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1926년 쿠웨이트에서 태어났으며, 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의 아들이자 자베르 2세의 손자로 사바 가문에 속한다. 그는 1949년 아흐마디 주지사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고, 1962년 재무부 장관을 거쳐 1965년 수상, 1966년 태자가 되었다. 수상 재임 기간 동안 쿠웨이트의 경제적 발전을 이끌었으며, 1977년 국왕으로 즉위했다. 이란-이라크 전쟁과 걸프 전쟁을 겪으며 망명 생활을 했으며, 걸프 전쟁 이후 쿠웨이트 재건에 힘썼다. 2001년 뇌출혈로 쓰러진 후 투병 생활을 하다 2006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웨이트의 총리 - 자베르 알무바라크 알하마드 알사바
    자베르 알무바라크 알하마드 알사바는 쿠웨이트의 정치인으로, 총리직을 역임하며 내각 개편 등 쿠웨이트 정치에 영향을 미쳤으나, 부패 혐의로 구금되기도 했으며, 훈장 수훈 및 저널리즘 상 후원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쿠웨이트의 총리 - 사바 아흐마드 알자비르 알사바
    사바 아흐마드 알자비르 알사바는 2006년부터 2020년까지 쿠웨이트 국왕을 역임했으며, 외무부 장관과 총리를 거쳐 국제적인 인도주의 활동을 펼치다 2020년에 사망했다.
  • 사바가 -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쿠웨이트의 제16대 에미르로서, 여러 장관직과 왕세자를 거쳐 2020년 즉위하여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난관에 직면했으며 2023년 사망하였다.
  • 사바가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2023년 12월 16일부터 쿠웨이트의 국왕으로 재위 중이며, 내무부 국장, 국민방위군 차관, 왕세자를 역임했고, 국왕 즉위 후에는 국민 의회 해산 및 헌법 조항 효력 정지 등 쿠웨이트 정치에 변화를 가져왔다.
  • 쿠웨이트의 군주 -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나와프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쿠웨이트의 제16대 에미르로서, 여러 장관직과 왕세자를 거쳐 2020년 즉위하여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난관에 직면했으며 2023년 사망하였다.
  • 쿠웨이트의 군주 -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2023년 12월 16일부터 쿠웨이트의 국왕으로 재위 중이며, 내무부 국장, 국민방위군 차관, 왕세자를 역임했고, 국왕 즉위 후에는 국민 의회 해산 및 헌법 조항 효력 정지 등 쿠웨이트 정치에 변화를 가져왔다.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로마자 표기Jābir al-Ahmad al-Jābir as-Sabāh
아랍어 표기الشيخ جابر الأحمد الجابر الصباح
다른 표기ジャービル・アル=アフマド・アッ=サバーハ
출생일1926년 6월 29일
출생지쿠웨이트 시티, 셰이크국 쿠웨이트
사망일2006년 1월 15일
사망지쿠웨이트 시티, 쿠웨이트
매장지술라이비카트 묘지, 쿠웨이트
왕가사바 가문
종교수니파 이슬람교
통치 정보
직책쿠웨이트의 에미르
재위 기간1977년 12월 31일 – 2006년 1월 15일
이전 통치자사바 알살림 알사바
다음 통치자사드 알아브둘라 알살림 알사바
섭정본인 (1977–1978)
사드 알아브둘라 알살림 알사바 (1978–1990) 1차
사드 알아브둘라 알살림 알사바 (1991–2003) 2차
사바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2003–2006)
총리 정보
직책쿠웨이트의 총리
재임 기간1965년 11월 30일 – 1978년 2월 8일
이전 총리사바 알살림 알사바
다음 총리사드 알아브둘라 알살림 알사바
섭정사바 3세
본인
가계 정보
아버지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어머니비비 살렘 무바라크 알사바

2. 어린 시절과 교육

자베르는 1926년 6월 29일 쿠웨이트시티에서 태어났다.[43][4] 아버지는 제10대 쿠웨이트 국장인 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이며, 그의 셋째 아들이다.[44][5] 그는 쿠웨이트 국장 가문인 사바 가문 중 자베르 가문에 속하며, 자베르 2세 국장의 손자이다.

