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탄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탄니는 기원전 16세기부터 기원전 13세기까지 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을 지배했던 왕국이다. 이 왕국은 "결합된 왕국"을 의미하는 인도-아리아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렸으며, 후리인과 인도-아리아인 지배층으로 구성되었다. 미탄니는 히타이트와 이집트와 외교적 관계를 맺었으며, 특히 이집트와는 왕실 결혼을 통해 동맹을 강화했다. 미탄니는 기원전 14세기에는 번성했지만,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압박으로 쇠퇴하여 결국 아시리아에 병합되었다. 미탄니의 문화는 인도-아리아 문화를 기반으로 했으며, 브라만교 계열의 종교를 믿었다. 고고학적으로는 상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미탄니의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누지 도기, 케무네 궁전 등이 중요한 유물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탄니 - 인드라
    인드라는 인도 신화에서 천둥과 번개를 다스리는 신이자 신들의 왕으로, 리그베다에서 영웅적인 면모를 보이며 다양한 종교에서 수용되어 각기 다른 역할과 의미를 지닌다.
  • 미탄니 - 와슈칸니
    와슈칸니는 미탄니 왕국의 수도였으나 정확한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고, 약탈 이후 아시리아의 지방 수도가 되었다가 사라졌으며, 현대에는 난민 캠프 이름으로 사용된다.
미탄니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바라타르나 통치 시기 미탄니 왕국의 최대 확장 (기원전 1490년경)
바라타르나 통치 시기 미탄니 왕국의 최대 확장 (기원전 1490년경)
통칭미탄니 왕국
공식 명칭미탄니 왕국
위치와슈칸니
공용어후르리어
아카드어
아모리어
종교후르리 종교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정치 체제군주제
지도자 칭호
최초 지도자기원전 1540년경
키르타 (최초로 알려진)
마지막 지도자기원전 1260년경
샤투아라 2세 (마지막)
시대청동기 시대
역사
건국기원전 1600년경
멸망기원전 1260년경
선행 국가히타이트 제국
얌하드
후행 국가중기 아시리아 제국
언어별 명칭
히타이트어𒆳𒌷𒈪𒋫𒀭𒉌 (KUR URUMi-ta-an-ni; Mittani) 또는 𒈪𒀉𒋫𒉌 (Mi-it-ta-ni)
아카드어하니갈바트 (Hanikalbat, Khanigalbat), 𒄩𒉌𒃲𒁁 (Ḫa-ni-gal-bat, Ḫa-ni-rab-bat)
이집트어나하린

2. 어원

후리인(구약 성서에서 호리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의 후리 語는 계통 불명의 교착어로, 인도-유럽어족이 아닌 것으로 여겨진다. 히타이트의 보아즈쾨이, 이집트아마르나 등에서 출토된 설형 문자로 기록된 외교 문서(아마르나 문서 등)를 통해 알려졌다. 과거에는 인도-유럽어족으로 여겨졌으며, 문자어로서 아카드어와 설형 문자를 사용했다.

남겨진 문서에는 산스크리트어로 해석할 수 있는 단어가 많다. 히타이트와 미탄니 사이의 조약에서는 인도 베다의 신 미트라, 바루나, 인드라, 나사티야(아슈빈 쌍신)에게 맹세가 이루어졌다. "미탄니의 조련사 키키리"의 문서(보아즈쾨이 출토)에는 aika(산스크리트어 एक|에카sa, 1), tera(त्रि|트리sa, 3), panza(पञ्च|판차sa, 5), satta(सप्त|삽타sa, 7), na(नव|나바sa, 9), vartana(둥근, वर्तन|바르타나sa)와 같은 단어가 사용되었다. 다른 문서에는 babru(बभ्रु|바브루sa, 갈색), parita(पलित|팔리타sa, 회색), pinkara(पिङ्गल|핑갈라sa, 붉은 기가 도는 갈색)와 같은 단어도 있다.

2. 1. 미탄니 (Mitanni)

이 국가의 이름이 기록된 가장 초기의 형태는 이며, 이는 "결합하다"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동사 मिथ्|미트|결합하다, 짝짓다, 짝을 이루다, 만나다sa와 유사한 인도-아리아어 어근 에 후르리안 접미사 -nni|-니xhu가 붙어 만들어졌다. 따라서 는 "결합된 왕국"을 의미했다.[1]

"그가 결합한다"를 의미하는 원시 인도-아리아어 가 산스크리트어 मेथति|메타티sa로 발전한 것과 유사하게, 이름 는 이후 어근 가 로 바뀐 형태로 발전했다.[1]

안드레아 트라메리(2024년 10월 15일)는 게르노트 빌헬름(1997: 290)과 함께 ''Maitani''가 "개인 지도자(또는 씨족)의 이름이며, 영토나 인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M(a)itta"를 의미한다고 본다.[8]

2. 2. 하니-라바트 (Ḫani-Rabbat)

미탄니 왕국은 기원전 1600년경 바빌로니아에서 처음에는 ''Ḫabingalbat''으로 알려졌으며, 암미사두카 통치 기간 동안 ''ḫa-bi-in-gal-ba-ti-i''와 ''ḫa-bi-in-ga-al-ba-at''로 기록되었다. 이는 후기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의 두 텍스트에서 확인된다.[9][59] 이집트인들은 ''나하린''과 ''미탄니''로, 히타이트인들에게는 ''Ḫurri''로, 아시리아인들에게는 ''Ḫanigalbat'' 또는 ''Ḫani-Rabbat''으로 불렀다. 마이클 C. 아스투어에 따르면, 이 이름들은 동일한 왕국을 지칭하며 종종 서로 바꿔 사용되었다.[12] 히타이트 연대기에는 시리아 북동부에 위치한 ''후리''(''Ḫu-ur-ri|후리hit'')라고 불리는 사람들이 언급된다. 아마도 무르실리 1세 시대의 히타이트 조각에는 "후리 왕"이 언급되어 있으며, 텍스트의 아시리아-아카드어 버전은 "후리"를 ''Hanigalbat''으로 번역한다. 아마르나 서한에서 스스로를 "미탄니의 왕"이라고 칭한 투슈라타는 그의 왕국을 하니갈바트라고 부른다.[13]

