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마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퓨마속(Puma)은 고양이과에 속하는 속으로, 퓨마와 재규어런디 등을 포함한다. 퓨마속은 주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의 산악 지역에 서식하며, 숲, 열대 정글, 초원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간다. 퓨마는 단독 생활을 하며, 설치류, 조류, 토끼 등을 주로 먹지만, 큰 동물도 사냥할 수 있다. 퓨마의 번식기는 12월에서 3월 사이이며, 임신 기간은 약 3개월이다. 퓨마속은 멸종된 종을 포함하며, 계통 분류상 치타속과 조상을 공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퓨마속은 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서식지 파편화와 인간과의 충돌로 인해 위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양이아과 - 퓨마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넓은 분포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며 단독 생활을 하는 사냥꾼이지만,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고양이아과 - 카라칼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고양잇과 동물인 카라칼은 검은 귀털이 특징적이며, 아프리카황금고양이와 함께 카라칼속을 형성하고 서식지 파괴와 가축 습격으로 위협받고 있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퓨마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속 정보 | |
![]() | |
| 학명 | Puma |
| 명명자 | Jardine, 1834 |
| 타입 종 | Felis concolor |
| 타입 종 명명자 | Linnaeus, 1771 |
![]() | |
| 로마자 표기 | pyuma puma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네코목 (식육목) |
| 아목 | 네코아목 |
| 과 | 고양이과 |
| 아과 | 고양이아과 |
| 지질 시대 | |
| 화석 범위 | 신생대신제3기선신세 또는 - 제4기홀로세 (현세) |
| 하위 분류군 | |
| 현존 종 | Puma concolor Puma yaguarondi |
| 멸종 종 | 멸종Puma pardoides 멸종Puma lacustris 멸종Puma pumoides 멸종Puma incurva |
| 이명 | |
| 이명 | Herpailurus ? Viretailurus |
2. 하위 종
- 퓨마 (''P. concolor'')
- 재규어런디 (''P. yagouaroundi'') - 현재, 별도의 재규어런디속(''Herpailurus'')의 유일종(''H. yagouaroundi'')으로 분류한다.
- † 유라시아퓨마 (''Puma pardoides'')
- † ''Puma pumoides''
3. 특징
퓨마는 크고 은밀한 고양이과 동물이다. 쿠거, 팬서, 마운틴 사자 등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다른 "대형" 고양잇과 동물보다 더 큰 크기에 도달할 수 있다.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사자나 표범보다는 작은 고양이 종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퓨마의 두 아종[7]은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색상과 크기가 다른 경향이 있다.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적응력이 뛰어난 고양잇과 동물이며 다른 고양이 종과 달리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된다.[8]
3. 1. 형태
퓨마속의 아종은 고양이과에서 네 번째로 큰 고양이를 포함한다. 성체 수컷은 코에서 꼬리 끝까지 약 약 2.41m이며, 체중은 일반적으로 약 52.16kg에서 약 99.79kg 사이이다. 암컷은 코에서 꼬리까지 약 약 2.04m이며, 체중은 약 29.03kg에서 약 63.96kg 사이이다. 꼬리 길이는 약 63.50cm에서 약 93.98cm이다.[7] 머리는 둥글고 귀는 꼿꼿하다. 먹이를 움켜쥐고 붙잡는 데 도움이 되는 강력한 앞다리, 목, 턱을 가지고 있다. 앞발과 뒷발에는 네 개의 갈고리 발톱이 있다.대부분의 퓨마는 산악 지역에서 발견되므로 혹독한 겨울 동안 체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두꺼운 털을 가지고 있다. 아종과 서식지 위치에 따라 퓨마의 털 색깔은 갈색-노란색에서 회색-빨간색까지 다양하다. 추운 기후에 사는 개체는 털 색깔이 더 회색을 띠는 반면, 따뜻한 기후에 사는 개체는 털 색깔이 더 붉은색을 띤다. 퓨마는 몸이 길고 다리가 짧아 매우 강하고 빠른 포식자이다. 뒷다리는 앞다리보다 크고 강하여 뛰어난 도약을 할 수 있다. 공중으로 약 5.49m 높이, 수평으로 약 12.19m에서 약 13.72m 멀리 도약할 수 있다. 먹이를 잡기 위해 강력한 질주를 할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어 최대 50mp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8]
3. 2. 생태
퓨마속 구성원은 주로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산악 지역에서 발견되며, 대부분의 개체는 초식동물이 서식하는 경사면 아래의 바위 절벽과 목초지에서 발견된다. 퓨마는 이러한 지역을 선호하지만, 매우 적응력이 뛰어나 숲, 열대 정글, 초원, 심지어 건조한 사막 지역을 포함한 다양한 서식지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인간의 정착지와 토지 개간이 확대되면서 퓨마는 더 작고 열악한 지역으로 밀려나고 있지만, 높은 적응력 덕분에 야생에서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8]퓨마속 구성원들은 어미와 함께 시간을 보내는 새끼들을 제외하고는 단독 생활을 한다. 각 개체는 먹이를 찾아 넓은 행동권을 가지며, 여름에는 약 207km2, 겨울에는 약 104km2 거리를 이동한다. 낮뿐만 아니라 밤에도 효과적으로 사냥할 수 있다. 또한 이 속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소리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다른 개체에게 자신의 영역을 경고하거나 짝짓기 시즌에 짝을 찾을 때 사용한다.[8]
2017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퓨마는 최근에야 영상으로 포착된 비밀스러운 사회생활을 하고 있다. 이들은 다른 근처의 퓨마들과 먹이를 공유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침팬지와 같은 더 사교적인 종과 많은 사회적 패턴을 공유한다.[9]
