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굴 제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굴 제국은 중앙아시아 출신 바부르에 의해 1526년에 건국되어 1857년 세포이 항쟁으로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한 이슬람 왕조이다. 티무르 왕조와 칭기즈 칸의 후손을 자처하며, 힌두스탄을 국호로 사용했다. 바부르는 파니파트 전투에서 델리 술탄 왕조를 격파하고 무굴 제국을 세웠으며, 악바르 대제 시기에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했다. 샤 자한 시대에는 타지마할 등 건축과 예술이 번성했지만, 아우랑제브의 종교적 정책과 영토 확장은 제국의 쇠퇴를 불렀다. 18세기에는 잦은 내전과 외세의 침입으로 쇠퇴하였고, 영국 동인도 회사의 세력 확장에 따라 1857년 세포이 항쟁 이후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근세사 - 벵골 수바
    벵골 수바는 무굴 제국 시대에 현재의 방글라데시와 인도 서벵골 주를 아우르는 지역을 통치했던 행정 구역으로, 번영하는 경제와 독특한 문화 유산을 남겼으나 플라시 전투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인도의 근세사 - 수르 제국
    수르 제국은 1539년 셰르 샤 수리가 건국하여 토지세 개혁과 화폐 제도 개혁을 추진했지만, 1555년 후마윤에 의해 멸망한 북인도의 왕조이다.
  • 인도의 옛 군주국 - 마라타 제국
    마라타 제국은 17세기 중반 시바지 보살레에 의해 건국되어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으나, 1818년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멸망했다.
  • 인도의 옛 군주국 - 수르 제국
    수르 제국은 1539년 셰르 샤 수리가 건국하여 토지세 개혁과 화폐 제도 개혁을 추진했지만, 1555년 후마윤에 의해 멸망한 북인도의 왕조이다.
  • 무굴 제국 - 티무르
    티무르는 14세기에 활동한 군사 지도자로서, 칭기즈 칸의 후예는 아니었지만 차가타이 칸국의 혼란을 틈타 권력을 잡고 정복 전쟁을 통해 티무르 왕조를 세웠으며, 군사적 재능과 잔혹함으로 평가받는다.
  • 무굴 제국 - 자민다르
    자민다르는 무굴 제국부터 현대 인도와 방글라데시까지 존재했던 토지 소유 및 관리 제도로, 시대에 따라 자치 영주나 토지 소유주를 의미했으며, 인도 독립 후 헌법 개정을 통해 대부분 폐지되었다.
무굴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1700년경 아우랑제브 치하의 무굴 제국 최대 영토
1700년경 아우랑제브 치하의 무굴 제국 최대 영토
기본 정보
공식 명칭شاهان مغول (페르시아어), मुगल साम्राज्य (힌디어)
건국1526년
멸망1857년
종교국교: 이슬람교
디니일라히 (1582–1605)
기타: 힌두교 (다수)
참조: 남아시아의 종교
정치 체제군주제
통치 기간1526년–1857년
수도아그라 (1526–1530; 1560–1571; 1598–1648)
델리 (1530–1540; 1639–1857)
파테푸르 시크리 (1571–1585)
라호르 (1586–1598)
공용어페르시아어
힌두스타니어
통화루피, 타카, 담
면적약 750,000 제곱마일 (1,942,500 제곱킬로미터)
최대 면적4,000,000 제곱킬로미터 (1690년)
인구1595년: 125,000,000명
1700년: 158,000,000명
역사
주요 사건제1차 파니파트 전투 (1526년 4월 21일)
무굴 제국 공백기 (1540년 5월 17일 – 1555년 6월 22일)
제2차 파니파트 전투 (1556년 11월 5일)
무굴-아프간 전쟁 (1526년 4월 21일 – 1752년 4월 3일)
데칸 전쟁 (1680–1707)
나디르 샤의 인도 침공 (1738–1740)
델리 포위전 (1857년 9월 21일)
멸망 후무굴 황제, 버마로 추방 (1858년 10월 7일)
주요 특징군사 국가로 시작
18세기까지 전쟁으로 유지
토지 수입이 주요 재정 기반
농민에게 과도한 세금 부과
화폐 경제 촉진
장기간의 상대적 평화
경제 성장
사치품 소비 증가
예술 후원
무역 활성화
유럽의 영향력 증가
정치
통치자 칭호황제
초대 황제바부르 (1526–1530)
마지막 황제바하두르 샤 2세 (1837–1857)
부왕 (섭정)부왕
초대 부왕미르 칼리파 (1526–1540)
마지막 부왕다울라트 라오 신디아 (1794–1818)
재상대재상
초대 재상니잠 웃딘 칼리파 (1526–1540)
마지막 재상아사프 우드다울라 (1775–1797)
이전 및 이후 국가
이전 국가델리 술탄국
수르 제국
이후 국가영국령 인도 제국
현재 국가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

2. 국호

무굴 제국의 공식 국호에 가장 가까운 것은 힌두스탄(힌두스탄/هِندوستانfa)이다.[295] 이는 『악바르나마』에 기록되어 있으며, 아우랑제브 시기의 비문과 무굴 행정 기록들에서도 ''''힌두의 영역'''(Wilāyat-i-Hindustān 윌라야트-이 힌두스탄)', ''''힌두의 나라'''(Bilād-i-Hind 빌라드-이 힌드)', 또는 ''''힌두의 술탄국'''(Salṭanat(i) al-Hindīyyah 살타나트 알 힌디야)' 등으로 나타난다. 동시대 청나라의 연대기들 또한 무굴 제국을 '힌두스탄(Héndūsītǎn)'이라고 기록했다.[25]

무굴 제국은 스스로를 '''구르칸 왕조'''(구르카니/Gurkani영어, 구르카니안/گورکانیانfa)라고 칭했는데, 이는 티무르 왕조의 지배자들이 칭기스 일족과의 결혼을 통해 ‘구르칸’(부마) 칭호를 사용한 데서 유래했다.[296] 실제로 당대의 타국인들은 무굴 제국의 지배계층을 ‘차가타이인’이라 불렀으며, 사자와 태양이 그려진 표장은 차가타이 울루스에서 사용했던 것이다.[297]

'무굴'이라는 명칭은 인도 현지인들이 지배층을 부르던 말에서 유래했으며, 몽골을 의미하는 페르시아어 '무구르'(모골; 무굴/مغولfa)를 줄여 읽은 무굴(Mughul)이 변화된 것이다. 17세기 초 무굴 제국에 파견되었던 영국 최초의 공식 사신은 무굴 제국의 지배계층이 '무굴인'이라 불린다고 기록하였으며, 반세기 후 인도를 방문한 한 프랑스인은 무굴 황제들이 스스로 칭기스 칸의 후예라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무굴'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고 기록하였다.[298]

스티븐 데일은 바부르의 왕조가 티무르 가문과 차가타이 가문 양쪽 모두를 계승했으며, 스스로도 그런 의식을 가졌기 때문에 무굴 제국의 지배 왕가를 지칭할 때 '''티무르-무굴 왕조'''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299]

3. 역사

wikitext

무굴 제국은 중앙아시아 출신의 바부르(재위 1526년–1530년)에 의해 건국되었다. 바부르는 아버지 쪽으로는 페르시아화된 투르크-몽골 정복자 티무르(티무르 제국의 창시자)의 5대 후손이었고,[32] 어머니 쪽으로는 칭기즈칸의 후손이었다.[32] 바부르는 몽골 기원의 투르키스화된 바를라스 부족 출신이었다.[33] 1483년 2월 23일, 무굴 제국의 창시자가 될 바부르중앙아시아페르가나(Fergana)에서 태어났다.[180] 그의 아버지는 티무르의 증손자인 우마르 샤이흐였고,[180] 어머니는 칭기즈칸의 차가타이(Chagatai)의 차남 계열인 모굴리스탄 칸국(Chagatai Khanate)의 군주 유누스 칸(Yunus Khan)의 딸 쿠트룩 니갈 하눔(Kutlugh Nigar Khanum)이었다.[180]

1500년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Muhammad Shaybani Khan)이 사마르칸트를 점령하여 사마르칸트 정권은 멸망했고,[180] 1501년 바부르는 샤이바니 칸에게 패하여 타슈켄트(Tashkent)로 도망쳤다.[180] 중앙아시아의 선조 영토에서 쫓겨난 바부르는 야망을 채우기 위해 인도로 눈을 돌렸다.[34] 1504년 이후, 바부르는 아프가니스탄카불(Kabul)을 점령하여 근거지로 삼았고,[181] 카불에 자리를 잡은 후 아프가니스탄을 통해 카이버 고개를 지나 인도 남쪽으로 꾸준히 진격했다.[32] 1508년에는 파드샤라는 황제를 칭하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180] 1510년 샤이바니 칸은 메르브 전투(Battle of Merv)에서 사파비 왕조(Safavid Empire)의 군주 이스마일 1세(Isma'il I)에게 패하여 전사했다.[183] 1514년 찰디란 전투(Battle of Chaldiran)에서 이스마일 1세가 대패한 이후[184] 바부르는 중앙아시아에서의 왕조 건설을 사실상 포기하고, 북인도로 관심을 돌렸다.[181][185]

1519년 바부르는 최초의 인도 원정을 감행했고, 1523년 펀자브 총독 다우라트 칸 로디(Daulat Khan Lodi)가 바부르에게 인도 침입을 제안했다.[186][181] 1524년 바부르는 라호르(Lahore)를 지배하에 두었고,[186] 1525년에는 펀자브에 진출하여 그곳을 점령했다.

1525년 11월, 바부르는 군대를 이끌고 북인도로 진입, 1526년 4월 파니파트 제1차 전투에서 델리 술탄국의 이브라힘 로디를 격파했다.[186] 바부르는 화약 화기와 야전 포병을 활용하여[30][141] 로디 왕조의 대군을 크게 무찔렀다.[186] 이 전투에서 이브라힘 로디가 사망하고, 델리 술탄 왕조는 멸망했으며, 무굴 제국이 건국되었다. 바부르는 델리와 아그라를 점령하고,[188] 4월 27일 델리 대 모스크에서 금요 예배를 자신의 이름으로 주관하였다.[188]

바부르는 1527년 칸와 전투에서 라지푸트 세력을 격파하고 북인도에서의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192][181] 바부르는 적병들의 목을 쌓아 올리고 "성전의 승리자"를 의미하는 가즈이(غازی)의 칭호를 받았다.[192] 1529년 가그라 강 전투에서 바부르는 마흐무드 로디, 벵골 술탄 왕조, 아프가니스탄계 수르족의 연합군을 격파했다.[193]

=== 바부르 (1526~1530) ===

무굴 제국의 시조 바부르는 중앙아시아를 지배했던 투르크-몽골 정복자 티무르의 5대 후손이다.[301][302] 그는 몽골에서 기원했지만 언어적으로는 튀르크화하고 문화적으로는 페르시아화했던 바를라스 부족의 혈통을 이어받았다.[33] 1526년 4월, 로디 왕조(1451~1526)의 이브라힘 로디 술탄을 파니파트 전투에서 격파하고,[304] 델리에서 아그라(Agra)로 밀고 들어가 스스로 '인도의 파디샤'[305]임을 선언함으로써 무굴 제국을 건국하였다. 이후 칸와 전투에서는 라지푸트인들에게 대승을 거두어 북인도에서의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제국의 수도는 카불에서 아그라로 이전되었다.