자베르는 알무바라키야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고,[44] 이후 알아흐메디야 학교와 알샤르키야 학교에서 종교, 영어, 아랍어, 과학 등을 공부했다.[44][5] 또한 가정교사를 통해 영어, 아랍어, 종교 및 과학을 개인적으로 배우기도 했다.[5]

3. 경력

1926년 6월 29일, 제10대 쿠웨이트 국장 아흐마드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쿠웨이트의 국장 가문인 사바 가문은 아흐마드의 아버지 세대 형제들로부터 자베르 가문과 살림 가문으로 나뉘는데, 자베르는 같은 이름의 자베르 2세 국장의 손자로 자베르 가문에 속한다.

초기 교육은 무바라키야 학교에서 받았고, 이후 가정교사에게 영어, 아랍어, 과학 등을 배웠다. 1949년 아흐마디 주지사로 임명되어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1962년에는 제1부총리 겸 재무·산업 장관에 취임했다. 1965년, 그의 사촌이자 살림 가문의 사바 국장이 즉위하자 같은 해 수상에 임명되었고, 이듬해인 1966년에는 태자로 지명되었다.

수상으로 12년간 재임하는 동안, 자베르의 주도 하에 쿠웨이트는 증가하는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부족 사회에서 벗어나 경제적, 산업적으로 부유한 현대 사회로 크게 변화했다. 1977년, 사바 국장의 뒤를 이어 쿠웨이트 국장에 즉위했다.

3. 1. 초기 경력

1949년, 아흐마디 주지사로 임명되어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1961년 쿠웨이트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후 이라크가 쿠웨이트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자,[10] 자베르 알사바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랍 연맹에 대표단을 파견했다.[11] 영국은 이라크의 아브드 알 카림 카심 총리에게 군사 행동이 발생할 경우 쿠웨이트를 군사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통보했고, 이는 밴티지 작전(Operation Vantage)으로 이어졌다.[10][12] 이라크는 국경 문제를 제기했지만 1963년 쿠웨이트의 독립을 인정했다.[13]

1961년 쿠웨이트 아랍 경제 개발 기금(Kuwait Fund for Arab Economic Development) 개설식에서의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1962년, 재무부(Ministry of Finance (Kuwait))가 설립되자 초대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43][7] 재무부 장관으로서 그는 새로운 쿠웨이트 디나르(Kuwaiti dinar)를 도입하여 유통시키고, 쿠웨이트 통화위원회(Kuwaiti Currency Board)를 설립하여 위원장을 맡았다. 또한, 1962년부터 1964년까지 쿠웨이트 아랍 경제 개발 기금(Kuwaiti Fund for Arab Economic Development)의 초대 의장을 역임했다.[8] 이 기금은 개발도상국에 재정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했으며,[45] 쿠웨이트의 풍부한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운영되었다.[9][46] 이 시기 쿠웨이트는 석유 자원을 통해 전통적인 해양 사회에서 현대적인 국가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었으며, 기금은 초기 5개국 지원 및 8개국 융자를 시작으로 점차 지원 대상을 확대해 나갔다.[9][46] 현재 이 기금은 103개국을 지원하고 있다.[45]

1965년, 그의 사촌이자 살림 가문의 사바 3세 알살림 알사바가 쿠웨이트 국장으로 즉위하자 같은 해 수상에 취임했다. 이듬해인 1966년에는 태자로 지명되었다.

그는 12년 동안 수상으로 재임했으며, 이 기간 동안 쿠웨이트 사회는 증가하는 석유 수입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부족 사회에서 벗어나 경제적, 산업적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부유하고 도시화된 현대 사회로 큰 변화를 겪었다.