''Ḫanigalbat''이라는 용어의 가장 초기 증거는 아카드어로 읽을 수 있으며, "후리 적"을 언급하는 히타이트어 버전과 함께 기원전 13세기의 "하투실리 1세의 연대기" 사본에서 발견된다.[14][15] 하투실리 1세는 기원전 1630년 이후에 통치했을 가능성이 있다.[16]

아시리아 용어 ''Ḫanigalbat''의 읽기는 여러 번역 역사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부분은 ''Ḫa-nu|Ḫa-nuakk'', "Hanu" 또는 "Hana"와 연결되었으며, 마리에서 처음으로 증명되었고, 테르카 (하나 왕국의 수도)와 하부르 강 근처의 북부 유프라테스 강 지역의 남쪽 해안을 따라 유목민 거주자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단순히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것 이상으로 발전하여 지형적인 측면도 갖게 되었다. 중 아시리아 제국 시대에는 ''URUKUR Ḫa-nu AN.TA|URUKUR Ḫa-nu AN.TAakk'', "상부 하누의 도시"라는 구절이 두 개의 서로 다른 하누가 강 양쪽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 북쪽 측면의 지명은 미탄니 국가의 핵심 영토 대부분을 포괄한다.

다양한 읽기를 이끌었던 두 개의 기호는 ''gal|galakk''과 그 대체 형태 ''gal9|gal9akk''이다. 19세기 후반에 처음으로 해독을 시도했을 때, 수메르어로 "great"을 의미하는 "''gal''"을 아카드어 "''rab''"의 로고그램으로 해석하여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번역하였다. 즉, "Ḫani-Rabbat"은 "위대한 하니"를 의미한다. 예르겐 알렉산더 크누트존과 그의 뒤를 이은 E. A. 스페이서는 "''gal''"의 대체 철자 "''gal9''"를 근거로 대신 읽기를 지지했으며, 이후 이것이 다수설이 되었다.

첫 번째 기호가 "''b''"로 끝나지 않거나, 후리 단어에서 파생된 경우 셈족 여성형 어미 "''-at''"과 유사하다는 점을 설명하는 데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최근 2011년 리스본 신대학교의 학자 미겔 발레리오는[17] 이전의 읽기인 ''Hani-Rabbat''에 대한 자세한 지지를 제공했다.[18] 이 재독은 "''gal9''"가 아닌 "''gal''"이 훨씬 더 많으며, 후자는 아카드어 영향권의 주변부에서 발견되는 여섯 개의 문서에서 발견되는 이탈이라는 빈도에 근거하여 논쟁을 벌였다. 또한 그래픽적으로는 다르지만, 두 기호 사이에는 높은 정도의 중첩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gal9''"는 "''dannum''" 또는 "강함"을 의미하며 "위대한"과 반대되므로 쉽게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두 기호 모두 상관 읽기를 나타낸다. "''gal9''"의 대체 읽기에는 "''rib''"과 "''rip''"이 포함되며, "''gal''"이 "''rab''"으로 읽히는 것과 같다.

3. 역사

미탄니는 기원전 16세기경, 와슈칸니를 수도로 하여 주변의 후르리인들을 통일하고, 동쪽의 아시리아마저 지배하에 두면서 메소포타미아 북부(시리아 포함)를 지배했다. 우가리트지중해 연안의 여러 도시들도 지배했으며, 이집트바빌로니아와 대립했다. 미탄니는 히타이트와 후기 아시리아의 공격에 굴복하여 쇠퇴하였고, 기원전 1350년과 1260년 사이에는 중아시리아 제국의 한 주로 축소되었다.[36]

미탄니 왕국 초기 역사에서 주요 경쟁자는 고대 이집트의 투트모세 왕조였다. 그러나 히타이트 제국이 강성해지면서 미탄니와 이집트는 히타이트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맹을 맺었다.

샤우스타타르 통치 기간 동안 미탄니는 강성해졌지만, 후르리인히타이트아나톨리아 고원에 묶어두려 했다. 서쪽의 키주와트나와 북쪽의 이슈와는 히타이트에 대한 중요한 동맹국이었다.

에리바-아다드 1세(기원전 1390–1366) 통치 시기, 미탄니가 아시리아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해졌다. 투슈라타와 그의 형제 아르타타마 2세 사이의 왕위 쟁탈전에 에리바-아다드 1세가 연루되었고, 이후 그의 아들 샤타르나 2세는 후르족의 왕이라 칭하며 아시리아의 지원을 구했다. 아시리아 왕 아슈르-우발리트 1세(기원전 1365–1330)는 샤타르나 2세를 공격하여 기원전 14세기 중반에 미탄니 영토를 합병, 아시리아를 다시 강대국으로 만들었다.[34]

샤타르나 2세 사후 미탄니는 왕위 계승 전쟁으로 혼란에 빠졌다. 결국 샤타르나 2세의 아들 투슈라타가 왕위에 올랐지만, 왕국은 약해졌고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위협은 커졌다. 히타이트 왕 수필룰리우마 1세는 북부 시리아의 미탄니 봉신 국가를 침략하여 충성스러운 신하들로 대체했다. 수도 와슈칸니에서 새로운 권력 투쟁이 발발했고, 히타이트와 아시리아는 각각 다른 왕위 찬탈자를 지원했다. 결국 히타이트 군대가 와슈칸니를 정복하고 투슈라타의 아들 샤티와자를 미탄니의 봉신 왕으로 세웠다.[35]

미탄니 왕국은 하부르 계곡으로 축소되었다. 아시리아는 미탄니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지 않았고, 기원전 13세기에 살마네세르 1세가 왕국을 합병했다.