바부르는 뛰어난 군사 전략가이자 정복군주였지만, 델리와 아그라, 그리고 북인도의 제한된 지역을 지배했을 뿐이었다. 제국은 아직 규모가 작았다.[189] 바부르는 인도가 낯선 정복지임에도 불구하고 결코 인도를 떠나려 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는 이곳이 중앙아시아보다 풍요롭다는 것을 이해했고, 자신의 왕조가 인도를 중심으로 전개될 것을 이해했기 때문이다.[189]

1526년 여름, 바부르는 대정복 이후 승리를 축하하는 형태로 재보를 아들과 신하들에게 분배했다.[189] 아들 후마윤에게는 700만 루피와 보물 창고를 주었고, 여러 고관들에게는 각각 100만 루피를 주었으며, 그 외 승리에 공헌한 자들에게도 포상을 주었다.[190] 그의 가족, 군에 수행한 상인과 일반인들에게도 포상을 주었고, 이라크 지역의 모든 성자들에게 금은과 노예를 보냈다.[190] 이러한 엄청난 후한 대우로 아그라에서 바부르의 통치는 매우 위태로워졌다.[190]

인도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바부르의 신하들은 중앙 아시아로 돌아가려 했으나, 바부르는 그들을 설득하여 인도에 잔류하게 했다.[190][191] 바부르는 인도에서의 통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노력했지만, 새로운 조세 제도를 마련하지는 못했다.

한편, 이브라힘 로디의 동생 마흐무드 로디는 로디 왕조의 재흥을 목표로 무굴 제국에 계속 저항하여 라지푸트의 메와르 왕국의 왕 상그람 싱과 동맹을 맺었다.[191][181] 1527년 3월 17일, 바부르의 군대와 마흐무드 로디와 상그람 싱이 이끄는 라지푸트 연합군이 아그라 서쪽 카누아에서 격돌했다 (카누아 전투).[192][181] 바부르는 파니파트 전투와 마찬가지로 화기를 사용하여 연합군을 격파하고 승리했다.[192] 전투 후, 바부르는 적병들의 목을 쌓아 올리고 "성전의 승리자"를 의미하는 가즈이(غازی)의 칭호를 받았다.

1529년 5월 6일, 바부르의 군대와 마흐무드 로디, 벵골 술탄 왕조(벵골 왕국)의 왕 나시르웃딘 누스라트 샤, 아프가니스탄계 수르족의 족장 셰르 샤 등의 연합군이 비하르의 가그라 강에서 격돌했다 (가그라 강 전투).[193] 바부르는 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마흐무드 로디를 죽이지는 못했다.

=== 후마윤 (1530~1556) ===

후마윤은 1530년 아버지 바부르의 뒤를 이어 무굴 제국의 제2대 황제가 되었지만, 제국의 상황은 불안정했다.[194][195] 이복형제들은 각지의 봉토를 받고 황제의 자리를 노리고 있었고, 구자라트의 바하두르 샤와 비하르의 셰르 샤 수리는 무굴 제국에 맞서 북인도에서의 패권을 위협했다.[196][197][198]

후마윤은 1531년 루크나우 교외에서 마흐무드 로디의 군대를 격파하고,[199][197] 1535년에는 구자라트 술탄 왕조의 바하두르 샤를 격파하여 캄베이까지 추격, 말와를 정복하는 등 제국의 영토를 확장했다.[197][198] 그러나 1539년 차우사 전투에서 셰르 샤에게 대패하고,[200][204] 1540년 카나우지 전투에서 다시 패배하여 제국이 일시적으로 멸망했다.[205][206]

후마윤은 신드 지방을 거쳐 이란사파비 왕조로 망명하여 타흐마스프 1세의 지원을 받았다.[204] 후마윤은 시아파로 개종하고 인도 탈환 후 칸다하르를 할양하겠다는 조건으로 지원을 약속받았다.[203][207][208]

1545년 셰르 샤가 사망하고,[203][207] 1554년 수르 왕조에서 내분이 발생하자,[210][211] 후마윤은 페르시아 군과 함께 인도로 돌아와 1555년 7월 23일 델리를 탈환하고 무굴 제국을 재건했다.[209][205][212] 그러나 이듬해 사고로 사망했다.[307]

=== 악바르 대제 (1556~1605) ===

악바르는 후마윤의 아들로, 무굴 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주로 평가받는다.[308] 1556년 후마윤이 사망한 후,[213]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으며, 초기에는 바이람 칸이 섭정으로 통치하였다.[213] 악바르 치세 초기는 불안정했지만, 제2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헤무를 무찌르고 델리와 아그라를 되찾았다.[214] 이후 악바르는 바이람 칸을 축출하고 친정을 시작했다.[214]

악바르 통치하에 확장된 1605년 무렵의 무굴 제국.


악바르


악바르는 주변 지역 정복 사업을 통해 제국을 크게 확장했다.[308] 수르 왕조 잔당을 소탕하고, 라자스탄 지방 소국들을 병합했으며,[308] 1573년 구자라트, 1576년 벵골을 점령했다.[308] 1580년대에는 펀자브카불 일대를 침략한 우즈베크인들을 격퇴하여 북부 국경선을 안정화시켰다.[308] 1590년대에는 남쪽으로는 고다비리 강 유역, 북쪽으로는 카슈미르 일대까지 영토를 확장했다.[308]

악바르는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행정,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다.[32] 만사브다리 제도를 도입하여 귀족 제도를 정비하고, 문관과 무관을 구별하여 서로 견제하는 체제를 갖추었다.[218] 자기르 제도를 통해 지방 세력의 반항을 막았다.[218] 수르 제국의 제도를 도입하여 토지 수입을 개혁하고, 농업 개선과 경작지 확장을 통해 세수를 늘렸다.

악바르가 파테푸르 시크리의 이바다트 카나에서 다양한 종교의 종교 집회를 개최하는 모습.


악바르는 종교적 관용 정책을 펼쳐 제국의 번영을 이끌었다.[32] 1564년 비이슬람교도에 대한 인두세(지즈야)를 폐지하고,[215] 힌두교도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인들을 요직에 등용했다.[215] 브라만 계급과 타협하고, 라지푸트 족 왕비를 맞이하는 등 힌두교도와의 융합을 위해 노력했다.[215] 딘-이-일라히(Din-i-Ilahi)라는 정책을 통해 종교 간 합의를 이끌어내려 했다.[32] 파테푸르 시크리에서 다양한 종교의 수행자들과 토론하는 것을 즐겼다.[216]

악바르 시대에 티무르 제국의 튀르크-페르시아 및 이슬람 문화와 토착 인도 문화가 결합하여 수많은 문화 유산들이 탄생했다. 델리, 아그라, 파테푸르 시크리 궁정은 당대 인도의 예술, 문화, 학문의 중심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 자한기르 (1605~1627) ===

자한기르(재위 1605년~1627년)는 악바르의 아들로, 부왕의 정책을 계승하여 제국의 번영을 이어갔다.[32] 자한기르는 아편에 중독되어 국정을 소홀히 하기도 하였으나,[32] 아버지 악바르와 달리 이슬람 종교 기득권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42] 그는 악바르보다 더 많은 무세금 토지 수입 보조금(마다드-이-마아쉬)을 종교적으로 가치 있는 개인에게 수여했다.[42]

자한기르 치세에는 무굴 제국의 점진적인 팽창을 바탕으로 예술적·문화적인 성취가 발전했다.[309] 즉위 직후, 복속하지 않은 메와르 왕국에 군대를 파견하여 여러 차례 원정하였고, 1614년 2월 아말 싱이 항복하여 라자스탄 전역이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왔다.[220] 반면, 데칸 지방에서는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의 장수 말릭 암바르의 저항으로 아흐마드나가르와 베라르 등 영토 대부분을 상실했다.[221] 1621년에는 사파비 왕조에게 아프가니스탄의 요충지 칸다하르를 빼앗기기도 했다.[221]

자한기르는 종교적으로 아버지처럼 극도로 관용적인 정책을 취하지는 않았다.[309] 자신의 장남이 반란을 일으키도록 획책한 시크교 지도자 아르준 데브(Arjan Dev)를 처형하기도 했지만,[309] 여전히 종교적 관용 정책은 계속 실시되어 이슬람교를 믿지 않는다는 이유로 불이익과 차별을 받지는 않았다.[309] 그럼에도 무굴 제국은 경제적·문화적 번영을 누렸고, 사파비 제국, 오스만 제국 등과 교류하며 대외 관계를 개선했다.[309] 이 시기에 영국 동인도 회사를 포함한 유럽 국가들이 인도에 진출하기도 했다.[309]

내정에서는 재상 이티마드 우드 다울라를 비롯한 페르시아인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222] 자한기르는 1610년경부터 병의 발작으로 쓰러지기 시작했고, 정권은 이티마드 우드 다울라와 그의 딸이자 황후인 누르 자한, 그리고 그녀의 동생 아사프 칸에게 장악되었다.[222] 자한기르가 병으로 쓰러지자 황위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고, 1627년 10월 자한기르는 사망했다.[222]

=== 샤 자한 (1627~1657/58) ===

샤 자한 1세는 자한기르의 아들이자 무굴 제국의 제5대 황제였다.[310] 선조들의 관용정책을 유지하고 영토 확장을 계속하면서 무굴 제국의 영토를 넓혔다.[310] 1632년에 아마드나가르 술탄국의 다울라타바드 요새를 점령하고, 1635년에는 골콘다 술탄국, 1636년에는 비자푸르 술탄국을 제국의 영향권 아래 넣었다.[311] 1636년에는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을 멸망시키고 병합하여 데칸 지방에서 영토를 확장했고, 같은 해 5월에는 비자푸르 왕국과 골콘다 왕국에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받았다.[223][224]

17세기 무렵 데칸 술탄국들의 영향권(분홍색)


샤 자한의 치세는 무굴 제국의 황금기로, 경제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융성했고 사회 분위기는 매우 안정되어 있었다.[311] 문학과 예술에 관심이 많았던 샤 자한은 사회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311] 당시 무굴 제국은 중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경제 대국이었다. 샤 자한 시대는 인도 이슬람 문화의 전성기였으며, 미술과 건축 등이 꽃을 피웠다. 샤 자한은 왕비 뭄타즈 마할의 묘인 타지마할의 건설자로도 유명하며, 7년의 세월을 들여 공작의 보좌를 만들었는데, 왕좌의 표면에는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의 보석이 사용되었다.[225] 당시 유럽에서 온 여행자들은 샤 자한을 "장엄한 왕"(the Magnificent)이라고 칭송했다.

그러나 데칸 고원에서의 진군과 비교하여 아프가니스탄 문제는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칸다하르를 재탈환하는 데 성공했지만, 1649년 무굴 제국의 중앙아시아 원정의 틈을 타 사파비 왕조가 다시 칸다하르를 공략했다. 이로 인해 사파비 왕조와 충돌하여 무굴-사파비 전쟁을 일으켰지만, 칸다하르는 영원히 잃었다.

샤 자한은 가장 아끼는 왕비였던 뭄타즈 마할이 아이를 낳다가 죽자, 국력을 소진시켜 가면서 타지마할을 건설하도록 했다. 이뿐만 아니라 자신의 이름을 딴 수도 샤 자한 나바드를 델리에 짓고, 카슈미르에 777개의 정원을 지었다.

