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녹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나무는 상록 활엽수로, 키가 8~25m까지 자라는 대교목이다. 수피는 갈색에서 암갈색이며, 잎은 뾰족한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잎을 비비면 장뇌 냄새가 난다. 초여름에 흰색 또는 황록색 꽃이 피고, 가을에는 검은색 장과가 열린다. 녹나무는 장뇌와 목재 생산을 위해 재배되며, 약재 및 방충제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신성한 나무로 여겨져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상징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호주 등지에서는 침입종으로 지정되어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녹나무는 다양한 화학 성분을 포함하며, 원산지에 따라 화학 성분 구성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효고현의 상징 - 황새
    황새는 흰색 몸과 검은 날개, 긴 목둘레 깃털을 가진 동아시아 서식 육식성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위기에 처해 국제적 보호를 받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복원 노력이 진행 중이다.
  • 가고시마현의 상징 - 사쿠라지마섬
    사쿠라지마섬은 가고시마만(錦江湾)에 위치한 활화산 섬으로, 가고시마시의 일부이며, 잦은 화산 활동과 1914년 다이쇼 대분화로 오스미 반도와 육지로 연결된 독특한 지형과 생활 문화를 가진 곳이다.
  • 사가현의 상징 - 유라시아까치
    유라시아까치는 유라시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까마귀과 조류로, 6개의 아종이 존재하며 잡식성이고 높은 지능과 사회적 행동을 보이며 각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녹나무
식물 정보
일본에서 10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녹나무
학명Cinnamomum camphora
이명Laurus camphora L.
Persea camphora (L.) Spreng.
Cinnamomum camphora (L.) J.Presl.
Camphora officinalis Steud.
Camphora camphora (L.) H. karst.
니케속
녹나무
학명 명명자Nees
일반 정보
한국어 이름녹나무
영어 이름Camphor Laurel
분류 정보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목련군
녹나무목
녹나무과
추가 정보
다른 이름楠 (일본어)

2. 형태

녹나무는 상록 활엽수로, 대교목은 높이가 8~25미터 정도이며 둘레가 3m 이상 되는 거목이 많다. 생장 속도가 빠르며 따뜻한 지역에서 특히 잘 자란다. 큰 것은 높이 30m 이상, 가슴높이둘레 22m 이상, 수령 약 800년인 거목도 있다. 수관도 크게 퍼져 자라며 단목일 경우 둥근 수형을 이룬다. 겨울눈은 적갈색의 장타원형이며 눈비늘에 덮여 있고 털이 있다. 1년생 가지는 녹색 또는 갈색이며 광택이 있다. 절단면의 수는 백색이며 오각형이다.[19]

일본에서는 '쿠스노키(クスノキ)'라고 불리며, 둘레가 20m가 넘는 나무 다섯 그루가 알려져 있다. 그중 가장 큰 나무는 가고시마현 가모(蒲生)의 '가모의 오오쿠스'(蒲生の大楠, "가모의 큰 녹나무")로 24.22m에 달한다.[4]

홍콩의 녹나무 숲

2. 1. 잎

잎은 광택이 나는 왁스 같은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으깨면 장뇌 냄새가 난다. 봄에는 밝은 녹색의 잎과 함께 아주 작은 흰색의 향기로운 이 무리지어 핀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향기로운 나무"라는 뜻의 香樟|샹 장중국어이라고 부른다.[4]

녹나무는 상록 활엽수이다. 잎은 어긋나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기가 있고 뒷면은 회녹색이다. 잎몸은 가죽질이며 길이 5cm~11cm의 뾰족한 난형에서 타원형이다. 잎 표면과 뒷면 모두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물결 모양이다. 주맥의 밑 부분에서 좌우로 한 쌍의 다소 굵은 측맥이 나오는 삼행맥이지만 어린 나무의 경우에는 잘 보이지 않고 우상맥처럼 보이기도 한다.

삼행맥의 분기점에는 약 1mm 정도의 한 쌍의 작은 혹이 있으며 이 안쪽에는 공동이 있어 잎의 뒷면에서 개구하고 있다. 이것을 진드기방이라고 한다. 봄에 돋는 어린잎은 처음에는 붉은색을 띠다가 밝은 녹색이 되며, 잎자루가 붉은색인 것과 녹색인 것이 있는데 붉은색인 것이 많아 전체적으로 시각적으로 붉게 보인다. 잎의 수명은 거의 1년이며 봄(4월 말~5월 초순)에 새잎이 나올 때 헌잎이 붉게 단풍이 들어 일제히 낙엽진다.

