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란드의 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란드의 총리는 핀란드 정부의 수반으로, 내각을 이끌고 국정을 총괄한다. 총리는 4년에 한 번씩 치러지는 의회 선거 이후, 대통령이 의회와 정당 간의 협의를 거쳐 지명하며, 의회의 신임 투표를 통과해야 한다. 1918년 핀란드 원로원이 개편되면서 총리직이 신설되었으며, 2000년 헌법 개정으로 총리 선출에 있어 의회의 역할이 강화되었다. 핀란드 총리의 월급은 국회의원 급여에 추가 수당을 더하여 지급되며, 휴가와 교통, 보안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총리 - 라우리 잉만
라우리 잉만은 핀란드의 정치인으로서 총리, 의회 의장, 교육장관을 역임했으며, 두 차례 핀란드 총리를 지냈다. - 핀란드의 총리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는 핀란드의 독립과 냉전 시대 생존에 기여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총리, 스웨덴/소련 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소련과의 우호 관계 구축 및 '파아시키비 독트린'을 통해 핀란드의 안보와 독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핀란드의 총리 | |
---|---|
기본 정보 | |
직책 | 핀란드의 정부수반 |
직무 | 정부의 수반 |
관저 | 케새란타 |
임명권자 | 대통령 |
임기 | 4년, 중임 가능 |
급여 | 연 €202,350 |
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로마자 표기 | Suomen pääministeri (수오멘 패미니스테리) |
현직 | |
현직 총리 | 페테리 오르포 |
취임일 | 2023년 6월 20일 |
![]() | |
역사 | |
직책 생성일 | 1917년 11월 27일 |
전신 | 핀란드 원로원 경제 부원장 |
초대 총리 |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
역할 및 권한 | |
소속 기관 | 핀란드 정부 핀란드 총리실 |
구성원 | 핀란드 내각 유럽 이사회 |
2. 역사
1918년 핀란드 원로원이 핀란드 정부로 개편되면서 경제 부원장직이 총리가 되었다.[4] 헬싱키 메이라티에 있는 케새란타(스웨덴어로는 빌라 비엘보, Villa Bjälbo)는 1919년부터 핀란드 총리의 관저가 되었다.
총리의 임명은 4년에 한 번씩 실시되는 의회 선거 이후에 이루어진다. 핀란드 헌법 조항에 따라, 의회 정당들이 새 내각의 의석 분배와 정부 프로그램에 대해 협상한 후 대통령이 총리를 지명한다. 의회는 신임 투표에서 다른 후보 없이 절대 다수의 찬성으로 지명된 총리를 인준해야 한다.
총리의 월급은 12173EUR이다.[1] 총리는 국회의원 급여의 절반을 추가로 받는다. 2011년 5월 1일 기준으로 국회의원 급여는 월 6335EUR 이상이므로, 핀란드 총리는 월 14842EUR 이상을 받는다. 급여에는 소득세가 부과된다.
1917년 핀란드 독립 이후 핀란드는 72개의 내각을 거쳤다.[4] 역대 총리 목록은 핀란드 총리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핀란드의 역대 총리 목록이다.
[1]
웹사이트
Ministerial pay and allowances
https://web.archive.[...]
2019-11-12
1917년 독립 이후 핀란드는 현재 내각을 포함하여 72개의 내각을 거쳤다.[5] 최장수 내각은 파보 리포넨 총리의 두 내각 (리포넨 1차와 리포넨 2차)으로, 두 내각 모두 국회의 임기 전체인 1,464일 동안 지속되었다.
3. 임명
지명자가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하면, 대통령은 새로운 협상 과정을 거쳐 두 번째 지명을 한다. 두 번째 지명자 역시 절대 다수를 얻지 못하면, 의회 의원 누구나 후보를 지명할 수 있는 세 번째 투표가 진행되며, 이 경우에는 다수결로 당선된다.