3. 1. 초기 역사와 발전

인도아리아인 지배층이 후르리인 민중을 지배하는 형태로 성립된 미탄니 왕국은, 히타이트 제국에 의해 아모리인바빌론(Amorite Babylon)이 멸망하면서 메소포타미아에 권력 공백이 생기자 이를 기회로 지역의 패자(覇者)가 되었다.

미탄니 초기 역사에서 주요 경쟁자는 고대 이집트의 투트모세 왕조, 즉 이집트 제18왕조(1550?~1292? BC)의 파라오들이었다. 메기 도 전투 이후, 파라오 투트모세 3세(기원전 1479–1425)의 장교는 파라오의 통치 22년에 "카데시의 그 [불쌍한] 적은 메기도로 와서 들어갔다. 그는 지금 [그곳]에 있다. 그는 이집트에 충성했던 [모든] 외국 [국가]의 군주들과 나하린과 미[탄니]까지, 후루의 군주들, 코드의 군주들, 그들의 말, 그들의 군대를 그에게 모았다."라고 보고했다.[26]

미탄니 통치자들에게 인도-아리아 이름을 처음 사용한 것은 아버지 키르타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샤타르나 1세부터이다.[29] 미탄니의 왕 바라타르나는 왕국을 서쪽 알레포까지 확장했고, 아모리[30] 왕 알라라크의 이드리미를 자신의 봉신으로 만들었다.[31] 서쪽에 있는 키주와트나 주는 또한 미탄니에 충성을 바쳤고, 동쪽에 있는 아시리아는 기원전 15세기 중반까지 미탄니의 봉신 국가가 되었다.

히타이트 제국(18세기~1180 BC, 전성기는 기원전 14세기)이 강성해지면서, 미탄니와 고대 이집트는 히타이트 제국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의 미래와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맹하였다. 미탄니의 최절정기도 기원전 14세기였는데, 당시에 미탄니는 하부르강 상류에 위치한 수도 와슈칸니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군대 주둔 기지들을 가지고 있었다.

원통형 인장과 현대 인상: 나체 남성, 그리핀, 원숭이, 사자, 염소, 미탄니

3. 2. 이집트와의 관계

투트모세 왕조 치하의 이집트는 미탄니의 주요 경쟁자였다. 그러나 히타이트 제국이 부상하면서, 미탄니와 이집트는 히타이트의 위협으로부터 서로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맹을 맺었다. 시리아 지배권을 놓고 이집트와 여러 차례 충돌했으나, 미탄니는 평화를 추구했고 동맹이 형성되었다.[33] 샤타르나 2세 통치 기간(기원전 14세기 초)에는 관계가 매우 우호적이었으며, 그는 딸 길루-헤파를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와 결혼시키기 위해 이집트로 보냈다. 미탄니는 이 시기에 권력의 절정에 있었다.[33]

미탄니는 주변 국가들과 정략 결혼을 반복했다. 아르타타마 1세의 딸은 이집트 왕 투트모세 4세와 결혼했다.[35] 슈타르나 2세의 딸 길루-헤파는 이집트 왕 아멘호테프 3세(투트모세 4세의 아들)와 결혼했다.[35]

미탄니의 새 왕 투슈라타이집트 제18왕조와의 동맹으로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에 대항하고자 딸 타두-헤파의 정략 결혼을 제안했다. 아멘호테프 3세는 말년에 투슈라타에게 타두키파와 결혼하고 싶다는 편지를 여러 번 썼다(아마르나 문서). 그러나 그녀가 도착하기 전에 아멘호테프 3세가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타두키파는 아멘호테프 3세의 아들, 새 왕 아멘호테프 4세(아크나톤)와 결혼했다. 타두키파는, 아멘호테프 4세의 두 번째 왕비 키야(KiYa), 혹은 왕비 네페르티티라고도 한다.[35]

그러나 에리바-아다드 1세(기원전 1390–1366)의 통치에 이르러 미탄니가 아시리아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해졌다. 동시에 이집트는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성장하는 힘을 두려워하여 이집트와의 외교 관계가 냉랭해졌다.[33]

3. 3. 히타이트와의 갈등과 쇠퇴

히타이트 제국이 강성해지면서, 미탄니와 고대 이집트는 히타이트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맹하였다. 미탄니의 최절정기는 기원전 14세기였는데, 당시에 미탄니는 하부르강 상류에 위치한 수도 와슈칸니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군대 주둔 기지들을 가지고 있었다.[35] 그러나 결국 미탄니는 히타이트에 굴복당하였으며, 이후 히타이트의 지원을 받은 아시리아의 침공을 받아 중기 아시리아 제국의 한 지방으로 전락하였다.[36]

샤우스타타르의 통치 기간 동안 미탄니는 강성해졌지만, 후르족은 히타이트족을 아나톨리아 고원에 유지하는 데 열심이었다. 서쪽의 키주와트나와 북쪽의 이슈와는 히타이트에 대한 중요한 동맹국이었다. 시리아 지배권을 놓고 이집트와의 몇 차례 성공적인 충돌 이후, 미탄니는 이집트와 평화를 추구했고, 동맹이 형성되었다. 기원전 14세기 초 샤타르나 2세의 통치 기간 동안 관계는 매우 우호적이었고, 그는 딸 길루-헤파를 파라오 아멘호테프 3세와의 결혼을 위해 이집트로 보냈다.

