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로피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ROFIBUS는 1986년 독일에서 시작된 필드버스 통신 기술로, 생산 및 프로세스 자동화 분야에서 사용되는 산업용 통신 프로토콜이다. PROFIBUS는 PROFIBUS DP와 PROFIBUS PA의 두 가지 주요 변형이 있으며, DP는 공장 자동화에, PA는 프로세스 자동화에 주로 사용된다. PROFIBUS는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응용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으로 구성된다. 1989년 PROFIBUS 사용자 조직(PNO)이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 (PI)을 통해 표준화 및 관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 컴퓨팅 - CAN 버스
    CAN 버스는 1983년 로버트 보쉬 유한회사에서 개발된 차량 내 통신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자동차, 농업 장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자 제어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산업 컴퓨팅 - 이더넷/IP
    이더넷/IP는 산업 자동화를 위한 산업용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UDP, TCP 기반 메시징과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통신을 지원하며 ODVA에서 관리하는 CIP 네트워크 중 하나이다.
  • 직렬 버스 - 인피니밴드
    인피니밴드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치 간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직렬 통신 기술로, 슈퍼컴퓨터나 데이터 센터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이더넷 기반 기술과의 경쟁 및 새로운 컴퓨팅 환경에 대한 적응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 직렬 버스 - 하이퍼트랜스포트
    하이퍼트랜스포트는 고성능 컴퓨터 시스템에서 CPU, 메모리, 칩셋 간의 연결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상호 연결 기술로, AMD CPU와 엔비디아 칩셋 등에 적용되어 시스템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되며 후속 기술의 기반이 되었다.
프로피버스
개요
프로피버스 로고
프로피버스 로고
네트워크 유형장치 버스, 공정 제어
물리적 매체꼬임쌍선, 광섬유
네트워크 토폴로지버스
장치 주소 지정DIP 스위치 또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관리 기관PROFIBUS&PROFINET International (PI)
URLPROFIBUS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PROFIBUS는 1980년대 후반 독일에서 여러 기업과 연구소가 참여한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시작되었다.[8][23] 초기 목표는 공장 자동화와 프로세스 자동화[22] 환경 모두에 적용 가능한 표준 필드버스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것이었다.[23]

초기에는 Profibus FMS(Field bus Message Specification) 프로토콜이 개발되었으나, 이후 1993년에 더 단순하고 빠른 통신을 지원하는 PROFIBUS DP(Decentralised Peripherals)가 개발되어[9][20] 생산 자동화 분야를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6][11] 또한, 프로세스 자동화 환경의 특수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PROFIBUS PA(Process Automation) 버전도 개발되었다.[15] 이 두 가지 버전(DP, PA)은 오늘날 PROFIBUS 기술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PROFIBUS 기술은 성공적으로 확산되어 2009년 말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3천만 개 이상의 장치가 PROFIBUS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으며, 이 중 5백만 개는 프로세스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8]

2. 1. PROFIBUS의 탄생

PROFIBUS의 역사는 1986년 독일에서 시작되었다. 당시 18개의 기업과 연구소가 참여하여 정부의 지원을 받는[23] '필드버스(Fieldbus)' 공동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했다.[8] 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필드 장치 인터페이스의 기본적인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비트 직렬 방식의 필드 버스를 실제로 구현하고 널리 보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참여 기관들은 공장 자동화와 프로세스 자동화[22] 양쪽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공통된 기술 개념을 개발하고 지원하기로 합의했다.[23] 이 노력의 첫 결과물로, 비교적 복잡한 통신 작업에 맞춰 설계된 프로토콜인 Profibus FMS(Field bus Message Specification)가 먼저 제정되었다.