2. 2. 꽃과 열매

잎은 광택이 나는 왁스 같은 외관을 가지고 있으며, 으깨면 장뇌 냄새가 난다. 봄에는 밝은 녹색의 잎과 함께 아주 작은 흰색의 향기로운 이 무리지어 핀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향기로운 나무"라는 뜻의 香樟|샹 장중국어이라는 이름이 붙었다.[4] 꽃은 초여름(5~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를 곧추세워 지름 5mm 정도의 작은 꽃이 많이 핀다.[19] 꽃 색깔은 처음에는 흰색이지만 나중에 황록색을 띤다. 꽃덮이조각은 6개이다.

열매는 지름이 약 1cm 정도 되는 검은색의 장과 같은 열매이다.[4] 가을(10~11월)에 익으며, 지름 7~9mm 정도의 구형으로 처음에는 연녹색이지만 11~12월이 되면 검게 익는다. 과피 안에는 지름 5~6mm 정도의 종자가 하나 들어 있다. 새가 먹고 종자를 퍼뜨리지만 사람이 먹을 수는 없다. 종자는 산지에 따라 크기에 차이가 있다고 한다.[18]

2. 3. 수피와 가지

녹나무의 수피는 옅은 색을 띠며 매우 거칠고 세로로 갈라져 있다.[4] 갈색에서 암갈색을 띠며 세로로 가늘고 짧게 갈라진다.[19] 어린 가지는 털이 없고 황록색이다.[19] 중국에서는 "향기로운 나무"라는 뜻으로 香樟중국어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 생태

호주에서는 자주색 갈색눈나비와 흔한 붉은눈나비의 유충이 녹나무를 먹고 자란다.[6] 녹나무는 알레로파시가 강하여 다른 식물의 생장을 방해한다는 보고가 있다.[21]

녹나무는 음수이지만 생장이 빠르고, 빠르게 수관에 도달하여 우점하는 전략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22][23] 잎의 수명은 약 1년이며, 4월경에 낙엽이 지지만 곧바로 새싹이 나오므로 상록수로 보인다. 새싹이 돋아나는 시점부터 광합성 능력이 높고, 낙엽수 중 생장이 매우 빠른 느티나무와 유사하다.[24]

해안 지대, 사찰 경내, 도시 공원 등 건조한 지역에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내건성이 잘 연구되어 있다.[25][26] 내염성도 비교적 높아 해수가 침수되는 상황에서도 맹아갱신으로 재생한다.[27]

잎은 아오스지나비 유충의 먹이로 알려져 있으며, 까마귀는 새싹을 먹는다고 한다.[28]

난지의 반그늘을 좋아하고 추위에는 약하며, 사력토에서 잘 자라고 뿌리는 깊게 뻗는다. 식재 적기는 3월 중순~4월 하순, 6월 하순~7월 상순, 9월이며, 정식은 5월~9월, 전정은 3월 하순~4월에 실시한다. 시비는 필요 없다.

3. 1. 진드기방 (domatia)

잎의 세 잎맥이 시작되는 부분에는 두 곳의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곳에 진드기가 서식한다. 이것을 진드기방이라고 한다. 이 진드기방에는 포식성 진드기(카브리다니)가 서식하고 있으며, 녹나무에 피해를 주는 초식성 진드기(후시다니)를 포식하여 구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9] 녹나무의 진드기방은 다른 식물의 것과는 다른 흥미로운 성질이 알려져 있다. 공생 관계에 있는 포식성 진드기를 살게 할 뿐만 아니라, 적대 관계에 있는 초식성 진드기도 살게 하여 포식성 진드기가 먹이를 다 먹어 치우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급받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녹나무는 포식성 진드기가 잎에 정착함으로써 후시다니의 피해를 낮게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고 생각된다.[29]

후시다니는 잎이 펼쳐짐에 맞춰 새로운 잎의 진드기방으로 이동해 간다.[30]

