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사우알코요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사우알코요틀은 멕시코주에 있는 도시이자 자치구로, 아즈텍 삼자 동맹의 테스코코 영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세기까지 테스코코 호수 아래에 있던 지역을 간척하여 개발되었으며, 1963년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멕시코시티로의 인구 유입으로 인해 불법 건축이 증가하고 기반 시설 부족 문제가 발생했으나,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어 스포츠 시설, 문화 센터, 공원 등이 조성되었다. 현재 멕시코주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자치구이며, 멕시코시티 광역권에 속한다. 경제는 상업에 기반하고 있으며, 갱단 문제, 빈곤, 인프라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주 - 텍스코코
텍스코코는 멕시코 고원에 위치한 도시로, 아즈텍 시대 예술과 문화가 번성했으며, 현재는 농업, 축산업, 유리 공예가 주요 산업이고, 문화 축제가 열리며, 멕시코시티 국제공항 건설 시도로 논란이 있었다. - 멕시코주 - 메테펙
- 멕시코의 도시 - 시우다드후아레스
시우다드후아레스는 멕시코 치와와주에 위치하며 미국 엘파소와 국경을 접하고, 1659년 건설되어 1888년 시우다드후아레스로 개칭되었으며, 마킬라도라 산업 성장으로 인구가 증가했으나 마약 카르텔 폭력으로 치안이 악화되었고, 수출 중심의 산업과 냉대 사막 기후를 보인다. - 멕시코의 도시 - 베라크루스
베라크루스는 멕시코 동부 해안의 항구 도시이자 주로, 에르난 코르테스의 상륙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식민지 시대 주요 항구로서 번성했으나 여러 외세 침략과 역사적 사건을 겪었고, 풍부한 역사와 문화, 활기찬 항구, 독특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도시이다.
네사우알코요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네사우알코요틀 |
다른 이름 | 시우다드 네사우알코요틀 |
별칭 | 네사 네사요르크 (Neza York) |
![]() |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멕시코 |
주 | [[File:Flag of the State of Mexico.svg|에스타도 데 멕시코|23px]] 에스타도 데 멕시코 |
자치시 | 네사우알코요틀 |
행정 중심지 | 시우다드 네사우알코요틀 |
설립 | |
자치시 설립일 | 1963년 4월 23일 |
정부 | |
정부 형태 | 아야운타미엔토 (Ayuntamiento) |
시장 | 아돌포 세르케다 레볼로 (2022–2024) |
면적 | |
총 면적 | 63.74 km² |
육지 면적 | 해당 정보 없음 |
물 면적 | 0.62 km² |
인구 | |
인구 (2020년) | 1,077,208명 |
인구 밀도 | 17,026.4명/km² |
북미 순위 | 25위 (북미) |
멕시코 순위 | 10위 (멕시코) |
시간대 | |
시간대 | CS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6 |
기타 정보 | |
고도 (행정 중심지) | 2220m |
우편 번호 (행정 중심지) | 57000 |
지역 번호 | 55 |
데모님 | 네사우알켄세 (Nezahualquense)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스페인어) |
2. 역사
네사우알코요틀 시와 자치구의 이름은 15세기 테스코코의 영주이자 시인이었던 네사우알코요틀에서 유래했다. 그는 아즈텍 삼자 동맹의 주요 인물 중 하나였다.[2] 현재 자치구가 위치한 지역은 20세기까지 테스코코 호수 아래에 있었으나,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된 오랜 간척 사업 끝에 육지가 되었다.[2]
1933년 멕시코 시티–푸에블라 고속도로가 건설되면서 이 지역에 첫 정착지가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주로 치말후아칸, 라 파스, 에카테펙 등 인근 자치구에서 확장된 형태였다.[2] 초기 정착지는 기반 시설이 매우 열악했으나, 1940년대부터 식수 공급 등의 노력이 시작되었다. 1950년대에는 멕시코 각지에서 이주민들이 몰려들면서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지만, 여전히 전기, 수도 등 기본적인 서비스가 부족했다.[2][3]
늘어나는 인구와 서비스 부족 문제 속에서 1960년, 이 지역을 치말후아칸 자치구에서 분리하려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마침내 1963년 4월 3일, 네사우알코요틀은 독립된 자치구로 승격되었다.[2] 자치구 승격 이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상수도, 도로 포장, 하수도, 가로등과 같은 기본적인 기반 시설 확충이 이루어졌다.[2][3] 복잡했던 토지 소유권 문제도 1970년대 중반부터 규제를 통해 점차 해결되기 시작했다.[2]
1980년대에는 병원, 자치구 청사, 학교, 도서관 등 주요 공공 건물이 들어서고 도시가 빠르게 성장했으며,[2] 1990년대에는 시우다드 데포르티바(스포츠 시)와 네사우알코요틀 기술 대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1995년에는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2]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107만 명으로, 멕시코주에서 에카테펙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자치구이다.