2. 2. 초기 프로토콜 개발

프로피버스(PROFIBUS)의 역사는 독일에서 1987년, 21개의 기업과 연구소가 모여 필드버스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 시작되었다.[23] 이들의 목표는 필드 장치 인터페이스의 기본적인 요구 사항에 기반한 비트 직렬 필드버스를 구현하고 그 사용을 확대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참여 기업들은 공장 자동화와 프로세스 자동화[22] 양쪽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개념을 지원하기로 합의했다.[23]

가장 먼저 제정된 프로토콜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통신 작업에 맞춰진 PROFIBUS FMS (Field bus Message Specification)였다. FMS는 주로 마스터 장치 간의 비결정적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었다.[9][20]

이후 1993년에는 FMS를 개선하여 더 단순하고 훨씬 빠른 PROFIBUS DP (Decentralised Peripherals, 분산 주변 장치) 프로토콜의 사양이 완료되었다. PROFIBUS DP는 중앙 컨트롤러(마스터)와 센서, 액추에이터 같은 분산된 주변 장치(슬레이브) 간의 빠르고 결정적인 통신을 위해 개발되었다.[9][20]

2. 3. PROFIBUS PA의 개발

'''PROFIBUS PA''' (Process Automation, 프로세스 자동화)[15]는 프로세스 자동화 응용 분야에서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을 통해 측정 장비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변형은 특히 폭발이나 화재 위험이 있는 Ex-zone 0 및 1과 같은 위험 지역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PROFIBUS PA의 물리 계층은 IEC 61158-2[2] 표준을 따르는데, 이는 통신 케이블을 통해 현장의 계측 장비에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고장이 발생했을 때 폭발 조건을 만들 수 있는 수준의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제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력 공급 및 안전 기능 때문에 하나의 PA 세그먼트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의 수는 제한된다. PA는 31.25 kbit/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진다.

PA는 프로토콜 자체는 PROFIBUS DP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며, 커플러(Coupler)라는 장치를 통해 DP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훨씬 빠른 속도의 DP 네트워크는 PA로부터 받은 프로세스 신호를 상위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백본 네트워크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DP와 PA는 프로세스 자동화와 공장 자동화가 함께 필요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환경에서 긴밀하게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

3. 기술

PROFIBUS는 통신 기술로서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나, 모델의 모든 계층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주로 OSI 모델의 물리 계층(1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 응용 계층(7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스택을 정의하고 활용한다.

물리 계층에서는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EIA-485(RS-485) 기반의 전기 전송, 광섬유를 이용한 광학 전송, 그리고 데이터와 전원을 함께 전송하는 MBP(Manchester Bus Powered) 기술 등을 사용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FDL(Field bus Data Link) 프로토콜을 통해 토큰 패싱 방식과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을 결합하여 매체 접근을 제어하고 데이터 프레임을 관리한다. 응용 계층에서는 다양한 버전(DP-V0, DP-V1, DP-V2)을 통해 주기적/비주기적 데이터 교환, 진단, 알람 처리 등 필드 장치와의 통신에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한다.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3계층), 전송 계층(4계층), 세션 계층(5계층), 표현 계층(6계층)은 PROFIBUS 표준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다. 각 계층의 세부적인 기술 내용과 작동 방식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3. 1. OSI 참조 모델과 PROFIBUS 프로토콜

'''PROFIBUS 프로토콜 (OSI 참조 모델)'''
OSI 계층PROFIBUS관리
7응용DPV0DPV1DPV2
6표현--
5세션
4전송
3네트워크
2데이터 링크FDL
1물리EIA-485광섬유MBP



PROFIBUS 프로토콜은 OSI 참조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지만, 모든 계층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주로 응용 계층(OSI 7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OSI 2계층), 물리 계층(OSI 1계층)을 정의하여 사용한다.


  • 응용 계층: 사용자 프로그램과 PROFIBUS 기능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PROFIBUS에서는 DPV0, DPV1, DPV2 버전으로 나누어진다.
  • 데이터 링크 계층: FDL(Field bus Data Link, 필드 버스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을 사용한다.[3][4] FDL은 토큰 패싱 방식과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매체 접근 제어 방식을 채택한다. PROFIBUS DP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컨트롤러나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이 마스터 역할을 수행하고, 연결된 센서와 액추에이터는 슬레이브 역할을 한다.[10][17] 데이터는 각 바이트마다 짝수 패리티 비트, 시작 비트, 정지 비트를 추가하여 비동기 방식으로 전송된다. 텔레그램(데이터 패킷)의 각 바이트 전송 사이에는 정지 비트와 다음 시작 비트 사이에 별도의 일시 중지 시간이 없을 수도 있다. 마스터 장치는 최소 33비트 동안 논리 "1" 상태(버스 유휴 상태)를 유지하는 SYN 동기화 신호로 새로운 텔레그램의 시작을 알린다. 다양한 종류의 텔레그램이 사용되며, 이는 각 텔레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구분 기호(Start Delimiter, SD)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 물리 계층: 데이터 전송 매체에 따라 EIA-485(RS-485), 광섬유, MBP(Manchester Bus Powered) 기술을 사용한다.


