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잣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잣집은 인구 밀도가 높고 빈곤한 지역에서 주택의 일반적인 형태이며, 호주 영어에서는 휴가용 주택을, 캐나다에서는 유전 부지 트레일러를 지칭하기도 한다. 19세기와 20세기 초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타르 종이로 덮인 나무 틀로 만들어진 저렴한 주택의 일반적인 형태였다. 고고학에서는 굴립주 건물, 흙막이 오두막과 같은 용어로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자유 사상가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장소로 사용했으며, 자연과 더 가까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 및 생태학적 아이디어와 철학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택 - 식당
    식당은 음식을 먹기 위해 마련된 공간으로, 중세 유럽에서 시작되어 현대에는 주방과 통합되거나 다용도로 활용되며, 국가별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주택 - 초가
    초가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한국의 전통적인 주거 형태로, 볏짚 지붕과 토담 등을 사용하며 자연 친화적인 생활 방식을 반영하지만, 근대화 과정에서 쇠퇴하여 보존 및 계승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판잣집
정의 및 특징
정의작은 규모의, 종종 조잡하게 지어진 주거 공간
특징간소한 구조
기본적인 자재 사용
임시 거주 또는 저소득층 거주용으로 사용됨
건축 및 구조
재료나무
양철
판지
기타 저렴하고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구조단층 구조
기본적인 형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지붕은 경사진 형태가 일반적
특징단열 및 방수 기능이 미흡할 수 있음
용도 및 사회적 의미
주요 용도임시 주거
저소득층 주거
농촌 지역의 간이 주택
사회적 의미가난과 열악한 주거 환경을 상징
재해 이재민의 임시 거처로 사용되기도 함
지역별 명칭
한국어판잣집, 셋방, 움막
영어shack, shanty, hut
일본어掘っ建て小屋 (홋타테고야)
관련 용어
관련 용어슬럼
빈민가
무허가 건물

2. 역사적 배경

19세기와 20세기 초반 미국과 캐나다의 시골 지역에서는 타르 종이로 덮인 나무 틀로 구성된 '타르 종이 판잣집'이 매우 저렴한 주택의 일반적인 형태였다.[3][4] 기술이 미숙했던 시대에는 일반적인 건축 양식이었으며, 조몬 시대유적 등에서 기둥을 묻은 흔적이 발견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기둥이 직접 지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습기나 해충으로 인해 부식이나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지만, 콘크리트나 대형 석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고 손이 덜 간다는 장점으로 간이 창고를 만들 때 사용되었다. 현재는 프리패브 주택이나 유닛 주택 등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고고학에서는 '''굴립주 건물'''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흙막이 오두막'''이라고 하면 현재 기둥을 직접 흙 속에 묻은 소규모 건물을 가리킨다. 대부분 구멍을 조금 판 정도이며, 초석도 놓지 않은 조잡한 집이다. 기둥도 직접 땅에 꽂는다 (기둥다운 기둥이 없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비바람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에는 충분했다.

3. 구조 및 특징

인구 밀도가 높고 빈곤이 심한 지역에서는 판잣집이 주택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경우가 많으며, 전 세계적으로 최대 10억 명의 사람들이 판잣집에 살고 있을 수 있다.[1] 빽빽하게 밀집된 판잣집 정착지에서는 화재가 심각한 위험 요소이다.[2] 대부분 또는 전부 판잣집으로 구성된 정착지는 빈민가 또는 판자촌으로 알려져 있다.

판잣집은 대부분의 경우 조금 구멍을 판 정도이며, 기초적인 기반은 없다. 즉, 초석도 놓지 않은 조잡한 집이라는 것이다. 기둥도 직접 땅에 꽂는다 (기둥다운 기둥이 없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 비바람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에는 충분했다.


  • 기술이 미숙했던 시대에는 일반적인 건축 양식이었으며, 조몬 시대유적 등에서 기둥을 묻은 흔적이 발견되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 기둥이 직접 지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습기나 해충으로 인해 부식이나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지만, 콘크리트나 대형 석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되고, 손이 덜 간다는 장점으로 인해 간이 창고를 만들 때 사용된다. 현재는 프리패브 주택이나 유닛 주택 등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 고고학상의 용어로는 '''굴립주 건물'''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흙막이 오두막'''이라고 하면 현재 기둥을 직접 흙 속에 묻은 소규모 건물을 가리킨다.

4. 문화적 역할

미국 변경의 역사에서 자유 사상가들은 종종 판잣집을 기성 체제의 제약에서 벗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장소로 사용해 왔다. 마이클 라누 교수와 과학 작가 겸 편집자 에릭 잉글스는 판잣집이 미국 문화에서 "인생의 더 큰 질문에 대한 깔끔한 관점을 허용하는" 단순한 구조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언급한다. 라누는 판잣집이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 존 뮤어, 알도 레오폴드, 에드워드 리케츠의 저작을 통해 사람들이 자연과 더 가까이에서 상호 작용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국의 환경 및 생태학적 아이디어와 철학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고 적고 있다. 이러한 판잣집은 또한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의 만남의 장소 역할을 했다.[5]

5. 갤러리

5. 1. 남아프리카 공화국

5. 2. 핀란드

5. 3. 미국

알도 레오폴드의 판잣집

5. 4.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강변 빈민가에 있는 다가구 판잣집

5. 5. 나미비아

5. 6. 독일

5. 7. 1930년대 미국

5. 8. 알도 레오폴드의 판잣집


참조

[1] 서적 Planet of Slums Verso 2006
[2] 웹사이트 A Big Devil in the Jondolos: A report on shack fires by Matt Birkinshaw http://www.abahlali.[...]
[3] 웹사이트 Tar paper shack in Minnesota cut-over area, Beltrami County, Minnesota https://www.loc.gov/[...]
[4] 웹사이트 Flashback Friday: Carrie Ingalls & Her Tar Paper Shack https://www.sdhspres[...]
[5] 서적 Leopold's Shack and Ricketts's Lab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0
[6] 문서 広辞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