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피어츠 항등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어츠 항등식은 디랙 스피너와 바일 스피너에 대한 곱의 항등식이다. 디랙 스피너의 피어츠 항등식은 스칼라, 벡터, 텐서, 축벡터, 유사스칼라 곱에 대해 표로 나타내며, 벡터×벡터 곱의 형태로도 주어진다. 바일 스피너의 피어츠 항등식은 반가환 바일 스피너의 곱으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피너 - 디랙 방정식
    디랙 방정식은 폴 디랙이 도입한 스핀 1/2 입자의 운동을 기술하는 상대론적 양자역학의 선형 편미분 방정식으로, 상대론적 효과와 전자의 스핀을 결합하여 양전자의 존재를 예측하는 데 기여했으며 양자장론의 기본 방정식으로 널리 활용된다.
  • 스피너 - 디랙 행렬
    디랙 행렬은 4차원 시공간에서 상대론적 장론에 응용되는 반교환 관계를 만족하는 행렬 집합으로, 디랙 방정식과 물리적 구조를 표현하며 로렌츠 변환에 따라 변환된다.
  • 항등식 - 오일러 공식
    오일러 공식은 임의의 실수 x에 대해 e^{ix} = \cos x + i\sin x가 성립함을 나타내는 수학 공식으로, 지수 함수와 삼각 함수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며 복소 평면에서의 회전 기술, 복소수 극형식 표현 등에 활용된다.
  • 항등식 - 삼각 함수 항등식
    삼각 함수 항등식은 삼각함수들의 정의, 주기성, 대칭성, 이동, 피타고라스 정리, 덧셈 정리 등을 포함하는 삼각함수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등식이다.
  • 물리학 정리 - 뇌터 정리
    뇌터 정리는 대칭성과 보존 법칙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정리로, 라그랑지안의 대칭 변환 불변성에 따라 에너지, 운동량 등 보존량이 존재함을 보여주며, 고전역학, 양자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물리학 정리 - 보어-판레이우언 정리
    보어-판레이우언 정리는 고전 역학으로는 자기 현상을 설명할 수 없음을 밝히는 정리이며, 양자 역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보어 모형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피어츠 항등식
일반 정보
이름피어츠 항등식
분야양자장론
고안자마르쿠스 피에르츠
중요성4-페르미 상호 작용과 같은 특정 상호 작용을 재정렬하는 데 사용됨
상세 정보
형태두 쌍의 페르미온 장 사이의 모든 가능한 쌍선형을 포함하는 완전성 관계
디랙, 마요라나 또는 바일 페르미온에 적용 가능
응용쿼크의 색깔 인덱스에 적용
강입자 물리학에서 쿼크 모형의 재정렬
Nambu-Jona-Lasinio 모형
초대칭 양-밀스 이론
관련 개념클렙슈-고르단 계수
위그너-에카르트 정리
추가 정보
마르쿠스 에두아르트 피어츠[[파일:Fierz.jpg|150px]]
스위스의 물리학자
(1912년 6월 20일 ~ 2006년 6월 12일)
전문 분야: 양자역학, 입자물리학
주요 업적: 피어츠-파울리 간섭, 피어츠 항등식

2. 디랙 스피너

디랙 스피너의 피어츠 항등식은 스칼라, 벡터, 텐서, 축벡터, 유사스칼라 항들의 곱으로 표현된다.

2. 1. 디랙 스피너 피어츠 항등식 표

SVTAP
S × S =¼¼−¼−¼¼
V × V =1−½0−½−1
T × T =−1½0−½0−1½
A × A =-1−½0−½1
P × P =¼−¼−¼¼¼



여기서 S, V, T, A, P는 각각 스칼라, 벡터, 텐서, 축벡터, 유사스칼라를 나타낸다.

2. 2. 벡터×벡터 곱의 피어츠 항등식 예시

벡터×벡터 곱의 피어츠 항등식은 다음과 같다.

:

\left(\bar\chi\gamma^\mu\psi\right)\left(\bar\psi\gamma_\mu \chi\right)=

\left(\bar\chi\chi\right)\left(\bar\psi\psi\right)-

\frac12\left(\bar\chi\gamma^\mu\chi\right)\left(\bar\psi\gamma_\mu\psi\right)-

\frac12\left(\bar\chi\gamma^\mu\gamma_5\chi\right)\left(\bar\psi\gamma_\mu\gamma_5\psi\right)

  • \left(\bar\chi\gamma^5\chi\right)\left(\bar\psi\gamma_5\psi\right).

3. 바일 스피너

반가환 바일 스피너는 피어츠 항등식을 만족시킨다.

3. 1. 바일 스피너 피어츠 항등식 예시

반가환 바일 스피너는 다음의 피어츠 항등식을 만족한다.

:\xi(\bar\eta\zeta)+\eta(\bar\zeta\xi)+\zeta(\bar\xi\eta)=0.

:(\psi\sigma^{\mu\nu}\chi)(\psi'\sigma_{\mu\nu}\chi')=-2(\psi\chi')(\chi\psi')-(\psi\chi)(\psi'\chi')

:(\bar\psi\bar\sigma^{\mu\nu}\bar\chi)(\bar\psi'\bar\sigma_{\mu\nu}\bar\chi')=-2(\bar\psi\bar\chi')(\bar\chi\bar\psi')-(\bar\psi\bar\chi)(\bar\psi'\bar\chi')

:(\psi\sigma^{\mu\nu}\chi)(\bar\psi'\bar\sigma_{\mu\nu}\bar\chi')=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