3. 2. 국왕 즉위 (1977년)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태자 시절부터 석유 수입에 따른 쿠웨이트의 급속한 근대화를 경험했다. 국왕으로 즉위한 이후에는 석유 자금을 바탕으로 한 경제 협력을 통해 주변 아랍 개발도상국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작은 나라인 쿠웨이트의 안전을 확보하는 외교 전략을 펼쳤다.

1979년 이웃 이란에서 이란 혁명이 일어나 팔라비 왕조가 무너졌다. 쿠웨이트는 인구의 약 40%가 시아파이고, 집권 사바흐가와 같은 종파인 수니파의 비율은 35%를 넘었다. 당시 쿠웨이트 내 시아파는 주류 정치에서 배제되어 있었기에, 이란의 이슬람 혁명 수출은 쿠웨이트 정권에 큰 위협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쿠웨이트는 비록 이라크 국민 다수가 시아파였음에도 불구하고 사담 후세인바트당 정권을 지원했다. 이는 이란 혁명의 확산을 막으려는 목적이었다.

국내적으로는 1962년부터 운영된 단원제 국민 의회에서 성장한 야당 세력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1986년에는 긴급 조치권을 발동하여 의회를 해산시키는 등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강화했다. 또한 1985년 5월에는 이슬람 과격파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폭탄 테러 공격을 받았으나 목숨을 건졌다.

3. 3. 이란-이라크 전쟁 (1980-1988)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어진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쿠웨이트는 지리적으로 전쟁 당사국 사이에 위치하게 되었다. 이는 쿠웨이트에게 상당한 안보 위협으로 다가왔다.

1979년 이란에서 발생한 이슬람 혁명으로 군주제가 무너지고 시아파 중심의 공화국이 들어서자, 수니파인 사바흐 가문이 통치하고 인구의 약 40%가 시아파인 쿠웨이트는 이슬람 혁명이 자국으로 확산될 것을 크게 우려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쿠웨이트는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라크사담 후세인 정권을 지원하는 입장을 취했다. 이는 시아파가 다수인 이라크를 지원함으로써 이란의 혁명 수출을 견제하려는 의도였다.

전쟁 기간 동안 쿠웨이트는 폭격을 비롯한 여러 안보 위협에 시달렸다. 특히 1983년부터 1988년 사이에는 일련의 폭탄 테러가 발생하기도 했다. 1985년 5월에는 자베르 국왕이 이슬람 과격파의 차량 폭탄 테러 공격을 받았으나 목숨을 건졌다.[47] 이듬해인 1986년에는 쿠웨이트의 주요 정유 시설이 공격받아 국가 경제의 근간인 석유 산업이 마비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48][14][15]

이러한 위기 상황 속에서 자베르 국왕은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주변 아랍 개발도상국에 경제적 지원을 제공하며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이를 통해 작은 나라인 쿠웨이트의 안보를 확보하려는 전략을 추진했다. 한편, 국내적으로는 1962년부터 운영되어 온 단원제 국민 의회에서 야당 세력이 성장하자, 1986년 비상 대권을 발동하여 의회를 해산시키는 등 권위주의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3. 4. 걸프 전쟁 (1990-1991)

이란-이라크 전쟁 종전 후 1980년대 후반, 원유 가격 하락과 루마이라 유전 개발 문제를 둘러싸고 이라크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양국 간의 긴장은 고조되었다.[16][17] 결국 1990년 8월 2일, 이라크군은 쿠웨이트를 기습적으로 침공하여 전 국토를 점령하고 꼭두각시 정권인 쿠웨이트 공화국을 세웠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당시 이라크 침략군의 임무 중 하나는 자베르를 사로잡거나 제거하는 것이었다고 한다.[49][50][16][17] 그러나 자베르는 침공 몇 시간 만에 정부 각료들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하여 이러한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후위를 맡았던 그의 동생 파하드(Fahd Al-Ahmad Al-Jaber Al-Sabah)는 다스만 궁전에서 벌어진 전투 중 전사하였다.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에서 자베르는 쿠웨이트 망명정부를 수립하고[18]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등 국제 사회에 적극적으로 지원을 요청하며 이라크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위한 외교 활동을 벌였다.[16][17] 이라크의 침공에 대응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군이 페르시아만 연안에 배치되었고, 1991년 1월 17일 걸프 전쟁이 발발했다.

