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키스탄의 번왕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키스탄의 번왕국은 파키스탄 건국 이후 파키스탄에 합병된 여러 번왕국들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주나가드와 반트바 마나바다르 번왕국은 인도 편입 시도 이후 파키스탄에 합병되었으며, 바하왈푸르, 카이르푸르, 치트랄, 스와트, 훈자, 나가르 등 여러 번왕국들이 파키스탄에 순차적으로 합병되었다. 1950년부터 1974년까지 여러 번왕국들이 폐지되었으며, 이는 파키스탄 중앙 정부의 행정력 강화를 위한 조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번왕국 - 마이소르 왕국
    마이소르 왕국은 1610년 라자 워디야 1세가 건국한 남인도의 왕국으로, 여러 왕조와의 경쟁 속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었으나, 하이데르 알리와 티푸 술탄 시대에 영국 동인도 회사와 전쟁을 치른 후 영국 인도 제국 내 토후국이 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 독특한 문화, 군사적·행정적 개혁으로 인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인도 번왕국 - 마니푸르 왕국
    마니푸르 왕국은 인도 북동부에 위치했던 역사적인 왕국으로, 강레이팍 왕국에서 시작하여 여러 왕조를 거치며 발전했으나, 영국의 보호령과 제후국을 거쳐 인도에 합병되어 주 지위를 획득하였다.
  • 파키스탄의 역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파키스탄의 역사 - 파로파미사다이
    파로파미사다이는 힌두쿠시 산맥 너머를 의미하는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힌두쿠시 산맥과 파미르 산맥에 걸쳐 카불 지방 등을 포함하며, 아케메네스 제국 등 여러 제국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파키스탄의 번왕국
개요
파키스탄의 번왕국 지도
1947년 파키스탄의 번왕국 지도
역사
배경인도 제국의 분할
인도 독립법 1947
편입 과정일부 번왕국은 파키스탄에 자발적으로 가입
일부 번왕국은 무력 합병됨
소멸1947년부터 1974년 사이에 단계적으로 파키스탄에 통합
주요 번왕국
바하왈푸르파키스탄에 합류한 최초의 번왕국 중 하나
칼라트발루치스탄 지역의 주요 번왕국
카이르푸르신드 지역의 번왕국
스와트현재의 카이버파크툰크와 주에 위치
디르현재의 카이버파크툰크와 주에 위치
치트랄현재의 카이버파크툰크와 주에 위치
훈자현재의 길기트발티스탄 지역에 위치
암브파키스탄의 북서부 지역에 위치
나가르훈자와 인접한 번왕국
라스 벨라칼라트의 봉신국
마크란칼라트의 봉신국
카란칼라트의 봉신국
풀라1949년에 파키스탄에 합병됨.
법적 지위
합병 조약각 번왕국과 파키스탄 정부 간의 합병 조약 체결
자치권초기에는 제한적인 자치권 인정, 이후 완전히 파키스탄에 통합
영향
정치적 통합파키스탄 영토 확장 및 정치적 통합에 기여
사회적 변화번왕국의 사회, 경제 구조 변화
추가 정보
관련 문서파키스탄의 행정 구역
인도의 번왕국

2. 번왕국의 선택

인도 독립법에 따라 영국령 인도 밖에 있던 수백 개의 번왕국들은 영국과의 모든 종속 동맹과 기타 조약 의무에서 해방되었다. 이들은 새로 독립한 인도 또는 파키스탄 중 하나에 가입하거나,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3] 사르다르 파텔은 1948년 1월 기자 회견에서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최고 권위가 소멸되면서 모든 인도 국가가 별도의 독립체로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4]

1947년 8월, 독립 첫 달에 파키스탄에 가입한 통치자는 단 두 명뿐이었지만, 무슬림 인구가 다수인 대부분의 국가는 1년 이내에 파키스탄에 가입했다. 번왕국 통치자들은 외교 관계, 국방 및 통신만을 파키스탄 자치령에 이전하는 가입 문서에 서명했다. 대부분의 경우 서명은 종주권하에 있던 지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스와트 왈리는 국가의 가입이 "별로 바뀌지 않았다"고 언급했다.[5] 그러나 한 세대 안에 모든 군주국은 내부 자치권을 잃었다.

2. 1. 주나가드와 반트바 마나바다르의 합병 시도

카티아와르 반도 해안에 위치한 주나가드는 힌두교도가 다수였지만, 무슬림 통치자 무하마드 마하바트 칸 3세가 통치했다. 1947년 8월, 그는 파키스탄에 합병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는 번왕국 중 최초였다. 나바브의 디완인 시르 샤 나와즈 부토는 합병 문서를 진나에게 직접 전달했고, 9월 13일 진나는 합병을 수락했다.[6] 그러나 다수의 힌두교도 백성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인도는 주나가드의 나바브가 결정을 바꾸도록 압박하기 위해 봉쇄를 가했다.[7] 1947년 11월 8일, 부토는 파키스탄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렵게 되자 인도 정부에 질서 회복을 위한 임시 조치로 행정 인수를 요청했다.[8] 이는 협상을 통한 최종 합의를 기다리는 동안의 조치였으며, 주나가드가 인도에 합병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9] 인도 정부는 총독을 임명하고 국민 투표를 준비했으며, 1948년 2월 20일에 실시된 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으로 인도와의 통합이 결정되었다.[10] 이는 주나가드의 인도 편입으로 이어졌다.[11] 인도는 주나가드를 침공한 것이 아니라, 나바브 정부가 완전히 붕괴된 후에야 인수했다고 주장했다.[11]

