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의 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늘의 터널은 맬서스 과잉 인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텔레포테이션 기술을 배경으로, 낯선 행성에서 생존 시험을 치르는 고등학생 로드 워커의 이야기를 다룬다. 시험 중 고립된 로드는 다른 생존자들과 함께 공동체를 형성하고, 정치적 위기를 겪으며 리더십을 발휘한다. 지구와의 재접촉 이후, 로드는 고립된 사회의 지도자에서 다시 평범한 학생으로 돌아가는 것에 대한 갈등을 겪는다. 이 작품은 고립된 환경 속에서 인간 본성과 사회의 본질, 그리고 리더십의 중요성을 탐구하며, 하인라인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유능한 여성 인물을 묘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존 능력을 소재로 한 소설 - 마션 (소설)
앤디 위어의 소설 마션은 2035년 화성에 고립된 식물학자 마크 와트니의 생존기와 그를 구출하려는 NASA와 동료들의 노력을 그린 과학 소설로,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생존 능력을 소재로 한 소설 - 로빈슨 크루소
대니얼 디포가 1719년에 발표한 소설 로빈슨 크루소는 사실주의 소설의 효시로, 주인공이 무인도에서 28년간 겪는 모험과 생존, 귀환을 다루며 실제 표류자들의 경험에서 영감을 받아 로빈소네이드 장르를 탄생시키고 문학, 사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난과 표류를 소재로 한 소설 - 걸리버 여행기
《걸리버 여행기》는 조너선 스위프트가 1726년에 익명으로 출판한 소설로, 레뮤얼 걸리버의 기이한 여행을 통해 당대 사회와 인간 본성을 풍자하며, 릴리퍼트, 브롭딩낵, 라퓨타, 후이넘 등 네 개의 가상 세계를 배경으로 정치, 과학, 인간의 어리석음과 탐욕을 비판한다. - 조난과 표류를 소재로 한 소설 - 15소년 표류기
쥘 베른의 소설 《15소년 표류기》는 뉴질랜드에서 휴가를 보내려던 15명의 소년들이 무인도에 표류하여 2년간 생존하며 모험하고 성장하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 1955년 소설 - 왕의 귀환
《왕의 귀환》은 톨킨의 판타지 소설 《반지의 제왕》의 마지막 권으로, 프로도와 샘의 모르도르 여정, 아라곤의 곤도르 즉위, 사우론의 몰락, 샤이어의 정화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며, 말미에는 중간계 역사 등의 부록이 포함되어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 - 1955년 소설 - 사반의 십자가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수난사를 배경으로 김동리의 소설 사반의 십자가는 로마 제국에 저항하는 혈맹단 단장 사반과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하는 예수의 갈등을 통해 혁명, 종교, 신념의 충돌을 그린다.
| 하늘의 터널 - [서적]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제목 (원제) | Tunnel in the Sky |
| 저자 | 로버트 A. 하인라인 |
| 삽화가 | P. A. Hutchinson |
| 국가 | 미국 |
| 언어 | 영어 |
| 시리즈 | 하인라인 청소년 소설 |
| 장르 | 과학 소설 |
| 출판사 | 스크리브너 |
| 출판일 | 1955년 |
| 미디어 유형 | 인쇄 (하드커버 및 페이퍼백) |
| 이전 작품 | 별의 야수 |
| 다음 작품 | 별을 향한 시간 |
2. 줄거리
미래에 맬서스 과잉 인구 문제는 텔레포테이션 기술인 "램스보텀 점프"의 발명으로 해결된다. 잉여 인구는 다른 행성을 식민지화하기 위해 보내지지만, 기술 운영 비용 때문에 식민지 행성은 지구와 격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고등학생 로드 워커는 전문적인 식민지 개척자를 꿈꾸며 고급 생존 수업의 마지막 시험에 참가한다. 이 시험은 낯선 행성에서 2일에서 10일 동안 살아남는 것이다. 학생들은 램스보텀 포털을 통해 낯선 행성에 혼자 남겨지며, "스토버를 조심하라"는 경고를 받는다.[1]
로드는 도둑에게 습격당해 기절하고, 붕대 밑에 숨겨둔 여분의 칼을 제외한 모든 것을 잃는다. 그는 다른 학생 재클린 "잭" 도데와 팀을 이루게 되고, 그녀가 10일 이상 연락이 끊겼다고 말하자 그들이 고립되었다는 것을 깨닫는다.[1]
로드와 잭은 장기적인 생존을 위해 정착지를 건설하고자 다른 생존자들을 모집한다. 약 75명으로 성장하는 공동체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된 로드는 정치나 행정에 관심이 없어, 그랜트 카우퍼가 시장으로 선출되는 것을 반긴다. 그러나 그랜트는 말하는 것만큼 일을 잘 처리하지 못했고, 로드는 그랜트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그를 지지한다. 그랜트는 위험한 위치에 살고 있다는 로드의 경고를 무시하고, 결국 토착 종의 공격으로 정착지가 파괴되고 그랜트는 죽는다. 이후 시민들은 로드를 새로운 시장으로 선출한다.[1]
하인라인은 기술이 없는 교육받은 젊은 서구인들의 개척지 공동체의 사회적 발전을 추적하며, 지구와의 재접촉으로 그들의 사회가 갑작스럽게 해체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거의 2년 동안 고립된 후 생존자들이 겪는 문화 충격은 어른이 되는 고통과 불확실성을 강조한다.