다국적군의 군사 작전으로 쿠웨이트는 해방되었고, 전쟁은 1991년 2월 28일에 종결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자베르는 즉시 귀국하지 않고 사우디아라비아에 머물며 쿠웨이트에 3개월간의 계엄령을 선포했는데, 이는 작은 입헌 군주국에서 군주가 과도한 권력을 행사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51][19] 자베르는 미국 주도의[20][21] 쿠웨이트 해방 및 이라크군 철수 노력이 완료된 후인 1991년 3월 15일에 쿠웨이트로 돌아와[3][22] 사바 가문에 의한 군주제를 복원시켰다. 걸프 전쟁 이후 자베르는 미국과의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친미 노선을 채택하는 한편, 여성 참정권 부여 등 일부 사회 개혁에 착수했다.

3. 4. 1. 망명 정부의 역할

조지 H. W. 부시 대통령과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1990년 백악관 남쪽 잔디밭에서.


1990년 이라크쿠웨이트 침공 당시, 일부 자료에 따르면 이라크군의 임무 중 하나는 자베르를 포로로 잡거나 사살하는 것이었다고 한다.[49][50][16][17]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자베르와 그의 정부가 침공 몇 시간 만에 사우디아라비아로 신속히 망명하면서 무산되었다. 그들은 사우디아라비아 타이프의 한 호텔에서 쿠웨이트 망명정부를 수립하고 운영하기 시작했다.[50][18]

쿠웨이트 망명 정부는 역대 망명 정부 중에서도 상당히 효율적으로 운영된 사례로 평가받는다.[49][50] 타이프에서 자베르는 정부를 구성하여 쿠웨이트 내부에 남아있는 국민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 망명 정부는 군인과 민간인으로 구성된 지하 무장 저항 활동을 은밀히 지휘했으며, 과거 석유 수출로 축적해 둔 국가 기금을 활용하여 쿠웨이트 내 국민들에게 응급 치료와 같은 필수적인 공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49][50][16][17]

동시에 자베르와 그의 정부는 걸프 전쟁 발발 이전부터 전쟁 기간 동안 이라크에 대항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군사적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인 외교 활동을 펼쳤다.[16][17]

1991년 1월 17일, 미국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군이 개입하면서 걸프 전쟁이 발발했고, 쿠웨이트는 해방되었다. 전쟁이 1991년 2월 28일에 종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베르는 즉시 귀국하지 않고 사우디아라비아에 머물며 쿠웨이트에 3개월간의 계엄령을 선포했다. 이 조치는 작은 입헌 군주국의 지도자가 과도한 권력을 행사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51][19] 계엄령 선포는 쿠웨이트 내에 남아있을 수 있는 이라크 세력이 정부 전복을 시도하는 것을 막고 국가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계엄 당국은 자베르와 정부가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도록 국가를 안정시키는 임무를 수행했다.[51][22]

자베르는 미국 주도의[20][21] 쿠웨이트 해방 노력이 결실을 맺은 후인 1991년 3월 15일에 쿠웨이트로 돌아왔다.[3][52][22] 귀국 당시 그의 궁전은 파괴된 상태였기 때문에, 한 부유한 쿠웨이트인의 개인 주택에 머물러야 했다.[23] 그의 귀국은 수십 대의 차량 행렬이 경적을 울리고 국기를 흔들며 뒤따르는 상징적인 모습으로 이루어졌으나,[23] 일각에서는 망명 과정에서의 대처 등에 대한 실망감으로 인해 국민들의 반응이 비교적 냉담했으며, 환영 인파도 약 5천 명 정도에 그쳤다는 평가도 있다.

