를 걸었다. 공공장소에서 다른 사람이 틀라토아니의 몸에 닿는 일도 없었다.[9]틀라토아니의 즉위식은 인간이 신이 되기 위한 것이었으며, 며칠, 때로는 몇 주에 걸쳐 행해졌다. 신임 틀라토아니로 선출된 자는 자신이 틀라토아니로서의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전투를 통해 포로를 얻어 돌아왔다. 축연은 4-5일에 걸쳐 행해졌으며, 테노치티틀란의 5개의 성지에서 본인의 피를 포함한 제물을 바쳤다.[11] 한번 틀라토아니가 된 자는 퇴위하지 않고, 종신 그 지위에 있었다.[11]
4. 4. 즉위식
아즈텍에서 틀라토아니 즉위식은 인간이 신이 되는 과정으로, 며칠에서 몇 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신임 틀라토아니로 선출된 자는 자신의 능력을 증명하기 위해 전투에서 포로를 잡아 돌아와야 했다.[11] 축제는 4~5일 동안 이어졌으며, 테노치티틀란의 5개 성지에서 자신의 피를 포함한 제물을 바쳤다.[11] 한번 틀라토아니가 된 자는 퇴위하는 일 없이 종신토록 그 지위에 있었다.[11]4. 5. 종신직
아즈텍은 처음에는 4명의 혈족 대표가 통치했지만, 이후 틀라토아니가 지배하는 제도로 변화했다.[9] 새로운 틀라토아니는 4명의 장(각각 트라코치칼카틀, 트라카테카틀, 에스콰와카틀, 트리란칼키라고 불림)의 합의로 선출되었다.[10] 규칙적으로는 많은 귀족 자제 중에서 선출되어야 했지만, 아즈텍 시대에 새로운 틀라토아니는 항상 전임자의 자손이나 형제와 같은 혈족에서 선출되게 되었고, 세습 군주제로 변화했다고 말할 수 있다.[9] 한번 틀라토아니가 된 자는 퇴위하지 않고 종신 그 지위에 있었다.[11]5. 기타 지역의 틀라토아니
아즈텍이 세력을 갖기 전, 테스코코 호 서쪽의 아스카포찰코를 수도로 하는 테파네카의 틀라토아니인 테소소모크가 잘 알려져 있다.
테스코코 호 동쪽 기슭에서는 아콜와가 도시 국가 테스코코를 수도로 삼았고, 그 틀라토아니인 네사우알코요틀은 테노치티틀란의 이츠코아틀과 동맹을 맺어 아스카포찰코를 무너뜨렸다.
6. 스페인 정복 이후
에르난 코르테스에게 항복한 마지막 틀라토아니인 쿠아우테목은 코르테스의 온두라스 원정에 동행했지만, 그 도중 반란 혐의로 1525년에 처형되었다.[13] 코르테스는 동행자 중에서 시와코아틀의 후계자로 후안 벨라스케스 틀라코친Juan Velázquez Tlacotzin영어을 선택했지만, 원정에서 돌아오기 전인 1526년에 병사했다.[13] 테노치티틀란으로 돌아온 코르테스 등은 안드레스 데 타피아 모텔치우Andrés de Tapia Motelchiuh영어라는 자를 후계자로 선출했지만, 그는 왕가의 혈통을 잇지 않았다.[13]
참조
[1]
문서
[2]
문서
[3]
웹사이트
TLAHTOANI
http://sites.estvide[...]
2007-06-14
[4]
웹사이트
Aztec Political Structure
https://tarlton.law.[...]
2020-03-10
[5]
백과사전
pre-Columbian civilizations
https://www.britanni[...]
2017-05-22
[6]
웹사이트
Nahuatl dictionary
http://whp.uoregon.e[...]
2012-01-01
[7]
웹사이트
CIHUATLAHTOANI
http://sites.estvide[...]
2007-06-08
[8]
웹사이트
Aztec and Maya Law
https://tarlton.law.[...]
2020-03-11
[9]
서적
Tlatoani
[10]
서적
[11]
서적
accession
[12]
간행물
Los tlatoanis méxicas. La construcción de un imperio
https://arqueologiam[...]
Instituto Nacional de Antropología e Historia
[13]
서적
Codex Chimalpahin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4]
웹사이트
TLAHTOANI
http://sites.estvide[...]
2007-06-14
[15]
웹사이트
CIHUATLAHTOANI
http://sites.estvide[...]
2007-06-08
[16]
웹사이트
Nahuatl dictionary
http://whp.uoregon.e[...]
2016-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