1657년 9월, 샤 자한은 중병에 걸렸다.[226] 황제는 장남 다라 쉬코를 후계자로 삼았지만, 다른 아들들이 인정하지 않아 계승 전쟁이 시작되었다.[226] 결국 1658년 승리한 아우랑제브가 황위를 계승했고, 샤 자한은 아그라 성에 유폐되었다.[227]

=== 아우랑제브 (1658~1707) ===

샤 자한의 아들 아우랑제브는 쿠데타를 일으켜 아버지를 몰아내고 무굴 제국의 6대 황제로 즉위했다.[228] 그는 강력한 이슬람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힌두교 사원을 파괴하고 1679년에는 지즈야를 부활시켰다.[228] 아우랑제브는 증조부 아크바르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종교적 관용 정책을 폐지하고 샤리아(이슬람 율법)에 따른 통치를 실시했다.[228]

1663년 라다크를 제국 행정구역으로 편입시키고, 1666년에는 치타공을 정복하는 등 정복 사업을 전개했다. 1685년 비자푸르를 함락시키고, 1687년에는 골콘다를 멸망시켜 남인도 대부분을 장악했다.[234][232] 남인도에서 무굴 제국에게 대적할 세력은 마이소르 왕국만이 남게 되었다.

이러한 팽창 정책으로 제국은 최대 판도를 이룩했지만, 힌두교도와 시크교도의 반발을 샀다. 힌두교 부흥을 내건 마라타의 지도자 시바지는 데칸 지방에서 게릴라전을 전개하며 제국 영토를 공격했다.[229] 1674년 시바지는 마라타 제국을 건국했다.[229] 아크바르 이래 복종해 온 라지푸트들도 일부 반란을 일으켰다.[230][231]

1681년 이후, 아우랑제브는 데칸 전쟁을 일으켜 마라타 왕 삼바지를 처형하고 그 근거지 라이가드를 함락시켰다. 1690년 후반 마라타 세력이 게릴라전으로 반격하며 제국 각지에서 약탈을 일삼았다.[237] 1680년대에는 아그라 주변의 자트족이 과세에 항의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1691년 이후 추라만의 지휘 아래 바라트푸르를 근거지로 반독립적인 정권을 가지게 되었다.[237]

1690년벵골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각지를 황폐화시켰다.[237] 1698년 이 반란을 진압했지만, 벵골은 오랫동안 계속된 반란으로 인해 피폐해졌다. 아우랑제브는 치세 후반을 데칸 원정에 바쳤고, 이는 제국의 쇠퇴를 초래했다.[238]

아우랑제브는 1707년 아흐마드나가르에서 사망했다.[239] 그는 남단부를 제외한 인도 아대륙에 걸쳐 제국의 최대 영토를 실현했지만, 그가 죽자 제국은 몰락하기 시작했다.

아우랑제브 초상화. 그는 마우리아 제국아소카 이래로 인도 아대륙 대부분을 정복하여 통일시킨 최초의 인물이었다.


=== 쇠퇴와 멸망 (1707~1858) ===

1707년부터 1720년까지 한 세기 동안의 성장과 번영 후, 무굴 제국은 급속히 붕괴했다. 역사가들은 여러 요인들을 제시했는데, 단명하고 무능하며 약한 통치자들의 연속, 왕위 계승 내전은 중앙 정부의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했다. 17세기 동안 난공불락으로 보였던 무굴 제국은 과도한 영토 확장으로 인해 몰락 후 회복 불가능했다. 영국 동인도 회사와 같은 유럽 무역 회사들은 초기 쇠퇴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여전히 무굴 통치자들에게 무역과 공장 설립 허가를 받기 위해 경쟁하고 있었다.[63]

재정적으로 왕위는 에미르(귀족)들과 수행원들에게 지불할 수입을 잃었다. 황제는 권위를 상실했고, 황실 관리들은 중앙 정부에 대한 신뢰를 잃고 지역 유력자들과 거래했다. 황실 군대는 마라타들과의 길고 무익한 전쟁에 휘말려 전투력을 잃었다. 왕위 장악을 둘러싼 격렬한 정치적 분쟁이 발생했고, 1719년 파룩시야르 황제 처형 후, 지역 무굴 후계국들이 권력을 장악했다.[64]

무함마드 샤는 사이이드 형제를 제거하고 황제에 올랐으나, 곧 타락하여 방탕한 생활에 빠졌다.[248] 1724년 재상 카말루딘 칸은 하이데라바드로 은퇴하여 니잠 왕국을 세웠다.[249] 샤카르 케다르 전투에서 제국군이 패배하면서 하이데라바드는 독립했다.[250][251][252] 아와드 태수, 벵갈 태수 등 다른 지방관들도 독립하여 지방 왕조를 건국했다.[248][253] 무굴 제국은 이들의 독립에 대처할 수 없었고, 영토와 수입이 크게 감소하여 사실상 해체되었다. 제국은 각 지역 독립 정권이 명목상 황제로 받드는 명목적 주권 국가가 되었다.

라지푸트와 같은 소공주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신흥 자민다르도 등장했다.[253] 마라타 왕국은 재상 바지 라오 시대에 마라타 동맹을 형성하고 북인도로 진출했다. 1737년 델리 전투에서 마라타 군대가 수도 델리를 공격하여, 무굴 제국의 마라타에 대한 우위는 완전히 역전되었다.[248][255]

18세기 사파비 왕조의 쇠퇴를 틈타 나디르 샤1736년 아프샤르 왕조를 창시했다.[256] 1738년 이후 나디르 샤는 무굴 제국을 침공,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정복했다. 1739년 카르날 전투에서 제국군은 대패했고, 무함마드 샤는 강화를 맺었다.[257][258] 같은 해 3월 20일 나디르 샤는 델리를 점령했고, 21일 델리 주민들의 반격에 대한 보복으로 대학살을 자행했다.[257][259] 많은 보물과 "공작의 보좌"를 약탈당했고,[258][257] 5월에 이란 군대는 델리에서 철수했지만, 제국은 인더스 강 서쪽 지역을 할양해야 했다.[259] 나디르 샤의 침공은 제국에 결정타를 날려 권위를 추락시켰다.[258]

1747년 나디르 샤 암살 후, 아프가니스탄은 아흐마드 샤 두라니의 두라니 왕조가 지배했다. 인더스 강 서쪽을 상실한 무굴 제국은 방어가 약해졌다. 1747년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인도 북서부를 침입, 1748년 라호르를 점령했다.[261] 제국은 마누프르 전투에서 아프간 군에게 승리했지만,[258][261] 1748년 무함마드 샤가 사망했다.[258] 그의 아들 아흐마드 샤(Ahmad Shah)가 황위를 계승했다.

무함마드 샤 사후, 아흐마드 샤는 여러 관직을 임명했지만, 환관이 정치 주도권을 쥐었다. 1751년 아흐마드

3. 1. 배경과 건국

무굴 제국은 중앙아시아 출신의 바부르(재위 1526년–1530년)에 의해 건국되었다. 바부르는 아버지 쪽으로는 페르시아화된 투르크-몽골 정복자 티무르(티무르 제국의 창시자)의 5대 후손이었고,[32] 어머니 쪽으로는 칭기즈칸의 후손이었다.[32] 바부르는 몽골 기원의 투르키스화된 바를라스 부족 출신이었다.[33] 1483년 2월 23일, 무굴 제국의 창시자가 될 바부르중앙아시아페르가나(Fergana)에서 태어났다.[180] 그의 아버지는 티무르의 증손자인 우마르 샤이흐였고,[180] 어머니는 칭기즈칸의 차가타이(Chagatai)의 차남 계열인 모굴리스탄 칸국(Chagatai Khanate)의 군주 유누스 칸(Yunus Khan)의 딸 쿠트룩 니갈 하눔(Kutlugh Nigar Khanum)이었다.[180]

1500년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Muhammad Shaybani Khan)이 사마르칸트를 점령하여 사마르칸트 정권은 멸망했고,[180] 1501년 바부르는 샤이바니 칸에게 패하여 타슈켄트(Tashkent)로 도망쳤다.[180] 중앙아시아의 선조 영토에서 쫓겨난 바부르는 야망을 채우기 위해 인도로 눈을 돌렸다.[34] 1504년 이후, 바부르는 아프가니스탄카불(Kabul)을 점령하여 근거지로 삼았고,[181] 카불에 자리를 잡은 후 아프가니스탄을 통해 카이버 고개를 지나 인도 남쪽으로 꾸준히 진격했다.[32] 1508년에는 파드샤라는 황제를 칭하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180] 1510년 샤이바니 칸은 메르브 전투(Battle of Merv)에서 사파비 왕조(Safavid Empire)의 군주 이스마일 1세(Isma'il I)에게 패하여 전사했다.[183] 1514년 찰디란 전투(Battle of Chaldiran)에서 이스마일 1세가 대패한 이후[184] 바부르는 중앙아시아에서의 왕조 건설을 사실상 포기하고, 북인도로 관심을 돌렸다.[181][185]

1519년 바부르는 최초의 인도 원정을 감행했고, 1523년 펀자브 총독 다우라트 칸 로디(Daulat Khan Lodi)가 바부르에게 인도 침입을 제안했다.[186][181] 1524년 바부르는 라호르(Lahore)를 지배하에 두었고,[186] 1525년에는 펀자브에 진출하여 그곳을 점령했다.

1525년 11월, 바부르는 군대를 이끌고 북인도로 진입, 1526년 4월 파니파트 제1차 전투에서 델리 술탄국의 이브라힘 로디를 격파했다.[186] 바부르는 화약 화기와 야전 포병을 활용하여[30][141] 로디 왕조의 대군을 크게 무찔렀다.[186] 이 전투에서 이브라힘 로디가 사망하고, 델리 술탄 왕조는 멸망했으며, 무굴 제국이 건국되었다. 바부르는 델리와 아그라를 점령하고,[188] 4월 27일 델리 대 모스크에서 금요 예배를 자신의 이름으로 주관하였다.[188]

바부르는 1527년 칸와 전투에서 라지푸트 세력을 격파하고 북인도에서의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192][181] 바부르는 적병들의 목을 쌓아 올리고 "성전의 승리자"를 의미하는 가즈이(غازی)의 칭호를 받았다.[192] 1529년 가그라 강 전투에서 바부르는 마흐무드 로디, 벵골 술탄 왕조, 아프가니스탄계 수르족의 연합군을 격파했다.[193]

3. 2. 바부르 (1526~1530)

무굴 제국의 시조 바부르는 중앙아시아를 지배했던 투르크-몽골 정복자 티무르의 5대 후손이다.[301][302] 그는 몽골에서 기원했지만 언어적으로는 튀르크화하고 문화적으로는 페르시아화했던 바를라스 부족의 혈통을 이어받았다.[33] 1526년 4월, 로디 왕조(1451~1526)의 이브라힘 로디 술탄을 파니파트 전투에서 격파하고,[304] 델리에서 아그라(Agra)로 밀고 들어가 스스로 '인도의 파디샤'[305]임을 선언함으로써 무굴 제국을 건국하였다. 이후 칸와 전투에서는 라지푸트인들에게 대승을 거두어 북인도에서의 지배력을 공고히 했다. 제국의 수도는 카불에서 아그라로 이전되었다.

바부르는 뛰어난 군사 전략가이자 정복군주였지만, 델리와 아그라, 그리고 북인도의 제한된 지역을 지배했을 뿐이었다. 제국은 아직 규모가 작았다.[189] 바부르는 인도가 낯선 정복지임에도 불구하고 결코 인도를 떠나려 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는 이곳이 중앙아시아보다 풍요롭다는 것을 이해했고, 자신의 왕조가 인도를 중심으로 전개될 것을 이해했기 때문이다.[189]

1526년 여름, 바부르는 대정복 이후 승리를 축하하는 형태로 재보를 아들과 신하들에게 분배했다.[189] 아들 후마윤에게는 700만 루피와 보물 창고를 주었고, 여러 고관들에게는 각각 100만 루피를 주었으며, 그 외 승리에 공헌한 자들에게도 포상을 주었다.[190] 그의 가족, 군에 수행한 상인과 일반인들에게도 포상을 주었고, 이라크 지역의 모든 성자들에게 금은과 노예를 보냈다.[190] 이러한 엄청난 후한 대우로 아그라에서 바부르의 통치는 매우 위태로워졌다.[190]

인도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바부르의 신하들은 중앙 아시아로 돌아가려 했으나, 바부르는 그들을 설득하여 인도에 잔류하게 했다.[190][191] 바부르는 인도에서의 통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노력했지만, 새로운 조세 제도를 마련하지는 못했다.