진드기방 자체는 녹나무 이외에도 많은 식물에서 발견된다. 진드기방과 후시다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니시다(2004)와 카미토오노(2003)의 총설 논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31][32]

4. 분포

이 종은 양자강 이남의 중국, 타이완, 일본 남부, 한국, 인도, 베트남이 원산지이며, 다른 많은 국가에 도입되었다.[5]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간토 지방 남부에서 규슈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과 세토 내해 연안에 널리 분포한다. 규슈 북부를 제외한 일본해 쪽에는 일반적으로 분포하지 않지만, 산인 지방에 국소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남서 제도의 분포는 국소적이며, 아마미오시마 등 자연 분포가 아니라고 여겨지는 섬도 있다. 선사 시대 귀화 식물이라고도 불리며, 자연 분포 지역에는 수수께끼가 있다.

장뇌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나무이며, 각지에 조림도 행해진 것이 자연 분포를 불분명하게 만들고 있다.[33]

유적 조사에 따르면 오사카 주변에서 녹나무나 참나무류 등의 상록수가 우세하게 된 것은 조몬 시대, 약 7300년 전의 鬼界 아카호야 화산재의 화산재 분출 이후이며, 그 이전에는 낙엽 활엽수림이 우세했다고 한다.[34]

가고시마현 아이라시 가모하치만 신사의 “가모의 큰 녹나무”(蒲生の大楠)는 일본 최대의 거목으로 알려져 있다.


크게 자라는 나무이기 때문에 개인 정원수로 심는 경우는 드물지만, 사찰이나 신사 경내에는 녹나무의 거목이 자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졸참나무나 가시나무와 같은 상록수에서도 볼 수 있으며, 일본인의 상록수 신앙의 한 증거라는 설도 있다. 옛 남서일본에는 졸참나무, 가시나무, 녹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림이 펼쳐져 있었지만, 과도한 목재와 땔나무 사용으로 인해 식생 천이가 소나무(아카마쓰) , 떡갈나무(고나라) 숲으로까지 후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벌목이 제한된 사찰의 숲에만 거목이 남았다는 것이다.[41]

가로수는 계절감이 있는 낙엽수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지만, 상록의 녹나무는 밝은 분위기를 가지고 있어 가로수나 공원수로서의 식재에 활발하게 사용된다. 신공황후가 토요우라궁에 행차했을 때 녹나무를 심어 일본 최고(最古)의 가로수로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만, 정확한 시기와 장소는 특정되지 않았다.[42] 대기오염에도 비교적 강하며, 가로수로 사용할 때의 장점 중 하나이다.[43]

잎 가장자리가 돌처럼 단단해져 바람에 잘 소리를 내기 때문에 소음에 대한 상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44]

장수하는 거목이 되기 때문에 수명 연장을 목적으로 하는 수목 의학 분야에서의 연구가 많은 것도 녹나무의 특징이다.

5. 인간과의 관계

녹나무는 장뇌와 목재 생산을 위해 재배된다. 고체 왁스 형태인 장뇌의 생산과 수출은 1895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식민지 시대 전후로 대만의 주요 산업이었다. 장뇌는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무연화약과 셀룰로이드 생산에도 중요한 원료였다. 이 나무가 주로 서식하는 산악 지역에는 원시적인 증류기가 설치되었다. 나무를 쪼개어 이 조각들을 증류기에서 증기로 처리하면, 증기가 냉각실을 통과한 후 장뇌가 결정화 상자 내부에 결정화되었다. 그런 다음 장뇌를 긁어내어 정부 운영 공장으로 운반하여 가공 및 판매하였다. 장뇌는 일본 시대 여러 중요한 정부 독점 사업 중 가장 수익성이 높은 사업 중 하나였다.[11]

녹나무 목재는 곤충을 쫓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11]

5. 1. 약용

녹나무는 장뇌와 목재 생산을 위해 재배된다.[11] 장뇌는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무연화약과 셀룰로이드 생산에도 중요한 원료였다.[11] 1895년부터 1945년까지 일본 식민지 시대 전후로 대만에서 장뇌 생산과 수출은 주요 산업이었다.[11]

장뇌는 수 세기 동안 향신료, 향료 성분,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살충제 및 벼룩 구제제로도 사용된다. 녹나무의 가장 유명한 용도는 장뇌 채취인데, 나무의 줄기 또는 잎을 원료로 하여 추출한다. 줄기를 채취한 것을 '녹나무(樟木)'라고 불렀으나, 현재는 벌채되는 경우가 드물고 가지와 잎에서 채취하는 경우가 많다.