표현 계층(6계층), 세션 계층(5계층), 전송 계층(4계층), 네트워크 계층(3계층)은 PROFIBUS 규격에서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다. 또한, 모든 계층에 걸쳐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포함된다.

3. 2.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프로피버스 DP 프로토콜[6]은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서비스 레벨[5]로 정의되어 있다.[10][21] 이 서비스 레벨들은 OSI 참조 모델의 응용 계층에 해당하며, 각각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 DP-V0: 기본적인 서비스 레벨로, 데이터와 진단 정보의 주기적인 교환을 수행한다.
  • DP-V1: DP-V0의 기능을 확장한 서비스 레벨이다. 주기적 데이터 교환뿐만 아니라 비주기적 데이터 교환과 경보(알람) 처리를 추가로 지원한다.[19] 이를 통해 더 유연한 데이터 관리와 빠른 이벤트 대응이 가능하다.
  • DP-V2: DP-V1의 기능을 더욱 확장하여, 등시성 모드와 데이터 교환 브로드캐스트 기능을 제공한다. 데이터 교환 브로드캐스트는 슬레이브 장치 간의 직접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인 '''FDL'''(Field bus Data Link, 필드 버스 데이터 링크)은 토큰 패싱 방식과 마스터-슬레이브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3][4] PROFIBUS DP 네트워크에서는 컨트롤러나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이 마스터 역할을 하고, 센서와 액추에이터 그룹이 슬레이브 역할을 수행한다.[10][17]

데이터는 각 바이트마다 짝수 패리티가 추가되어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와 함께 비동기적으로 전송된다. 텔레그램 내의 바이트를 전송할 때, 한 바이트의 정지 비트와 다음 바이트의 시작 비트 사이에 별도의 일시 중지 시간이 없을 수도 있다. 마스터는 새로운 텔레그램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최소 33비트 동안 논리 "1" 상태(버스 유휴 상태)를 유지하는 SYN 일시 중지 신호를 보낸다.

FDL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텔레그램(메시지)이 사용되며, 이는 시작 구분 기호(Start Delimiter, SD)를 통해 구분된다.

  • 데이터 없음 (No Data): SD1 = 0x10


  • 가변 길이 데이터 (Variable Length Data): SD2 = 0x68


  • 고정 길이 데이터 (Fixed Length Data): SD3 = 0xA2


  • 토큰 (Token): SD4 = 0xDC


  • 긍정 응답 (Acknowledgement): SC = 0xE5



위 텔레그램 구조에서 사용되는 필드는 다음과 같다.

  • '''SD''': 시작 구분 기호 (Start Delimiter)
  • '''LE''': PDU의 길이 (DA, SA, FC, DSAP, SSAP 필드 포함)
  • '''LEr''': PDU 길이 반복 (오류 검출을 위한 해밍 거리 4 적용)
  • '''FC''': 기능 코드 (Function Code)
  • '''DA''': 전송 대상 주소 (Destination Address)
  • '''SA''': 발신지 주소 (Source Address)
  • '''DSAP''': 전송 대상 서비스 접근 지점 (Destination Service Access Point)
  • '''SSAP''': 발신지 서비스 접근 지점 (Source Service Access Point)
  • '''PDU''':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Protocol Data Unit) - 실제 전송되는 데이터
  • '''FCS''': 프레임 검사 시퀀스 (Frame Check Sequence) - 지정된 길이 내의 각 바이트를 더하여 계산하며, 오버플로는 무시된다.
  • '''ED''': 종료 구분 기호 (End Delimiter) - 항상 0x16 값을 가진다.