한편, 이브라힘 로디의 동생 마흐무드 로디는 로디 왕조의 재흥을 목표로 무굴 제국에 계속 저항하여 라지푸트의 메와르 왕국의 왕 상그람 싱과 동맹을 맺었다.[191][181] 1527년 3월 17일, 바부르의 군대와 마흐무드 로디와 상그람 싱이 이끄는 라지푸트 연합군이 아그라 서쪽 카누아에서 격돌했다 (카누아 전투).[192][181] 바부르는 파니파트 전투와 마찬가지로 화기를 사용하여 연합군을 격파하고 승리했다.[192] 전투 후, 바부르는 적병들의 목을 쌓아 올리고 "성전의 승리자"를 의미하는 가즈이(غازی)의 칭호를 받았다.

1529년 5월 6일, 바부르의 군대와 마흐무드 로디, 벵골 술탄 왕조(벵골 왕국)의 왕 나시르웃딘 누스라트 샤, 아프가니스탄계 수르족의 족장 셰르 샤 등의 연합군이 비하르의 가그라 강에서 격돌했다 (가그라 강 전투).[193] 바부르는 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마흐무드 로디를 죽이지는 못했다.

3. 3. 후마윤 (1530~1556)

후마윤은 1530년 아버지 바부르의 뒤를 이어 무굴 제국의 제2대 황제가 되었지만, 제국의 상황은 불안정했다.[194][195] 이복형제들은 각지의 봉토를 받고 황제의 자리를 노리고 있었고, 구자라트의 바하두르 샤와 비하르의 셰르 샤 수리는 무굴 제국에 맞서 북인도에서의 패권을 위협했다.[196][197][198]

후마윤은 1531년 루크나우 교외에서 마흐무드 로디의 군대를 격파하고,[199][197] 1535년에는 구자라트 술탄 왕조의 바하두르 샤를 격파하여 캄베이까지 추격, 말와를 정복하는 등 제국의 영토를 확장했다.[197][198] 그러나 1539년 차우사 전투에서 셰르 샤에게 대패하고,[200][204] 1540년 카나우지 전투에서 다시 패배하여 제국이 일시적으로 멸망했다.[205][206]

후마윤은 신드 지방을 거쳐 이란사파비 왕조로 망명하여 타흐마스프 1세의 지원을 받았다.[204] 후마윤은 시아파로 개종하고 인도 탈환 후 칸다하르를 할양하겠다는 조건으로 지원을 약속받았다.[203][207][208]

1545년 셰르 샤가 사망하고,[203][207] 1554년 수르 왕조에서 내분이 발생하자,[210][211] 후마윤은 페르시아 군과 함께 인도로 돌아와 1555년 7월 23일 델리를 탈환하고 무굴 제국을 재건했다.[209][205][212] 그러나 이듬해 사고로 사망했다.[307]

3. 4. 악바르 대제 (1556~1605)

악바르는 후마윤의 아들로, 무굴 제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주로 평가받는다.[308] 1556년 후마윤이 사망한 후,[213] 13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으며, 초기에는 바이람 칸이 섭정으로 통치하였다.[213] 악바르 치세 초기는 불안정했지만, 제2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헤무를 무찌르고 델리와 아그라를 되찾았다.[214] 이후 악바르는 바이람 칸을 축출하고 친정을 시작했다.[214]

악바르는 주변 지역 정복 사업을 통해 제국을 크게 확장했다.[308] 수르 왕조 잔당을 소탕하고, 라자스탄 지방 소국들을 병합했으며,[308] 1573년 구자라트, 1576년 벵골을 점령했다.[308] 1580년대에는 펀자브카불 일대를 침략한 우즈베크인들을 격퇴하여 북부 국경선을 안정화시켰다.[308] 1590년대에는 남쪽으로는 고다비리 강 유역, 북쪽으로는 카슈미르 일대까지 영토를 확장했다.[308]

악바르는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행정,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다.[32] 만사브다리 제도를 도입하여 귀족 제도를 정비하고, 문관과 무관을 구별하여 서로 견제하는 체제를 갖추었다.[218] 자기르 제도를 통해 지방 세력의 반항을 막았다.[218] 수르 제국의 제도를 도입하여 토지 수입을 개혁하고, 농업 개선과 경작지 확장을 통해 세수를 늘렸다.

악바르는 종교적 관용 정책을 펼쳐 제국의 번영을 이끌었다.[32] 1564년 비이슬람교도에 대한 인두세(지즈야)를 폐지하고,[215] 힌두교도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인들을 요직에 등용했다.[215] 브라만 계급과 타협하고, 라지푸트 족 왕비를 맞이하는 등 힌두교도와의 융합을 위해 노력했다.[215] 딘-이-일라히(Din-i-Ilahi)라는 정책을 통해 종교 간 합의를 이끌어내려 했다.[32] 파테푸르 시크리에서 다양한 종교의 수행자들과 토론하는 것을 즐겼다.[216]

악바르 시대에 티무르 제국의 튀르크-페르시아 및 이슬람 문화와 토착 인도 문화가 결합하여 수많은 문화 유산들이 탄생했다. 델리, 아그라, 파테푸르 시크리 궁정은 당대 인도의 예술, 문화, 학문의 중심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3. 5. 자한기르 (1605~1627)

자한기르(재위 1605년~1627년)는 악바르의 아들로, 부왕의 정책을 계승하여 제국의 번영을 이어갔다.[32] 자한기르는 아편에 중독되어 국정을 소홀히 하기도 하였으나,[32] 아버지 악바르와 달리 이슬람 종교 기득권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했다.[42] 그는 악바르보다 더 많은 무세금 토지 수입 보조금(마다드-이-마아쉬)을 종교적으로 가치 있는 개인에게 수여했다.[42]

자한기르 치세에는 무굴 제국의 점진적인 팽창을 바탕으로 예술적·문화적인 성취가 발전했다.[309] 즉위 직후, 복속하지 않은 메와르 왕국에 군대를 파견하여 여러 차례 원정하였고, 1614년 2월 아말 싱이 항복하여 라자스탄 전역이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왔다.[220] 반면, 데칸 지방에서는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의 장수 말릭 암바르의 저항으로 아흐마드나가르와 베라르 등 영토 대부분을 상실했다.[221] 1621년에는 사파비 왕조에게 아프가니스탄의 요충지 칸다하르를 빼앗기기도 했다.[221]

자한기르는 종교적으로 아버지처럼 극도로 관용적인 정책을 취하지는 않았다.[309] 자신의 장남이 반란을 일으키도록 획책한 시크교 지도자 아르준 데브(Arjan Dev)를 처형하기도 했지만,[309] 여전히 종교적 관용 정책은 계속 실시되어 이슬람교를 믿지 않는다는 이유로 불이익과 차별을 받지는 않았다.[309] 그럼에도 무굴 제국은 경제적·문화적 번영을 누렸고, 사파비 제국, 오스만 제국 등과 교류하며 대외 관계를 개선했다.[309] 이 시기에 영국 동인도 회사를 포함한 유럽 국가들이 인도에 진출하기도 했다.[309]

내정에서는 재상 이티마드 우드 다울라를 비롯한 페르시아인들의 활약이 두드러졌다.[222] 자한기르는 1610년경부터 병의 발작으로 쓰러지기 시작했고, 정권은 이티마드 우드 다울라와 그의 딸이자 황후인 누르 자한, 그리고 그녀의 동생 아사프 칸에게 장악되었다.[222] 자한기르가 병으로 쓰러지자 황위를 둘러싼 분쟁이 발생했고, 1627년 10월 자한기르는 사망했다.[222]

3. 6. 샤 자한 (1627~1657/58)

샤 자한 1세는 자한기르의 아들이자 무굴 제국의 제5대 황제였다.[310] 선조들의 관용정책을 유지하고 영토 확장을 계속하면서 무굴 제국의 영토를 넓혔다.[310] 1632년에 아마드나가르 술탄국의 다울라타바드 요새를 점령하고, 1635년에는 골콘다 술탄국, 1636년에는 비자푸르 술탄국을 제국의 영향권 아래 넣었다.[311] 1636년에는 아흐마드나가르 왕국을 멸망시키고 병합하여 데칸 지방에서 영토를 확장했고, 같은 해 5월에는 비자푸르 왕국과 골콘다 왕국에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받았다.[223][224]

샤 자한의 치세는 무굴 제국의 황금기로, 경제는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융성했고 사회 분위기는 매우 안정되어 있었다.[311] 문학과 예술에 관심이 많았던 샤 자한은 사회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311] 당시 무굴 제국은 중국을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경제 대국이었다. 샤 자한 시대는 인도 이슬람 문화의 전성기였으며, 미술과 건축 등이 꽃을 피웠다. 샤 자한은 왕비 뭄타즈 마할의 묘인 타지마할의 건설자로도 유명하며, 7년의 세월을 들여 공작의 보좌를 만들었는데, 왕좌의 표면에는 다이아몬드,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의 보석이 사용되었다.[225] 당시 유럽에서 온 여행자들은 샤 자한을 "장엄한 왕"(the Magnificent)이라고 칭송했다.

그러나 데칸 고원에서의 진군과 비교하여 아프가니스탄 문제는 큰 문제를 안고 있었다. 칸다하르를 재탈환하는 데 성공했지만, 1649년 무굴 제국의 중앙아시아 원정의 틈을 타 사파비 왕조가 다시 칸다하르를 공략했다. 이로 인해 사파비 왕조와 충돌하여 무굴-사파비 전쟁을 일으켰지만, 칸다하르는 영원히 잃었다.

샤 자한은 가장 아끼는 왕비였던 뭄타즈 마할이 아이를 낳다가 죽자, 국력을 소진시켜 가면서 타지마할을 건설하도록 했다. 이뿐만 아니라 자신의 이름을 딴 수도 샤 자한 나바드를 델리에 짓고, 카슈미르에 777개의 정원을 지었다.

1657년 9월, 샤 자한은 중병에 걸렸다.[226] 황제는 장남 다라 쉬코를 후계자로 삼았지만, 다른 아들들이 인정하지 않아 계승 전쟁이 시작되었다.[226] 결국 1658년 승리한 아우랑제브가 황위를 계승했고, 샤 자한은 아그라 성에 유폐되었다.[227]

3. 7. 아우랑제브 (1658~1707)

샤 자한의 아들 아우랑제브는 쿠데타를 일으켜 아버지를 몰아내고 무굴 제국의 6대 황제로 즉위했다.[228] 그는 강력한 이슬람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힌두교 사원을 파괴하고 1679년에는 지즈야를 부활시켰다.[228] 아우랑제브는 증조부 아크바르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종교적 관용 정책을 폐지하고 샤리아(이슬람 율법)에 따른 통치를 실시했다.[228]

1663년 라다크를 제국 행정구역으로 편입시키고, 1666년에는 치타공을 정복하는 등 정복 사업을 전개했다. 1685년 비자푸르를 함락시키고, 1687년에는 골콘다를 멸망시켜 남인도 대부분을 장악했다.[234][232] 남인도에서 무굴 제국에게 대적할 세력은 마이소르 왕국만이 남게 되었다.

