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팽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팽후는 중국과 일본의 전설에 등장하는 요괴이다. 중국에서는 1000년 된 나무에 깃든다고 전해지며, 《수신기》에 따르면 사람의 얼굴을 한 개의 모습으로 나타나 삶아 먹으면 개의 맛이 난다고 묘사된다.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에 팽후의 이름이 전해졌으며, 괴담집, 백과사전, 요괴 화집 등에서 중국의 요괴로 소개되었다. 일본에서는 산의 메아리 현상인 야마비코와 동일시되기도 했으며, 야마비코의 모습이 팽후를 모델로 했다는 설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신기의 요괴 - 정괴
  • 신화의 나무 - 세계수
    세계수는 여러 문화권 신화에서 하늘, 땅, 지하 세계를 잇는 우주의 축이자 세계의 중심으로 여겨지는 보편적인 상징이며, 특히 북유럽 신화의 유그드라실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신화의 나무 - 로터스 나무
  • 신화의 개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신화의 개 - 헤카베
    헤카베는 프리아모스의 아내이자 헥토르, 파리스, 카산드라 등 많은 자녀를 둔 트로이의 여왕으로, 트로이 전쟁과 관련된 신화와 문학 작품에서 비극적인 운명을 겪는 인물로 묘사된다.
팽후
기본 정보
팽후 그림
팽후 그림
종류요괴
기원중국 전설
출현 장소나무
문화권중국, 일본
이름
한자彭侯
로마자 표기Pénghóu
일본어彭侯 (ほうこう, Hōkō)
한국어팽후
특징
외형검은 개 형상, 머리 없고 몸통만 존재
능력인간의 말을 이해하고 구사, 예언 능력 (나무 벌목 시 끔찍한 일 예언)
상세 정보
유래오나라 장군에게 베어진 나무에서 나타난 요괴
잘린 나무 그루터기에서 식초 맛이 나는 요괴
일본에서의 변화머리 달린 원숭이 형상으로 변화
닌자에게 잡혀 기름으로 끓여짐
기타꼬리 개수로 나이 판단
도쿄의 한 사찰에 팽후의 석비 존재
관련 기록
중국 문헌수신기
관련 문화
일본 에도 시대백물어 평판에 등장

2. 중국의 전승

팽후는 1000년 된 나무에 깃든다고 전해진다. 중국의 괴이 설화집인 수신기에 따르면, 오나라 시대에 경숙이라는 인물이 녹나무 거목을 베자 피가 흐르고 사람의 얼굴을 한 개와 같은 팽후가 나타났으며, 삶아 먹으니 개의 맛이 났다고 한다.[1] 또한 백택이 말한 마물 등의 이름을 기록한 백택도 속에 팽후의 이름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1]

2. 1. 『수신기』의 기록

오나라 시대에 경숙이라는 인물이 녹나무 거목을 베자 피가 흐르고 사람의 얼굴을 한 개와 같은 팽후가 나타났으며, 삶아 먹으니 개의 맛이 났다고 한다. 수신기에 따르면 백택이 말한 마물 등의 이름을 기록한 백택도 속에 팽후의 이름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1]

2. 2. 백택도

수신기에 따르면, 오 시대에 경숙이라는 인물이 녹나무 거목을 베자 피가 흐르고 사람의 얼굴을 한 개와 같은 팽후가 나타났으며, 삶아 먹으니 개의 맛이 났다고 한다. 또한 같은 책에 따르면, 중국의 성스러운 짐승인 백택이 말한 마물 등의 이름을 기록한 백택도 속에 팽후의 이름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1]

3. 일본의 팽후

팽후(彭侯)는 에도 시대 일본에 전해져 당시 괴담집 『고금백물어평판』[2], 백과사전 『화한삼재도회』, 토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화집 『지금 옛날 백귀습유』 등에 중국 요괴로 소개되었다.

3. 1. 『고금백물어평판』

에도 시대 일본의 괴담집 『고금백물어평판』[2], 백과사전 『화한삼재도회』, 토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화집 『지금 옛날 백귀습유』에는 팽후가 중국 요괴로 소개되어 있다. 『화한삼재도회』에서는 『본초강목』을 인용하여 경숙의 일화를 언급하며, 팽후를 나무의 또는 나무 도깨비(코다마)라고 설명한다.[3]

산속에서 소리가 반향되는 현상인 야마비코는 코다마(나무의 영)가 일으킨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과거에는 팽후가 야마비코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에도 시대 요괴 화집인 『백괴도권』이나 『화도백귀야행』 등에 나오는, 개와 비슷한 모습의 야마비코 요괴 그림은 팽후를 모델로 했다는 설도 있다.[4]

3. 2. 『화한삼재도회』

화한삼재도회』에서는 본초강목에서 인용한 경숙(敬叔)의 일화를 언급하며, 팽후를 나무의 또는 나무 도깨비(코다마)라고 설명하고 있다.[3]

3. 3. 『금석백귀습유』

에도 시대 일본의 괴담집 『고금백물어평판』[2], 백과사전 『화한삼재도회』, 토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화집 『지금 옛날 백귀습유』에는 팽후가 중국 요괴로 소개되어 있다. 『화한삼재도회』는 『본초강목』을 인용해 경숙의 일화를 언급하며, 팽후를 나무의 또는 나무 도깨비(코다마)라고 설명한다.[3]

산속에서 소리가 울리는 현상인 야마비코는 코다마(나무의 영)가 일으킨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과거에는 팽후와 야마비코를 같은 것으로 보기도 했다. 에도 시대 요괴 화집인 『백괴도권』, 『화도백귀야행』 등에 나오는 개와 비슷한 모습의 야마비코 요괴 그림은 팽후를 모델로 했다는 설도 있다.[4]

3. 4. 야마비코와의 관련성

에도 시대 일본의 괴담집 『고금백물어평판』[2], 백과사전 『화한삼재도회』, 토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화집 『지금 옛날 백귀습유』 등에는 팽후가 중국 요괴로 소개되어 있다. 『화한삼재도회』에서는 『본초강목』을 인용, 경숙의 일화를 언급하며 팽후를 나무의 또는 나무 도깨비(코다마)라고 하였다.[3]

산속 소리 반향 현상인 야마비코는 코다마(나무의 영)가 일으킨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에, 과거에는 팽후가 야마비코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에도 시대 요괴 화집인 『백괴도권』이나 『화도백귀야행』 등에 있는, 개와 비슷한 야마비코 요괴 그림은 이 팽후를 모델로 했다는 설도 있다.[4]

참조

[1] 서적 捜神記 平凡社
[2] 서적 江戸怪談集 岩波書店
[3] 서적 和漢三才図会 平凡社
[4] 서적 妖怪図巻 国書刊行会
[5] 서적 捜神記 平凡社
[6] 서적 江戸怪談集 岩波書店
[7] 서적 和漢三才図会 平凡社
[8] 서적 妖怪図巻 国書刊行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