FDL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접근 지점(Service Access Point, SAP)을 사용한다. 주요 SAP와 해당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SAP (10진수)서비스설명
기본 0순환 데이터 교환 (Write_Read_Data)마스터와 슬레이브 간 주기적인 데이터 교환
54마스터-마스터 SAP (M-M 통신)마스터 장치 간 통신
55스테이션 주소 변경 (Set_Slave_Add)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주소 변경 (선택 사항, 슬레이브가 주소 저장을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를 지원하지 않으면 비활성화될 수 있음)
56입력 읽기 (Rd_Inp)슬레이브의 입력 데이터 읽기
57출력 읽기 (Rd_Outp)슬레이브의 출력 데이터 읽기
58DP 슬레이브에 대한 제어 명령 (Global_Control)특정 슬레이브 그룹 또는 모든 슬레이브에 제어 명령 전송
59구성 데이터 읽기 (Get_Cfg)슬레이브의 구성 정보 읽기
60진단 데이터 읽기 (Slave_Diagnosis)슬레이브의 진단 정보 읽기
61파라미터화 데이터 전송 (Set_Prm)슬레이브의 작동 파라미터 설정
62구성 데이터 확인 (Chk_Cfg)슬레이브의 구성 정보 확인


3. 4.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프로피버스(PROFIBUS)의 비트 전송 계층, 즉 물리 계층에는 세 가지 다른 전송 방식이 정의되어 있다.[2]

  • EIA-485 기반 전기 전송:[13][18] 특성 임피던스 150 의 꼬임쌍선 케이블을 사용하여 버스 토폴로지로 구성한다.[12] 비트 전송률은 9.6 kbit/s에서 12 Mbit/s까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케이블 길이는 사용되는 비트 전송률에 따라 달라지며, 두 리피터 사이의 거리는 100m에서 1200m까지 제한된다. 이 방식은 주로 '''PROFIBUS DP'''[16]에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보라색 피복의 2코어 차폐 케이블을 사용한다.[13] PROFIBUS DP 네트워크는 RS485 전송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31개의 장치만 연결할 수 있지만, 허브나 리피터를 사용하면 최대 126개까지 장치를 연결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할 수 있다.[11][7]

  • 광섬유 기반 광학 전송: 광섬유를 이용한 방식으로, 스타 토폴로지, 버스 토폴로지, 링 토폴로지 구성이 가능하다. 리피터 간 거리는 최대 15km까지 확장될 수 있으며, 링 토폴로지는 이중화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17]

  • MBP (Manchester Bus Powered) 전송:[18] 데이터 신호와 필드버스 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동일한 케이블을 통해 공급하는 방식이다. 전력 수준을 낮춰 폭발 위험이 있는 환경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버스 토폴로지를 사용하며 최대 1900m까지 길이를 확장할 수 있고, 현장 장치로 최대 60m 길이의 분기(spur)를 허용한다. 비트 전송률은 31.25 kbit/s로 고정되어 있다. 이 기술은 주로 공정 자동화 분야의 '''PROFIBUS PA'''[15]를 위해 특별히 개발되었으며,[17] 일반적으로 파란색 피복의 2코어 차폐 케이블을 사용한다.


아래는 세 가지 물리 계층 방식의 주요 특징을 비교한 표이다.

'''PROFIBUS 물리 계층 방식 비교'''
특징EIA-485
(주로 PROFIBUS DP)
광섬유MBP (Manchester Bus Powered)
(주로 PROFIBUS PA)
꼬임쌍선
(150 , 2코어 차폐, 보라색) | 광섬유 | 꼬임쌍선
(2코어 차폐, 파란색)
전기 | 광학 | 전기 (데이터 + 전원)
버스 토폴로지 | 스타 토폴로지, 버스 토폴로지, 링 토폴로지 | 버스 토폴로지 (분기 가능)
9.6 kbit/s ~ 12 Mbit/s | 다양 | 31.25 kbit/s (고정)
100m ~ 1200m
(리피터 간, 속도 의존) | 최대 15km
(리피터 간) | 최대 1900m (버스),
최대 60m (분기)
범용적, 고속 가능 | 장거리 전송, 전기적 노이즈 강함,
링 토폴로지 이중화 가능 | 방폭 환경 적합,
필드 장치 전원 공급 가능



이 외에도 이동 장치의 슬라이딩 접점을 통한 데이터 전송이나, 개방된 공간에서의 광학 또는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품들이 다양한 제조사에서 제공되고 있지만, 이는 프로피버스 표준에 명시된 방식은 아니다.