장뇌에는 방충 효과가 있어 의류 방충제로 장롱(箪笥)에 넣어 두었다. 잎이나 연기는 방충제, 진통제로 사용되었으며, 작업 시 녹나무를 휴대했다는 기록도 있다. 에도 시대(江戸時代)에는 여름 저녁 무렵 녹나무 잎을 태워 훈향(蚊遣り)으로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그 연기에 싸여 "자연 요양에도 좋다"는 기록이 있다. 장뇌를 정제한 것은 네덜란드어로 Kamfer이며, 일본에서는 가타카나로 음차한 "캄퍼(カンフル)"라고도 부른다. 캄퍼는 강심제로 주사제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신경통이나 타박상에 사용하는 연고(軟膏), 팅크제(チンキ), 치과용 페놀캄퍼 등 제약 원료로 중요하다.

민간요법에서는 피로 회복, 목 통증(肩こり), 요통(腰痛), 신경통, 류머티즘(リウマチ) 등의 통증 완화를 위해 햇볕에 말린 잎을 베주머니에 넣어 입욕제(浴湯料)로 사용한다. 또한, 하루 1~3그램(g)의 줄기(녹나무)를 400세제곱센티미터(cm³)의 물에 넣고 30분 정도 달여 3회에 나누어 복용하기도 한다.

내복약이 아닌 외용약으로 사용해도 발작을 동반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산부나 어린이에게 사용해서는 안 된다.[35]

녹나무 생육에 적합한 대만이 과거 일본령이었던 কারণে 일본의 장뇌 생산량이 세계 제일이었던 적도 있다. 추출에는 복잡한 장치가 필요 없고, 간단한 수증기 증류(水蒸気蒸留)로 가능하다. 잎을 분쇄하여 물과 섞어 가열하고, 발생한 증기를 냉각시켜 장뇌를 얻는다. 추출된 장뇌로 방충 효과를 확인하는 등 학교 실험 교재로도 활용할 수 있다.[36]

5. 2. 목재

녹나무 목재는 곤충을 쫓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11]

5. 3. 정원수 및 가로수

녹나무는 1822년 정원과 공원의 관상수로 호주에 도입되었다. 퀸즐랜드 전역과 뉴사우스웨일스주 중부에서 북부에 이르기까지 습하고 아열대성 기후에 적합하여 잡초가 되었다. 낙엽의 녹나무 성분은 다른 식물의 발아를 방해하여 잠재적인 경쟁 식물에 대한 녹나무의 성공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며,[7] 씨앗은 새들에게 매력적이고 소화 시스템을 통과하여 온전하게 배출되므로 빠른 분포를 보장한다. 녹나무는 열대 우림과 목초지를 침범하고 유칼립투스 나무와도 경쟁하는데, 특정 유칼립투스 종은 코알라의 유일한 먹이원이다. 그러나 어린 녹나무는 속이 빨리 비어 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반면, 토종 나무는 속이 비는 데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8]

1875년경 미국 본토에 도입된 이 종은 앨라배마주, 캘리포니아주, 플로리다주, 버지니아주, 조지아주, 하와이주, 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주, 노스캐롤라이나주, 텍사스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등 여러 지역에 귀화되었다.[9] 플로리다주에서는 1급 침입종으로 지정되었다.[10]

크게 자라는 나무이기 때문에 개인 정원수로 심는 경우는 드물지만, 사찰이나 신사 경내에는 녹나무의 거목이 자주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졸참나무나 가시나무와 같은 상록수에서도 볼 수 있으며, 일본인의 상록수 신앙의 한 증거라는 설도 있다. 옛 남서일본에는 졸참나무, 가시나무, 녹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림이 펼쳐져 있었지만, 과도한 목재와 땔나무 사용으로 인해 식생 천이가 소나무(アカマツ), 떡갈나무(コナラ) 숲으로까지 후퇴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벌목이 제한된 사찰의 숲에만 거목이 남았다는 것이다.[41]