과거 이 지역은 멕시코 계곡의 호수와 연못에 서식했던 치치쿠일로테-아치치스티수일로트라는 새가 많았던 것으로 유명했으나, 현재는 거의 멸종되었다.[8] 또한, 복싱 선수 움베르토 "라 치키타" 곤살레스나 휠체어 농구 범아메리카 경기 대회 금메달리스트인 그라시엘라 에르난데스와 같은 운동선수들을 배출하기도 했다.[3] 하지만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형성된 슬럼 문제, 낮은 생활 수준, 치안 문제 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으며, 점진적인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 1. 테스코코 호수와 간척
현재 네사우알코요틀 자치구가 위치한 지역은 20세기까지 테스코코 호수 아래에 있었다.[2] 멕시코 계곡의 서로 연결된 호수들을 배수하는 작업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 초기에 시작되었다. 1590년에는 고질적인 멕시코 시의 홍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 번째 주요 배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으며,[2] 이는 포르피리오 디아스 대통령 시대인 1900년에 이르러 완료되었다.멕시코 독립 전쟁 시기에도 멕시코 시 지역에서는 홍수가 여전히 빈번했으며, 이 무렵부터 테스코코 호수를 직접 배수하려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2] 1912년, 테스코코 호수 지역은 연방 정부의 재산으로 선언되었고, 이후 1930년대까지 호수를 완전히 배수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2]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정부 시기인 1917년부터는 호수 배수로 인해 드러나기 시작한 토지의 법적 소유권을 결정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었다. 이 토지의 대부분은 판매될 연방 재산으로 선언되었다.[2] 1919년에는 간척된 토지가 농지로 판매되기도 했으나, 염해 피해가 심하여 농업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2. 2. 초기 정착과 자치구 형성
현재 네사우알코요틀 자치구가 위치한 지역은 과거 테스코코 호 아래에 있었으나, 스페인 식민지 시대 초기부터 시작된 호수 배수 작업으로 점차 육지가 드러났다. 1590년, 멕시코 시티의 만성적인 홍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 대규모 배수 프로젝트가 시작되었고, 멕시코 독립 전쟁 시기에도 홍수가 빈번하여 테스코코 호수 직접 배수 작업이 추진되었다. 1912년, 테스코코 호수 지역은 연방 재산으로 선언되었으며, 1930년대까지 호수를 완전히 배수하려는 노력이 이어졌다.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정부 시기인 1917년부터는 호수 배수로 드러난 토지의 법적 소유권을 명확히 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 땅의 대부분은 연방 재산으로 선언되어 판매될 예정이었다. 1933년에는 멕시코 시티와 푸에블라를 잇는 고속도로가 이 지역을 통과하며 건설되었고, 이를 계기로 현재 자치구의 첫 정착지들이 치말후아칸, 라 파스, 에카테펙 자치구의 확장 형태로 생겨나기 시작했다.[2]
초기 정착지들은 기반 시설이나 공공 서비스가 전무한 상태였으며, 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1940년대에 들어서야 시작되었다. 1945년에는 소치아카 댐과 테키스키악 터널이 건설되었고, 이를 통해 식수를 공급하면서 후아레스 판티틀란, 멕시코, 엘 솔과 같은 첫 공식 동네들이 형성되었다. 1949년 당시 이 지역의 주민은 약 2,000명이었다.[2]
1950년대에 들어서면서 멕시코 각지에서 더 나은 기회를 찾아 멕시코 시티 지역으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몰려들면서 이 지역의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3] 전기조차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열악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1954년에는 인구가 40,000명까지 늘어났다. 1950년대에 멕시코 주로부터 좀 더 공식적인 행정적 지위를 얻기도 했지만, 여전히 기반 시설은 부족했다. 1959년에는 이 지역 33개 동네를 대표하는 단체가 충분한 식수 공급을 포함한 기본적인 서비스 부족 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항의했다.[2]
1960년, 당시 인구가 80,000명에 달했던 이 지역을 기존의 치말후아칸 자치구에서 분리하여 새로운 자치구를 만들자는 제안이 나왔다. 이러한 움직임은 1963년 4월 3일, 멕시코 주 의회가 네사우알코요틀 자치구 창설을 승인하면서 결실을 보았다. 초대 자치구장으로는 호르헤 사엔스 고메즈 크노스가 임명되었다.[2] 자치구 승격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상수도, 포장도로, 하수도, 가로등과 같은 필수 기반 시설을 확충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2][3] 하지만 토지 소유권 문제는 여전히 복잡하게 얽혀 있었고, 토지 판매에 대한 법적 규제는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일부까지 이어졌다.[2]
2. 3. 자치구 발전과 도시화
1963년 네사우알코요틀이 자치구로 승격된 것은 도시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물 공급, 도로 포장, 하수도 설치, 가로등 설치 등 기본적인 도시 기반 시설을 확충하는 작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2][3]
하지만 토지 소유권 문제는 여전히 복잡한 과제로 남아 있었다. 이 지역의 토지 판매는 법적으로 얽혀 있는 부분이 많았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규제는 197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1980년대를 거쳐 1990년대 일부까지 계속되었다.[2]
1980년대 초까지는 병원, 자치구 청사, 학교, 도서관, 고고학 박물관 등 주요 공공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또한, 소치아카 지역은 매립되었고 그 가장자리에는 스포츠 시설이 들어섰다.[2]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도시는 더욱 빠르게 성장하여 새로운 주거 지역과 쇼핑 센터 등이 건설되었다. 이러한 급격한 도시 팽창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해 자치구 차원의 위원회 설립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2]
1990년대에는 도시 발전을 위한 주요 시설들이 추가로 설립되었다. 대표적으로 시우다드 데포르티바(스포츠 시)와 네사우알코요틀 기술 대학교가 문을 열었다. 이러한 발전을 거치며 1995년에는 자치구의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2]
3. 지리
네사우알코요틀은 멕시코 분지 동부에 위치하며, 멕시코 시티 광역권에 속한다.[2] 해발 고도는 2220m이다.[2] 역사적으로 테스코코 호의 호수 바닥이었던 곳으로, 토지는 평탄하다.
