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당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당댐은 대한민국에 위치한 댐으로, 15개의 수문을 통해 저낙차 밸브형 발전을 가능하게 하며, 텐더식 수문으로는 동양 최대 규모이다. 1974년에 준공되어 연간 3억 3,800만 kWh의 전력을 생산했으며, 1999년 시설 용량 증대 공사를 통해 발전량을 늘렸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부 지역에 생활용수를 공급하며, 팔당유원지가 조성되었으나 2004년 상수원 보호 구역 지정으로 폐쇄되었다. 팔당댐 관리교는 한때 국도가 지나갔으나 팔당대교 개통으로 현재는 소형 승용차에 한해 주말과 공휴일에 통행이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강의 댐 - 동강댐
동강댐은 한강 대홍수 이후 수자원 확보와 홍수 예방을 위해 강원도 영월군에 건설이 추진되었으나 환경 파괴 및 안전성 문제로 반대 여론에 부딪혀 백지화된 댐이다. - 하남시의 건축물 - 미사대교
미사대교는 서울양양고속도로의 일부로, 한강을 가로질러 하남시와 남양주시를 연결하며, 2009년 개통되어 수도권 동부 지역의 교통망 확충에 기여한다. - 하남시의 건축물 - 팔당대교
팔당대교는 사장교로 건설되려다 붕괴 사고와 부실 시공으로 공법이 변경되어 일반 거더교로 1995년 완공되었으나, 건설 과정에서 안전 불감증의 사례를 보여주었고 개통 후 교통 흐름 개선과 체증 유발이라는 상반된 결과를 낳았다. - 대한민국의 수력 발전소 - 안동댐
안동댐은 낙동강 본류에 건설된 사력댐으로, 홍수 조절 기능과 수력발전 설비를 갖추고 있으나, 주변 지역 수몰과 환경 변화, 그리고 취수원 이전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수력 발전소 - 남강댐
남강댐은 경상남도 진주에 위치한 낙동강 지류 남강의 다목적 댐으로, 콘크리트 표면차수벽형 석괴댐(CFRD)이며 진양호라는 저수지를 형성하고 발전용량을 갖춘 국가중요시설이다.
팔당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팔당댐 |
한자 표기 | 八堂dam |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하남시 천현동 |
유형 | 발전용 댐 |
상태 | 운영 중 |
착공 날짜 | 1966년 6월 |
준공 날짜 | 1974년 5월 24일 |
사업 주체 | 한국수력원자력 |
저수지 이름 | 한강 |
연간 발전량 | 338,000,000 kWh |
그림 정보 | |
![]() |
2. 규모
팔당댐은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저낙차 밸브형 발전을 채택한 댐으로, 1974년 준공 당시 동양 최대 규모의 텐더식 수문을 갖추고 있었다.[1]
2. 1. 수문
폭 20m, 높이 16.75m의 수문 1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저낙차 밸브형 발전을 채택하였다. 텐더식 수문으로는 동양 최대 규모이다.[1]2. 2. 발전량
1974년에 준공되었으며, 연간 발전량은 3억 3,800만 kWh이다. 평균 출력은 시설 용량의 48.2%인 38,600kW였다. 1999년 시설 용량 증대 공사를 통해 80MW에서 120MW로 증가하였다.3. 효과
팔당댐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부 지역에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
3. 1. 상수원
팔당댐의 취수원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부 지역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있다.[1] 유역 면적 23800km2, 수몰 면적 17.1km2의 팔당호는 거대한 인공 호수이다. 팔당유원지는 서울 근교의 관광 유원지였으나, 2004년 팔당댐 주변이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폐쇄되었다.[1]3. 2. 유원지 조성 및 폐쇄