이러한 팽창 정책으로 제국은 최대 판도를 이룩했지만, 힌두교도와 시크교도의 반발을 샀다. 힌두교 부흥을 내건 마라타의 지도자 시바지는 데칸 지방에서 게릴라전을 전개하며 제국 영토를 공격했다.[229] 1674년 시바지는 마라타 제국을 건국했다.[229] 아크바르 이래 복종해 온 라지푸트들도 일부 반란을 일으켰다.[230][231]

1681년 이후, 아우랑제브는 데칸 전쟁을 일으켜 마라타 왕 삼바지를 처형하고 그 근거지 라이가드를 함락시켰다. 1690년 후반 마라타 세력이 게릴라전으로 반격하며 제국 각지에서 약탈을 일삼았다.[237] 1680년대에는 아그라 주변의 자트족이 과세에 항의하여 반란을 일으켰고, 1691년 이후 추라만의 지휘 아래 바라트푸르를 근거지로 반독립적인 정권을 가지게 되었다.[237]

1690년벵골에서도 반란이 일어나 각지를 황폐화시켰다.[237] 1698년 이 반란을 진압했지만, 벵골은 오랫동안 계속된 반란으로 인해 피폐해졌다. 아우랑제브는 치세 후반을 데칸 원정에 바쳤고, 이는 제국의 쇠퇴를 초래했다.[238]

아우랑제브는 1707년 아흐마드나가르에서 사망했다.[239] 그는 남단부를 제외한 인도 아대륙에 걸쳐 제국의 최대 영토를 실현했지만, 그가 죽자 제국은 몰락하기 시작했다.

3. 8. 쇠퇴와 멸망 (1707~1858)

1707년부터 1720년까지 한 세기 동안의 성장과 번영 후, 무굴 제국은 급속히 붕괴했다. 역사가들은 여러 요인들을 제시했는데, 단명하고 무능하며 약한 통치자들의 연속, 왕위 계승 내전은 중앙 정부의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했다. 17세기 동안 난공불락으로 보였던 무굴 제국은 과도한 영토 확장으로 인해 몰락 후 회복 불가능했다. 영국 동인도 회사와 같은 유럽 무역 회사들은 초기 쇠퇴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고, 여전히 무굴 통치자들에게 무역과 공장 설립 허가를 받기 위해 경쟁하고 있었다.[63]

재정적으로 왕위는 에미르(귀족)들과 수행원들에게 지불할 수입을 잃었다. 황제는 권위를 상실했고, 황실 관리들은 중앙 정부에 대한 신뢰를 잃고 지역 유력자들과 거래했다. 황실 군대는 마라타들과의 길고 무익한 전쟁에 휘말려 전투력을 잃었다. 왕위 장악을 둘러싼 격렬한 정치적 분쟁이 발생했고, 1719년 파룩시야르 황제 처형 후, 지역 무굴 후계국들이 권력을 장악했다.[64]

무함마드 샤는 사이이드 형제를 제거하고 황제에 올랐으나, 곧 타락하여 방탕한 생활에 빠졌다.[248] 1724년 재상 카말루딘 칸은 하이데라바드로 은퇴하여 니잠 왕국을 세웠다.[249] 샤카르 케다르 전투에서 제국군이 패배하면서 하이데라바드는 독립했다.[250][251][252] 아와드 태수, 벵갈 태수 등 다른 지방관들도 독립하여 지방 왕조를 건국했다.[248][253] 무굴 제국은 이들의 독립에 대처할 수 없었고, 영토와 수입이 크게 감소하여 사실상 해체되었다. 제국은 각 지역 독립 정권이 명목상 황제로 받드는 명목적 주권 국가가 되었다.

라지푸트와 같은 소공주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신흥 자민다르도 등장했다.[253] 마라타 왕국은 재상 바지 라오 시대에 마라타 동맹을 형성하고 북인도로 진출했다. 1737년 델리 전투에서 마라타 군대가 수도 델리를 공격하여, 무굴 제국의 마라타에 대한 우위는 완전히 역전되었다.[248][255]

18세기 사파비 왕조의 쇠퇴를 틈타 나디르 샤1736년 아프샤르 왕조를 창시했다.[256] 1738년 이후 나디르 샤는 무굴 제국을 침공, 아프가니스탄 지역을 정복했다. 1739년 카르날 전투에서 제국군은 대패했고, 무함마드 샤는 강화를 맺었다.[257][258] 같은 해 3월 20일 나디르 샤는 델리를 점령했고, 21일 델리 주민들의 반격에 대한 보복으로 대학살을 자행했다.[257][259] 많은 보물과 "공작의 보좌"를 약탈당했고,[258][257] 5월에 이란 군대는 델리에서 철수했지만, 제국은 인더스 강 서쪽 지역을 할양해야 했다.[259] 나디르 샤의 침공은 제국에 결정타를 날려 권위를 추락시켰다.[258]

1747년 나디르 샤 암살 후, 아프가니스탄은 아흐마드 샤 두라니의 두라니 왕조가 지배했다. 인더스 강 서쪽을 상실한 무굴 제국은 방어가 약해졌다. 1747년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인도 북서부를 침입, 1748년 라호르를 점령했다.[261] 제국은 마누프르 전투에서 아프간 군에게 승리했지만,[258][261] 1748년 무함마드 샤가 사망했다.[258] 그의 아들 아흐마드 샤(Ahmad Shah)가 황위를 계승했다.

무함마드 샤 사후, 아흐마드 샤는 여러 관직을 임명했지만, 환관이 정치 주도권을 쥐었다. 1751년 아흐마드 샤 두라니가 다시 침공하여 1752년 펀자브와 카슈미르를 빼앗겼다.[263] 1750년대 이란계 귀족과 터키계 귀족 사이에 다툼이 일어났다.[263] 1752년 나와브 자우드 칸과 가즈 우딘 칸이 암살되었다.[263] 가즈 우딘 칸의 아들이 관직을 계승, 1753년 사프다르 장은 재상직을 사임하고 아와드로 돌아갔다.[263]

이후 재상과 군무대신 가즈 우딘 칸 사이에 권력 다툼이 일어났다.[263] 가즈 우딘 칸은 마라타와 손을 잡고, 1754년 아흐마드 샤를 폐위시키고 알람기르 2세를 황제로 세웠다.[263] 가즈 우딘 칸은 황제를 조종하며 실권을 장악했지만, 군대와 마라타에게 보수를 지불하지 못해 델리 근교가 약탈당했다.[265]

1756년 가즈 우딘 칸은 라호르를 빼앗았지만, 로힐라족은 아흐마드 샤 두라니와 연락하고 있었다.[266] 1757년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델리를 점령, 약탈과 학살을 자행했다.[264][266][267][268] 1759년 알람기르 2세는 가즈 우딘에게 살해되었고, 샤 자한 3세가 추대되었다.[269] 알람기르 2세의 아들 알리 가우하르는 1759년 황제를 선포, 샤 알람 2세가 되었다.[270]

가즈 우딘 칸은 샤 자한 3세를 내세워 권력을 행사했지만, 1760년 퇴위당하고 실각했다. 1761년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마라타 동맹과 아흐마드 샤 두라니의 아프간 군이 격돌했다.[271][264]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대승했지만, 본국 반란으로 귀국했다.[271] 마라타 동맹은 와해되었고, 이는 영국이 인도에 개입하는 계기가 되었다.[271]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샤 알람 2세를 황제로 인정했다.[272]

3. 8. 1. 아우랑제브 사후의 혼란

아우랑제브 사후, 무굴 제국은 급격히 쇠퇴했다. 제위 계승을 둘러싼 분쟁이 끊이지 않았고,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 제국의 재정과 영토가 크게 줄었다.[304]

1707년 아우랑제브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바하두르 샤 1세(Bahadur Shah I)가 즉위했으나, 이미 64세의 고령이었다. 그는 시크교 지도자 의 도전에 직면했다. 시크교도들은 아우랑제브의 통치에 저항했고, 1715년 반다 바하두르가 처형될 때까지 반란을 계속했다.[240]

1712년 바하두르 샤 1세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들 사이에 권력 투쟁이 벌어졌다. 결국 장남 자한다르 샤(ジャハーンダール・シャー)가 즉위했으나, 그는 신하들의 신임을 잃고 1713년 살해되었다.[244] 그의 뒤를 이은 파르룩 시야르(ファッルフシヤル)는 사이이드 형제의 도움으로 즉위했지만, 결국 그들과 대립하여 1718년 폐위되고 살해되었다.[246]

이후 바하두르 샤 1세의 손자 라피 우드다라자트(ラフィー・ウッダラジャート)와 라피 우드다우라(ラフィー・ウッダウラ) 형제가 차례로 즉위했으나, 곧 살해되었다. 이들은 모두 사이이드 형제의 꼭두각시에 불과했다.

붕괴된 무굴 제국(1795년)


무함마드 샤는 사이이드 형제를 제거하고 권력을 잡았지만, 곧 방탕한 생활에 빠져들었다. 1724년 재상 카말루딘 칸이 하이데라바드로 은퇴하여 독립하면서 니잠 왕국이 형성되었다.[249] 아와드 태수, 벵갈 태수 등 다른 지방관들도 독립하여 지방 왕조를 건국했다.[248][253]

마라타 제국은 재상 바지 라오 시대에 마라타 동맹을 형성하고 1737년 델리를 공격하여 무굴 제국을 위협했다.[248][255] 1739년에는 페르시아의 나디르 샤가 델리를 침공하여 약탈하고 막대한 재물을 빼앗아 갔다.[257][259][260]

1747년 나디르 샤가 암살된 후,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아흐마드 샤 두라니가 두라니 왕조를 건국했다. 그는 1748년 인도 북서부를 침공하여 라호르를 점령했고, 1752년에는 펀자브와 카슈미르를 병합했다.[263]

1757년,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다시 델리를 점령하고 약탈했다.[264][266][267] 1761년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마라타 동맹을 격파했지만, 본국의 반란으로 귀국해야 했다.[271] 이로써 마라타 동맹은 와해되었고, 이는 훗날 영국이 인도에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3. 8. 2. 영국 동인도 회사의 인도 지배

1600년, 영국영국 동인도 회사를 설립했고, 1608년 인도 수라트에 상선단을 파견하여 무굴 황제로부터 무역 허가를 받았다.[273] 1639년 첸나이 지역을 매입, 요새를 건설하고 무역 거점으로 삼았다.[273]

18세기 후반, 플라시 전투, 카르나틱 전쟁 등을 통해 영국 세력은 남인도와 벵골 지방에 침투했다. 샤 알람 2세는 영국의 지배에 저항했지만, 1764년 10월 23일 북사르 전투에서 패배했다.[274] 1765년 알라하바드 조약을 체결, 벵갈, 비하르, 오리사의 디와니(징세권)을 영국에 넘겨주면서 이 지역은 사실상 영국의 영토가 되었다.[274][275] 디와니는 황제로부터 각 주의 재무 장관인 디완이라는 직책과 권한을 의미하며, 주로 세금 징수와 지출을 포함했다.[275]

샤 알람 2세


이후 샤 알람 2세는 영국의 보호 아래 알라하바드에서 연금 수급자로 살았다.[274] 1771년 2월 10일 신디아가의 당주 마하다지 신디아가 델리를 점령하자,[276][277] 샤 알람 2세는 마하다지 신디아와 협정을 맺고 1772년 1월 델리로 귀환했다.[270][274]

1784년 12월 4일 샤 알람 2세는 마하다지 신디아를 무굴 제국의 섭정과 군 총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사실상 북인도의 지배자가 되었다.[278] 1790년 9월 9일에는 마하다지 신디아는 샤 알람 2세에게 왕국 재상 마다브 라오 나라얀을 황제 대리로 임명하게 하고, 자신이 북인도에서 왕국 재상의 대리임을 인정받았다.[281][282]