에리바-아다드 1세(기원전 1390–1366)의 통치에 이르러 미탄니가 아시리아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해졌다. 에리바-아다드 1세는 투슈라타와 그의 형제 아르타타마 2세 사이의 왕위 쟁탈전에 연루되었고, 그 후 그의 아들 샤타르나 2세는 후르족의 왕이라고 칭하며 아시리아의 지원을 구했다. 친후리/아시리아 세력이 미탄니 왕실에 등장했다. 에리바-아다드 1세는 미탄니가 아시리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약화시켰고, 결과적으로 아시리아가 미탄니 문제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33] 아시리아의 왕 아슈르-우발리트 1세(기원전 1365–1330)는 샤타르나 2세를 공격하여 기원전 14세기 중반에 미탄니 영토를 합병하여 아시리아를 다시 강대국으로 만들었다.[34]

샤타르나 2세의 죽음으로 미탄니는 왕위 계승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결국 샤타르나 2세의 아들 투슈라타가 왕위에 올랐지만 왕국은 상당히 약해졌고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위협이 모두 증가했다. 동시에 이집트는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성장하는 힘을 두려워하여 이집트와의 외교 관계가 냉랭해졌다. 히타이트 왕 수필룰리우마 1세는 북부 시리아의 미탄니 봉신 국가를 침략하여 충성스러운 신하들로 대체했다.

수도 와슈칸니에서 새로운 권력 투쟁이 발발했다. 히타이트와 아시리아는 각각 다른 왕위 찬탈자를 지원했다. 마침내 히타이트 군대가 와슈칸니를 정복하고 투슈라타의 아들 샤티와자를 기원전 14세기 말 미탄니의 봉신 왕으로 세웠다.[35] 왕국은 이제 하부르 계곡으로 축소되었다. 아시리아는 미탄니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지 않았고, 기원전 13세기에 살마네세르 1세가 왕국을 합병했다.

3. 4. 아시리아의 지배와 멸망

인도아리아인 지배층이 후르리인 민중을 지배하는 형태로 성립된 미탄니는 히타이트 제국에 의해 아모리인바빌론이 멸망하며 메소포타미아에 권력 공백이 생기자 지역의 패자가 되었다. 미탄니의 주요 경쟁자는 이집트 제18왕조의 파라오들이었다. 그러나 히타이트 제국이 강성해지면서, 미탄니와 고대 이집트는 히타이트의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동맹하였다. 미탄니는 하부르강 상류에 위치한 수도 와슈칸니를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나, 결국 히타이트에 굴복당하였으며, 이후 히타이트의 지원을 받은 아시리아의 침공을 받아 중기 아시리아 제국의 한 지방으로 전락하였다.[36]

에리바-아다드 1세(기원전 1390–1366)의 통치에 이르러 미탄니가 아시리아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해졌다. 에리바-아다드 1세는 투슈라타와 그의 형제 아르타타마 2세 사이의 왕위 쟁탈전에 연루되었고, 그 후 그의 아들 샤타르나 2세는 후르족의 왕이라고 칭하며 아시리아의 지원을 구했다. 친후리/아시리아 세력이 미탄니 왕실에 등장했다. 아시리아의 왕 아슈르-우발리트 1세(기원전 1365–1330)는 샤타르나를 공격하여 기원전 14세기 중반에 미탄니 영토를 합병하여 아시리아를 다시 강대국으로 만들었다.[34]

샤타르나의 죽음으로 미탄니는 왕위 계승 전쟁으로 황폐해졌다. 결국 샤타르나의 아들 투슈라타가 왕위에 올랐지만 왕국은 상당히 약해졌고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위협이 모두 증가했다. 동시에 이집트는 히타이트와 아시리아의 성장하는 힘을 두려워하여 이집트와의 외교 관계가 냉랭해졌다. 히타이트 왕 수필룰리우마 1세는 북부 시리아의 미탄니 봉신 국가를 침략하여 충성스러운 신하들로 대체했다.

수도 와슈칸니에서 새로운 권력 투쟁이 발발했다. 히타이트와 아시리아는 각각 다른 왕위 찬탈자를 지원했다. 마침내 히타이트 군대가 수도 와슈칸니를 정복하고 투슈라타의 아들 샤티와자를 기원전 14세기 말 미탄니의 봉신 왕으로 세웠다.[35] 왕국은 이제 하부르 계곡으로 축소되었다. 아시리아는 미탄니에 대한 주장을 포기하지 않았고, 기원전 13세기에 살마네세르 1세가 왕국을 합병했다.

미탄니 제국의 몰락 이후 그 영토의 서쪽 부분은 히타이트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았고, 동쪽 부분은 아시리아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다. 중앙 부분은 잔존 국가인 하니갈바트(Hanigalbat)로 존속했다. 결국 살마네세르 1세 치하에서 미탄니의 옛 영토의 남은 부분은 아시리아의 직접적인 통제하에 들어갔다.[38][39]

기원전 1330년경에는, 한때 미탄니의 지배하에 있던 동쪽의 아시리아 왕 아슈르-우발리트 1세(기원전 1365년 - 기원전 1330년) 아래에서 다음 왕 슈타르나 3세가 히타이트로부터 독립했다. 슈타르나 3세는 아시리아의 지원을 모색했지만 히타이트에게 격파당했고, 투슈라타의 동생 샤티와자(마티와자)가 히타이트의 수필룰리우마 1세의 보호를 받으며 즉위했다.

그 후, 샤투아라 1세는 아시리아 왕 아다드-니라리 1세(기원전 1307년 - 기원전 1275년)에게 패배하여 다시 아시리아에 신종했다. 와사샤타는 히타이트의 지원을 받았지만, 아다드-니라리 1세에게 다시 패배했다.