팔당댐 취수원에서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부 지역에 생활용수가 공급되고 있다. 유역 면적 23800km2, 수몰 면적 17.1km2의 거대한 인공 호수가 생겨 팔당유원지가 형성되었고, 서울 근교의 관광 유원지 역할을 하였으나, 2004년 팔당댐 주변이 상수원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면서 폐쇄되었다.4. 팔당댐 관리교
2014년 관리교로 명칭이 변경된 팔당댐 공도교는 한때 45번 국도가 지나갔으나, 팔당대교 개통으로 현재는 국도가 지나가지 않는다. 관리교 통행 관련 관리 운영 및 보수 주체는 경기도 (\남양주시 도로교통국장)이다.[1][2]
4. 1. 통행 제한 및 재개
2004년 10월 인근 배알미대교 개통에 따라 팔당댐의 안전과 보안을 이유로 차량 통행이 제한되었다. 그러나 교통 불편 등 끊임없는 민원이 지속되어 2006년 12월 8일부터 통행 재개에 대한 협약이 체결되었고, 2009년 9월과 2014년 9월 두 차례 협약이 갱신되면서 통행 시간이 연장되었다.[1][2] 이에 따라 주말 및 공휴일(휴일 전일 오후 6시 ~ 휴일 자정)에 한하여 소형 승용차만 통행할 수 있으며, 화물차, 이륜차, 자전거, 보행자는 통행이 금지된다.[1][2]4. 2. 관리 주체
한때는 팔당댐 공도교(2014년 관리교로 명칭 변경됨)에 45번 국도가 지나갔으나 팔당대교가 개통됨에 따라 현재는 국도가 지나가지 않는다. 2004년 10월 인근 배알미대교 개통에 따라 팔당댐의 안전과 보안을 이유로 차량 통행을 제한하였다.[1] 그러나, 교통 불편 등 끊임없는 민원이 지속되어 2006년 12월 8일부터 통행 재개에 대한 협약을 체결 및 2009년 9월, 2014년 9월 협약을 갱신하여 각각 통행 시간이 연장되었다. 현재 주말, 공휴일(휴일 전일 오후 6시 ~ 휴일 자정)에 한하여 소형 승용차만 통행이 가능하다.(화물차, 이륜차, 자전거, 보행자 통행 불가) 관리교 통행 관련 관리 운영 및 보수 주체는 경기도(남양주시 도로교통국장)이다.[1][2]5.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http://vote2016.kyeo[...]
[2]
웹사이트
http://kms.ggc.go.kr[...]
[3]
웹사이트
http://www.gg.go.kr/[...]
[4]
웹사이트
http://ecohan.nier.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연일 이어진 폭우에 수위 조절 나선 북한강 수계 댐 [현장 화보]
가평 폭우 실종자 14일 차 수색…남은 실종자 1명
가평 폭우 실종자 수색 12일째…997명 투입
가평 폭우 실종사 수색 11일째…폭염 속 총력전
가평 폭우 실종자 수색 9일차…800여 명 투입
가평 폭우 실종자 수색 총력…팔당댐 하류까지 범위 넓혀
가평 집중호우 실종자 3개 권역서 동시 수색
가평·산청서 ‘폭우 실종 추정’ 시신 2구 발견
경찰·소방, 가평·산청 ‘폭우’ 실종자 수색·피해 복구 안간힘
가평 실종자 수색 4일차…김포대교까지 범위 확대
한강 잠수교 양방향 ‘전면 통제’…팔당댐 방류량 늘어나
[속보]서울 잠수교 통행 재개···팔당댐 방류량 줄어
[속보]잠수교 양방향 차량통행 전면통제···팔당댐 방류량 급증 원인
서울 잠수교 차량 전면 통제…동부간선 일부 구간도
가평도 폭우에 산사태 등 피해 속출…사상자 급증
[속보] 서울 잠수교 차량 통행 전면 통제…팔당댐 방류
인천 수돗물서 흙·곰팡이 냄새 민원 80건…"인체에는 무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용수 공급 '빨간불'
누구나 가본 팔당호반에 숨겨진 걷기 명소…귀여리를 아시나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