가로수로는 계절감이 있는 낙엽수가 선호되는 경향이 있지만, 상록의 녹나무는 밝은 분위기를 가지고 있어 가로수나 공원수로서의 식재에 활발하게 사용된다. 신공황후가 토요우라궁에 행차했을 때 녹나무를 심어 일본 최고(最古)의 가로수로 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지만, 정확한 시기와 장소는 특정되지 않았다.[42] 대기오염에도 비교적 강하며, 가로수로 사용할 때의 장점 중 하나이다.[43]

잎 가장자리가 돌처럼 단단해져 바람에 잘 소리를 내기 때문에 소음에 대한 상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도 가로수로서의 장점이다.[44]

장수하는 거목이 되기 때문에 수명 연장을 목적으로 하는 수목 의학 분야에서의 연구가 많은 것도 녹나무의 특징이다.

  • 교토대학(京都大学)
  • 오사카 경제대학(大阪経済大学)

5. 4. 침입종 문제

호주에서는 두 종의 토종 나비인 자주색 갈색눈나비(''Chaetocneme porphyropis'')와 흔한 붉은눈나비(''Chaetocneme beata'')의 유충이 도입종인 녹나무를 먹고 자란다.[6]

녹나무는 1822년 정원과 공원의 관상수로 호주에 도입되었다. 이후 퀸즐랜드 전역과 뉴사우스웨일스 중부에서 북부에 이르기까지 습하고 아열대성 기후에 적합하여 잡초가 되었다. 낙엽의 녹나무 성분은 다른 식물의 발아를 방해하여 잠재적인 경쟁 식물의 생장을 억제하며,[7] 씨앗은 새들에게 매력적이고 소화 시스템을 통과하여 온전하게 배출되므로 빠르게 퍼져나간다. 녹나무는 열대 우림과 목초지를 침범하고 유칼립투스 나무와도 경쟁하는데, 특정 유칼립투스 종은 코알라의 유일한 먹이원이다. 그러나 어린 녹나무는 속이 빨리 비어 생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반면, 토종 나무는 속이 비는 데 수백 년이 걸릴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8]

1875년경 미국 본토에 도입된 녹나무는 앨라배마주, 캘리포니아주, 플로리다주, 버지니아주, 조지아주, 하와이주, 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주, 노스캐롤라이나주, 텍사스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등 여러 지역에 귀화되었다.[9] 플로리다주에서는 1급 침입종으로 지정되었다.[10]

6. 문화

일본에서는 특정 나무들을 신성시하는 경우가 있다. 가야시마 역 한가운데 자리 잡은 수령 700년 된 녹나무는 신성한 나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철도역 확장 공사 당시 주민들이 나무를 옮기는 것에 반대했기 때문에 역사가 나무를 중심으로 건설되었다.[16]

6. 1. 상징

일본에서는 특정 나무들을 신성시하는데, 가야시마 역 한가운데 있는 수령 700년 된 녹나무가 그 예이다. 철도역 확장 공사 때 주민들의 반대로 이 나무를 중심으로 역사를 건설했다.[16]

신목(ご神木)으로 신앙의 대상이 되는 녹나무도 있다. 일본에서 가장 큰 녹나무는 가고시마현(鹿児島県) 가모생하치만신사의 '가모생의 큰 녹나무'(둘레 24.2m)로, 확인된 모든 수종 중 일본에서 가장 크다. 도쿠시마현 미요시군 히가시미요시정에는 1956년 7월 19일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큰 녹나무가 있는데, 수령 수천 년 이상으로 추정되며 뿌리 둘레 19m, 가슴높이 둘레 약 13m, 가지 퍼짐은 동서 45m, 남북 40m, 높이 약 25m이다.[45]

후쿠오카현(福岡県) 우미하치만궁(宇美八幡宮)과 에히메현(愛媛県) 오야마즈미신사(大山祇神社)는 녹나무가 많은 신사로 유명하다. 타이완에는 神木樟樹公|와샤 신목중국어이라는 세계 최대급 녹나무가 있는데, 둘레 16.2m, 높이 44m이다.