4. 종류

PROFIBUS는 주로 사용 목적에 따라 두 가지 주요 변형으로 나뉜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PROFIBUS DP이고, 특정 응용 분야를 위한 PROFIBUS PA가 있다.[9][20]


  • '''PROFIBUS DP''' (Decentralised Peripherals, 분산 주변 장치)[16]: 주로 생산 자동화(공장 자동화) 분야에서 중앙 제어 장치가 분산된 센서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된다.[11] DP는 일반적인 자동화 환경에 주로 사용된다.
  • '''PROFIBUS PA''' (Process Automation, 프로세스 자동화)[15]: 주로 프로세스 자동화 분야에서 측정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폭발 위험이 있는 환경(Ex-zone 0 및 1)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9][20] PA는 DP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커플러(Coupler)를 통해 DP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9][20]


2009년 말 기준으로 전 세계에 3천만 개 이상의 PROFIBUS 노드가 설치되었으며, 이 중 약 5백만 개는 프로세스 산업 분야에 해당한다.[8]

4. 1. PROFIBUS DP (Decentralised Peripherals)

'''PROFIBUS DP'''는 Decentralised Peripherals|분산 주변 장치eng의 약자로, 프로피버스의 두 가지 변형 중 더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주로 생산 자동화 현장에서 중앙 제어 장치가 분산된 센서 그룹과 액추에이터 그룹을 조작하고 운용하는 데 사용된다.

PROFIBUS DP는 다양한 표준 진단 옵션을 제공하여 시스템 상태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 간의 통신 네트워크 구축에도 활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이나 광섬유를 통해 이루어지며, 최대 12Mbit/s의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4. 2. PROFIBUS PA (Process Automation)

'''PROFIBUS PA''' (Process Automation, 프로세스 자동화)[15]는 프로세스 자동화 응용 분야에서 프로세스 제어 시스템을 통해 측정 장비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이 변형은 폭발 위험이 있는 지역(Ex-zone 0 및 1)에서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었다.[9][20]

PA의 물리 계층(케이블 등)은 IEC 61158-2 표준[2]을 준수한다. 이 표준은 버스를 통해 현장 계측기에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고장이 발생했을 때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스파크가 생기지 않도록 전류 흐름을 제한하는 본질 안전(Intrinsic Safety) 개념을 적용한다. 이러한 안전 기능 때문에 하나의 PA 세그먼트에 연결할 수 있는 장치의 수는 제한된다. PA의 데이터 전송 속도는 31.25 kbit/s로 비교적 낮다.[9][20]

PA는 DP와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특수한 연결 장치인 커플러(Coupler)를 통해 DP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훨씬 빠른 속도의 DP 네트워크는 PA로부터 받은 프로세스 신호들을 중앙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백본(Backbone) 네트워크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DP와 PA는 특히 공장 자동화와 프로세스 자동화가 함께 필요한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9][20]

2009년 말 기준으로 전 세계에 설치된 3천만 개 이상의 PROFIBUS 노드 중 약 5백만 개가 프로세스 산업 분야(PA가 주로 사용되는 분야)에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8]

5. 응용 분야

(작성할 내용 없음)

6. 관련 단체

1989년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의 제조업체와 사용자들이 모여 PROFIBUS Nutzerorganisation e.V.|프로피버스 누처오르가니자치온de (PROFIBUS 사용자 조직, PNO)를 설립했다.[8] 1992년에는 스위스에서 첫 지역 프로피버스 조직인 'PROFIBUS Schweiz'가 만들어졌다. 이후 여러 국가에서 지역 PROFIBUS & PROFINET 협회(Regional PROFIBUS & PROFINET Association, RPA)가 추가로 설립되었다.

1995년에는 이들 지역 협회(RPA)들을 아우르는 국제 연합 단체인 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 (PI)이 창설되었다. 현재 PI는 전 세계 25개의 RPA(PNO 포함)를 통해 1,400곳 이상의 회원사를 대표하며, 여기에는 대부분의 주요 자동화 공급업체 및 서비스 제공업체, 그리고 다수의 최종 사용자가 포함되어 있다.