이 지방 자치 단체는 북쪽과 동쪽으로 멕시코주의 에카테펙 데 모렐로스, 라 파스, 치말후아칸, 산 살바도르 아텐코 지방 자치 단체와 경계를 이룬다. 서쪽과 남쪽으로는 멕시코시티의 구스타보 A. 마데로,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이스타팔라파, 이스타칼코 구와 접하고, 북서쪽으로는 텍스코코 호의 연방 구역 잔해와 경계를 이룬다.[2]
자치체의 면적은 63.44km2이며,[2] 다른 자료에서는 63.74km2로 언급되기도 한다. 면적의 81%는 시가 차지하고 있다.[2] 로스 레메디오스 강과 추루부스코 강 지류가 이곳을 통과한다. 가장 북동쪽에는 텍스코코 호의 잔해가 있으며, 생태 보호 구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파르케 델 푸에블로의 일부로 인공 호수가 건설되었다.[2]
기후는 온화하며 겨울은 꽤 춥다. 강우는 주로 6월에서 10월 사이에 집중된다. 평균 기온은 약 15°C이며, 최고 34°C에서 최저 -5°C까지 기온이 나타난다.[2] 20세기까지 수중이었고 지역이 거의 완전히 도시화되었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토착 야생 동식물이 거의 없다. 그러나 겨울에는 두루미와 황새와 같은 여러 조류 종이 지나간다.[2]
4. 기후
네사우알코요틀은 온대 기후이다. 여름에는 비가 많고 습도가 높으며, 봄에는 강수량이 적은 편이다. 기온은 대략 7°C에서 27°C 사이에서 변화한다. 연평균 강수량은 518.8mm이다.
5. 인구
네사우알코요틀 시는 기초 자치단체와 거의 동일한 범위를 가지며, 201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기초 자치단체 인구 1,110,565명 중 99.46%가 시 경계 내에 거주했다.[40] 이는 멕시코주에서 에카테펙 다음으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방 자치 단체이며, 멕시코 전국에서는 아홉 번째로 큰 규모이다.[40] 2020년 기준 시 인구는 1,077,208명으로, 여전히 멕시코주에서 에카테펙에 이어 두 번째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6. 행정 구역
네사우알코요틀 시는 네사우알코요틀 지방 자치 단체(municipality)와 거의 동일하며, 2010년 기준 지방 자치 단체 인구 1,110,565명 중 99.46%인 1,104,585명이 시 경계 내에 거주하고 있다.[40] 시 외곽으로 간주되는 지역은 콜로니아 구스타보 바스 프라다(Colonia Gustavo Baz Prada), 시우다드 하르딘(Ciudad Jardín), 레예노 사니타리오 네사우알코요틀 세군도(Relleno Sanitario Nezahualcóyotl Segundo), 폴리고노스(Polígonos), 에스쿠엘라 라우라 리오하스 데 콜로시오(Escuela Laura Riojas de Colosio), 17 데 후니오(17 de Junio) 등 6곳뿐이지만, 시는 이 지역 사회에 대한 지방 정부 역할을 수행한다.[40][2]
지방 자치 단체의 총 면적은 63.44km2이며, 이 중 81%를 시가 차지하고 있다. 시는 '콜로니아(colonia)'라고 불리는 86개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머지 면적은 텍스코코 호수 옛 유역의 연방 구역 일부이다.[2]
다음은 네사우알코요틀 지방 자치 단체를 구성하는 주요 지역(도시, 마을, 촌락 등)과 2010년 인구 조사 기준 인구이다.[40]
이름 | 2010년 인구 조사 인구 |
---|---|
네사우알코요틀 시 | 1,104,585 |
구스타보 바스 프라다 | 3,291 |
폴리고노스 | 2,482 |
시우다드 하르딘 | 91 |
네사우알코요틀 세군도 [쓰레기 매립지] | 64 |
17 데 후니오 | 34 |
라우라 리오하스 데 콜로시오 [학교] | 18 |
총 지방 자치체 | 1,110,565 |
7. 경제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원본 소스에 없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8. 사회 문제
네사우알코요틀은 멕시코시티로의 급격한 인구 유입과 함께 계획되지 않은 상태로 확장되면서 여러 사회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도시 형성 초기부터 전기, 수도, 하수도와 같은 기본적인 생활 기반 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했으며, 학교나 포장된 도로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다. 이는 과거 테스코코 호의 호수 바닥을 간척한 땅의 열악한 조건과 맞물려 도시 발전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기반 시설 부족은 도시의 슬럼화를 가속화시켰고, 교육, 교통, 보건 등 주민들의 전반적인 생활 수준을 낮추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 네사우알코요틀은 멕시코 내에서도 생활 환경이 열악하고 위험한 지역 중 하나로 여겨진다. 정부와 지역 사회의 노력으로 도시 기반 시설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사회적 과제를 안고 있다.