6. 2. 유명한 녹나무

일본에서는 특정 녹나무들이 신성시되며, 신목(ご神木)으로 신앙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로, 가야시마 역 한가운데에 있는 수령 700년 된 녹나무는 철도역 확장 공사 당시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역사가 나무를 중심으로 건설되었다.[16]

일본에서 가장 큰 녹나무는 가고시마현(鹿児島県) 가모생하치만신사(蒲生八幡神社)의 '가모생의 큰 녹나무(蒲生の大楠)'로, 둘레가 24.2m에 달하며 일본에서 가장 큰 거목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일본 각지에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녹나무들이 있다.

이름위치지정둘레높이수령특징
상야의 큰 녹나무사이타마현이루마군코세이정 상야사이타마현 지정 천연기념물15m30m1000년녹나무 자생 북방한계선, 간토 지방 최대 규모
혼고 유마치의 녹나무도쿄도분쿄구 혼고 1초메8.4m20m600년관동 대지진, 도쿄 대공습 생존
묘진의 녹나무가나가와현 아시가라시모군유가와라정 미야시타유가와라정 지정 문화재(사적)15.6m15m800년과거 고쇼 신사 신도
카즈미 신사의 큰 녹나무시즈오카현이토시 바바정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5.7m20m1000년카즈미 신사 신목, 줄기 중심부 속 비어 있음
라이구 신사의 큰 녹나무시즈오카현 아타미시 니시야마정국가 지정 천연기념물23.9m20m2000년라이구 신사 신목,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큰 둘레
키요타의 큰 녹나무아이치현 가마고리시 키요타정 시모시누야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1.7m22m1000년중부 지방 최대 둘레, 혹과 같은 주간
히키사쿠의 큰 녹나무미에현미나미무로군오하마정 히키사쿠미에현 지정 천연기념물, 신일본 명목 100선14.9m35m1500년미에현 최대 녹나무
미즈야의 큰 녹나무미에현 마쓰사카시 이타카정 아카오케궁 동미에현 지정 천연기념물13.1m38m전승 1000년"큰 녹나무님" 애칭, 미즈야 신사 신목
훈개 녹나무오사카부카도마시 미쓰시마 1초메국가 지정 천연기념물, 오사카 미도리의 100선, 신일본 명목 100선12.5m24m1000년미시마 신사 경내, 오사카부 최대 거목
오오야마 신사의 녹나무와카야마현 키노카와시 코나가와키노카와시 지정 천연기념물11.3m20m전승 1000년오오야마 신사 신목
가와타나의 녹나무 숲야마구치현시모노세키시 토요우라정 오오아자 가와타나시모오노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0.2m21m300년 이상일본 3대 녹나무, 18개 가지, 가장 긴 가지 27m
카모의 큰 녹나무도쿠시마현 미요시군히가시미요시정 카모국가 지정 특별 천연기념물13m25m1000년아름다운 수형과 큰 수관
단의 큰 녹나무도쿠시마현 요시노가와시 가모지마정 모리토도쿠시마현 지정 천연기념물10.8m23m950년와카미야 신사 경내, 2009년 수세 약화 후 회복
시시지마의 큰 녹나무가가와현미토요시 와카마정 시시지마가가와현 지정 천연기념물14m40m전승 1000년산사태로 매몰, 뿌리에서 가지 갈라짐
생목의 문에히메현이마바리시 오오미시마정 미야우라에히메현 지정 천연기념물15.5m10m300년 이상오오야마즈미 신사 안쪽, 뿌리 빈 공간 문
오치미토오테우에노쿠스에히메현 이마바리시 오오미시마정 미야우라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1.0m15m전승 2600년오오야마즈미 신사 38그루 녹나무 중 하나
오타니의 녹나무고치현스사키시 오타니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7.1m25m2000년스가 신사, 시코쿠 최대 거목
혼조의 큰 녹나무후쿠오카현치쿠죠군치쿠죠정 혼조국가 지정 천연기념물21m23m1900년오오쿠스 신사, 가지 지지대, 큰 구멍
기누카케의 숲후쿠오카현 카스야군우미정 우미 1초메국가 지정 천연기념물20.0m20m300년 이상우미 하치만궁, 신공황후 전설
유가케의 숲후쿠오카현 카스야군 우미정 우미 1초메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5.3m23m1500년우미 하치만궁 신목, 신공황후 전설
인가모리후쿠오카현 아사쿠라시 야마다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8m21m전승 1500년옛날 은신처 유래
다자이후 텐만구의 큰 녹나무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 자이후 4초메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2.5m33m300년 이상다자이후 텐만구 "텐진의 숲" 최대
카와후루의 큰 녹나무사가현무슈시 와카기정 오오아자 카와후루국가 지정 천연기념물21.0m25m3000년1200년 전 행기 불상 조각 전설, 일본 3대 녹나무
무슈의 큰 녹나무사가현 무슈시 무슈정 무슈무슈시 지정 천연기념물20m30m3000년무슈 신사 신목, 깊은 숲, 줄기 큰 구멍
츠카사키의 큰 녹나무사가현 무슈시 무슈정 무슈무슈시 지정 천연기념물13.9m18m300년 이상1963년 낙뢰 피해, 속 비어 있음
이사하야 공원의 큰 녹나무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 타카조정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1.8m35m불명타카조 옛터 정상
산노 신사의 큰 녹나무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사카모토나가사키시 지정 천연기념물8.7m/6.3m22m/21m500-600년산노 신사 경내, 원폭 투하 후 새싹
후지사키다이의 녹나무 숲쿠마모토현추오구 미야우치국가 지정 천연기념물최대 20.0m최대 22m1000년후지사키다이 구장 위치
자쿠신 씨의 녹나무쿠마모토현 쿠마모토시 키타사코정쿠마모토현 지정 천연기념물13.3m30m800년카시코기 치카카즈 무덤
하시와라 하치만궁의 녹나무오이타현오이타시 카미하치만 3구미국가 지정 천연기념물21.0m30m전승 3000년하시와라 하치만궁, 오이타현 최대, 줄기 큰 구멍
카모의 녹나무가고시마현아이라시 카모정 카미큐토쿠국가 지정 특별 천연기념물24.2m30m전승 1500년일본 최대 둘레
시부시의 큰 녹나무가고시마현 시부시시 시부시정 안라쿠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7.1m24m전승 1200년산궁 신사 신도
츠카사키의 녹나무가고시마현키모츠키군키모츠키정 노자키국가 지정 천연기념물14.0m30m1300년츠카사키 고분군 1호분 위