1794년 2월 12일 마하다지 신디아가 사망하자,[281] 무굴 제국은 큰 후원자를 잃었다. 이후 영국은 1799년 마이소르 전쟁에서 마이소르 왕국을 정복하고, 1802년 12월 바세인 조약을 통해 마라타 제국에 개입했다.[283] 1803년 8월 8일 제2차 마라타 전쟁이 발발했고,[283] 같은 해 9월 11일 델리 전투에서 신디아 가문이 패배하면서 무굴 제국은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284][285] 1805년 5월 23일 무굴 제국과 영국은 조약을 체결, 델리 주변 지역 세수입과 월 9만 루피가 영국으로부터 지급되기로 했다.[271][270]

1806년 11월 10일 샤 알람 2세가 사망하고, 악바르 2세가 즉위했지만,[286] 무굴 제국은 델리와 그 주변만 지배하는 소규모 세력으로 전락했다.[286] 그러나 명목상 주권은 유지되었고, 제국은 번왕국으로 취급되지 않았다.[287]

1837년 9월 28일 바하두르 샤 2세가 즉위했다.[288] 1854년 영국은 바하두르 샤 2세 사후 무굴 제국을 번왕국으로 만들 계획을 세웠으나,[289] 본국 정부 반대로 무산되었다.[290]

1857년 5월, 세포이 항쟁이 발발하자, 바하두르 샤 2세는 반란군 최고 지도자로 추대되었다.[289] 델리 반란 정부는 "행정 회의"를 구성, 자민다리 제도를 폐지하는 등 민주주의와 유사한 체제를 수립했다.[292] 그러나 1858년 3월 바하두르 샤 2세는 영국에 항복, 유죄 판결을 받고 버마로 유형, 폐위되면서 무굴 제국은 멸망했다.[293]

4. 경제

무굴 제국 시대에는 상업이 발달하고 도시가 번성하였으며, 화폐 경제가 활성화되었다.[77] 광대한 영토가 통일된 통치 체제 아래 놓이고 전국적으로 도로와 통신망이 연결되면서 제국은 더욱 부강해졌다.[77]

무역 또한 크게 발달하여 서아시아, 유럽 등과 활발하게 교역했다. 특히 포르투갈, 네덜란드, 영국과의 교역은 무굴 제국 내 산업 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인도산 제품이 유럽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무굴 제국의 주요 수출품은 면직물이었다.[77]

1691/2년 카불에서 주조된 아우랑제브의 동전


무굴 제국은 수르 제국(Sur Empire)의 셰르 샤 수리(Sher Shah Suri)가 도입한 루피(rupiya, 은화)와 담(dam, 구리 동전) 통화를 채택하여 표준화했다.[81] 1720년대까지 감가상각 없이 고순도의 동전을 주조했다.[82] 인도는 금, 은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자체 생산량은 적었고 주로 수입된 괴금으로 동전을 주조했다. 이는 인도의 농산물과 공산품에 대한 세계적 수요로 인해 귀금속이 꾸준히 유입된 결과였다.[82]

농업 생산량도 증가했다.[77] 밀, 쌀, 보리와 같은 식량 작물과 면화, 쪽, 아편과 같은 상품 작물이 재배되었다. 17세기 중반에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래한 옥수수와 담배가 널리 재배되었다.[77] 무굴 정부는 셰르 샤 수리 시대에 시작된 농업 개혁을 계승, 발전시켰다.[85] 아크바르는 '자브트(zabt)'라는 새로운 토지 세입 제도를 도입하여 조공 제도를 화폐 세금 제도로 대체했다.[82] 또한, 경작지 면적을 측량하고, 새로운 토지를 경작하는 사람들에게 세금 면제 혜택을 제공하여 경작을 장려했다.[82]

다카에서 그려진 18세기 무슬림 여성 또는 후카를 피우는 인도 소녀


제조업 역시 발달하여, 공산품과 상품 작물은 전 세계에 판매되었다.[77] 특히 면직물 제조업은 제국 경제의 핵심 산업이었다.[77] 18세기 초 인도는 세계 섬유 무역의 25%를 차지했다.[91] 방적기 확산과 웜 기어, 크랭크 손잡이를 활용한 면직물 생산 기술 발전은 생산량 증대에 기여했다.[94]

벵골 수바(Bengal Subah)는 무굴 제국에서 가장 부유한 지역 중 하나였다.[96] 벵골은 쌀, 비단, 면직물, 아편 등 다양한 상품을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했으며, 특히 면직물 산업과 조선업이 발달했다.[90][97][99]

17세기 말부터 경제는 쇠퇴하기 시작했다. 토지 산성화로 인한 농업 생산력 감소가 나타났지만, 새로운 경작 기술 도입은 미흡했다. 관리들의 부패와 권력 다툼은 농민 경제를 피폐하게 만들었으며, 귀족 계층의 사치스러운 생활은 경제력 손실을 초래했다. 또한, 끊임없는 영토 확장 정책으로 인한 막대한 재정 낭비, 과학 기술 발전 부진, 해양 산업 및 해군력 취약 등도 경제 쇠퇴의 원인이 되었다.

5. 문화

무굴 제국은 페르시아 미술과 인도 미술이 융합된 독특한 미술 양식을 발전시켰다.[114] 특히 세밀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민간 신앙을 표현한 '라지푸트 회화'와 황족과 귀족을 그린 '궁정 세밀화'의 두 화파로 나뉜다.[128] 라지푸트 회화는 16세기경 라지푸타나에서 발달한 양식으로 힌두교나 민중예술에 기반을 둔 종교적, 신비적인 관념세계를 붉은 바탕에 빈틈없는 부조 모양의 구도로 그린 것이 특징이다. 반면 궁정 세밀화는 페르시아 세밀화가 인도 전통 수법인 라지푸트 회화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것으로, 황족과 귀족들의 초상화와 생활 모습 등을 소재로 삼았으며, 세필을 써서 색채를 선명하게 그린 것이다. 또한 투시적 원근법과 음영을 이용하여 주제를 사실적이면서 현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배경을 장식적으로 꾸민 것이 특징이다.[128]

무굴 제국, 17세기 앵무새 모양 장식


무굴 예술 전통은 이란, 인도, 중국, 르네상스 유럽의 양식과 주제 요소를 차용하여 절충적이었다.[128] 무굴 황제들은 티무르 양식의 공통점과 이란 예술 및 서예에 대한 애정 때문에 사파비 왕조의 이란 서적 제본사, 삽화가, 화가, 서예가들을 종종 초청했다.[129] 초기에는 역사적 사건과 궁정 생활을 묘사하는 책을 삽화로 장식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나중에는 앨범을 위한 단일 이미지, 초상화 및 동물 그림이 포함되었고, 자연 세계의 평온함과 아름다움에 대한 깊은 감사를 표현했다.[130] 예를 들어, 자한기르 황제는 우스타드 만수르/Ustad Mansur영어와 같은 뛰어난 화가들에게 제국 전역의 특이한 동식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도록 의뢰했다.

아크바르와 자한기르가 삽화 제작을 의뢰한 문학 작품은 ''라즈므나마''(힌두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페르시아어 번역)와 같은 서사시부터 ''바부르나마'', ''아크바르나마'', ''투즈크-에-자한기리''와 같은 왕조의 역사적 회고록이나 전기까지 다양했다. 서예와 예술적 장면으로 장식된 화려하게 완성된 앨범(''무라카'')은 장식적인 테두리가 있는 페이지에 장착된 다음, 찍어서 금박을 입히거나 페인트칠하고 래커를 칠한 가죽으로 된 표지를 붙였다.[131] 아우랑제브(1658~1707)는 종교적 이유로 그림의 열렬한 후원자가 아니었으며, 1668년경 궁정의 화려함과 의식에서 벗어났고, 그 이후로는 더 이상 그림을 의뢰하지 않았을 것이다.[132]

무굴 시대에 편찬된 페르시아 사전 ''파르항-이-자한기리''의 삽화가 들어간 페이지


후마윤은 수르 왕조와의 항쟁에서 사파비 왕조타흐마스프 1세의 궁정에 피신했을 때 페르시아의 미니어처 회화를 접했다. 무굴 회화는 후마윤이 페르시아에서 두 명의 화가를 데려온 것을 시작점으로 하며, 무굴 제국이 성장함에 따라 힌두교적 요소를 받아들여 발전했다. 초상화, 동물과 식물, 풍경화,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와 같은 서사시를 소재로 채택했다.

5. 1. 건축

무굴 건축은 페르시아와 인도의 건축 양식이 조화롭게 결합된 독특한 양식을 보여준다.[121][122] 구근형 돔, 첨두 아치, 정교하게 구성되고 연마된 외관, 그리고 단단한 적색 사암과 대리석을 건축 자재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121][123]

무굴 제국은 수도를 델리, 아그라, 라호르로 여러 차례 옮겼기 때문에 각지에 이슬람 건축이 건설되어 인도 아대륙의 건축 양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초대 황제 바부르아요디아바브리 마스지드를 건설했고, 그의 정원에 대한 취향은 자녀들에게 계승되어 무굴 건축의 특징이 되었다. 아크바르 시대에는 후마윤 묘 건설을 통해 북인도에서 중앙집권 국가가 확립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신도 파테푸르 시크리의 건축물은 인도를 대표하는 붉은색 돌을 사용하고, 목조 건축을 모방한 석조 건축이라는 인도의 전통적인 건축 공법을 도입했다.[294]

자한기르는 경치가 아름다운 카슈미르 지방에 많은 정원을 건설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스리나가르의 샤라마르 정원이다.[294] 샤 자한은 흰색 대리석을 선호하여 타지마할을 건설했는데, 이는 "인도의 무슬림 예술의 보석이자 세계 유산의 보편적으로 찬탄받는 걸작 중 하나"[126]로 여겨지며 매년 700만~800만 명의 방문객이 찾고 있다. 델리의 붉은 성과 같이 적색 사암을 사용한 건축물도 남아 있지만, 황제의 사적인 공간에는 흰색 대리석을 주로 사용했다.[294] 아우랑제브라호르바드샤히 모스크를 건설했다.

타지마할 묘당


후마윤 묘


파테푸르 시크리


타지마할


무굴 제국 시대에는 타지마할, 붉은 요새, 후마윤 묘 등 수많은 건축물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무굴 정원은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았지만, 인도 특유의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무굴 제국의 건축물들은 오늘날 인도,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등지에 널리 퍼져있다.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아프가니스탄
valign=top|valign=top|valign=top|valign=top|


5. 2. 미술

무굴 제국은 세밀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민간 신앙을 표현한 '라지푸트 회화'와 황족과 귀족을 그린 '궁정 세밀화'의 두 화파로 나뉜다.[128] 라지푸트 회화는 16세기경 라지푸타나에서 발달한 양식으로 힌두교나 민중예술에 기반을 둔 종교적, 신비적인 관념세계를 붉은 바탕에 빈틈없는 부조 모양의 구도로 그린 것이 특징이다. 반면 궁정 세밀화는 페르시아 세밀화가 인도 전통 수법인 라지푸트 회화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것으로, 황족과 귀족들의 초상화와 생활 모습 등을 소재로 삼았으며, 세필을 써서 색채를 선명하게 그린 것이다. 또한 투시적 원근법과 음영을 이용하여 주제를 사실적이면서 현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배경을 장식적으로 꾸민 것이 특징이다.[128]

무굴 예술 전통은 이란, 인도, 중국, 르네상스 유럽의 양식과 주제 요소를 차용하여 절충적이었다.[128] 무굴 황제들은 티무르 양식의 공통점과 이란 예술 및 서예에 대한 애정 때문에 사파비 왕조의 이란 서적 제본사, 삽화가, 화가, 서예가들을 종종 초청했다.[129] 초기에는 역사적 사건과 궁정 생활을 묘사하는 책을 삽화로 장식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나중에는 앨범을 위한 단일 이미지, 초상화 및 동물 그림이 포함되었고, 자연 세계의 평온함과 아름다움에 대한 깊은 감사를 표현했다.[130] 예를 들어, 자한기르 황제는 우스타드 만수르와 같은 뛰어난 화가들에게 제국 전역의 특이한 동식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도록 의뢰했다.