3. 5. 걸프 전쟁 이후



1990년 이라크쿠웨이트 침공 당시, 이라크군은 자베르 국왕을 사로잡거나 제거하려 했다는 주장이 있다.[16][17] 그러나 침공 몇 시간 만에 자베르 국왕과 정부는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하여 타이프의 한 호텔에서 망명 정부를 운영했다.[18]

망명 정부는 쿠웨이트 내 국민들과 소통하며 군인과 민간인으로 구성된 지하 무장 저항을 지휘했고, 기존에 축적된 석유 수입을 통해 응급 치료와 같은 공공 서비스를 제공했다.[16][17] 또한 자베르 국왕과 정부는 걸프 전쟁 전후로 이라크에 대항하기 위한 국제적인 군사 지원을 얻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1991년 2월 28일 걸프 전쟁이 끝나고 미국 주도의 다국적군[20][21] 덕분에 쿠웨이트가 해방되자[3], 자베르 국왕은 1991년 3월 15일 쿠웨이트로 돌아왔다.[22] 귀국 직후 3개월간 계엄령을 선포했는데, 이는 이라크 잔존 세력의 위협을 막고 국가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였으나,[22] 일각에서는 권력을 강화하려는 시도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19] 귀국 당시 그의 궁전은 파괴되어 부유한 쿠웨이트인의 개인 주택에 머물러야 했다.[23] 일부 시민들이 차량 행렬을 따라가며 환영했지만,[23] 망명 당시의 대처 등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인해 국민들의 반응은 이전과 달리 다소 냉담했으며, 귀국 환영 인파는 약 5천 명 정도에 그쳤다는 기록도 있다.

전후 자베르 국왕은 쿠웨이트 재건에 힘썼으나 경제 및 재정적으로는 장기간의 불황이 이어졌다. 국내외의 개혁 요구에 따라 1992년에는 의회를 재개했지만, 이후 정부와 의회 간의 대립이 반복되었다.

3. 5. 1. 친미 외교 강화

1990년 이라크쿠웨이트 침공을 겪고 이듬해인 1991년 걸프 전쟁을 통해 국토를 회복한 이후,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친미 노선을 강화하는 외교 정책을 펼쳤다.

이라크가 쿠웨이트 침공의 명분으로 사바흐 가문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을 내세웠기 때문에, 국내외적으로 개혁 요구가 높아졌다. 이에 따라 1992년 의회를 재개했지만, 정부와 의회 간의 대립은 계속되었다. 1999년 5월에는 종교부의 코란 오자(誤植) 문제를 둘러싸고 의회가 관계 각료의 사퇴를 요구하며 정부와 대립하자,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의회를 해산시켰다. 의회 해산 시기를 이용하여 여성 참정권을 인정하는 국왕령을 발표했으나, 이는 의회를 무시하는 처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결국 7월에 새로 구성된 의회(자유주의파 16석, 친정부파 14석)는 11월에 이 국왕령을 철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녀평등을 추진하려는 시도는 인권 존중이라는 관점에서 국제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외교 및 안보 측면에서는 친미 노선을 더욱 강화했다. 특히 2003년 이라크 침공 당시, 사우디아라비아의 통치 가문과는 달리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는 미국이 쿠웨이트를 기지로 사용하는 것을 공개적으로 허용했다.[3] 이로 인해 쿠웨이트는 미군의 가장 중요한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2000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 페르시아 만 심해 대륙붕의 해상 국경 획정 협정을 조인했다.

2001년 뇌출혈로 쓰러진 후 투병 생활을 이어가다 2006년 1월 15일 서거했다. 내각은 살림 가문의 사드를 후계 수장으로 지명했다.

4. 개인 생활 및 죽음

알무바라키야 학교 최초 소년 스카우트(1936~1938) 사진. 자베르 알아마드 알사바는 왼쪽에서 세 번째이다.


