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탈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탈출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과 이어진 걸프 전쟁으로 인해 쿠웨이트에 거주하던 팔레스타인인들이 대거 쿠웨이트를 떠난 사건을 의미한다. 걸프 전쟁 이전 쿠웨이트에는 약 40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거주하고 있었으나, 이라크 점령 기간 동안 이라크 군의 괴롭힘과 해고 등으로 인해 많은 팔레스타인인들이 탈출했다. 걸프 전쟁 발발 이후에는 팔레스타인 지도자 야세르 아라파트와 사담 후세인의 친선 관계가 쿠웨이트의 팔레스타인인 지원을 막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1991년 3월 사막의 폭풍 작전과 함께 대부분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쿠웨이트를 떠났다. 이후 팔레스타인인들은 요르단으로 이주했으며, 2012년 기준 쿠웨이트에는 약 8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팔레스타인계 쿠웨이트인 - 이브라힘 마지드
    이브라힘 마지드는 카타르의 축구 선수로, 알 사드에서 프로 데뷔하여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에 기여했으며, 카타르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약했다.
  • 1991년 쿠웨이트 - 쿠웨이트 유전 화재
    쿠웨이트 유전 화재는 1991년 이라크군이 쿠웨이트에서 철수하며 유류 매장량과 기반 시설을 파괴하기 위해 저지른 방화로 인해 발생한 대규모 화재로, 약 700개가 넘는 유정과 시설이 불에 타 석유 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유정 화재로 기록되었으며, 10개월간 지속되며 심각한 환경 오염과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 후 다국적군의 진압 노력으로 진화되었다.
  • 1991년 쿠웨이트 - 걸프 전쟁
    걸프 전쟁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시작되어 미국 주도의 다국적 연합군이 이라크군을 격퇴하고 쿠웨이트를 해방시킨 전쟁으로, 이란-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의 경제적 어려움과 쿠웨이트와의 영토 분쟁이 배경이 되었으며, 윤리적 문제와 전후 환경 문제, 첨단 군사 기술, 언론 통제 등 여러 논란을 야기했다.
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탈출

2. 배경

걸프 전쟁 이전 쿠웨이트의 인구 200만 명 중 팔레스타인인은 약 40만 명이었다.[9] 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도착은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 및 나크바,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1973년 욤키푸르 전쟁 이렇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2. 1. 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정착

걸프 전쟁 이전 쿠웨이트의 인구 200만 명 중 팔레스타인인은 약 40만 명 가량이었다.[9] 팔레스타인인의 쿠웨이트 도착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눌 수 있다.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 및 나크바,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1973년 욤키푸르 전쟁이 그것이다.

2. 2. 걸프 전쟁 이전 인구

걸프 전쟁 이전 쿠웨이트의 인구는 200만 명이었으며, 그 중 팔레스타인인은 약 40만 명이었다.[9] 팔레스타인인들은 주로 세 차례에 걸쳐 쿠웨이트에 도착했다.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 및 나크바,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1973년 욤키푸르 전쟁이 그것이다.

3. 사건

1990년 여름, 이라크의 쿠웨이트 점령과 함께 팔레스타인인들의 쿠웨이트 탈출이 시작되었다. 당시 쿠웨이트 인구의 상당수를 차지했던 팔레스타인인들은 이라크 군의 괴롭힘과 협박, 직장에서의 해고 등으로 인해 쿠웨이트를 떠나기 시작했다. 쿠웨이트 침공 당시 20만 명 이상이 쿠웨이트를 탈출했는데, 이는 쿠웨이트 거주 팔레스타인인 후손 약 35만 명의 절반이 넘는 수치였다.[2]

1991년 사막의 폭풍 작전이 시작되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의 탈출은 더욱 가속화되었다.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지도자와 사담 후세인 쿠웨이트 침공 주도자의 친선 관계는 쿠웨이트가 팔레스타인인들을 지원하지 않는 배경이 되었다. 1991년 3월 한 달 동안 대부분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쿠웨이트를 떠났으며, 이들은 대부분 요르단 국적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요르단으로 향했다.[10] 뉴욕 타임스는 쿠웨이트인들의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분노가 커서, 점령 기간 동안 떠났던 사람들은 돌아오기 힘들고 남아있는 소수만이 계속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보도했다.[10]

3. 1. 이라크 점령 (1990년)