아크바르와 자한기르가 삽화 제작을 의뢰한 문학 작품은 ''라즈므나마''(힌두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페르시아어 번역)와 같은 서사시부터 ''바부르나마'', ''아크바르나마'', ''투즈크-에-자한기리''와 같은 왕조의 역사적 회고록이나 전기까지 다양했다. 서예와 예술적 장면으로 장식된 화려하게 완성된 앨범(''무라카'')은 장식적인 테두리가 있는 페이지에 장착된 다음, 찍어서 금박을 입히거나 페인트칠하고 래커를 칠한 가죽으로 된 표지를 붙였다.[131] 아우랑제브(1658~1707)는 종교적 이유로 그림의 열렬한 후원자가 아니었으며, 1668년경 궁정의 화려함과 의식에서 벗어났고, 그 이후로는 더 이상 그림을 의뢰하지 않았을 것이다.[132]

후마윤은 수르 왕조와의 항쟁에서 사파비 왕조타흐마스프 1세의 궁정에 피신했을 때 페르시아의 미니어처 회화를 접했다. 무굴 회화는 후마윤이 페르시아에서 두 명의 화가를 데려온 것을 시작점으로 하며, 무굴 제국이 성장함에 따라 힌두교적 요소를 받아들여 발전했다. 초상화, 동물과 식물, 풍경화,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와 같은 서사시를 소재로 채택했다.

6. 역대 황제

무굴 제국의 역대 황제 목록은 별도 문서로 분리되어 있다.

초대 황제 바부르부터 마지막 황제 바하두르 샤 2세까지 무굴 제국을 통치한 황제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초상화칭호본명출생재위 기간사망
바부르
바부르자히르 알-딘 무함마드1483년 2월 14일 안디잔1526년 4월 20일 – 1530년 12월 26일1530년 12월 26일 (47세) 아그라
후마윤
후마윤나시르 알-딘 무함마드1508년 3월 6일 카불1530년 12월 26일 – 1540년 5월 17일, 1555년 2월 22일 – 1556년 1월 27일1556년 1월 27일 (47세) 델리
악바르 1세
악바르 1세잘랄 알-딘 무함마드1542년 10월 15일 우메르코트1556년 2월 11일 – 1605년 10월 27일1605년 10월 27일 (63세) 아그라
자한기르
자한기르누르 알-딘 무함마드1569년 8월 31일 아그라1605년 11월 3일 – 1627년 10월 28일1627년 10월 28일 (58세) 잠무 카슈미르 주
샤 자한 1세
샤 자한 1세시합 알-딘 무함마드1592년 1월 5일 라호르1628년 1월 19일 – 1658년 7월 31일1666년 1월 22일 (74세) 아그라
아우랑제브
아우랑제브 1세무히 알-딘 무함마드1618년 11월 3일 구자라트1658년 7월 31일 – 1707년 3월 3일1707년 3월 3일 (88세) 아흐마드나가르
아잠 샤
아잠 샤쿠트브 알-딘 무함마드1653년 6월 28일 부르한푸르1707년 3월 14일 – 1707년 6월 20일1707년 6월 20일 (53세) 아그라
바하두르 샤 1세
바하두르 샤 1세쿠트브 알-딘 무함마드1643년 10월 14일 부르한푸르1707년 6월 19일 – 1712년 2월 27일1712년 2월 27일 (68세) 라호르
자한다르 샤
자한다르 샤무이즈 알-딘 무함마드1661년 5월 9일 데칸1712년 2월 27일 – 1713년 2월 11일1713년 2월 12일 (51세) 델리
파룩 시야르
파룩 시야르무인 알-딘 무함마드1685년 8월 20일 아우랑가바드1713년 1월 11일 – 1719년 2월 28일1719년 4월 19일 (33세) 델리
라피 우드-다라자트
라피 우드-다라자트샴스 알-딘 무함마드1699년 12월 1일1719년 2월 28일 – 1719년 6월 6일1719년 6월 6일 (19세) 아그라
샤 자한 2세
샤 자한 2세라피 알-딘 무함마드1696년 1월 5일1719년 6월 6일 – 1719년 9월 17일1719년 9월 18일 (23세) 아그라
무함마드 샤
무함마드 샤나시르 알-딘 무함마드1702년 8월 7일 가즈니1719년 9월 27일 – 1748년 4월 26일1748년 4월 26일 (45세) 델리
아흐마드 샤 바하두르
아흐마드 샤 바하두르무자히드 알-딘 무함마드1725년 12월 23일 델리1748년 4월 29일 – 1754년 6월 2일1775년 1월 1일 (49세) 델리
알람기르 2세
알람기르 2세아지즈 알-딘 무함마드1699년 6월 6일 부르한푸르1754년 6월 3일 – 1759년 11월 29일1759년 11월 29일 (60세) 콧라 파테 샤
샤 자한 3세
샤 자한 3세무히 알-밀라트1711년1759년 12월 10일 – 1760년 10월 10일1772년 (60-61세)
샤 알람 2세
샤 알람 2세잘랄 알-딘 무함마드 알리 가우하르1728년 6월 25일 델리1760년 10월 10일 – 1788년 7월 31일, 1788년 10월 16일 – 1806년 11월 19일1806년 11월 19일 (78세) 델리
샤 자한 4세
샤 자한 4세비다르 바크트 마무드 샤 바하두르 자한 샤1749년 델리1788년 7월 31일 – 1788년 10월 11일1790년 (40-41세) 델리
악바르 2세
악바르 2세무인 알-딘 무함마드1760년 4월 22일 무쿤드푸르1806년 11월 19일 – 1837년 9월 28일1837년 9월 28일 (77세) 델리
바하두르 샤 2세
바하두르 샤 2세아부 자파르 시라즈 알-딘 무함마드1775년 10월 24일 델리1837년 9월 28일 – 1857년 9월 21일1862년 11월 7일 (87세) 양곤