4. 사회

미탄니 문화는 지배층인 인도아리아인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히타이트와 미탄니의 조약에서 미트라, 바루나, 인드라, 나사티야(아쉬빈스) 등의 브라만교 신들의 이름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브라만교 계열의 종교를 믿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 키쿨리의 말조련 문헌에는 아이카(에카), 테라(쓰리), 판자(판차, 5), 사타(삽타, 7), 나(나바, 9), 바르타나(둥근)와 같은 기술적인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1]

다른 문헌에는 바브루(갈색), 파리타(팔리타, 회색), 핀카라(핑갈라, 빨간) 등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다.[1] 미탄니의 주요 축제는 여름(비슈바) 축제였으며, 이는 고대 세계의 대부분 문명에서 일반적이었다.[1] 미탄니 전사들은 마리야라 불렸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로 전사를 뜻한다.[1]

산스크리트어에서 슈타르나는 좋은 태양, 바라타르나는 위대한 태양, 파르샤타타르는 토끼를 지닌 지배자, 사우슈타타르는 좋은 지배자, 아르타마마는 가장 옳으신 분, 투슈라타는 10개의 당근을 지니신 분, 마티바자는 기도자를 뜻한다.[1]

5. 종교

히타이트와 미탄니의 조약에서 미트라, 바루나, 인드라, 나사티야(아슈빈) 등의 브라만교 신들의 이름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브라만교 계열의 종교를 믿었던 것으로 추정된다.[47][48] 미탄니의 많은 신명, 고유명사 및 전문 용어는 인도-아리아어 또는 원시 인도-아리아어에서 유래되었다.[60]

키쿨리의 말조련 문헌에는 아이카(에카), 테라(쓰리), 판자(판차, 5), 사타(삽타, 7), 나(나바, 9), 바르타나(둥근)와 같은 기술적인 용어가 포함되어 있다.[46] 다른 문헌에는 바브루(갈색), 파리타(팔리타, 회색), 핀카라(핑갈라, 빨간색) 등의 단어가 있다. 미탄니의 주요 축제는 여름(비슈바) 축제였으며, 이는 고대 세계 대부분의 문명에서 일반적이었다. 미탄니 전사들은 마리야라 불렸고, 이는 산스크리트어로 전사를 뜻한다.[62]

일반적으로 인도-아리아 민족이 상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시리아에 정착하여 후르리어를 채택하면서, 정치적 공백기에 미탄니 왕국을 세운 것으로 여겨진다.

6. 고고학

"암흑기"라는 용어는 북부 메소포타미아 유적에서 청동기 시대 중기와 후기 사이의 고고학적 공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과도기"로 재해석되고 있다. 이 시기는 기원전 1728년경 샴수일루나 통치 23년에 텔 레이란이 멸망한 시점부터 미탄니가 지배력을 확립한 기원전 1600-1550년경까지를 포함하며, 하부르 도자기의 세 번째 단계가 나타나는 시기이자 후기 청동기 시대 I기에 역사적으로 미탄니로 불린 최초의 흔적이 나타나는 시기이다.[63]

미탄니의 고고학적 중심지는 상부 메소포타미아와 티그리스강 동쪽 지역(이라크 북동부)이다. 늦어도 기원전 1550년경부터는 채색된 누지 도기가 미탄니 유적의 특징적인 유물로 나타났다.[82] 이 장식 도기의 기원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에게해의 카마레스 도기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텔 브라크는 이 채색된 누지 도기 생산의 초기 중심지 중 하나였으며, 표본 분석 결과 미탄니 왕국 전역의 여러 중심지에서 현지 생산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도기는 상 메소포타미아에서 특히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알라라크나 우가리트와 같은 서부 시리아 도시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82]

미탄니는 기원전 15세기와 14세기 전반에 걸쳐 북서 시리아에서 동부 티그리스에 이르는 넓은 지역을 지배했다.[83]

6. 1. 주요 유적지

미탄니의 유적은 주로 상(上) 메소포타미아의 세 지역, 즉 시리아 북동부 자지라, 시리아 북부, 그리고 터키 남동부(상 티그리스)에서 발견되었다.[64]

자지라 지역 (북동 시리아)는 연한 녹색으로 표시됨

  • 와슈칸니: 미탄니의 수도로, 고고학자들은 하부르 강의 발원지에 위치해 있으며, 최근 독일 고고학 발굴 조사에서 텔 페케리에 유적지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밝혀냈다.[66]
  • 타이트: 미탄니의 "왕실 도시"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 위치는 알려지지 않았다.[66]
  • 텔 브라크: 3천년기의 주요 도시 중심지였던 텔 브라크는 고 바빌로니아 시대에는 작은 정착지로 쇠퇴했지만, 미탄니 시대에 주요 개발이 이루어졌다. 궁전과 사원을 포함한 기념비적인 건물들이 높은 지대에 건설되었고, 40헥타르 규모의 하층 도시가 개발되었다.[67] 미탄니 점령은 기원전 1300년과 기원전 1275년 사이에 아시리아인에 의해 파괴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68]
  • 텔 함맘 에트-투르크만: 알려지지 않은 미탄니 왕이 발행한 가장 오래된 점토판은 기원전 1500년경으로 추정되는 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70]
  • 텔 바지: 미탄니 시대 점유는 기원전 1400년에서 1200년 사이(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에 이 유적에서 발견되었다.[71][72] 발견된 유물로는 미탄니 원통형 인장과 여러 제례용 그릇 등이 있다. 미탄니 통치자 사우스타타르와 아르타타마 1세가 봉인한 미탄니 시대의 설형 문자 점토판 2개도 발견되었다.[73]
  • 텔 하디디: 아주에도 미탄니의 통치 기록이 있다.[74]
  • 뮐슬뤼만테페: 일리수 댐 상류 티그리스 강 우안, 터키 남부에서 실시된 (2017년) 구제 발굴 조사는 미탄니 시대의 매우 이른 시작을 보여주었는데, 이 사원의 유적에서 의례용 유물과 미탄니 원통형 인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기원전 1760년에서 1610년 사이로 밝혀졌다.[75]
  • 바세트키: 티그리스강 상류 동쪽에 위치한 이라크 북부의 트랜스-티그리디안 지역에서 현재 바세트키라고 불리는 유적이 발굴되었는데, 이는 1550년부터 기원전 1300년까지의 미탄니 시대 유물을 포함하는 고대 도시 마르다마일 가능성이 높다.[76]
  • 케무네: 2010년에는 현대 이라크 쿠르디스탄의 티그리스 강둑에서 3,400년 된 청동기 시대 미탄니 궁전의 유적인 케무네가 발견되었다.[78]


; 케무네 궁전 발굴 조사

2019년, 전년도의 가뭄으로 모술 댐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미탄니 왕국 시대의 케무네 궁전 유적이 발견되었다.[123] 이 유적에서는 설형 문자가 기록된 점토판이 발굴되었으나, 발굴 직후 수위가 회복되면서 다시 수몰되었다.