로드 외에는 모든 학생들이 기꺼이 지구로 돌아간다. 그는 작지만 주권적인 국가의 수장 지위에서 구조원들에게 무시당하는 십대로 돌아가는 것에 어려움을 겪지만, 그의 교사이자 매형의 설득으로 마음을 바꾼다. 그의 교사는 "스토버"(거꾸로 철자된 "로봇")에 대한 경고는 학생들에게 두려움과 주의를 심어주기 위한 것이었으며, 모든 학생은 최종 시험을 위해 보내는 행성에 관계없이 동일한 경고를 받는다고 알려준다. 수년 후, 로드는 다른 행성으로 공식적인 식민지화 파티를 이끌게 된다.
2. 1. 배경
미래 사회는 맬서스 과잉 인구 문제에 직면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램스보텀 점프"라는 텔레포테이션 기술이 개발된다. 이 기술로 잉여 인구를 다른 행성에 보내 식민지를 건설하게 한다. 그러나 기술 운영 비용 문제로 식민지 행성은 지구와 교류가 제한된다. 식민지 행성은 양방향 무역을 통해 이익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지구와 격리된 채로 남는다.식민지 개척자들은 현대 기술을 유지 보수하기 위한 지원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에 컨스토가 왜건이나 트랙터 대신 말을 사용하는 등 유지 관리가 쉬운 기술을 사용한다.
2. 2. 생존 시험
로드 워커는 전문적인 식민지 개척자가 되기를 꿈꾸는 고등학생이다. 그는 고급 생존 수업의 마지막 시험으로 낯선 행성에서 2일에서 10일 동안 생존해야 하는 시험에 참가한다. 학생들은 팀을 구성하거나 휴대 가능한 장비를 챙길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혼자서 생존해야 한다.[1] 로드는 첨단 무기가 자신감을 과신하게 만들 수 있다는 누나의 조언에 따라 사냥 칼과 기본적인 생존 장비만 챙긴다.[1] 시험 전, 학생들은 "스토버를 조심하라"는 경고를 받는다.[1]패트릭 헨리 고등학교 게시판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붙었다.[2]
> "특별 연락. 단독 생존 시험. 모든 환경과 지형이 예상되는 행성에서 48시간 이상 10일 이내의 기간 동안 생존할 것. 어떠한 장비나 무기도 지참 가능."[2]
로드 워커를 비롯한 십여 명의 학생들은 달에 설치된 항성간 게이트를 통해 인간이 생존할 수 있는 무인 행성으로 초시공 점프를 하여 이 시험에 참가했다.[2] 로드 일행은 어떤 지구형 행성의 표면에 흩어졌고, 회수를 위한 게이트가 닫힌다는 사실도 모른 채 시험을 시작하게 되었다.[2]
2. 3. 고립과 공동체 형성
로드는 도둑에게 습격당해 장비를 잃고, 다른 학생 재클린 "잭" 도데와 팀을 이룬다. 잭이 10일 이상 연락이 끊겼다고 말하자, 로드는 그들이 고립되었다는 것을 깨닫는다.[1]로드와 잭은 생존을 위해 다른 생존자들을 모으기 시작해 약 75명의 공동체를 형성한다. 로드는 공동체의 실질적인 지도자가 되지만, 정치나 행정에 관심이 없어 그랜트 카우퍼를 시장으로 선출한다.[1]
2. 4. 정치적 위기와 리더십
그랜트는 말솜씨는 좋았지만, 일을 처리하는 능력은 부족했다. 로드는 그랜트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그를 지지했다. 그랜트는 로드가 제안한 방어에 유리한 동굴 시스템으로 이동하자는 경고를 무시하고, 정착하기 어려운 위험한 위치에 그대로 머물렀다. 결국, 인간에게 무해하다고 생각했던 토착 생물이 갑자기 공격해 오면서 정착지는 파괴되고 그랜트는 사망한다. 이후 시민들은 로드를 새로운 시장으로 선출한다.2. 5. 지구와의 재접촉과 갈등
거의 2년 후, 지구와 다시 연결되지만, 로드 워커를 제외한 모든 학생들은 지구로 돌아가기를 원한다. 로드는 작지만 주권적인 국가의 수장 지위에서 구조대원들이 무심하게 무시하는 십대로 돌아가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그의 교사이자 매형이 그에게 마음을 바꾸도록 설득한다. 그의 교사는 "스토버"(거꾸로 쓰면 "로봇")에 대한 경고는 학생들에게 두려움과 주의를 심어주기 위해 알려지지 않은 행성의 위험을 개인화하는 방법이었을 뿐이며, 모든 학생은 최종 시험을 위해 보내는 행성에 관계없이 동일한 경고를 받는다고 알려준다. 수년 후, 로드는 다른 행성으로 공식적인 식민지화 파티를 이끌게 된다.3.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래드 워커
- 지미 스컬턴
- 밥 벅스터
- 카르멘 가르시아
3. 1. 주요 인물
- 래드 워커 - 본작의 주인공이자 고등학생이다.