8. 1. 범죄와 치안
"촐로"는 시우다드 네사(Ciudad Neza)와 밀접하게 연관된 청소년 하위문화로, 마약 및 갱단 활동과 관련이 깊다.[19] 원래 "촐로"라는 단어는 라틴 아메리카 여러 국가에서 하층 계급의 메스티소(혼혈인)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촐로 문화는 1940년대 미국 내 히스패닉 사이에서 형성된 "파추코"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로스앤젤레스 등지의 갱단 문화로 발전했다. 이러한 갱단 현상은 1980년대에 미국에서 멕시코로 유입되었다.[7]멕시코 최초의 촐로 집단은 1990년대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바리오스", "클리카스", "강가스"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이들 중 상당수는 미국에서 시간을 보내며 다른 정체성을 습득하고 돌아온 청소년들에 의해 만들어졌다.[19] 촐로 구성원의 대부분은 13세에서 25세 사이의 청소년이며, 학력은 중학교 2학년을 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7] 이들 집단은 미국, 특히 캘리포니아 갱단의 조직 형태를 모방하며, 독특한 의상과 말투를 사용한다. 손 신호, 문신, 낙서 등은 촐로 문화를 상징하는 요소이다. 또한, 마리화나를 비롯한 마약의 사용 및 판매에 연루되어 있으며, 도시의 특정 구역을 통제하고 다른 집단과 구역 다툼으로 인한 폭력 사건을 일으키기도 한다.[19] 네사우알코요틀에서 활동하는 주요 촐로 갱단으로는 "41 스트리트", "DK13", "코브라스 13", "로스 수르 13", "코브라스 38", "로스 멕시칸", "로스 데 라 33", "카코스 13", "라 14", "수르 킹스" 등이 알려져 있다.[7]
전 시장인 루이스 산체스는 이러한 갱단 활동이 감소 추세에 있으며, 실제 활동적인 갱단은 두 곳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단순히 반문화적 생활 방식을 모방하는 수준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당국이 파악한 갱단 소속 청소년은 500명 미만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나 다른 정보 출처에서는 이러한 주장이 사실과 다르며, 도시 내에 100개가 넘는 갱단이 활동하고 있고 구성원 수도 훨씬 많다고 반박한다.[7][19]
8. 2. 인프라 부족
네사우알코요틀 지역은 원래 테스코코 호의 바닥이었으나, 간척 사업을 통해 육지가 되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된 간척은 포르피리오 디아스 대통령 때인 1900년에 완료되었다. 1919년 간척지가 농지로 판매되었지만, 염분이 많아 농사짓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멕시코시티로 많은 사람이 몰려들면서, 네사우알코요틀에는 허가받지 않은 건물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곳에는 전기, 하수도, 마실 물과 같은 기본적인 생활 기반 시설이 전혀 없었고, 학교나 포장된 도로조차 찾아볼 수 없었다.
1949년 약 2,000명이던 이 지역 인구는 1954년에는 4만 명으로 급증했지만, 늘어난 인구를 감당할 인프라는 턱없이 부족했다. 결국 1960년, 이 지역 33개 지구 연합은 자치권을 요구했고, 1963년에 독립된 자치구로 인정받았다.
현재 네사우알코요틀은 슬럼가가 많고, 교육, 교통, 보건 등 전반적인 생활 수준이 낮으며, 멕시코 내에서도 위험한 지역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악한 기반 시설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는 추세이다.