반트바 마나바다르의 칸인 굴람 모이누딘 칸지는 주나가드의 종속국이었는데, 1947년 9월 24일 파키스탄과의 합병에 서명했다. 1947년 10월 22일, 인도 경찰은 마나바다르를 침공했고 칸은 체포되었다. 국민 투표 후, 이 국가는 1949년 2월 20일 새로 연방화된 사우라슈트라와 합병되었다. 칸은 1950년 4월 8일 리아쿠트-네루 협정에 따라 석방되었다. 그는 1951년부터 카라치에서 거주하며 왕자로 인정받았다. 그는 파키스탄 하키 연맹의 회장을 역임했고, 2003년에 사망했다.[12]

3. 파키스탄 번왕국의 합병 순서

파키스탄의 번왕국들은 각기 다른 시기에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 각 번왕국의 합병 시기는 다음과 같다.

번왕국합병 시기
풀라 번왕국1950년
바하왈푸르, 칼라트, 카이르푸르, 카란, 라스 벨라, 마크란 번왕국1955년 10월 14일
암브, 치트랄, 디르, 훈자, 스와트 번왕국1969년 7월 28일
나가르 번왕국1974년 9월 25일



이후 이들은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 또는 발루치스탄 주 등 파키스탄의 행정 구역에 편입되었다.

3. 1. 바하왈푸르

바하왈푸르


바하왈푸르의 나와브(또는 아미르)인 사데크 모하마드 칸 5세는 1947년 10월 3일, 다소 지연된 후에 파키스탄에 번왕국을 귀속시켰고, 최초로 성공적으로 그렇게 한 통치자가 되었다.[13][14] 수만 명의 무슬림 난민들이 신생 인도에서 이 왕국으로 밀려들자, 바하왈푸르 난민 구호 및 재활 기금이 설립되어 그들을 구호했다. 1953년, 바하왈푸르의 아미르는 엘리자베스 2세의 대관식에서 파키스탄을 대표했다. 1955년, 파키스탄 총독인 말리크 굴람 무하마드와 협정을 체결하여 바하왈푸르는 1955년 10월 14일부터 서파키스탄 주의 일부가 되었고, 아미르는 칭호를 유지하면서 연간 3200000INR의 사적 자금을 받았다.[15]

3. 2. 카이르푸르

1947년 10월 3일, 카이르푸르는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 1955년 파키스탄에 통합되었다.[13]

3. 3. 치트랄

1947년 10월 6일 치트랄은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31][20] 1969년 7월 28일 야히아 칸은 치트랄을 파키스탄에 완전히 통합한다고 발표했다.[31][20]

3. 4. 스와트

1947년 11월 3일, 스와트는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 1969년 파키스탄에 완전히 통합되었다.[22]

3. 5. 훈자

1947년 11월 3일, 훈자는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24] 1974년 파키스탄 북부 지역에 합병되었다.[26]

3. 6. 나가르

1974년 9월 25일 나가르 번왕국은 폐지되어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편입되었다.[13]

3. 7. 암브

امب|암브ur는 1969년 7월 28일 폐지되어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편입되었다.[28]

3. 8. 풀라

1950년 풀라 번왕국은 폐지되어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편입되었다.[13]

3. 9. 디르

1969년 7월 28일 디르는 폐지되어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편입되었다.[13]

3. 10. 라스 벨라

1948년 3월 17일, 라스 벨라는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13] 같은 해 3월 21일, 카란, 마크란, 라스 벨라의 통치자들은 자신들의 국가를 파키스탄 자치령에 합병한다고 발표했다.[33] 이후 라스 벨라는 1955년 10월 14일 서파키스탄 주에 통합되었다가, 1970년 발루치스탄 주의 일부가 되었다.

3. 11. 카란

1948년 3월 17일, 카란은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13][33] 1952년 10월 3일 칼라트, 라스 벨라와 함께 발루치스탄 주 연합을 형성했다. 1955년 10월 14일 서파키스탄 주에 병합되면서 해체되었다. 1970년에는, 이전 번왕국의 지역이 발루치스탄 주의 마크란 구(후에 마크란 행정구)로 조직되었다.