쿠웨이트에서의 팔레스타인인 대탈출은 1990년 여름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팔레스타인인은 쿠웨이트 인구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탈출 당시에는 팔레스타인인과 쿠웨이트인이 섞여 있었다. 1990년 중반 쿠웨이트에 살던 팔레스타인인 후손은 35만 명 정도였는데, 쿠웨이트 침공 당시 20만 명 이상이 빠져나갔다. 그 원인은 이라크 군사들의 괴롭힘과 협박, 그리고 쿠웨이트 내 이라크 관료로 인해 일자리에서 해고되었기 때문이었다.[2] 쿠웨이트에 설립된 이라크 교육부는 1990년 9월 팔레스타인인 3천 명을 해고하였으며,[2] 10월 내내 팔레스타인인 해고가 계속 이어졌다.[2] 이라크는 쿠웨이트의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사무소에도 압력을 가했지만, 이라크 지지 결집 및 시위 개최는 거부되었다.[2] 점령 기간 동안 팔레스타인인이 개최한 유일한 시위는 친쿠웨이트 성격을 띄었으며, 하왈리주의 팔레스타인인들이 당시 쿠웨이트의 아미르였던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의 사진을 흔들었다.[2]

3. 2. 걸프 전쟁과 팔레스타인인 추방 (1991년)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 지도자와 사담 후세인 쿠웨이트 침공 주도자의 친선 관계는 쿠웨이트가 팔레스타인인을 지원하지 않은 배경이 되었다. 1991년 3월 14일 기준, 최초 40만 명 중 쿠웨이트에는 팔레스타인인 20만 명 가량이 남았다.[10] 1991년 3월, 사막의 폭풍 작전과 함께 팔레스타인인의 탈출은 다시 시작되어, 1주일 만에 거의 전원이 쿠웨이트 바깥으로 벗어났다. 쿠웨이트에서는 자국을 떠난 팔레스타인인들이 대부분 요르단 국적자였기 때문에 요르단으로 움직일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10]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쿠웨이트인들은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분노가 상당히 거셌기 때문에 7개월 점령 기간 동안 떠났던 사람들은 돌아올 가능성이 희박하고 남아있는 몇몇만 계속 살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10]

4. 이후

쿠웨이트에서 추방된 팔레스타인인 다수는 요르단 국적자였으며,[7] 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 출신 요르단인으로 인정되었다.[7] 2004년 마흐무드 압바스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수장이 된 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당시 이라크 및 사담 후세인을 지지했던 것에 대해 사과했다.[12] 2012년 기준, 쿠웨이트에는 약 8만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살고 있다.[8]

4. 1. 요르단으로의 이주

쿠웨이트에서 추방된 팔레스타인인 다수는 요르단 국적자였으며,[7] 공식적으로 팔레스타인 출신 요르단인으로 인정되었다.[7]

4. 2. 쿠웨이트-팔레스타인 관계 회복 시도

2004년 쿠웨이트는 당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2인자 마흐무드 압바스가 방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11] 팔레스타인 관계자들은 처음에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지지했던 것 때문이라는 분석을 부인했지만,[11] 2004년 12월 12일 팔레스타인 해방기구의 수장이 된 마흐무드 압바스는 팔레스타인의 침공 당시 이라크 및 사담 후세인 지원에 대해 사과했다.[12]

4. 3. 현재 쿠웨이트 내 팔레스타인인

2012년 기준으로 쿠웨이트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인은 약 8만 명이다.[8]

참조

[1] 서적 The Palestinian Diaspora https://books.google[...] 2005-07-27
[2] 웹인용 The PLO in Kuwait http://www.greenleft[...] 1991-05-08
[3] 웹인용 History of Palestine https://books.google[...]
[4] 서적 Encyclopedia of the Palestinians https://books.google[...]
[5] 서적 The Palestinian Diaspora https://books.google[...] 2005-07-27
[6] 서적 Kuwait: Building the Rule of Law: Human Rights in Kuwait https://books.google[...] 1992-01-01
[7] 간행물 From Kuwait to Jordan: The Palestinians' Third Exodus 1999
[8] 뉴스 Palestinians Open Kuwaiti Embassy http://www.al-monito[...] Al Monitor 2013-05-23
[9] 뉴스 Palestinians in Kuwait https://www.jstor.or[...] Journal of Palestine Studies 1991
[10] 뉴스 Palestinians in Kuwait Face Suspicion and Probable Exile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91-03-14
[11] 뉴스 Palestine apology to Kuwait https://www.telegrap[...] Telegraph
[12] 뉴스 Abbas apology to Kuwait over Iraq http://newsvote.bbc.[...] BBC News 2004-1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