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빌리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빌리온은 별장, 키오스크와 유사한 작은 정원 부속 건물 또는 스포츠 경기장 인접 건물로, 18세기 산업 혁명과 함께 등장했다. 1851년 런던 만국박람회의 수정궁은 파빌리온 건축의 중요한 사례이며, 이후 파리 만국박람회를 통해 파빌리온은 상징적 구조물 창조와 국가 정체성 및 문화를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현대의 파빌리온은 예술과 결합하여 건축의 한 형태로 발전하며, 미술관과 같은 문화예술 기관에서 건축가들의 실험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장으로 활용된다. 파빌리온은 독립형 구조물, 스포츠 파빌리온, 사냥 별장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한국에서는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대학생 연합 건축행사 등을 통해 파빌리온 건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해외 파빌리온 건축으로는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브뤼헤 2002 파빌리온, 뉴욕 현대미술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건축물 - 벌집 구조
    벌집 구조는 자연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견되는 수학적, 물리적 특징을 지닌 구조로, 특히 경량성과 강성이 요구되는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며 나노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응용 가능성을 넓히고 있다.
  • 유형별 건축물 - 차고
    차고는 자동차 산업 발전에 따라 등장하여 차량 보관뿐 아니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건축 구조물이며, 주택 연결형, 독립형, 이동식 등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한다.
파빌리온
지도
건축
유형건물
용도오락
레크리에이션
임시 거주
스타일다양함
역사 및 어원
어원프랑스어 pavillon (파빌리옹), 옛 프랑스어 paveillon (파베이옹), 라틴어 papilionem (파필리오넴, 나비)에서 유래
특징
설명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정원에 위치한 독립된 구조물
종종 개방형 디자인을 가짐
다양한 용도로 사용 (예: 휴식, 오락, 전시)
예시
예시브라이턴 파빌리온
로열 파빌리온
키오스크
정자
같이 보기
관련 항목전시관
건축
가제보
벨베데레
푸가옥
정원 건축
임시 건축

2. 역사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과 함께 파빌리온이 등장하였다. 오늘날 전시공간의 근본이 되는 1851년 런던 만국박람회에서 선보인 조셉 팩스턴의 수정궁은 당시 건축과 산업에 큰 획을 그었다. 대량생산된 철과 유리의 조합은 건축과 예술 분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1867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통해 파빌리온은 건축가들에게 실험적인 시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런던 만국박람회는 성공적인 박람회의 표본이 되었고, 파리 만국박람회는 상징적 구조물 창조와 국가 정체성 및 문화를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오늘날의 파빌리온은 상업문화를 알리던 박람회 형태의 전시장 모습에서 나아가 예술과 결합한 건축의 한 형태로 그 움직임이 두드러지며 이전의 모습과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임시 설치물이라는 '한시적 공간'의 맥락은 유지하되, 미술관과 같은 문화예술 기관과 함께 대중의 호흡을 함께하였다.

이에 따라 미술관은 예술의 영역에서 건축가들의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들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적 표상과 상징성의 파빌리온이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실적 표현방식의 새로운 공간 활용의 자율성을 찾는 파빌리온으로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파빌리온의 예술화 경향에 따라 예술작품으로서의 관점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점차 대형화되는 미술작품의 변화는 건축과의 결합을 촉진시켰으며, 미술관의 파빌리온 건축의 도입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효과가 설치미술의 맥락과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설치(Installation)’라는 용어는 원래 ‘전시(Exhibition)’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그것이 공간 전체를 조형화하는 특수한 전시의 방법을 지칭하게 되었다.

미술 작품의 개념이 하나의 작품에 영속되어있던 과거와 달리 가변적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실제 건축 환경을 작품화하는 예술작품으로서의 미학적 관점과, 작품 자체가 공간이 되는 전시공간으로서의 기능적 관점 두 가지 방향을 이룬다. 아트 파빌리온 프로젝트의 등장에 따른 관람자의 공간경험은 예술작품이 점차 공간화되어 관람자와 새로운 관계성을 맺고 있음을 입증하며 이는 예술 영역의 확장으로 인한 새로운 예술적 공간 경험을 제시할 것을 예측한다. 대중들 또한 건축을 일상적이고 친숙하게 받아들이게 됨에 따라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은 미술 영역에서 건축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았다.