9. 문화
이 도시에는 1998년에 창설된 '''네사우알코요틀 어린이 교향악단 및 교향악단'''이 있다. 이 단체는 6세부터 17세까지의 청소년 45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멕시코 주에서는 유일한 단체이다. 이 오케스트라는 "2002년 주 청소년상"(Premio estatal de la juventud 2002|프레미오 에스타탈 데 라 후벤투드 2002es)을 포함한 다양한 상을 수상했다. 로베르토 산체스 차베스(Roberto Sánchez Chavez)가 지휘하며, 200회 이상 공연을 했고 대부분 도시 외곽에서 이루어졌다.[9]
9. 1. 문화 시설
이 도시의 주요 문화 센터는 1987년 8월 25일에 개관한 '''호세 라이메 토레스 보데트 문화 센터'''(호세 라이메 토레스 보데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이다. 이 건물은 세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 1층에는 워크숍, 전시실, 회의실, 문화 행사 공간, 언어 센터가 있다.[13][20] 2층에는 31,000권 이상의 장서와 아동 구역, 사용자용 컴퓨터 4대를 갖춘 '''보데트 도서관'''("Dr. 하이메 토레스 보데트" 도서관)이 있다.[13][20] 3층에는 1991년 4월 23일에 개관한 '''네사우알코요틀 정보 및 문서 센터'''(Centro de Información y Documentación de Nezahualcóyotl, CIDNE)가 있다. 이곳에서는 시 및 자치구에 관한 역사적, 법률적, 지도 제작, 사진 및 기타 유형의 정보를 수집하며, 이 자료는 열람 및 복사가 가능하다. 또한 작가 엘레나 포니아토스카의 이름을 딴 경제 문화 기금 출판사의 서점도 있다. 문화 활동은 시 당국 및 일반 사회와 협력하여 기획된다.[13][20]다른 문화 센터로는 호세 과달루페 포사다스 갤러리가 있는 '''호세 마르틴 문화 센터'''와 시 최초의 현대 미술 갤러리인 '''호르투스 갤러리'''가 있다.[2]
2013년부터 시는 자체 대성당을 갖게 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예수 디비나 미세리코르디아 대성당(Catedral de Jesús Divina Misericordia)이지만 일반적으로는 '''네사우알코요틀 대성당'''으로 불린다. 이 대성당은 전 주교 호세 마리아 에르난데스 곤잘레스에 의해 봉헌되었으며, 인접한 예배당, 아트리움, 서점 및 6개 언어(스페인어, 라틴어, 나후아틀어,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로 주기도문이 새겨진 외부 제단화를 포함하고 있다.[10][11] 개장 1년 후, 대성당은 30만멕시코 페소 이상의 가치를 지닌 유골함과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마리아 파우스티나 데 폴로니아 성소를 도난당했다.[12]
'''파르케 델 푸에블로'''(Parque del Pueblo, 국민 공원)는 인공 호수, 동물원, 관광 투어를 제공하는 기차를 갖춘 8.5ha 규모의 공원이다.[2][16] 이 공원은 1975년에 개장했으며, 자연사 박물관, 교육 워크숍 공간, 호수 및 야외 극장도 갖추고 있다. 대대적인 개조 공사를 위해 2001년에 폐쇄되었다가 2003년에 재개장했다.[16][41] 공원의 중심인 동물원에는 57종 260마리의 동물이 있으며, 이 중 31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또한 흰꼬리사슴, 벵골 호랑이, 라마, 들소, 코요테와 같은 종의 번식에도 성공했다. 이 공원은 연간 약 20,000명의 방문객을 맞이하며, 동물원은 입장료로 5페소만 부과한다.[16] 입장료는 관리 비용을 충당하고 시의 약물 중독 치료 기금으로 사용된다.[17]
'''시우다드 데포르티바'''(Ciudad Deportiva, 스포츠 도시)는 1990년에 건설된 스포츠 센터이다. 이곳은 보르도 데 소치아카(Bordo de Xochiaca) 매립지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었으며, 매립지 재활의 첫 번째 단계로 건설되었다. 배구, 테니스, 축구(어린이 및 성인용), 야구 및 기타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18]
'''엘 풀포'''(El Pulpo) 워터파크는 2015년 3월 23일에 네사우알코요틀 시의회에서 개장했다. 이는 시에서 복원된 70개의 공공 장소 중 하나이며, 엘 바르키토(El Barquito)와 라스 푸엔테스(Las Fuentes)와 같은 새로운 워터파크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무료 레크리에이션 공간은 네사우알코요틀의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1][22] 엘 풀포 워터파크는 재활용된 식수를 사용하여 작동하는 분수를 갖추고 있으며, 25m3의 물로 작동하여 낭비를 방지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이 물은 재활용되며 매주 유지 보수 후에 2m3의 물만 손실된다.[23]
9. 2. 문화 활동
네사우알코요틀 시에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활동이 마련되어 있다.'''문화 센터'''
