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완상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팔완상목은 두족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8개의 팔을 가지며 각 팔에는 흡반이 2열 또는 1열로 배열되어 있다. 조개 껍질은 퇴화하여 없어졌거나 연골 형태로 남아있다. 팔완상목은 흡혈오징어목과 문어목으로 나뉘며, 멸종된 분류군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팔완상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류 | |
학명 | Octopodiformes |
명명자 | Fuchs, Von Boletzky, & Tischlinger, 2010 |
하위 그룹 | 본문 참조 |
이명 | Octobrachia Fiorini, 1981 Vampyropoda Boletzky, 1992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연체동물문(Mollusca) |
강 | 두족강(Cephalopoda) |
아강 | 초형아강(Coleoidea) |
상목 | 팔완상목 (Octopodiformes) |
화석 기록 | |
화석 범위 | 쥐라기 전기 - 현재 |
설명 | 간기 옥토푸스 줄기 그룹의 가장 오래된 화석은 세르푸호프절(후기 미시시피기)에 나타났다. |
2. 특징
8개의 다리(팔)를 가지고 있으며, 각 다리에는 흡반이 1열 또는 2열로 배열되어 있다.[9] 조개 껍질은 퇴화하여 없어졌거나 연골 형태로 남아있다.[9]
팔완상목의 생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팔완상목은 크게 흡혈오징어목과 문어목으로 나뉜다.[1]
3. 생태
4. 분류
† Trachyteuthididae 과[1]는 목 분류가 불확실(''incertae sedis'')하며, 과 분류가 불확실한(''incertae sedis'') † 속으로는 ''Keuppia''[3], ''Palaeoctopus''[5], ''Paleocirroteuthis''[7], ''Pohlsepia''[9], ''Proteroctopus'', ''Styletoctopus'' 등이 있다.
4. 1. 흡혈오징어목 (Vampyromorphida)
흡혈오징어목은 흡혈오징어과의 유일종인 흡혈오징어를 포함한다.
4. 1. 1. 흡혈오징어과 (Vampyromorphidae)
흡혈오징어목
4. 2. 문어목 (Octopoda)
문어목(Octopoda)은 크게 유촉모아목(Cirrina)과 무촉모아목(Incirrina)으로 나뉜다. 유촉모아목은 다리에 촉모(cirri)가 있는 문어류이고, 무촉모아목은 촉모가 없는 문어류이다. 그 외에 과 분류가 불확실한(''incertae sedis'') † 속으로는 ''Keuppia'', ''Palaeoctopus'', ''Paleocirroteuthis'', ''Pohlsepia'', ''Proteroctopus'', ''Styletoctopus'' 등이 있다.
4. 2. 1. 유촉모아목 (Cirrina)
유촉모아목은 다리에 촉모(cirri)를 가진 문어류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우무문어과(Opisthoteuthidae), Cirroteuthidae, Stauroteuthidae가 속한다.
4. 2. 2. 무촉모아목 (Incirrina)
무촉모아목(Incirrina)은 다리에 촉모가 없는 문어류를 포함한다.4. 3. †절멸 분류군
팔완상목에는 다음과 같은 멸종된 분류군이 포함된다.
참조
[1]
논문
Anatomy and evolution of the first Coleoidea in the Carboniferous
2019-07-31
[2]
논문
New evidence of functional suckers in belemnoid coleoids (Cephalopoda) weakens support for the 'Neocoleoidea' concept
[3]
논문
New evidence of functional suckers in belemnoid coleoids (Cephalopoda) weakens support for the 'Neocoleoidea' concept
[4]
논문
Fossil coleoid cephalopod from the Mississippian Bear Gulch Lagerstätte sheds light on early vampyropod evolution
2022-03-08
[5]
논문
Revisiting the identification of ''Syllipsimopodi bideni'' and timing of the decabrachian-octobrachian divergence
[6]
논문
Reply to: Revisiting the identification of ''Syllipsimopodi bideni'' and timing of the decabrachian-octobrachian divergence
[7]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Octopodoidea d'Orbigny, 1840
https://www.marinesp[...]
2023-04-20
[8]
웹사이트
WoRMS -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 Amphitretidae Hoyle, 1886
https://www.marinesp[...]
2023-04-20
[9]
웹사이트
東京大学総合博物館
https://www.um.u-tok[...]
2022-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