7. 표준화

PROFIBUS는 1991년과 1993년에 걸쳐 DIN 19245로 처음 표준화되었다. 이후 1996년에는 EN 50170으로 유럽 표준으로 채택되었으며, 1999년에는 IEC 61158 및 IEC 61784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었다.

8. 프로파일

프로파일은 특정 장치나 응용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정의된 프로피버스(PROFIBUS) 기능 및 특징의 구성을 의미한다. 이 프로파일은 PI(PROFIBUS & PROFINET International) 작업 그룹에서 정하고 PI에서 발행한다.

프로파일은 개방성, 상호 운용성, 교환 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최종 사용자는 여러 공급 업체에서 만든 비슷한 장비들이 표준화된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폭이 넓어지면 공급 업체 간의 경쟁이 촉진되어 성능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다.

다양한 종류의 프로파일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엔코더, 실험실 기기, 지능형 펌프, 로봇, 수치 제어 기계 등에 대한 프로파일이 있다. 또한, HART나 무선 통신 기술을 PROFIBUS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 PROFIBUS PA를 통한 공정 자동화 장치처럼 특정 응용 분야를 위한 프로파일도 개발되었다. 이 외에도 모션 제어를 위한 PROFIdrive나 기능 안전을 위한 PROFIsafe와 같은 특수 목적의 프로파일도 지정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Profiles Part 1: Fieldbus profiles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19
[2] 웹사이트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Fieldbus specifications - Part 2: Physical layer specification and service definition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22
[3] 웹사이트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Fieldbus specifications - Part 3-3: Data-link layer service definition - Type 3 elements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14
[4] 웹사이트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Fieldbus specifications - Part 4-3: Data-link layer protocol specification - Type 3 elements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19
[5] 웹사이트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Fieldbus specifications - Part 5-3: Application layer service definition - Type 3 elements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14
[6] 웹사이트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Fieldbus specifications - Part 6-3: Application layer protocol specification - Type 3 elements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19
[7] 웹사이트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Profiles - Part 5-3: Installation of fieldbuses - Installation profiles for CPF 3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18
[8] 서적 Milestones: PROFIBUS - 20 years of standards for industrial communication https://drive.google[...] PROFIBUS Nutzerorganisation e.V. 2009
[9] 웹사이트 PROFIBUS Technology and Application – System Description https://www.profibus[...] Profibus and Profinet International (PI) 2016
[10] 웹사이트 The New Rapid Way to PROFIBUS DP - From DP-V0 to DP-V2 https://www.profibus[...] Profibus and Profinet International (PI) 2003
[11] 웹사이트 PROFIBUS Design https://www.profibus[...] Profibus and Profinet International (PI) 2020
[12] 웹사이트 PROFIBUS Cabling and Assembly https://www.profibus[...] Profibus and Profinet International (PI) 2020
[13] 웹사이트 PROFIBUS Commissioning https://www.profibus[...] Profibus and Profinet International (PI) 2022
[14] 서적 Decentralization with PROFIBUS DP/DPV1: Architecture and Fundamentals, Configuration and Use with SIMATIC S7 Siemens 2003
[15] 서적 Catching the Process Fieldbus: An Introduction to Profibus for Process Automation Momentum Press 2012
[16] 서적 PROFIBUS: A Pocket Guide ISA 2003
[17] 서적 PROFIBUS Manual https://felser.ch/pr[...] epubli GmbH 2017
[18] 서적 PROFIBUS in Practice: Installing PROFIBUS devices and cables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3
[19] 서적 PROFIBUS in Practice: System Engineering, Trouble-shooting and Maintenance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3
[20] 서적 PROFIBUS in Practice: System Architecture and Design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Platform 2015
[21] 서적 PROFIBUS in Practice: Standard and Operation Independently Published 2019
[22] 문서 英語版原文は「production (i.e. discrete or factory automation) and process automation」とあり、個々の機器内の自動化(のための機器内の通信)と、機器間の通信により工場などのプロセス全体の自動化、の両方という意図と思われる。
[23] 문서 英語版原文は「agreed to support a common technical concept for ...」
[24] 서적 Decentralization with PROFIBUS DP/DPV1: Architecture and Fundamentals, Configuration and Use with SIMATIC S7 Siemens 2003
[25] 웹인용 Industrial communication networks - Profiles Part 1: Fieldbus profiles https://webstore.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