묘진의 녹나무(가나가와현 유가와라정)


기누카케의 숲(후쿠오카현 우미정)


무슈의 큰 녹나무(사가현 무슈시)

7. 화학 성분

녹나무(*C. camphora*)에서 얻는 흰색 결정성 물질은 장뇌(Camphor)이다. 장뇌는 수 세기 동안 향신료, 향료 성분,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살충제 및 벼룩 구제제로도 사용된다.

녹나무속 식물의 모든 부분에는 휘발성 화합물이 들어 있으며, 목재와 잎은 수증기 증류법으로 정유를 추출한다. 녹나무는 캠퍼, 리날로올, 1,8-시네올, 네롤리돌, 사프롤, 보르네올 등 여섯 가지의 화학적 변이체(케모타입)를 가지고 있다.[12][13] 중국에서는 현장 작업자들이 수확할 때 냄새로 케모타입을 구분하여 혼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14]

화학적 변이체(또는 케모타입)는 나무의 원산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타이완과 일본에서 자란 녹나무는 일반적으로 리날로올 함량이 매우 높으며, 종종 80~85%에 달한다. 인도스리랑카에서는 캠퍼 함량이 높은 변이체가 우세하다. 그러나 마다가스카르에서 자란 녹나무는 1,8-시네올 함량이 높아 평균 40~50%를 차지한다. 마다가스카르산 나무에서 추출한 정유는 상업적으로 "라빈사라"로 알려져 있다.[15]

8. 명칭

일본에서는 '쿠스노키(クスノキ)'라고 불리며, 잎은 광택이 나는 왁스 같은 외관을 가지고 있고 으깨면 장뇌 냄새가 난다. 봄에는 밝은 녹색의 잎과 함께 아주 작은 흰색의 향기로운 이 무리지어 피는데, 이 때문에 중국에서는 "향기로운 나무"라는 뜻의 香樟|xiang zhang중국어이라는 일반적인 이름이 붙었다.[4]