1987년 8월 25일에 개관한 문화 센터는 현재 세 개의 구역으로 운영된다. 1층에는 워크숍, 전시회, 컨퍼런스, 문화 행사, 언어 센터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1층에는 아동 구역을 포함하여 31,000권 이상의 장서를 보유하고 사용자용 컴퓨터 4대를 갖춘 "Dr. 하이메 토레스 보데트" 도서관이 위치한다. 2층에는 1991년 4월 23일에 개관한 네사우알코요틀 정보 문서 센터(CIDNE)가 있으며, 이곳에는 작가 엘레나 포니아토스카의 이름을 딴 경제 문화 기금 출판사의 서점도 있다. 문화 활동은 시 당국 및 일반 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기획된다. CIDNE는 역사, 법률, 서지, 지도 제작, 사진, 신문, 비디오 등 시와 관련된 귀중한 정보를 수집하며, 이 자료는 열람 및 복사가 가능하다.[20]
'''워터파크'''
2015년 3월 23일, 네사우알코요틀 시의회는 "엘 풀포" 워터파크를 개장했다. 이는 시에서 복원한 70개의 공공 장소 중 하나이며, 엘 바르키토, 라스 푸엔테스와 함께 새로 조성된 워터파크 중 하나이다. 이러한 무료 레크리에이션 공간은 네사우알코요틀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휴식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1][22] 엘 풀포 워터파크는 재활용된 식수를 사용하는 분수를 갖추고 있으며, 25m3의 물로 운영되어 물 낭비를 최소화한다. 이 물은 재활용되며, 매주 유지 보수 후에는 약 2m2의 물만 손실된다.[23]
'''공원 내 문화 활동'''
네사우알코요틀의 공원에서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화 활동이 인기를 끌고 있다:[24]
- '''문화 행사 및 축제:''' 일년 내내 지역의 풍부한 문화 전통을 알리고, 지역 사회의 참여와 예술 향유를 장려하는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25][26]
- '''야외 극장:''' 인민 공원과 같은 공간에서는 가족 단위 방문객의 관심을 끄는 전통 연극을 포함한 다양한 연극 공연이 열린다.[27]
- '''교육 워크숍:''' 많은 공원에는 그림,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및 문화 분야의 학습을 장려하는 워크숍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23]
- '''전시회 및 박람회:''' 지역 예술가들의 작품 전시회와 박람회가 열려 예술가들이 자신의 작품을 선보이고 방문객들이 지역 문화를 즐길 기회를 제공한다.
- '''레크리에이션 활동:''' 문화 활동 외에도 하이킹 및 자전거 도로, 피크닉 구역 등이 마련되어 있어 야외 레크리에이션을 통해 문화적 경험을 보완할 수 있다.[25][26]
이러한 행사들은 시의 문화 생활을 풍요롭게 할 뿐만 아니라 주민들 사이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기여한다.
9. 3. 네사 요크
2000년대까지 미국, 특히 뉴욕 등지로 이주하는 멕시코 이민자들은 대부분 가난한 시골 지역 출신이었다. 하지만 21세기에 들어서는 네사우알코요틀과 같은 가난한 도시 지역 출신 이민자들이 새로운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 시골 출신 이민자들보다 젊고 교육 수준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이민자 커뮤니티 내에서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네사 요크'(Neza York|네사 요크es)라고 불리는 새로운 멕시코 하위문화가 생겨났다. 이 하위문화는 독특한 의복 스타일, 언어 사용 방식, 그리고 영어 학습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 등으로 구별된다. 뉴욕 시에는 '타코스 네사'(Tacos Neza|타코스 네사es)나 '네사 식료품점'(Neza Grocery|네사 그로서리es)처럼 이 하위문화와 관련된 이름의 가게들도 생겨났다.[5]10. 교육
네사우알코요틀 공과대학교(UTN)은 1991년 멕시코주 의회에서 멕시코의 테크놀로지 대학교 하위 시스템의 일환으로 설립되었다. 이 대학은 행정학, 상업, 컴퓨터 과학, 생산 공정, 환경 기술 및 통신 공학 분야에서 2년제 학위 6개를 제공한다. 캠퍼스에는 배구 코트, 올림픽 규격 수영장, 프로 축구 경기장을 포함한 광범위한 스포츠 시설이 있다.[38]
국립 자치 대학교(UNAM)의 아라곤 고등 연구 학부(FES-Aragón)는 UNAM의 분산화 프로그램의 일부이다. 이 캠퍼스는 1만 5천 명에서 2만 명의 학생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FES-Aragón은 건축학, 저널리즘, 법학, 산업 디자인, 경제학, 토목 공학, 컴퓨터 공학, 기계 공학, 전기 공학, 교육학, 농업 개발 및 계획, 국제 관계 및 사회학 분야에서 12개의 학위를 제공한다. 또한 다수의 대학원 학위도 제공한다. 캠퍼스에는 컴퓨터 센터, 개방형 대학교 및 외국어 센터가 있다.[39]
11. 교통
네사우알코요틀 시의 주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는 멕시코 시티 지하철과 멕시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이 교통망은 시 내부 및 인근 지역 간의 이동 편의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11. 1. 멕시코시티 지하철
2000년에 개통된 멕시코 시티 지하철 B호선에는 네사우알코요틀역, 임풀소라역, 리오 데 로스 레메디오스역이 있다.