2022년, 가뭄으로 다시 이 유적이 나타나면서 100장 이상의 점토판이 들어있는 도기가 발견되었다.[124] 발굴 후, 유적 보호를 위해 비닐 시트와 자갈로 덮어두었으며, 그 후 수위가 회복되어 다시 수몰된 상태이다.[125]

7. 미탄니의 지배자

통치자재위 기간비고
키르타기원전 1500년~기원전 1490년경최초의 알려진 왕
슈타르나 1세기원전 1490년~기원전 1470년경키르타의 아들
바라타르나기원전 1470년~기원전 1450년경
파샤타타르기원전 1450년~기원전 1440년경바라타르나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 있음
샤우슈타타르기원전 1440년~기원전 1410년경파샤타타르의 아들
아르타마마 1세기원전 1410년~기원전 1400년경
슈타르나 2세기원전 1400년~기원전 1380년경
아르타슈마라기원전 1380년
투슈라타기원전 1380년~기원전 1350년경
아르타마마 2세
슈타르나 3세기원전 1350년경찬탈자 아르타마마 2세의 아들
샤티와자기원전 1350년~기원전 1320년경투슈라타의 아들
샤투아라 1세기원전 1320년~기원전 1300년경
와사샤타기원전 1300년~기원전 1280년경샤투아라 1세의 아들
샤투아라 2세기원전 1280년~기원전 1270년경샤투아라 1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 있음