자베르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의 사생활, 특히 가족 관계는 다소 복잡하다. 그가 정확히 몇 명의 부인을 두었는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40명 이상의 자녀를 둔 것으로 알려져 있다.[52] 다른 기록에 따르면 1997년까지 최소 4명의 부인과 7명의 자녀를 두었다고도 한다.[24]

2001년 9월, 그는 뇌졸중을 겪고 치료를 위해 영국으로 갔다.[53][25] 이후 2001년에 발병한 뇌출혈의 후유증으로 투병 생활을 이어가다 2006년 1월 15일, 79세의 나이로 서거했다.[53][25] 그의 서거 후 왕세자였던 사드 알압둘라 알살림 알사바가 왕위를 계승했다.[43][4]

쿠웨이트 정부는 40일간의 애도 기간을 선포하고 사흘간 모든 공무를 중단했다.[54][26] 그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도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

자베르 국왕 서거에 따른 국가별 애도 기간
국가애도 기간
바레인40일[27]
요르단7일[28]
예멘3일[29]
이집트3일[30]
이라크3일[31]
알제리3일[32]
오만3일[33]
시리아3일[34]
파키스탄3일[35]
모리셔스3일[36]
팔레스타인 자치정부3일[37]
인도1일[38]



그는 술라이비카트 묘지에 다른 친족들과 함께 안장되었다.[39]