퓨마속 구성원은 크고 강력한 육식 동물이다. 이들의 식단은 대부분 설치류, 조류, 어류, 토끼와 같은 작은 동물로 구성된다. 더 큰 개체는 큰뿔양, 사슴, 과나코, 산양, 너구리, 코아티와 같은 더 큰 먹이를 잡을 수 있으며, 가끔 개체수가 많은 지역에서는 가축을 사냥하기도 한다.[8]
3. 3. 먹이
퓨마속에 속하는 동물들은 크고 힘이 센 육식 동물이다. 이들은 주로 설치류, 조류, 어류, 토끼와 같은 작은 동물을 먹고 산다. 몸집이 더 큰 경우에는 큰뿔양, 사슴, 과나코, 산양, 너구리, 코아티와 같이 더 큰 먹이를 사냥할 수 있다. 때로는 개체 수가 많은 지역에서 가축을 사냥하기도 한다.[8]3. 4. 번식
번식기는 보통 12월에서 3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임신 기간은 3개월(91일)로 최대 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짝짓기 후 수컷과 암컷은 헤어진다. 수컷은 짝짓기 시즌 동안 다른 암컷과 짝짓기를 계속하고, 암컷은 새끼를 혼자 돌본다. 다른 대부분의 고양이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새끼는 눈이 먼 채로 태어나며 눈이 뜨일 때까지 약 2주 동안 완전히 무력한 상태로 지낸다. 새끼는 반점을 가지고 태어나 성체가 되면서 모두 잃는다. 반점은 새끼가 포식자로부터 더 잘 숨을 수 있도록 해준다. 새끼는 생후 2~3개월이 되면 고형 음식을 먹을 수 있으며, 약 1년 동안 어미와 함께 지낸다. 야생에서의 평균 수명은 12년이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최대 25년까지 살 수 있다.[8]4. 계통 분류
다음은 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12]
| style="text-align:center;" | |
퓨마와 재규어런디의 분화는 신생대 제4기 홍적세 중기 이오니아절(en) 무렵으로 여겨지므로, 퓨마속의 출현은 이보다 앞선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계통분류학의 새로운 지견에 따르면, 북아메리카에서 진화해 온 퓨마속은 한때 유라시아 대륙의 열대와 온대 평원에 널리 분포했던 치타속과 조상을 공유하고 있다고 한다. 고양이과의 요람은 유라시아이지만, 이와 관련된 두 속의 공통 조상이 서식했던 곳이 유라시아였는지 북아메리카였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공통 조상이 유라시아에서 베링 해협을 거쳐 북아메리카로 건너가기 전에 두 속의 분화가 있었는지, 북아메리카로 건너간 공통 조상에서 두 속이 분기된 후 치타속만이 유라시아로 분포를 넓혀 오히려 거기서 번영을 이루었는지, 또는 그 어느 쪽도 아닌지는 현재 연구자들 사이에서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한편, 현재 확인된 화석에 따르면, 치타속은 약 250만 년 전부터 약 220만 년 전까지의 시대 (신생대 제4기 홍적세 전기 젤라절)의 중국 대륙에서 이미 서식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퓨마속의 출현도 그 무렵까지 거슬러 올라가야만 계통 진화상에서 일관성을 얻을 수 있다.
5. 보존
퓨마속 구성원들은 인간의 정착지 확대로 인해 서식지가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IUCN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지정되어 가까운 미래에 자연 환경에서 멸종될 위험이 낮음을 나타낸다. 이는 변화하는 서식지 조건에 대한 높은 적응력 때문이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퓨마의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이 현재 개체수를 설명한다고 생각한다.[8] 그러나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와 같은 많은 대도시 지역에서 퓨마의 서식지는 도시 개발과 대규모 고속도로에 의해 서식지 단편화되었다. 이러한 장벽은 산맥의 특정 지역에 있는 퓨마 개체군이 서로 번식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개체수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근친 교배된 새끼의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는 빠르게 축소되는 서식지에 적응하고 인간과의 잦은 충돌에 직면해야 하는, 이미 감소된 퓨마 개체군에 위협이 된다. 국립공원관리청의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로스앤젤레스와 같이 도시 야생 동물의 대규모 개체군을 품고 있는 도시에 고속도로 양쪽 지역의 보존 노력을 늘리고, 야생 동물이 안전하게 고속도로를 건널 수 있도록 야생 동물 통로 건설을 시작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10]
참조
[1]
간행물
MSW3 Carnivora
[2]
웹사이트
California wildlife get their own highway crossing
http://www.npr.org/t[...]
[3]
논문
Studien an "Panthera" schaubi Viret aus dem Villafranchien von Saint-Vallier (Drôme)
1965
[4]
논문
The Old World puma Puma pardoides (Owen, 1846) (Carnivora: Felidae) in the Lower Villafranchian (Upper Pliocene) of Kvabebi (East Georgia, Transcaucasia) and its evolutionary and biogeographical significance
2004
[5]
간행물
"Puma (Herpailurus) pumoides (Castellanos, 1958)(Mammalia, Felidae) del Plioceno de Argentina."
2015
[6]
논문
Evolution of the extinct Sabretooths and the American cheetah-like cat
2005-08-09
[7]
논문
A revised taxonomy of the Felidae: The final report of the Cat Classification Task Force of the IUCN Cat Specialist Group
https://repository.s[...]
2020-09-03
[8]
웹사이트
Puma (Felis concolor)
http://a-z-animals.c[...]
2015-12-16
[9]
뉴스
The Secret Social Live of a Solitary Puma
https://www.scientif[...]
2017-10-12
[10]
논문
Individual Behaviors Dominate the Dynamics of an Urban Mountain Lion Population Isolated by Roads
2014-09-08
[11]
간행물
GENUS Puma
[12]
저널
The Evolution of CATS
http://sehrg.at.ua/_[...]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