[84][85] 모든 날짜는 중기 연대기를 따른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4-15
[2] 간행물 Urkesh: The First Hurrian Capital https://ixtheo.de/Re[...] The Biblical Archaeologist 1997
[3] 서적 The earliest evidences of the Hurrians before the formation of the reign of Mittanni Undena Publications 1998
[4] 간행물 Who Were the Hurrians? Archaeology 2008
[5] 간행물 Review of Einführung in die hurritsche Sprache, by I. Wegner 2011
[6] 서적 Levantine Polities under Mittanian Hegemony https://www.academia[...] 2014
[7] 서적 Khabur Ware and Nuzi Ware: Their Origin, Relationship, and Significance 1984
[8] 서적 Kizzuwatna. History of Cilicia in the Middle and Late Bronze Age (ca. 2000-1200 BC) https://brill.com/di[...] Brill 2024
[9] 간행물 The Geography of the Slave Trade and Northern Mesopotamia in the Late Old Babylonian Period https://www.academia[...] Österreich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2004
[10] 서적 Dictionnaire des Noms Géographiques Contenus dans les Textes Hiéroglyphiques Vol. 3 https://archive.org/[...] 1926
[11] 서적 An Egyptian hieroglyphic dictionary: with an index of English words, king list and geological list with indexes, list of hieroglyphic characters, Coptic and Semitic alphabets, etc. Vol II https://archive.org/[...] John Murray 1920
[12] 간행물 Ḫattusilis̆, Ḫalab, and Ḫanigalbat 1972
[13] 문서 1972
[14] 서적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Kingdom of Mittani and its Subordinated Polities in Syria and Southeast Anatolia https://iris.unito.i[...] Ugarit Verlag 2018
[15] 간행물 The Annals and Lost Golden Statue of the Hittite King Hattusili I https://www.research[...] 2018
[16] 서적 Some Thoughts about Middle Bronze Age Alalakh and Ugarit: Reassessing an Alalakh Wall Painting with Archival Data https://www.academia[...] Peeters, Leuven-Paris-Bristol 2021
[17] 문서 https://unibo.academ[...]
[18] 간행물 Hani-Rabbat as the Semitic Name of Mitanni https://www.academia[...] Russian State University for the Humanities, Institute of Linguistics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Moscow 2011
[19] 서적 "A Reconstruction of the History of Ebla (Part 2)"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1
[20] 간행물 “A New Reference to an Egyptian Campaign of Thutmose III in Asia.” 1978
[21] 서적 Altägyptische Zeitmessung 1930
[22] 서적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Kingdom of Mittani and its Subordinated Polities in Syria and Southeast Anatolia https://123dok.org/d[...] Ugarit Verlag 2018
[23] 간행물 The Movement of Time. News from the 'Clockmaker' Amenemhet https://www.academia[...] Faculty of Art, Charles University in Prague 2016
[24] 서적 Mittani and Its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25] 간행물 A Gate Inscription from Karnak and Egyptian Involvement in Western Asia during the Early 18th Dynasty https://ur.booksc.me[...] 1979
[26] 서적 VII. Egyptian Historical Tex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
[27] 간행물 “A Critical Analysis of the ‘Annals’ of Thutmose III (Stücke V-VI).” 1977
[28] 간행물 “Archaeological Sources for the History of Palestine: The Late Bronze Age.” 1989
[29] 서적 The Mittani State: The Formation of the Kingdom of Mittani https://www.degruyte[...] De Gruyter, Berlin, Boston 2014
[30] 웹사이트 Statue of Idrimi http://oracc.museum.[...] 2020
[31] 서적 A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23BC Blackwell Publishing 2007
[32] 간행물 "A Tentative Chronology of the Kingdom of Mittani from its Rise to the Reign of Tusratta" 2004
[33] 서적 Ancient Iraq Penguin Books 1993-03-01
[34] 서적 1177 B.C.: The Year Civilization Collaps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35] 간행물 “Details That Make the Difference: The Akkadian Manuscripts of the ‘Šattiwaza Treaties.’” 2018
[36] 논문 Upper Mesopotamia in the Mittani Period https://www.academia[...]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2013
[37] 서적 The Mittani State: The Formation of the Kingdom of Mittani https://www.degruyte[...] De Gruyter, Berlin, Boston 2014
[38] 간행물 On the frontier of Assyria: excavations at Tell Sabi Abyad, 1991. https://scholarlypub[...] Akkadica 1993
[39] 서적 The Governance of the Subordinated Countries De Gruyter Oldenbourg, Berlin, Boston 2022
[40] 논문 The Assyrian King List and Chronology: A Critique. 2005
[41] 논문 Skeletons in the Fortress: The Late Bronze Age Burials of Tell Sabi Abyad, Syria. https://www.research[...] 2015
[42] 서적 Babylonian and Assyrian Historical Tex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2016
[43] 서적 Uncertain Dynastie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Toronto 2016
[44] 논문 A New Attestation of Ḫabigalbat in Late Babylonian Sources. 2017
[45] 논문 Addendum to Rocío Da Riva, A New Attestation of Ḫabigalbat in Late Babylonian Sources, WdO 47/2 (2017) 259–264. 2018
[46] 간행물 The 'Aryan' Gods of the Mitanni Treaties
[47] 논문 About the Mitanni Aryan Gods https://www.academia[...] 2010
[48] 논문 “Details That Make the Difference: The Akkadian Manuscripts of the ‘Šattiwaza Treaties.’” https://ur.booksc.eu[...] 2018
[49] 서적 Die Arier im vorderen Orient Carl Winter Universitätsverlag, Heidelberg 1968
[50] 서적 The Coming of the Greeks: Indo-European Conquests in the Aegean and the Near East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1] 간행물 Die Arier im Vorderen Orient – ein Mythos?
[52] 간행물 Etymologisches Wörterbuch des Altindoarischen
[53] 서적 Empires of the Silk Road: A History of Central Eurasia from the Bronze Age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54] 서적 The Horse in Hum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5] 서적 The BMAC of Central Asia and the Mitanni of Syria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56] 서적 Chapter Twenty-Five. The genesis of the indo-aryans https://brill.com/di[...] Brill 2007
[57] 서적 Indo-European and Indo-Iranian Wagon Terminology and the Date of the Indo-Iranian Split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58] 서적 The Early Kassite Period https://www.degruyte[...] De Gruyter 2017
[59] 서적 Mittani and Its Empire https://doi.org/10.1[...]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60] 서적 Indo-Aryans in the Ancient Near East https://brill.com/di[...] Brill 2023
[61] 서적 The Kingdom of Šamšī-Adad and its Legacies https://www.degruyte[...] 2014
[62] 간행물 Linguistic supplement to Damgaard et al. 2018: Early Indo-European languages, Anatolian, Tocharian and Indo-Iranian https://openaccess.l[...] Zenodo 2018
[63] 논문 Problems of Transitions in Second Millennium BC Northern Mesopotamia: A View from Tell Barri (Northeastern Syria) https://www.academia[...] 2022
[64] 서적 Defining the MB-LB transition in northern Mesopotamia: some archae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new data from the Erbil Plain and neighbouring regions https://www.openstar[...] EUT Edizioni Università di Trieste, Trieste 2020
[65] 서적 The Late Bronze Age Ceramic Traditions of the Syrian Jazirah http://archiv.ub.uni[...] Bibliothèque archéologique et historique 180, Beyrouth 2007
[66] 서적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Kingdom of Mittani and its Subordinated Polities in Syria and Southeast Anatolia https://iris.unito.i[...] Ugarit Verlag 2018
[67] 논문 Excavations at Tell Brak, 1983-84. 1985