- 지미 스컬턴 - 래드의 절친인 고등학생이다.
- 밥 벅스터 - 고등학생이다.
- 카르멘 가르시아 - 고등학생인 여학생이다.
3. 2. 기타 인물
| 이름 | 설명 |
|---|---|
| 래드 워커 | 본작의 주인공이자 고등학생이다. |
| 지미 스컬턴 | 래드의 절친인 고등학생이다. |
| 밥 벅스터 | 고등학생이다. |
| 카르멘 가르시아 | 고등학생인 여학생이다. |
4. 주제
Tunnel in the Sky영어는 파리 대왕과 유사하게 고립된 상황에서 개인의 본성과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의 모습을 보여준다.[1] 그러나 야만성으로 붕괴되기보다는 스스로 조직할 수 있는 인간의 잠재력과 강점에 대한 믿음을 제시한다.[1] 신생 식민지의 정치적 위기를 통해 사회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정부의 정당성을 탐구한다.[1] 개척자 정신을 낭만적으로 묘사하고, 다윈주의적 경쟁에서 강인한 존재로서의 호모 사피엔스를 찬양한다.[1] 유능하고 지적인 여성 등장인물을 통해 진보적인 가치를 반영한다.[1]
소설 초반부에는 소설의 줄거리가 시작되기 몇 세대 전에 일어난 전쟁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 전쟁에서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정복하고 식민지화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유럽계 오스트레일리아인을 모두 지칭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원래 인구의 잔존 세력은 뉴질랜드로 대피했다. 이후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중앙 사막을 개간하는 거대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에 착수했지만, 곧 거대한 과밀 슬럼이 되었다. 소설의 현재 시점에서 중국은 다른 누구도 원하지 않는 열악한 환경의 변두리 행성을 식민지화하고 있으며, 불행한 농민들은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그곳으로 이주하도록 강요받는다. 이 모든 것은 소설의 주요 줄거리와 거의 관련이 없으며, 물질 전송기를 통해 다른 행성을 식민지화하는 방법을 찾기 전까지 지구를 괴롭혔던 강력한 맬서스 압력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5. 사회적 배경 및 영향
소설의 앞부분에서는 소설의 줄거리가 시작되기 몇 세대 전에 일어난 전쟁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 이 전쟁에서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를 정복하고 식민지화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유럽계 오스트레일리아인을 모두 지칭하는 오스트레일리아 원래 인구의 잔존 세력은 뉴질랜드로 대피했다.[1] 이후 중국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중앙 사막을 개간하는 거대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에 착수했지만, 곧 거대한 과밀 슬럼이 되었다. 소설의 현재 시점에서 중국은 다른 누구도 원하지 않는 열악한 환경의 변두리 행성을 식민지화하고 있으며, 불행한 농민들은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그곳으로 이주하도록 강요받는다. 이 모든 것은 소설의 주요 줄거리와 거의 관련이 없으며, 물질 전송기를 통해 다른 행성을 식민지화하는 방법을 찾기 전까지 지구를 괴롭혔던 강력한 맬서스 압력을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6. 한국어 번역
ルナ・ゲートの彼方일본어』 모리시타 유미코 역 소겐 추리 문고 1989년 3월 ISBN 4-488-61809-X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Science Fi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2]
웹사이트
Heinlein Society's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heinleins[...]
[3]
웹사이트
Rod Walker, as Heinlein Intended
https://www.heinlein[...]
2012-09-24
[4]
웹인용
알라딘: 하늘의 터널
http://www.aladi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