위의 절차는 2003년 안넬리 예텐메키를 총리로 선출할 때 처음 사용되었다. 이전에는 대통령이 세 번째 투표에서 상대적 다수를 얻을 후보, 즉 일반적으로 의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하는 정당의 대표를 지명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2000년 헌법 제정 전에는 총리와 나머지 정부 구성원을 임명하는 완전한 공식 권한은 대통령의 특권이었으며, 대통령은 의회 원칙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만, 임명된 장관들은 의회의 신임을 받아야 했다.
공식적으로 총리는 정부의 나머지 구성원을 지명하며, 그들은 의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다. 실제로는 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협상 과정에서 각 정당 간에 의석이 분배되므로, 총리 후보는 참여 정당의 의견을 고려해야 하며, 원하는 사람을 임명하거나 해임할 수 없다.
4. 급여 및 혜택
총리는 매년 30일의 휴가를 받을 수 있다. 공식 관저인 케사란타의 유지 보수, 직원 및 서비스 비용은 정부에서 부담한다. 총리의 특전에는 무료 식사 또는 식비는 포함되지 않는다.
총리는 항상 교통 및 보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5. 역대 총리
정당 이름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청년 핀란드당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1917년 11월 27일 1918년 5월 27일 핀란드당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1918년 5월 27일 1918년 11월 27일 국민연합당 라우리 잉만 1918년 11월 27일 1919년 4월 17일 국민진보당 카를로 카스트렌 1919년 4월 17일 1919년 8월 15일 국민진보당 유호 베놀라 1919년 8월 15일 1920년 3월 15일 국민연합당 라파엘 에리히 1920년 3월 15일 1921년 4월 9일 국민진보당 유호 베놀라 1921년 4월 9일 1922년 6월 2일 무소속 아이모 카얀데르 1922년 6월 2일 1922년 11월 14일 농업동맹 쿄스티 칼리오 1922년 11월 14일 1924년 1월 18일 무소속 아이모 카얀데르 1924년 1월 18일 1924년 5월 31일 국민연합당 라우리 잉만 1924년 5월 31일 1925년 3월 31일 국민연합당 안티 툴렌헤이모 1925년 3월 31일 1925년 12월 31일 농업동맹 쿄스티 칼리오 1925년 12월 31일 1926년 12월 13일 사회민주당 베이뇌 타네르 1926년 12월 13일 1927년 12월 17일 농업동맹 유호 수닐라 1927년 12월 17일 1928년 12월 22일 국민진보당 오스카리 만테레 1928년 12월 22일 1929년 8월 16일 농업동맹 쿄스티 칼리오 1929년 8월 16일 1930년 7월 4일 국민연합당 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1930년 7월 4일 1931년 2월 18일 국민진보당 유호 베놀라 1931년 2월 18일 1931년 3월 21일 농업동맹 유호 수닐라 1931년 3월 21일 1932년 12월 14일 국민진보당 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1932년 12월 14일 1936년 10월 7일 농업동맹 쿄스티 칼리오 1936년 10월 7일 1937년 2월 17일 국민진보당 루돌프 홀스티 1937년 2월 17일 1937년 3월 12일 국민진보당 아이모 카얀데르 1937년 3월 12일 1939년 12월 1일 국민진보당 리스토 뤼티 1939년 12월 1일 1940년 12월 19일 무소속 루돌프 발덴 1940년 12월 19일 1941년 1월 4일 국민진보당 요한 빌헬름 랑엘 1941년 1월 4일 1943년 3월 5일 국민연합당 에드윈 링코미에스 1943년 3월 5일 1944년 8월 8일 무소속 안티 하크젤 1944년 8월 8일 1944년 9월 21일 국민연합당 우르호 카스트렌 1944년 9월 21일 1944년 11월 17일 국민연합당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1944년 11월 17일 1946년 3월 