3. 12. 마크란

1948년 3월 17일, 마크란 번왕국은 파키스탄에 합병되었다. 1955년 서파키스탄 주에 병합되었다가, 1970년 발루치스탄 주의 일부가 되었다.[35]

3. 13. 칼라트

1948년 3월 27일 칼라트가 파키스탄에 합병되었고, 1955년 서파키스탄 주에 편입되었다.[1] 1958년 칼라트 칸은 발루치스탄 반란을 선언했다가 체포되었으나 이후 사면되었다.[1]

4. 번왕국의 폐지

인도 아대륙에서 영국이 철수하면서 인도 독립법에 따라 번왕국들은 영국과의 모든 조약 의무에서 해방되었다. 번왕국의 통치자들은 인도 또는 파키스탄 중 하나에 가입하거나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다.[3] 대부분의 번왕국은 1947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등의 영향으로 1년 이내에 파키스탄에 가입했다.

번왕국들은 파키스탄에 가입하면서 외교 관계, 국방, 통신에 대한 권한을 파키스탄에 이양했지만, 종주권하의 지위를 유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5]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번왕국들은 점차 내부 자치권을 잃었다.

바하왈푸르의 아미르인 사데크 모하마드 칸 5세의 1949년 사용 우표

  • 1955년 10월 14일, 바하왈푸르, 칼라트, 카이르푸르, 카란, 라스 벨라, 마크란 번왕국이 폐지되었다.
  • 1974년, 훈자와 나가르가 폐지되었다.[5]

4. 1.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 편입

풀라 번왕국은 1950년 폐지되어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편입되었다.[1] 암브, 치트랄, 디르, 훈자, 스와트 번왕국은 1969년 7월 28일 폐지되어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편입되었다.[1] 나가르 번왕국은 1974년 9월 25일 폐지되어 카이베르파크툰크와 주에 편입되었다.[1]

4. 2. 발루치스탄 주 연합

1955년 10월 14일 칼라트, 카란, 라스 벨라, 마크란 번왕국이 통합되어 발루치스탄 주 연합을 형성했으나, 같은 해 해체되었다.[1]

참조

[1] 서적 'A Princely Affair: The Accession and Integration of the Princely States of Pakistan, 1947-1955'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2] 웹사이트 Winning Over The Princely States https://www.dawn.com[...] 2022-08-14
[3] 서적 'State, Nation and Ethnicity in Contemporary South Asia' 'London & New York' 1998
[4] 서적 The Chamber of Princes https://books.google[...] Northern Book Centre 1991
[5] 서적 Pakistan & the Karakoram Highway 2008
[6] 문서 Junagadh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Empire
[7] 서적 Shaping of Modern Gujarat Penguin UK 2005
[8] 서적 Quaid-i-Azam Mohammad Ali Jinnah as Governor-General of Pakistan https://books.google[...] Pakistan Study Centre, University of the Punjab
[9] 서적 War and Peace in Modern India 2010
[10] 서적 Patel: A Life Navajivan 1992
[11] 웹사이트 Accession of Junagadh: Farce of History https://revisitingin[...] 2013-08-28
[12] 뉴스 KARACHI: Nawab Moinuddin laid to rest https://www.dawn.com[...] 2003-02-15
[13] 서적 Pakistan: The Consolidation 1963
[14] 서적 'Politics of Bahawalpur: From State to Region, 1947-2000' 2004
[15] 간행물 The All Pakistan Legal Decisions 1978
[16] 간행물 'Debates: Official report' 1947
[17] 서적 'State and Nation-Building in Pakistan: Beyond Islam and Security' Routledge 2015
[18] 서적 'Jammu and Kashmir War, 1947-1948' 2003
[19]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Ex Mehter Chitral HH Prince Saif ul Mulk Nasir http://www.chitralti[...]
[20] 서적 2008
[21] 간행물 'Census of India, 1931, Volume XXIV: Jammu & Kashmir State, Part 1 – Report' India Census Commissioner Manager of Publications 1933
[22] 서적 'Jinnah Papers: The states: Historical and Policy Perspectives and Accession to Pakistan' Quaid-i-Azam Papers Project, Government of Pakistan 2003
[23] 서적 Frontier of faith: Islam in the Indo-Afghan borderland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7-12-01
[24] 간행물 Pakistan Horizon
[25] 서적 'Gilgit Rebellion: The Major Who Mutinied Over Partition of India' https://books.google[...] 2014
[26] 간행물 Pakistan Pictorial Pakistan Publications 1973
[27] 서적 CHRONOLOGY OF ACCESSION OF STATES TO PAKISTAN Quaid-i-Azam Papers Project 1993
[28] 간행물 Current Affairs 1958
[29] 문서 Memoranda on the Indian States Published by Authority 1939
[30] 서적 'The Indian Political Service: A Study in Indirect Rule' 1971
[31] 서적 'The elite minority, the princes of India' 1989
[32] 문서 The Statesman's Year-Book: Statistical and Historical Annual of the States of the World for the Year 1942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West Pakistan Government Press 1942
[33] 서적 2012
[34] 간행물 Whitaker's Almanack 1951 1951
[35] 서적 'The Politics of Ethnicity in Pakistan: The Baloch, Sindhi and Mohajir Ethnic Movements' Routledge 2012
[36]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A-C Greenwood Publishing 2002
[37] 웹사이트 Balochistan Tango http://www.despard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