[68] 논문 THE SPATIAL DIMENSIONS OF EARLY MESOPOTAMIAN URBANISM: THE TELL BRAK SUBURBAN SURVEY, 2003—2006 2011
[69] 서적 Neue Tontafelfunde aus dem mitannizeitlichen Taidu – Ein Vorbericht De Gruyter, Berlin, Boston 2014
[70] 서적 The Mittanian Cuneiform Documents https://iris.unito.i[...] De Gruyter 2024
[71] 간행물 "The Late Bronze Age Pottery of the Weststadt of Tall Bazi (North Syria)" OrA 32, Rahden/Westf. 2014
[72] 간행물 "The Late Bronze Age at Tall Bazi: The Evidence of the Pottery and the Challenges of Radiocarbon Dating" https://www.vorderas[...] MAAO 1, Gladbeck 2018
[73] 간행물 “Three ritual vessels from the Mittani-period temple at Tell Bazi.” https://www.vorderas[...] Stories told around the fountain. Papers offered to Piotr Bieliński on the occasion of his 70th birthday 2019
[74] 논문 "A Mittani letter order from Azu (Had 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chronology and history of the Middle Euphrates region in the Late Bronze Age." https://www.cairn.in[...] Revue d'assyriologie et d'archeologie orientale 2018
[75] 간행물 "A Hurrian-Mitanni Temple in Müslümantepe in The Upper Tigris and New Findings" https://dergipark.or[...] Gaziantep University Journal of Social Sciences 2021-04-27
[76] 간행물 "The First and Second Seasons of the German-Kurdish Excavations at Bassetki in 2015 and 2016" https://www.academia[...] Zeitschrift fur Orient-Archaologie 2017
[77] 간행물 "Urban Developments in Northeastern Mesopotamia from the Ninevite V to the Neo-Assyrian Periods: Excavations at Bassetki in 2017" https://www.academia[...] Zeitschrift fur Orient-Archaologie 2019
[78] 웹사이트 Ancient palace emerges from drought-hit Iraq reservoir https://www.cnn.com/[...] CNN.com 2009-06-28
[79] 간행물 "A New Mittani Centre On the Middle Tigris (Kurdistan Region): Report On the 2018 Excavations At Kemune" https://www.academia[...] Zeitschrift Für Orient-Archäologie 2019
[80] 웹사이트 A 3,400-year-old city emerges from the Tigris River https://phys.org/new[...] 2022-06-03
[81] 간행물 "Towards a Radiocarbon-Based Chronology of Urban Northern Mesopotamia in the Early to Mid-Second Millenium BC: Initial Results from Kurd Qaburstan" https://www.cambridg[...] Radiocarbon 2023
[82] 간행물 "Political and Cultural Relations between the Kingdom of Mittani and its Subordinated Polities in Syria and Southeast Anatolia" https://123dok.org/d[...] Changing Faces of Kingship in Syria-Palestine 1500–500 BCE, Alter Orient und Testament 459, Ugarit Verlag 2018
[83] 간행물 "Defining the MB-LB transition in northern Mesopotamia: some archae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new data from the Erbil Plain and neighbouring regions" https://www.openstar[...] Interactions and New Directions in Near Eastern Archaeology. Volume 3. Proceedings of the 5th 'Broadening Horizons' Conference (Udine 5–8 June 2017), Università di Trieste, EUT Edizioni, Trieste 2020
[84] 간행물 "Mesopotamian Empires" https://www.academia[...] The Oxford Handbook of the Ancient Stat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the Mediterranean,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85] 간행물 "The Empires of Western Asia and the Assyrian World Empire" https://books.google[...] The Oxford World History of Empire: Volume Two: The History of Empi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86] 서적 "Asshur, Mitanni, and Arrapk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
[87] 서적 The Archive of the Wullu Family Museum Tusculanum Press 1988
[88] 간행물 "Reflexiones sobre el territorio de Cárquemis durante el periodo mittanio" https://www.research[...] Orientalística en tiempos de crísis, Pórtico, Zaragoza 2015
[89] 서적 Nuzi Texts and Their Uses as Historical Evidence https://books.google[...] 2010
[90] 문서 Cline 2014, p. 61
[91] 논문 A Letter of Sauäsatar and the Date of the Kirkuk Tablets J AOS 1929
[92] 논문 A Reappraisal of the "Saustatar Letter" from Nuzi Zeitschrift für Assyriologie 1989
[93] 서적 "Appendix 1. The Senders of the Amarna Letter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1
[94] 서적 "Fortunes and Misfortunes of Messengers and Merchants in the Amarna Letter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1
[95] 논문 “Inscriptions from Tell Brak 1984.” Iraq 1985
[96] 서적 The Amarna Letter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97] 간행물 "The Diplomatic Service in Action: The Mitanni File” Amarna Diplomacy: The Beginnings of International Relations, Baltimore, London 2000
[98] 간행물 "The Kings of Mittani in Light of the New Evidence from Terqa" https://sepoa.fr/wp/[...] NABU 2019, No. 1, March 2019
[99] 간행물 "Šattiwaza's Declaration (CTH 52) Reconsidered." Acts of the V. International Congress of Hititology 2005
[100] 논문 "New Joins to Hittite Treaties" ZAVA 1997
[101] 서적 Treaty, Law and Covenant in the Ancient Near East Wiesbaden 2012
[102] 논문 “The Hittites.” https://www.journals[...] The American Journal of Theology 1914
[103] 서적 "Š"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1
[104] 서적 "Amarna and Later: Aspects of Social History"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21
[105] 논문 "The Mittanian Raid of Amurru (EA 85: 51-55) Reconsidered" Altorientalische Forschungen 2003
[106] 논문 Hittite Treaties and Letters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1921
[107] 논문 The Hittite Administration in Emar: The Aspect of Direct Control 2006
[108] 논문 Some Observations on the Chronology of Šuppiluliuma's Reign Anatolian Studies 1989
[109] 논문 One-year or Five-year War? A Reappraisal of Suppiluliuma's First Syrian Campaign Altorientalische Forschungen 2011
[110] 논문 The Partition of the Confederacy of Mukiš-Nuḫiašše-Nii by Šuppiluliuma: A Study in Political Geography of the Amarna Age Orientalia 1969
[111] 논문 Hittite Treaties and Letters The American Journal of Semitic Languages and Literatures 1921
[112] 서적 Assyrian Royal Inscriptions: From the beginning to Ashur-resha-ishi I Otto Harrassowitz Verlag 1972
[113] 논문 The Chronology of the Legal Texts from Emar 1998
[114] 문서 Bryce 2005, p. 314
[115] 서적 Assyrian Rulers 3rd and 2nd Millennia BC (to 1115 BC)(Royal Inscriptions of Mesopotamia, Assyrian Periods, Vol 1)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87
[116]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117]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1
[118]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119]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120]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121] 문서 Per Sumerian King List
[122]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123] 웹사이트 貯水池から古代の宮殿が出現、干ばつで水位下がる イラク北部 https://www.cnn.co.j[...] CNN 2019-07-02
[124] 웹사이트 約3400年前の“王国の遺跡”が突如出現! 歴史的発見に https://news.tv-asah[...] 2022-06-10
[125] 웹사이트 Mitanni City emerges from the Mosul Reservoir https://wildhunt.org[...] 2022-06-08
[126] 간행물 Integrated Tree-Ring-Radiocarbon High-Resolution Timeframe to Resolve Earlier Second Millennium BCE Mesopotamian Chronology https://journals.plo[...] PLOS ONE 2016-07-13
[127] 간행물 The Mittani State: The Formation of the Kingdom of Mittani https://www.degruyte[...] De Gruyter, Berlin, Boston 2014
[128] 서적 The Kingdom of the Hittites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29] 인용 Mitanni Kingdom https://onlinelibrar[...] Wiley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