9일 무소속 카를 엔켈 1946년 3월 9일 1946년 3월 26일 핀란드 인민 민주 동맹 마우노 페칼라 1946년 3월 26일 1948년 7월 29일 사회민주당 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 1948년 7월 29일 1950년 3월 17일 중앙당 우르호 케코넨 1950년 3월 17일 1953년 11월 17일 무소속 사카리 투오미오야 1953년 11월 17일 1954년 5월 5일 핀란드 스웨덴 인민당 랄프 퇼른그렌 1954년 5월 5일 1954년 10월 20일 중앙당 우르호 케코넨 1954년 10월 20일 1956년 3월 3일 사회민주당 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 1956년 3월 3일 1957년 5월 27일 중앙당 브. 유. 수셀라이넨 1957년 5월 27일 1957년 11월 29일 무소속 라이너 폰 피에안트 1957년 11월 29일 1958년 4월 26일 무소속 레이노 쿠우스코스키 1958년 4월 26일 1958년 8월 29일 사회민주당 카를아우구스트 파게르홀름 1958년 8월 29일 1959년 1월 13일 중앙당 브. 유. 수셀라이넨 1959년 1월 13일 1961년 7월 3일 중앙당 에에밀 루우카 1961년 7월 3일 1961년 7월 14일 중앙당 마르티 미에투넨 1961년 7월 14일 1962년 4월 13일 중앙당 아흐티 카르얄라이넨 1962년 4월 13일 1963년 12월 18일 무소속 레이노 라그나르 레흐토 1963년 12월 18일 1964년 9월 12일 중앙당 요한네스 비롤라이넨 1964년 9월 12일 1966년 5월 27일 사회민주당 라파엘 파아시오 1966년 5월 27일 1968년 3월 22일 사회민주당 마우노 코이비스토 1968년 3월 22일 1970년 5월 14일 무소속 테우보 아우라 1970년 5월 14일 1970년 7월 15일 중앙당 아흐티 카르얄라이넨 1970년 7월 15일 1971년 10월 29일 무소속 테우보 아우라 1971년 10월 29일 1972년 2월 23일 사회민주당 라파엘 파아시오 1972년 2월 23일 1972년 9월 4일 사회민주당 칼레비 소르사 1972년 9월 4일 1975년 6월 13일 무소속 케이요 리이남아 1975년 6월 13일 1975년 11월 30일 중앙당 마르티 미에투넨 1975년 11월 30일 1977년 5월 15일 사회민주당 칼레비 소르사 1977년 5월 15일 1979년 5월 26일 사회민주당 마우노 코이비스토 1979년 5월 26일 1981년 10월 27일 중앙당 에이노 우시탈로 1981년 10월 27일 1982년 2월 19일 사회민주당 칼레비 소르사 1982년 2월 19일 1987년 4월 30일 국민연합당 하리 홀케리 1987년 4월 30일 1991년 4월 26일 중앙당 에스코 아호 1991년 4월 26일 1995년 4월 13일 사회민주당 파보 리포넨 1995년 4월 13일 2003년 4월 17일 중앙당 안넬리 야텐매키 2003년 4월 17일 2003년 6월 24일 중앙당 마티 반하넨 2003년 6월 24일 2010년 6월 22일 중앙당 마리 키비니에미 2010년 6월 22일 2011년 6월 22일 국민연합당 이르키 카타이넨 2011년 6월 22일 2014년 6월 24일 국민연합당 알렉산데르 스투브 2014년 6월 24일 2015년 5월 29일 중앙당 유하 시필래 2015년 5월 29일 2019년 6월 6일 사회민주당 안티 린네 2019년 6월 6일 2019년 12월 10일 사회민주당 산나 마린 2019년 12월 10일 2023년 6월 20일 국민연합당 페테리 오르포 2023년 6월 20일 현재
참조
[2]
웹사이트
Sanna Marin tienasi ennätykselliset pääministeritulot – tässä syy
https://www.iltaleht[...]
IL
2022-10-04
[3]
서적
Maassa maan tavalla - tunne säännöt ja onnistu. Ulkoasiainministeriön protokollapalvelut
Ulkoasiainministeriö
[4]
웹사이트
The Cabinet in Office
https://web.archive.[...]
Finnish Council of State
2010-06-23
[5]
웹사이트
The Cabinet in Office
https://web.archive.[...]
Finnish Council of State
2010-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