참조

[1] 논문 East–West Orientation of Historical Empires and Modern States
[2] 논문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http://www.escholars[...] 2019-07-06
[3] 서적 A Population History of India: From the First Modern People to the Present Day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5] 서적 South Asi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7-15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South Asi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7-15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Medieval Indian Mindscapes: Space, Time, Society, Man https://books.google[...] Primus Books 2015-10-19
[21] 서적 Conversion to Islam https://books.google[...] Holmes & Meier 2023-03-19
[22] 웹사이트 Name of the Monument/ site: Tomb of Aurangzeb http://www.asiaurang[...]
[23] 서적 The life & poetry of Bahadur Shah Zafar Hay House India 2017
[24] 웹사이트 Indian History Collective https://indianhistor[...] 2023-12-30
[25] 서적 From Frontier Policy to Foreign Policy: The Question of India and the Transformation of Geopolitics in Qing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23-11-07
[26] 서적 Matteo Ricci: A Jesuit in the Ming Cour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10-19
[27] 서적 The Baburnama: Memoirs of Babur, Prince and Emperor Modern Library
[28] 서적 God and Logic in Islam: The Caliphate of Reason
[29] 서적 Turko-Persia in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Venture of Isl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서적 Reading Asia: New Research in Asian Stud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2] 서적 National Geographic Visual History of the World National Geographic Society
[33] 서적 A Global History of War: From Assyria to the Twenty-First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서적 The European Emergence. The Mughals Ascendant
[35] 서적 The European Emergence. The Mughals Ascendant
[36] 백과사전 Akbar https://www.britanni[...] 2017-07-17
[37] 서적 Akbar the Great Mogul, 1542–1605 https://archive.org/[...] Oxford at The Clarendon Press
[38] 서적 The History of Humāyūn (Humāyūn-Nāma) https://archive.org/[...] Royal Asiatic Society
[39] 서적 South Asi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8-22
[40] 서적 Preface to The Jahangirnama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Jahangirnama: Memoirs of Jahangir, Emperor of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Princes of the Mughal Empire, 1504–1719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Sikhism: Origins of Sikhism http://www.bbc.co.uk[...] 2021-02-19
[44] 서적 The Foundations of the Composite Culture in India https://books.google[...] Aakar Books
[45] 서적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edieval India Sterling Publishers Pvt. Ltd
[46] 서적 A History of the Indian People https://books.google[...] Methuen 2021-05-04
[47] 서적 Dara Shiko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3-04-03
[48] 백과사전 Awrangzīb https://referencewor[...] 2011
[49] 서적 The King and the People: Sovereignty and Popular Politics in Mughal Delhi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19
[50] 서적 A Short History Of Aurangzib http://archive.org/d[...]
[51] 서적 A History of State and Religion in India Routledge
[52] 웹사이트 Precolonial Ethnic Violence:The Case of Hindu-Muslim Conflict in India https://www.bu.edu/c[...] Boston University 2023-04-07
[53] 서적 Xenophobia in Seventeenth-Century India Leiden University Press 2009
[54] 서적 the Language of History: Sanskrit Narratives of Indo-Muslim Rul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03-19
[55] 서적 A Social History of Islamic India, 1605–1748 https://books.google[...] Upper India Publishing House 2023-03-27
[56]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3-03-19
[57] 서적 Expanding Frontiers in South Asian and World History Essays in Honour of John F. Richards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학술지 Maratha-Nizam Relations : Nizam-Ul-Mulk's Letters https://archive.org/[...]
[59] 서적 A Comprehensive History of Medieval India: Twelfth to the Mid-eigh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11
[60] 서적 Modern South Asia: History, Culture, Political Economy https://archive.org/[...] Routledge
[61] 서적 The Great Maratha Mahadaji Scindia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62] 백과사전 Mughal Empire https://referencewor[...] Brill 2022-03-28
[63] 서적 The Routledge History of Western Empir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4-03-14
[64] 학술지 Mughal State Finance and the Premodern World Economy
[65] 백과사전 Mughal Empire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28
[66] 백과사전 Mug̲h̲als https://referencewor[...] Brill 2022-03-31
[67] 서적 A History of Public Administration Volume II: From the Eleven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68] 서적 Statemaking and Territory in South Asia Anthem Press
[69] 서적 Statemaking and Territory in South Asia Anthem Press
[70] 학술지 The City of Kabul Under the Mughals https://www.jstor.or[...] 2021-12-14
[71] 서적 Historic cities of the Islamic world Brill
[72] 백과사전 Courts of law, Mughal https://referencewor[...] Brill 2021-12-13
[73] 웹사이트 Mughal Empire and Law http://www.oxfordisl[...] 2021-12-13
[74] 백과사전 Mughal Empire https://referencewor[...] Brill 2022-03-25
[75] 학술지 Reflections on Religious Difference and Permissive Inclusion in Mughal Law http://dx.doi.org/10[...] 2021-12-13
[76] 서적 India in the Persianate Age : 1000–1765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7] 서적 An Atlas and Survey of South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8-09
[78] 서적 Development Centre Studies The World Economy Historical Statistics: Historical Statistics https://books.google[...] OECD Publishing 2017-08-09
[79] 웹사이트 India's Deindustrializ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http://www.lse.ac.uk[...]
[80] 서적 The Oxford World History of Empire Volume Two: The History of Empir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4-04-18
[81] 웹사이트 Picture of original Mughal rupiya introduced by Sher Shah Suri http://www.rbi.org.i[...] 2017-08-04
[82] 서적 The Unending Frontier: An Environmental History of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7-08-09
[83] 서적 Class Structure and Economic Growth: India and Pakistan Since the Moghul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8-22
[84] 학술지 The World of Labour in Mughal India (c. 1500–1750) 2011-12
[85] 서적 Winning the Needed Change: Saving Our Planet Earth IOS Press
[86] 서적 An Agrarian History of South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4-29
[87] 서적 Economic History of Medieval India, 1200–1500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88] 웹사이트 India's Deindustrializ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http://www.tcd.ie/Ec[...] Harvard University 2017-05-18
[89] 서적 The Ashgate Companion to the History of Textile Workers, 1650–2000 Ashgate Publishing 2017-08-15
[90] 서적 Empire, Mughal https://go.gale.com/[...] Macmillan Reference US 2017-08-03
[91] 서적 Monitoring the World Economy, 1820–1992 OECD
[92] 서적 Why Europe Grew Rich and Asia Did Not: Global Economic Divergence, 1600–18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 서적 The Rise of Islam and the Bengal Frontier, 1204–176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94] 서적 Economic History of Medieval India, 1200–1500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95] 학술지 Where is Bengal? Situating an Indian Region in the Early Modern World Economy 2011-11
[96] 서적 Indian Society and the Making of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2-08
[97] 서적 Bengal: The Unique State https://books.google[...]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16-05-05
[98] 서적 Land of Two Rivers A History of Bengal from the Mahabharata to Mujib Penguin Books India
[99] 서적 Bengal Industries and the British Industrial Revolution (1757–1857)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0] 서적 Atlas of World Population History http://www.arabgeogr[...] Facts on File 2017-08-07
[101] 서적 The World Economy: A Millennial Perspective http://theunbrokenwi[...] OECD Development Centre
[102] 간행물 An Essay Concerning Mankind's Evolution
[103] 서적 The European Union and Global Social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6-26
[104] 서적 The Mughal World: Life in India's Last Golden Ag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105] 서적 Pre-Modern European Economy: One Thousand Years (10th–19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06] 웹사이트 Indian GDP before 1870: Some preliminary estimates and a comparison with Britain http://www2.warwick.[...] Warwick University 2015-10-12
[107] 서적 A Population History of India: From the First Modern People to the Present Day
[108] 학술지 Historical Growth of Urbanization in Dhaka City Dhaka University 1997-12
[109] 서적 People, Taxation, and Trade in Mughal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10] 학술지 Some Reflections on the Town and Country in Mughal India
[111] 서적 Literary Cultures in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2] 서적 The Indian Ocean in the Making of Early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07-19
[113] 백과사전 Mughal Empire – MSN Encarta http://encarta.msn.c[...]
[114] 웹사이트 Indo-Persian Literature Conference: SOAS: North Indian Literary Culture (1450–1650) http://www.soas.ac.u[...] 2012-11-28
[115] 웹사이트 Islam: Mughal Empire (1500s, 1600s) http://www.bbc.co.uk[...] BBC 2018-06-10
[116] 학술지 Waterworks in Mughal Gardens
[117] 학술지 The ''sannyasi'' and the Indian Wrestler: The Anatomy of a Relationship 1992-05
[118] 서적 The Wrestler's Body: Identity and Ideology in North Ind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9] 뉴스 Mughal influence on Indian music https://www.thehindu[...] 2019-04-05
[120] 서적 The Mughals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4-07-11
[121] 서적 Dictionary of Islamic architecture Routledge
[122] 서적 Architecture of Mughal Ind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3] 서적 The Grove Encyclopedia of Islamic Art and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4] 서적 The Last Mughal: The Fall of Delhi, 1857 https://books.google[...] A&C Black 2024-07-23
[125] 서적 History of the Mughal Rule in India, 1526-1761 https://books.google[...] M. C. Kothari 2024-08-08
[126] 웹사이트 Taj Mahal https://whc.unesco.o[...] 2020-05-07
[127] 서적 Patriots and Tyrants: Ten Asian Leaders Rowman & Littlefield
[128] 서적 The Indian Portrait, 1560–1860 https://books.google[...] National Portrait Gallery
[129] 학술지 Persian Artists in Mughal India: Influences and Transformations
[130] 학술지 The Mughal Painters of Natural History
[131] 웹사이트 The Art of the Mughals After 1600 https://www.metmuseu[...] 2003-10
[132] 서적 Mughal India: Art, Culture and Empire British Library
[133] 서적 History Of Shahjahan Of Dihli 1932 https://archive.org/[...] Indian Press Limited
[134] 학술지 2. The Culture and Politics of Persian in Precolonial Hindustan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1-07-26
[135] 학술지 Persian in South Asia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07-26
[136] 서적 The languages of political Islam : India 1200–1800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7] 서적 Literary Cultures in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8] 백과사전 Urdu https://iranicaonlin[...] 2021-07-26
[139] 서적 Delhi:Pages From a Forgotten History https://books.google[...] Hay House 2023-05-19
[140] 서적 Life, Times and Poetry of Mir https://books.google[...] Partridge Publishing 2023-05-19
[141] 웹사이트 The Gunpowder Empires http://novaonline.nv[...] Northern Virginia Community College 2010-12-28
[142] 서적 A History of Greek Fire and Gunpowder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3] 학술지 Fathullah Shirazi: Cannon, Multi-barrel Gun and Yarghu
[144] 서적 A History of Greek Fire and Gunpowder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45] 학술지 Political History of the Mughals: Influence on South Asia https://ijrtspublica[...] 2024-07-16
[146] 영상매체 Ancient Discoveries: Ancient Tank Tech History Channel 2008-11-06
[147] 서적 Bidar: Its History and Monuments Motilal Banarsidass
[148] 서적 Art and Architectural Traditions of India and Iran: Commonality and Diversity Routledge
[149] 서적 Art and Architectural Traditions of India and Iran Commonality and Diversity https://www.routledg[...] Routledge India 2024-03-20
[150] 간행물 Sawai Jai Singh and His Astronomy Motilal Banarsidass Publ.
[151] 간행물 The Science of Empire: Scientific Knowledge, Civilization, and Colonial Rule in Ind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52] 웹사이트 A Celestial Globe, Made by Mughal Astrolabist Muhammad Salih of Thatta, Dated 1074 AH/1663 AD https://www.oriental[...] 2024-06-18
[153] 서적 Karkhanas Under the Mughals, from Akbar to Aurangzeb: A Study in Economic Development https://books.google[...] Pragati Publications 1994
[154] 서적 Mugh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https://books.google[...] Hind Kitabs 1951
[155] 학술지 An Eighteenth Century Survey of Jaipur "Chhapakhana" Based on Jaipur "Karkhanajat" Records https://www.jstor.or[...] 2012
[156] 서적 Islamicate Celestial Globes: Their History, Construction, and Use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57] 웹사이트 Celestial globe https://www.nms.ac.u[...] 2020-10-15
[158] 서적 The Mughal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9]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60]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61]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62] 서적 The Mughal Empi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3]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64]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165] 서적 South Asi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6]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7]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Macmillan
[168]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9]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70]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1]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72]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3]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4]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5]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6]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7] 서적 India Before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8] 웹사이트 Taj Mahal: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https://whc.unesco.o[...]
[179] 서적 Medieval Indian Mindscapes: Space, Time, Society, Man https://books.google[...] Primus Books
[180]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81]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82]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83]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84]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85] 기타
[186]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87]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88]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189]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190]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191]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192]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193]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194] 서적 중세 인도의 역사
[195]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96] 서적 세계 역사 대계 남아시아사 2 중세 근세
[197]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198] 서적 중세 인도의 역사
[199] 웹사이트 Studies in Mughal History - Ashvini Agrawal - Google ブックス https://books.google[...]
[200] 서적 세계 역사 대계 남아시아사 2 중세 근세
[201]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02] 서적 중세 인도의 역사
[203]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04] 서적 중세 인도의 역사
[205]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206] 서적 세계 역사 대계 남아시아사 2 중세 근세
[207]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208]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09] 서적 무갈 황제 역대지
[210] 서적 무갈 제국의 흥망
[211]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12] 書籍 ムガル帝国の興亡
[213]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14]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15] 書籍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16]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17]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18] 書籍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19] 書籍 ムガル帝国の興亡
[220] 書籍 ムガル帝国の興亡
[221] 書籍 ムガル帝国の興亡
[222]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23]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24] 書籍 ムガル帝国の興亡
[225]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26] 書籍 ムガル帝国の興亡
[227]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28]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29] 書籍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30]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31] 書籍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32]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33]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34]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35]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36]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37]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38]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39] 書籍 ムガル帝国の興亡
[240] 書籍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41]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42]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43] 書籍 近代インドの歴史
[244]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45]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46]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47]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48]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49] 書籍 近代インドの歴史
[250] ウェブサイト Short Essay on British Supremacy in South India http://www.preservea[...]
[251] ウェブサイト Hyderabad Events and dates, Important history dates for hyderabad http://travel.indiaf[...]
[252]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3―南インド―
[253] 書籍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54] 書籍 近代インドの歴史
[255]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56]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57] 書籍 近代インドの歴史
[258]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59]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60]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61]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62]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63]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64]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65]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66]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67] ウェブサイト Advanced Study in the History of Modern India 1707-1813 - Jaswant Lal Mehta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68]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69] ウェブサイト Delhi 12 http://www.royalark.[...]
[270] ウェブサイト Delhi 13 http://www.royalark.[...]
[271]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72]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73] 書籍 東インド会社とアジアの海 講談社
[274]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75] 書籍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76] ウェブサイト Maratha Chronicles Peshwas (Part 4) A Strife Within https://marathachron[...]
[277] ウェブサイト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278]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79]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80] 書籍 ムガル皇帝歴代誌
[281] 웹사이트 Gwalior 3 http://www.royalark.[...]
[282] 서적 近代インドの歴史
[283]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84] 서적 1 Battles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Making of the Raj https://books.google[...] M. S. Naravane - Google Books
[285] 서적 イギリス東インド会社
[286]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87]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88]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89]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90] 서적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91] 서적 ケンブリッジ版世界各国史 インドの歴史
[292] 서적 新版 世界各国史7 南アジア史
[293]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94] 서적 南アジア史_2 山川出版社
[295] 서적 Medieval Indian Mindscapes: Space, Time, Society, Man Primus Books 2015-10-19
[296] 논문 16세기 중앙아시아 신흥국가들의 몽골제국 계승성 연구:우즈벡·카자흐칸국과 무굴제국의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단국대 대학원
[297] 서적 Mughal India 1504 - 1761 Osprey
[298] 서적 The Great Moguls Carroll & Graf Publishers
[299] 서적 The Garden of the Eight Paradises BRILL
[300] 서적 The Garden of the Eight Paradises BRILL
[301] 서적 인도 이야기 (The story of India) 웅진지식하우스 2009-04-27
[302] 서적 세계각국사 - 인도사 대한교과서 2005-02-25
[303] 서적 세계각국사 - 인도사 대한교과서 2005-02-25
[304] 서적 아틀라스 세계사 사계절
[305] 기타
[306] 서적 세계각국사 - 인도사 대한교과서 2005-02-25
[307] 기타
[308] 서적 아틀라스 세계사 사계절
[309] 기타
[3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asia.si.e[...] 2013-09-26
[311] 기타
[312] 서적 아틀라스 세계사 사계절
[313] 서적 아틀라스 세계사 사계절
[314] 서적 아틀라스 세계사 사계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