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르샤타타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르샤타타르는 미탄니 왕국의 확장기에 통치했던 왕이다. 파르샤타타르의 치세 동안 미탄니는 주변 지역에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알랄라크의 이드리미를 봉신으로 삼고 키즈와트나의 왕 필리야를 복속시켰다. 이집트 파라오 투트모세 1세와 유프라테스 강에서 만났을 가능성이 있으며, 미탄니는 동쪽으로 아라파, 남쪽으로 테르카, 서쪽으로 키즈와트나까지 세력을 확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파르샤타타르의 사망은 기원전 1420년경 누지 기록에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5세기 사망 - 투트모세 3세
투트모세 3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섯 번째 파라오로, 하트셉수트의 섭정 이후 이집트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군사적 지도자이며, 메기도 전투를 비롯한 17차례의 원정과 건축물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했다. - 기원전 15세기 사망 - 하트셉수트
하트셉수트는 고대 이집트 제18왕조의 여왕이자 파라오로서, 섭정에서 스스로 파라오가 되어 이집트를 통치하며 무역로 재건, 푼트 원정, 건축물 건설 등 이집트의 번영을 이끌었고, 사후 업적 말소에도 불구하고 현대에 재평가받는 강력한 여성 통치자이다. - 기원전 15세기 통치자 - 지단타 1세
지단타 1세는 히타이트 왕국의 왕으로, 장인인 한틸리 1세와 함께 무르실리 1세를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했으며, 이후 한틸리 1세를 살해하고 왕이 되었으나, 아들 암무나에게 살해당했다. - 기원전 15세기 통치자 - 텔레피누
텔레피누는 히타이트의 농경신이자 왕으로, 왕위 계승법을 규정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통치 말기 기록 부족으로 히타이트 중왕국 시대의 암흑기를 초래했다. - 파르스주 - 페르세폴리스
페르세폴리스는 고대 아케메네스 제국의 수도로, 다리우스 1세에 의해 건설되어 왕권 강화, 축제 거행 등에 사용되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침공으로 파괴되었으나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이란의 관광 명소로 남아있다. - 파르스주 - 파사르가다에
파사르가다에는 키루스 대왕이 건설한 아케메네스 제국의 첫 번째 수도이자 페르시아 정원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는 고고학 유적지로, 키루스 2세의 무덤을 비롯한 왕궁 및 정원 유적을 포함하며 보존 노력이 요구된다.
파르샤타타르 | |
---|---|
기본 정보 | |
칭호 | 미탄니 왕 |
계승 | 미탄니 왕 |
전임자 | 창시자 |
후임자 | 샤우슈타타르 |
생애 | |
활동 시기 | 기원전 15세기 |
계승자 | 샤우슈타타르 |
계승 형식 | 계승자 |
가계 | |
왕조 | 미탄니 |
종교 |
2. 파르샤타타르의 통치
파르샤타타르는 기원전 15세기의 미탄니 왕이다.[13] 그에 대한 기록은 매우 적으며, 미탄니 왕국, 특히 초기 역사와 왕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미탄니 외부의 기록에서 얻어진다.[2][13] 왕의 연대는 미탄니와 다른 국가, 특히 고대 이집트의 연대기를 비교하여 추정한다.[3][14]
파르샤타타르의 통치 기간 동안 미탄니는 영토를 확장하여 동쪽으로는 아라파(Arrapha), 남쪽으로는 테르카, 서쪽으로는 키즈와트나까지 영향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7][8][17] 그는 알랄라크 지역을 정복하고 이드리미를 알레포의 왕으로 삼아 봉신으로 두었으며,[5][6][16] 이집트의 파라오 투트모세 1세가 통치 초기(기원전 1493년경) 유프라테스 강에서 만난 미탄니의 왕일 가능성이 있다.[9][18] 그의 죽음에 대한 정보는 기원전 1420년경 파르샤타타르 왕의 죽음을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누지(Nuzi) 문서에서 언급된다.[19]
2. 1. 이드리미와의 관계
알랄라크(알레포의 수도[15])의 왕 이드리미의 전기 기록에 따르면, 파르샤타타르는 이드리미가 다스리던 지역을 정복했다.[16] 이 정복 이후 이드리미는 파르샤타타르의 봉신이 되었으며, 파르샤타타르는 그를 알레포의 왕으로 임명했다.[16] 이는 파르샤타타르가 정복한 지역의 기존 통치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배하는 방식을 활용했음을 보여준다. 이후 이드리미는 키즈와트나의 왕 필리야를 자신의 봉신으로 삼는 조약을 맺기도 했다.[5][6]2. 2. 키주와트나와의 관계
알랄라크의 통치자 이드리미는 파르샤타타르(바라타르나)의 봉신이었는데[5][6], 그는 키즈와트나의 왕 필리야와 조약을 맺고 필리야를 자신의 봉신으로 삼았다.[5][6] 이를 통해 키즈와트나는 간접적으로 미탄니의 영향력 아래에 놓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10] 한편 필리야는 하티(히타이트)의 왕 지단타 2세와 별도로 평화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11]2. 3. 이집트와의 관계
파르샤타타르에 대한 기록은 매우 드물어, 그의 생애와 통치에 대한 정보 대부분은 미탄니 외부의 기록, 특히 고대 이집트와의 연대기 비교를 통해 추정된다.[2][3][13][14] 파르샤타타르는 기원전 15세기에 활동했던 왕으로, 이집트의 파라오 투트모세 1세가 통치 초기인 기원전 1493년경 유프라테스 강에서 조우했을 가능성이 있는 미탄니의 왕으로 여겨진다.[9][18] 이는 당시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미탄니와 이집트 두 세력 간의 접촉이 있었음을 시사한다.3. 파르샤타타르의 사망
파르샤타타르의 죽음에 대한 정보는 기원전 1420년경으로 추정되는 누지 기록에 언급되어 있다.[19]
참조
[1]
간행물
Reflexiones sobre el territorio de Cárquemis durante el periodo mittanio
https://www.research[...]
Pórtico, Zaragoza
2015
[2]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23BC
Blackwell Publishing
2007
[3]
서적
[4]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Oxford University
1999
[5]
논문
The Function of the Oath in the Ancient Near Eastern International Treaty
1978
[6]
논문
The History of Kizzuwatna and the Date of the Šunaššura Treaty
1986
[7]
논문
"An alternative Date for the Sunassuras Treaty (KBo 1.5)"
1998
[8]
서적
[9]
서적
[10]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An Anthology of Texts and Pictur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문서
CTH 25
[12]
서적
The Archive of the Wullu Family
Museum Tusculanum Press
1988
[13]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23BC
Blackwell Publishing
2007
[14]
서적
[15]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Oxford University
1999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The Archive of the Wullu Family
Museum Tusculanum Pres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