11. 2. 멕시버스
멕시버스 3호선(치말후아칸-판티틀란) 노선이 운행된다. 이 노선에는 라스 토레스, 보르도 데 소치아카, 란초 그란데, 라스 마냐니타스, 라이토 델 솔, 헤네랄 비센테 비야다, 엘 카스티요, 소르 후아나 이네스 데 라 크루스, 팔라시오 무니시팔,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 라고 데 차팔라, 네사우알코요틀, 비르헨시타스, 비센테 리바 팔라시오, 마라비야스, 엘 바르키토 등의 역이 있다.12. 보르도 데 소치아카 매립지
Bordo de Xochiaca|보르도 데 소치아카es 매립지는 과거 멕시코 계곡에서 가장 큰 매립지 중 하나였으며,[34] 면적은 150ha에 달했다.[35] 이곳은 1970년대부터 운영된 노천 매립지로, 2006년에 폐쇄되었다.[35] 한때 세계 은행은 이곳을 세계에서 가장 오염된 장소 중 하나로 지목하기도 했다. 폐쇄될 당시에는 하루 평균 약 12,000톤의 쓰레기를 처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36][22][34][35][37]
2000년대 들어, 이 매립지를 폐쇄하고 부지를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Ciudad Jardín Bicentenario|시우다드 하르딘 비센테나리오es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프로젝트의 첫 단계는 매립지를 폐쇄하고 밀봉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매립지 주변에 살며 쓰레기를 분류해 생계를 유지하던 약 600명의 주민들이 이주해야 했다. 다음 단계에서는 지반을 안정시키고, 부패하는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메탄 및 기타 가스를 감시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설치했다. 총 2500m 길이의 파이프를 설치하여 메탄 가스를 포집하고, 이를 추출 시설로 보냈다. 포집된 가스는 대기 중으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막고, 주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로 활용하기 위해 추출된다. 투자자들은 이 회수 시스템을 통해 약 93000ton의 이산화 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이 지역에는 강수량 포집 시스템이 설치되어 빗물을 모아 350000m2 면적에 심어진 잔디의 관개 및 청소 용도로 재사용한다.[35]
전체 프로젝트에는 30억멕시코 페소의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대부분의 자금은 카를로스 슬림 헬루가 이끄는 Grupo Carso에서 나왔다. 시우다드 하르딘 비센테나리오 부지에는 쇼핑몰, 텔레톤 재활 센터, 라살레 대학교와 멕시코 주립 자치 대학교 캠퍼스, 연방 사법부 사무실, Telmex 재단 시설, 그리고 Star Médica 협회와 연계된 VIVO 병원 등이 들어섰다.[35]
마지막으로, 매립지 부지에는 시우다드 데포르티바(Ciudad Deportiva) 스포츠 단지의 확장 및 완공도 포함되었다. 이 시설은 2009년에 완공되었으며, 투자자들은 이 시설이 멕시코에서 가장 현대적인 스포츠 시설이라고 평가했다. 2009년 3월, 당시 주지사였던 엔리케 페냐 니에토와 주요 투자자인 카를로스 슬림 헬루가 참석한 가운데 개관식이 열렸다. 이 시설에는 올림픽 규격에 가까운 경기장, 사이클 트랙, 2개의 체육관, 25개의 축구장, 5개의 실내 축구장, 2개의 미식축구장, 4개의 테니스 코트, 4개의 농구 코트, 4개의 배구 코트, 2개의 자이 알라이 코트, 2개의 야구장, 에어로빅 플로어, 놀이터 및 레크리에이션 구역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2010년 1월 기준으로, 주 정부와 시 당국이 부지 소유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일반 대중에게는 개방되지 못하고 있었다.[34] 시설은 기업 후원을 통해 행정 비용을 충당하여 무료로 운영될 예정이었다.[35]
이 프로젝트는 직간접적으로 6,0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으며, 네사우알코요틀, 치말후아칸 및 멕시코 계곡 동부 지역의 2백만 명 이상 주민들에게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되었다.[35]
13. 기타
멕시코의 유명 유튜버이자 인터넷 유명인사인 마리솔 도밍게스(Marisol Domínguezes, AimeP3로 더 잘 알려짐)[28]의 집은 그녀의 팔로워들에게 "La Mansión P3"로 알려지며 공공의 관심을 받는 장소가 되었다. 이 집은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 대로변에 위치하고 있다.[29][30][31]
1988년에 제작된 세미 다큐멘터리 영화 ''사바도 데 미에르다''는 네사우알코요틀 출신의 미에르다 펑크 갱단을 다루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ando Municipal de Nezahualcóyotl 2015
https://web.archive.[...]
H. Ayuntamiento de Nezahualcóyotl 2013–2015
2015-08-21
[2]
웹사이트
Enciclopedia de los Municipios de México Estado de Mexico Nezahualcóyotl
https://web.archive.[...]
INAFED
2010-01-18
[3]
뉴스
Ciudad Nezahualcóyotl
https://web.archive.[...]