참조

[1] 웹사이트 Camphor - The Wood Database https://www.wood-dat[...]
[2] 논문 Phylogeny and taxonomy of Cinnamomum (Lauraceae)
[3] 보고서 Cinnamomum camphora (camphor laurel) CABI 2022-01-07
[4] 웹사이트 Kamou no Ohkusu http://www.wondermon[...] Wondermondo 2014-07-04
[5] 웹사이트 Cinnamomum camphora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2013-03-27
[6] 서적 Lepidoptera: Hesperioidea, Papilionoidea CSIRO
[7] 웹사이트 NSW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NSW WeedWise https://weeds.dpi.ns[...] 2024-08-06
[8] 웹사이트 Noxious weed declaration for NSW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Plants Profile: Cinnamomum camphora https://plants.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0-04-12
[10] 웹사이트 Cinnamomum camphora http://www.hear.org/[...] Hawaiian Ecosystems at Risk project 2010-04-12
[11]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Trees: Eastern Region Knopf
[12] 논문 The later studies on the camphor tree, on the leaf oil of each practical form and its utilisation
[13] 논문 Progress in essential oils
[14] 서적 Food Flavorings https://web.archive.[...]
[15] 웹사이트 Ravensara/Ravintsara Bibliography v1.01 http://www.cropwatch[...] 2009-05
[16] 웹사이트 Japanese Train Station Protectively Built Around a 700-Year-Old Tree https://mymodernmet.[...] 2017-01-27
[17] 웹사이트 #YList URL is missin[...] 2024-07-08
[18] 논문 クスノキのタネの大きさについて
[19] 서적 冬芽図鑑 常緑樹編 近畿植物同好会
[20] 논문 クスノキ挿木苗の生理・形態特性:実生苗との比較
[21] 논문 クスノキのアレロパシーに関する研究(日本作物学会中国支部講演会)
[22] 논문 都市域成熟林における林冠層優占種エノキ,ムクノキ,ケヤキ,クスノキ実生の成長特性
[23] 논문 糺の森におけるクスノキおよびニレ科 3 樹種の成長と動態
[24] 논문 樹木の葉のクロロフィル濃度の季節的変化
[25] 논문 土壌水分および気温が常緑広葉樹の光合成活動に与える影響
[26] 논문 クスノキ, アラカシに対する急性の水ストレスの影響
[27] 논문 高潮による海水浸漬を受けた海岸林における樹種別の応答の比較
[28] 논문 クスノキ ''Cinnamomum camphora'' の新芽を採食したハシボソガラス ''Corvus corone''
[29] 논문 クスノキとそのダニ室内外で観察されるダニ類の相互作用に関する研究
[30] 논문 クスノキの展葉フェノロジーに対応したdomatiaの空間分布パターンとフシダニの発生消長
[31] 논문 葉上の小器官「ダニ室」
[32] 논문 フシダニの分類と生態
[33] 논문 南伊豆に遺る岩樟園クスノキ人工林について
[34] 논문 大阪湾北岸の縄文時代早期および中~晩期の森林植生と イチイガシの出現時期
[35] 서적 メイラー医薬品の副作用大事典 第12版 西村書店
[36] 논문 B104 民族伝承文化の教材化に関する研究(9) : 植物の成分について
[37] 논문 發掘丸木舟及び櫂の用材に就いて
[38] 논문 古代の仏像の樹種はカヤであるのか??を再度問う
[39] 서적 昭和15年(1940年)林政・民有林 日本林業調査会
[40] 논문 クラフトパルプ製造時における樹脂の挙動と樹脂障害 (第1報) -樹脂の化学変化と樹脂収支-
[41] 서적 広葉樹の文化-雑木林は宝の山である- 海青社
[42] 서적 新版 林業百科事典 丸善
[43] 뉴스 針葉樹 都会では枯死 明治神宮、クスの森に 朝日新聞 1973-01-04
[44] 서적 図解植物観察事典 地人書館
[45] 서적 三加茂町史 復刻版 三加茂町
[46] 서적 木の名の由来 日本林業技術者協会
[47] 서적 日本主要樹木名方言集 地球出版
[48] 서적 四国樹木名方言集 高知営林局
[49] 서적 静岡県樹木名方言集 静岡県林業会議所
[50] 서적 日本樹木名方言集 大日本山林会
[51] 서적 樹種名方言集 農林省山林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