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요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요악은 덜 나쁜 결과를 얻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피할 수 없는 악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고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결혼이나 정부와 같이 불편하거나 성가시지만 불가피한 존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 토마스 풀러, 토마스 페인, 필립포 마체이 등은 필요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거나 이와 유사한 개념을 제시했다. 그러나 일부 사상가들은 악으로 여겨지는 행위 자체를 거부하며, 이를 피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악 - 양심
    양심은 옳고 그름을 판단하고 행동을 결정하는 내적 도덕적 인식으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며 개인의 도덕적 판단과 사회적 행동, 그리고 초국가적 문제와도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루어진다.
  • 선악 - 선악과
    선악과는 여러 종교 경전과 신화에 등장하는 금단의 열매로, 창세기에서는 하나님이 먹지 말라고 금지한 열매이며, 이를 어긴 아담과 이브는 에덴동산에서 쫓겨났고, 꾸란에서는 이 열매를 먹으면 죄인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해석과 함께 유혹과 탐닉의 은유로도 사용된다.
  • 윤리학 개념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윤리학 개념 - 자유
    자유는 외부의 강제나 구속 없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행동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로 나뉘고, 개인의 자유는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장된다.
필요악
필요악
정의
의미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악, 피할 수 없는 해악.
인식필요하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것,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부정적인 것.
필요악의 특징
불가피성특정 상황에서 피할 수 없는 선택, 완벽한 해결책 부재.
부정적 결과긍정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수반되는 부정적인 결과, 윤리적 딜레마 발생.
필요악의 사례
정부 정책공공의 이익을 위해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정책.
군사적 행동국가 안보를 위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전쟁.
경제 정책경제 성장을 위해 환경 파괴를 감수하는 개발 정책.
사회 제도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법과 제도.
형벌범죄 예방을 위해 불가피한 처벌, 사형 제도.
필요악에 대한 비판적 관점
윤리적 문제명분과 결과 사이의 갈등, 도덕적 정당성 논쟁.
책임 소재필요악을 선택한 주체의 책임 문제, 불가피성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
대안 모색필요악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 필요, 대안 모색의 중요성.
남용 위험필요악의 개념을 악행의 변명으로 이용하는 위험, 필요악으로 위장된 악행에 대한 경계.
추가 정보
철학적 논의존 스튜어트 밀, 벤담, 니체 등의 철학자들이 필요악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제시.
사회적 합의필요악의 수용 여부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결정됨, 합의 과정의 중요성.
역사적 사례역사적으로 다양한 필요악 사례 존재, 시대와 상황에 따라 필요악의 개념 변화.

2. 역사

"필요악"이라는 개념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존재해 왔으며, 최초에는 결혼을 언급하는 데 사용되었고, 1547년 영어로 처음 사용된 예시에서는 여성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1]

악(evil)이라는 개념은 도덕에 반하는 행위, 즉 악으로 여겨지는 행위로 정의된다. 그러나 "필요악"이라는 표현에서 "악"은 반드시 부도덕하거나 선의 적이라는 의미는 아니다. 토마스 풀러가 궁정 광대를 "필요악"으로 묘사했을 때, 궁정 광대가 악한 사람이라거나 궁정 광대를 두는 것이 악한 목적이라는 암시는 없었다.[2] 이 용어는 대개 단순한 불편이나 성가심을 나타낸다.

어떤 사상가들은 "악"인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 자체를 거부하며, 악으로 여겨지는 활동을 피하거나, 그런 시스템을 대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국 의회정당에 대해 한 저자는 "필요악" 개념이 정당을 변명하는 데 사용된다고 비판했다.[8]

2. 1. 서양에서의 개념

《옥스퍼드 영어 어원 사전》은 "필요악(necessary evil)이라는 개념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주장하며, 최초의 필요악으로 결혼을 언급하고, "1547년 영어로 나온 최초의 예시는 여성을 가리킨다"고 덧붙입니다.[1] 1642년 저서 『신성한 국가와 속된 국가』에서 토마스 풀러는 궁정 광대를 두고 "...궁정에서 어떤 이들은 필요악으로 여긴다"는 말로 필요악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초기 사례 중 하나를 남겼습니다.[2] 토마스 페인은 『상식』에서 정부를 최선의 경우에도 "필요악"으로 묘사했습니다.[3]

1770년대 토마스 제퍼슨과의 서신에서 이탈리아 의사 필립포 마체이는 더 큰 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제약으로 필요악을 규정했습니다.

필요악은 더 큰 악을 초래하지 않고는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필요악에는 법 자체도 포함됩니다. 왜냐하면 법은 우리에게 어떤 일을 하지 못하게 하거나 어떤 일을 하도록 강요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것은 우리에게 가장 큰 선인 자유의 일부를 빼앗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 법이 없다면 어떤 결과가 초래될까요?영어[9]

3. 현대 사회에서의 필요악 논쟁

현대 사회에서도 필요악은 여전히 논쟁적인 주제이다.

참조

[1] 서적 Oxford Dictionary of Word Origins 2010
[2] 서적 The Holy State and the Profane State 1642
[3] 서적 Philosophy and Other Bad Habits 2011
[4] 웹사이트 dictionary definition https://www.merriam-[...] 2018-02-11
[5] 웹사이트 dictionary definition https://web.archive.[...] 2018-02-11
[6] 서적 Organizational Control 2010
[7] 서적 Mystery and Meaning: Christian Philosophy and Orthodox Meditations 2011
[8] 간행물 Ex Parte 1924
[9] 서적 Philip Mazzei: Selected Writings and Correspondence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