UNAM
2005-05-12
[4]
서적
Planet of Slums
La Découverte
2006
[5]
뉴스
Urban Tactics – Destination, Neza York
https://www.nytimes.[...]
2004-02-15
[6]
뉴스
Ejército-seguridad
2010-01-04
[7]
뉴스
Los cholos de 'Nezayork'
http://www.esmas.com[...]
null
[8]
웹사이트
Hablando de aves
http://www.mexicodes[...]
Mexico Desconocido
2010-01-18
[9]
웹사이트
Orquesta Sinfónica Infantil de Nezahualcóyotl (OSIN) y Banda Sinfónica de Nezahualcóyotl.
http://www.cdneza.go[...]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10]
뉴스
Neza ya tiene Catedral.(Nacional)
http://www.accessmyl[...]
2000-11-21
[11]
웹사이트
Catedral de Nezahualcóyotl
http://www.cdneza.go[...]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12]
뉴스
Neza: robo de arte sacro en la catedral
https://web.archive.[...]
2001-11-10
[13]
웹사이트
Centro Cultural "Dr. Jaime Torres Bodet"
https://web.archive.[...]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14]
웹사이트
Estadio de la Universidad Tecnológica de Nezahualcóyotl.
https://web.archive.[...]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15]
뉴스
Potros revive al Neza 86
https://web.archive.[...]
2002-07-05
[16]
웹사이트
Parque-Zoológico de Nezahualcóyotl
https://web.archive.[...]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17]
뉴스
Reabren zoológico en Nezahualcóyotl
https://web.archive.[...]
2003-02-06
[18]
웹사이트
Ciudad Deportiva de Nezahualcóyotl
https://web.archive.[...]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19]
뉴스
La vida loca
http://www.esmas.com[...]
null
[20]
웹사이트
Centro Cultural Municipal Dr. Jaime Torres Bodet
https://sic.cultura.[...]
2023-07-22
[21]
웹사이트
La Jornada: El ayuntamiento de Nezahualcóyotl inaugura el parque acuático El Pulpo
https://www.jornada.[...]
2015-03-23
[22]
웹사이트
Tiene Nezahualcóyotl parque acuático el pulpo
https://edomex.quadr[...]
2015-03-23
[23]
웹사이트
Inauguran Parque Acuático "El Pulpo"
http://espaciosdecul[...]
[24]
웹사이트
Casas y centros culturales en Nezahualcóyotl, Estado de México: 16 : Sistema de Información Cultural-Secretaría de Cultura
https://sic.gob.mx/l[...]
2024-11-08
[25]
웹사이트
Parque Nacional Molino de Flores Nezahualcóyotl en Texcoco, México
https://www.globalna[...]
2024-11-08
[26]
웹사이트
Nezahualcóyotl {{!}} Secretaría de Cultura y Turismo
https://experiencia.[...]
2024-11-08
[27]
뉴스
Un zoo en un mar de cemento
https://elpais.com/s[...]
2018-12-05
[28]
웹사이트
¿Quién es Aimep3? La creadora de contenido que aseguran murió
https://www.razon.co[...]
2024-04-16
[29]
웹사이트
Renombran en Google avenida 'Paseo de los Gorylovers' en honor a youtuber Aimep3
https://abcnoticias.[...]
2021-06-23
[30]
웹사이트
Sean serios: Renombran avenida como 'Paseo de los Gorylovers' en broma para Aimep3
https://www.sdpnotic[...]
2021-06-23
[31]
웹사이트
Aimep3: ¿Quién es la polémica youtuber, qué ha sido de su vida y quiénes son los "gorylovers"?
https://www.reportei[...]
2023-06-13
[32]
웹사이트
Constituyen la empresa "Transcomunicador Mexiquense" para operar el segundo Mexibús
https://www.portalau[...]
2011-01-31
[33]
웹사이트
Mexibús Línea 3 dará servicio gratuito
http://www.elunivers[...]
El Universal
2013-05-01
[34]
뉴스
Edomex-Deportivo
2010-01-02
[35]
뉴스
Crean 'ciudad' en ex basurero
2009-11-15
[36]
웹사이트
La Jornada: El ayuntamiento de Nezahualcóyotl inaugura el parque acuático El Pulpo
https://www.jornada.[...]
2015-03-23
[37]
웹사이트
Un ex basurero en el Estado de México se transformó en una ciudad jardín
http://expansion.mx/[...]
2010-10-05
[38]
웹사이트
Universidad Tecnológica de Nezahualcóyotl (UTN)
http://www.cdneza.go[...]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39]
웹사이트
Facultad de Estudios Superiores Aragón, UNAM. FES-Aragón
http://www.cdneza.go[...]
Municipality of Nezahualcóyotl
2010-01-18
[40]
간행물
2010 census tables: INEGI
http://mapserver.ine[...]
[41]
citation
Parque del Pueblo, Nezahualcóyotl: historia, precio y horarios
https://www.soynomad[...]
SoyNómada
2021-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