2. 1. 런던 만국박람회와 파빌리온의 등장

18세기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과 함께 파빌리온이 등장하였다. 오늘날 전시공간의 근본이 되는 1851년 런던 만국박람회에서 선보인 조셉 팩스턴의 수정궁은 당시 건축과 산업에 큰 획을 그었다. 대량생산된 철과 유리의 조합은 건축과 예술 분야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1867년 파리 만국박람회를 통해 파빌리온은 건축가들에게 실험적인 시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런던 만국박람회는 성공적인 박람회의 표본이 되었고, 파리 만국박람회는 상징적 구조물 창조와 국가 정체성 및 문화를 알리는 기회가 되었다.

2. 2. 파빌리온의 현대적 변화

오늘날의 파빌리온은 상업문화를 알리던 박람회 형태의 전시장 모습에서 나아가 예술과 결합한 건축의 한 형태로 그 움직임이 두드러지며 이전의 모습과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임시 설치물이라는 '한시적 공간'의 맥락은 유지하되, 미술관과 같은 문화예술 기관과 함께 대중의 호흡을 함께하였다.

이에 따라 미술관은 예술의 영역에서 건축가들의 새롭고 신선한 아이디어들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국가적 표상과 상징성의 파빌리온이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실적 표현방식의 새로운 공간 활용의 자율성을 찾는 파빌리온으로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파빌리온의 예술화 경향에 따라 예술작품으로서의 관점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점차 대형화되는 미술작품의 변화는 건축과의 결합을 촉진시켰으며, 미술관의 파빌리온 건축의 도입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효과가 설치미술의 맥락과도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설치(Installation)’라는 용어는 원래 ‘전시(Exhibition)’와 크게 다르지 않은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그것이 공간 전체를 조형화하는 특수한 전시의 방법을 지칭하게 되었다.

미술 작품의 개념이 하나의 작품에 영속되어있던 과거와 달리 가변적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실제 건축 환경을 작품화하는 예술작품으로서의 미학적 관점과, 작품 자체가 공간이 되는 전시공간으로서의 기능적 관점 두 가지 방향을 이룬다. 아트 파빌리온 프로젝트의 등장에 따른 관람자의 공간경험은 예술작품이 점차 공간화되어 관람자와 새로운 관계성을 맺고 있음을 입증하며 이는 예술 영역의 확장으로 인한 새로운 예술적 공간 경험을 제시할 것을 예측한다. 대중들 또한 건축을 일상적이고 친숙하게 받아들이게 됨에 따라 예술작품으로서의 파빌리온은 미술 영역에서 건축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았다.

2. 3. 아트 파빌리온

3. 종류

3. 1. 독립형 구조물

파빌리온은 별장이나 키오스크와 유사한 작은 정원 부속 건물일 수 있으며, 지붕을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는 대형 주택 지붕 위의 작은 방도 파빌리온이라고 불릴 수 있다. 18세기까지 특히 인기가 있었으며, 이탈리아의 casinait에 해당하며, 이전에는 영어로 "casino"로 번역되었다. 이것들은 종종 작은 고전 신전과 폴리와 유사했다.

홋카이도 대학 식물원의 파빌리온


베트남 후에의 파빌리온


특히 음식 준비를 위한 공간이 있다면, 연회장이라고 불릴 수 있다. 전망을 즐기기 위해 지어진 파빌리온은 정자라고 불릴 수 있다. 공원의 관람대는 파빌리온의 한 종류이다. 수영장 옆의 는 파빌리온이라고 불릴 만큼 충분한 특징과 매력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독립형 파빌리온은 브라이턴의 로열 파빌리온과 같이 훨씬 더 큰 건물이 될 수도 있는데, 공통적인 요소는 쾌락과 휴식을 위해 지어졌다는 것이다.