참조

[1] 서적 Persian Gulf States: Kuwait, Qatar, Bahrain, Oman,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 뉴스 Obituary: Sheikh Jaber, Emir of Kuwait http://news.bbc.co.u[...] 2006-01-15
[3] 뉴스 The Emir of Kuwait https://www.theguard[...] 2006-01-16
[4] 뉴스 His Highness Sheikh Jaber III https://www.telegrap[...] 2006-01-16
[5] 백과사전 Jaber Al-Ahmad Al-Jaber Al-Sabah http://www.encyclope[...] 2014-10-24
[6] 웹사이트 When our flag lost its sky … and only hearts remembered https://web.archive.[...] 2013-11-04
[7] 웹사이트 وزارة المالية - دولة الكويت https://www.mof.gov.[...]
[8] 서적 The Making of the Modern Gulf states Kuwait, Bahrain, Qatar,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Oman Unwin Hyman
[9] 웹사이트 Kuwait Fund for Arab Economic Development – Timeline http://www.kuwait-fu[...] 2009-11-30
[10] 뉴스 KUWAIT CRISIS FORESHADOWED BY '61 AFFAIR https://www.washingt[...] 1991-04-02
[11] 백과사전 Sheikh Jābir al-Aḥmad al-Jābir al-Ṣabāḥ emir of Kuwait https://www.britanni[...]
[12] 웹사이트 Britain proved to be great partner in good and bad times: Foreign Minister https://news.kuwaitt[...] 2019-01-23
[13] 웹사이트 Iraq's invasion of Kuwait 30 years ago set up the demise of its sovereignty https://www.trtworld[...] 2020-08-03
[14] 뉴스 Emir of Kuwait's motorcade bombed on highway https://news.google.[...] 1984-05-24
[15] 서적 Making of the Modern Persian Gulf States: Kuwait, Bahrain, Qatar,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Oman Unwin Hyman
[16] 뉴스 Confrontation in the Gulf: Man in the News; The Exiled Emir: Sheikh Jaber al-Ahmad al-Jaber al-Sabah https://www.nytimes.[...] 1996-09-26
[17] 웹사이트 Sheikh Saad Al- Abdullah Al-Salem Al-Sabah, the 14th Ruler and 4th Emir http://www.da.gov.kw[...] 2024-09-00
[18] 웹사이트 Sheikh Saad Abdullah Al-Salem Al-Sabah, the 14th Ruler and 4th Emir https://web.archive.[...] 2016-05-24
[19] 뉴스 After the War: Kuwait City; Nagging Question Lies Beneath Kuwait's Rejoicing: When Is the Emir Coming Home? 1997-03-04
[20] 웹사이트 U.S. Relations With Kuwait https://www.state.go[...] 2021-10-16
[21] 웹사이트 Kuwait's love for America, Bush softens with rethinking about U.S. policy in gulf https://www.baltimor[...] 2021-10-16
[22] 뉴스 After the War: Kuwait; Kuwaiti Emir, Tired and Tearful, Returns to His Devastated Land 1991-03-15
[23] 뉴스 After the War: Kuwait: Kuwaiti Emir, Tired and Tearful, Returns to His Devastated Land https://web.archive.[...] 1991-03-15
[24] 뉴스 After the War: Kuwait; Kuwaiti Emir, Tired and Tearful, Returns to His Devastated Land 1997-03-15
[25] 뉴스 Emir of Kuwait dies http://www.thefreeli[...] 2006-01-16
[26] 뉴스 Sheik Jaber al-Ahmad al-Sabah, the Leader of Kuwait for 28 Years, is Dead at 79 https://www.nytimes.[...] 2006-01-16
[2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3-21
[2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3-21
[29] 웹사이트 - 3 days mourning for the death of Emir of Kuwait Sheikh Jabir al-Sabah http://www.almotamar[...]
[3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3-21
[3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1-15
[32]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1-15
[3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1-07
[3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09-03-21
[35] 웹사이트 KUNA : Pakistan announces three-day mourning on sad demise of H.H. Amir of Kuwait https://www.kuna.net[...] 2006-01-15
[36] 뉴스 Mauritanians mourn late Kuwait Emir http://m.portalangop[...] 2023-04-00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00으로 표기
[3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kuna.net.[...] 2022-05-15
[3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kuna.net.[...] 2022-05-15
[39] 웹사이트 Kuwait's Emir Sheikh Jaber buried http://news.bbc.co.u[...] 2006-01-15
[40] 서적 세계王朝王名総覧 및 세계석유전쟁
[41] 서적 Persian Gulf States: Kuwait, Qatar, Bahrain, Oman, and the United Arab Emirates Britannic Educational Publishing 2011-00-00 #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 00으로 표기
[42] 뉴스 Obituary: Sheikh Jaber, Emir of Kuwait http://news.bbc.co.u[...] BBC 2006-01-15
[43] 뉴스 His Highness Sheikh Jaber III http://www.telegraph[...] 2006-01-16
[44] 웹사이트 Jaber Al-Ahmad Al-Jaber Al-Sabah http://www.encyclope[...] 2014-10-24 # accessdate를 date로 처리
[45] 서적 Making of the Modern A Arabian Gulf states Kuwait, Bahrain, Qatar,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Oman Unwin Hyman 1989-00-00 #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 00으로 표기
[46] 웹사이트 Kuwait Fund for Arab Economic Development – Timeline http://www.kuwait-fu[...] 2009-11-30
[47] 뉴스 Emir of Kuwait's motorcade bombed on highway http://news.google.c[...] 1984-05-24
[48] 서적 Making of the Modern Persian Gulf States: Kuwait, Bahrain, Qatar,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Oman Unwin Hyman 1989-00-00 # 정확한 날짜 정보가 없어 00으로 표기
[49] 뉴스 Confrontation in the Gulf: Man in the News; The Exiled Emir: Sheik Jaber al-Ahmad al-Jaber al-Sabah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1996-09-26
[50] 웹사이트 Sheikh Saad Abdullah Al-Salem Al-Sabah, the 14th Ruler and 4th Emir http://www.da.gov.kw[...] 2016-05-24 #웨이백 머신 날짜를 date로 처리
[51] 뉴스 After the War: Kuwait City; Nagging Question Lies Beneath Kuwait's Rejoicing: When Is the Emir Coming Home? The New York Times 1997-03-04
[52] 뉴스 After the War: Kuwait; Kuwaiti Emir, Tired and Tearful, Returns to His Devastated Land The New York Times 1997-03-15
[53] 뉴스 Emir of Kuwait dies http://www.thefreeli[...] 2006-01-16
[54] 뉴스 Sheik Jaber al-Ahmad al-Sabah, the Leader of Kuwait for 28 Years, Is Dead at 79 http://www.nytimes.c[...] The New York Times 2006-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