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소블랑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소블랑코는 스페인 코르도바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14세기 흑사병으로 인한 페드로체 주민들의 피난, 가축 방목을 위한 전초 기지, 또는 페드로체에서 추방된 유대인 공동체의 정착 등 여러 기원 설이 존재한다. "하얀 우물"을 의미하는 이름은 닭의 배설물로 하얗게 변한 우물을 중심으로 마을이 성장한 데서 유래되었으며, 1478년 빌라 칭호를 얻기 전까지 페드로체에 속해 있었다. 중세 시대에는 "페드로체 7개 빌라"의 역사와 연관되었으며, 1836년 공동체가 해체된 후 1923년 도시 칭호를 받았다. 스페인 내전 당시 공화국을 지지하며 전투를 겪었으며, 현재 프랑스의 르 메 쉬르 센, 독일의 메켄하임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르도바도의 자치체 - 코르도바 (스페인)
코르도바는 스페인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시대와 이슬람 시대에 번성했으며, 특히 코르도바 대성당을 포함한 역사 지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다. - 코르도바도의 자치체 - 몬티야
몬티야는 스페인의 와인 산지로, 품질 좋은 올리브 오일과 독특한 풍미의 와인으로 유명하며, 셰리주의 일종인 아몬티야도의 이름 유래지이자 몬티야-모릴레스 지정 와인 지역의 큰 부분을 차지하며, 벤디미아 축제가 개최되고 곤살로 데 코르도바의 출생지이며 소설 속 마녀 관련 유적이 있는 곳이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 포소블랑코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 |
![]() | |
| 별칭 | 타루고스 또는 포소알벤세스 |
| 일반 정보 | |
| 지방 | 코르도바 |
| 코마르카 | 로스 페드로체스 |
| 사법 지구 | 포소블랑코 |
| 고도 | 654m |
| 면적 | 329.92km2 |
| 인구 정보 | |
| 인구 밀도 | 자동 |
| 추가 정보 | |
| 공용어 | 스페인어 |
| 시간대 | CET |
| UTC 오프셋 | +1 |
| 서머타임 | CEST |
| UTC 오프셋 (서머타임) | +2 |
| 우편 번호 | 14400 |
| 시장 | 산티아고 카베요 무뇨스 |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포소블랑코는 1478년경 빌라 칭호를 얻을 때까지 페드로체에 행정적으로 의존했다. 중세 시대 포소블랑코의 역사는 소위 "페드로체 7개 빌라" (페드로체, 토레밀라노, 토레캄포, 포소블랑코, 비야누에바 데 코르도바, 알카라세호스, 아뇨라)의 역사와 관련이 있다. 이 공동체는 1836년에 해체되었고, 공동 토지는 마을 사이에 재분배되었다. 1923년 4월 22일 알폰소 13세 국왕으로부터 도시 칭호를 받았다.
스페인 제2공화국 기간 동안 포소블랑코는 공화국에 충실했다. 스페인 내전 초기인 1937년 3월, 케이포 데 야노 장군이 이끄는 국민군이 마을을 점령하려 했으나, 공화국군 소속 호아킨 페레스 살라스 중령의 부대가 이를 격퇴하고 마을을 지켜냈다. (포소블랑코 전투) 그러나 1939년 3월 말, 포소블랑코는 결국 프랑코주의 세력에 의해 정복되었다.
2. 1. 기원
페드로체 주민들이 14세기 중반 흑사병을 피해 이주하면서 비야누에바 데 코르도바와 같은 인근 마을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른 설로는, 페드로체 주민들이 가축을 방목하기 위해 점차 멀리까지 이동하면서 생긴 작은 전초 기지에서 발전했을 가능성도 있다. 페드로체에서 추방된 유대인 공동체가 포소블랑코를 설립했을 수도 있다는 추측도 있다.최초 정착지는 현재 "포조 비에호"라고 불리는 지역에 있었다. 전설에 따르면, 닭 배설물로 하얗게 변한 우물을 중심으로 마을이 성장했고, 이로 인해 "하얀 우물"이라는 뜻의 포소블랑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우물과 닭은 마을 문장에도 나타나 있다.
2. 2. 초기 정착지
포소블랑코는 비야누에바 데 코르도바와 같은 인근 마을과 마찬가지로, 아마도 14세기 중반 흑사병으로 인해 페드로체 주민들이 도망치면서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혹은 페드로체 주민들이 마을에서 점점 더 멀리 가축을 방목해야 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한 작은 전초 기지에서 시작되었을 수도 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는 페드로체에서 추방된 유대인 공동체에 의해 설립되었을 수도 있다는 설도 있다.최초의 정착지는 오늘날 "포조 비에호"로 알려진 지역에 있었다. 전설에 따르면, 닭의 배설물로 하얗게 변한 우물을 중심으로 마을이 성장했으며, 그 결과 "하얀 우물"을 의미하는 포소블랑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우물과 닭은 마을 문장에도 등장한다.
2. 3. 페드로체 7개 빌라
포소블랑코는 1478년경 빌라 칭호를 얻을 때까지 행정적으로 페드로체에 의존했다. 중세 시대에 포소블랑코의 역사는 소위 "페드로체 7개 빌라" (페드로체, 토레밀라노, 토레캄포, 포소블랑코, 비야누에바 데 코르도바, 알카라세호스, 아뇨라)의 역사와 관련이 있다. 이 공동체는 1836년에 해체되었고, 공동 토지는 마을 사이에 재분배되었다.2. 4. 스페인 내전
스페인 제2공화국 기간 동안 포소블랑코는 공화국에 충실했다. 스페인 내전 초기인 1937년 3월, 케이포 데 야노 장군이 이끄는 국민군이 마을을 점령하려 했으나, 공화국군 소속 호아킨 페레스 살라스 중령의 부대가 이를 격퇴하고 마을을 지켜냈다. 이 전투를 포소블랑코 전투라고 한다. 그러나 1939년 3월 말, 포소블랑코는 결국 프랑코주의 세력에 의해 정복되었다.3. 자매 도시
3. 1. 르 메 쉬르 센 (프랑스)
- 르 메 쉬르 센
3. 2. 메켄하임 (독일)
메켄하임은 독일의 도시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