스포츠 파빌리온은 일반적으로 탈의실로 사용되고 종종 다과를 즐길 수 있는 스포츠 경기장 인접 건물이다. 종종 관람객을 위한 햇빛 가리개를 제공하는 베란다가 있다. 크리켓 경기장에서는, 로즈 크리켓 경기장과 같이, 크리켓 파빌리온은 실제로 스탠드를 포함한 대형 건물이라 할지라도, 선수들이 등장하고 돌아가는 건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3. 2. 스포츠 파빌리온

3. 3. 기타 용도

일부 지역에서 파빌리온은 사냥 별장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프랑스 뤼베롱에 있는 파비용 드 갈롱/Pavillon de Galon프랑스어은 전형적인 18세기 귀족 사냥 파빌리온이다. 옛 로마 시대 빌라 부지에 위치한 이 파빌리온에는 손님들이 리셉션에 사용했던 프랑스식 정원이 있다.

4. 한국의 파빌리온

4. 1. 전통 건축

4. 2. 현대 건축

4. 2. 1. 국립현대미술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MMCA YAP)

국립현대미술관(MMCA) YAP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총 4회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국립현대미술관의 YAP 파빌리온의 경향은 2017년 우승작인 '원심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작품이 건축과 예술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면서 대상에 대한 판단이 공간경험으로 집중되도록 하며, 실험적인 감각경험에 대한 작품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4. 2. 2.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는 베니스 비엔날레와 같이 3대 비엔날레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갖고 시작하였으며, 2년마다 서울의 각 도시 안에서 주제를 나누어 전시하게 된다. UAUS와 연계하여 우수작품을 선정하여, 현장건설 부분에 파빌리온을 전시한다.

4. 2. 3. 대학생 연합 건축행사 (UAUS)

UAUS는 총 21개의 건축대학 학생들의 연합 대회로 다른 건축 대회와는 달리 학생들이 행사의 모든 부분을 주체적으로 이끌어 나간다는 점이 특징이다. 2012년 8개의 대학으로 시작하여 2018년 현재 21개의 대학이 참가하기까지 총 7회의 파빌리온 전시를 하였다. 서울도시건축 비엔날레와 연계하여 우수작품을 선정, 현장건설 부분에 파빌리온을 전시하기도 한다.

5. 대표적인 파빌리온 건축 (해외)

5. 1.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Barcelona Pavilion)

미스 반 데어 로에가 설계하여 1929년 바르셀로나 만박에서 독일관으로 건립되었다. 회기 종료 후 철거되었지만, 현대 건축의 걸작으로 평가받아 1989년에 재건되었다.

5. 2. 브뤼헤 2002 파빌리온 (Bruges 2002 Pavilion)

이토 토요가 설계한 브뤼헤 2002 파빌리온은 벨기에 브뤼헤 시내에 설치되었던 건축물이다. 알루미늄을 주재료로 한 터널 형태의 파빌리온이었다.

5. 3. 뉴욕 현대미술관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 (MoMA YAP)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젊은 건축가 프로그램(YAP)은 1998년부터 2017년까지 20회의 파빌리온 프로젝트를 실행했다. MoMA YAP 파빌리온은 장소 특정적이며 실험적인 특성을 보여왔지만, 최근에는 사회적, 환경적 이슈와 담론들을 다양한 층위를 통해 구현하는 경향을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Pavilion {{!}} Architectur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4-05-09
[2] 웹사이트 The Ultimate Guide To Pavilion And Their Materials https://egygazebo.co[...] 2022-09-17
[3] 서적 Significant Etymology https://archive.org/[...] William Blackwood & Sons
[4] 서적 Robert de Boron, Merlin, roman du XIIIe siècle https://books.google[...] Ellipses
[5] 웹사이트 pavilion {{!}} Etymology, origin and meaning of pavilion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3-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