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드록시카복실산 수용체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수용체 1(HCA1)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의 일종으로, 인간 게놈 서열에서 식별되었다. T 림프구 활성화 유전자 연구를 통해, 젖산이 GPR81을 통해 자궁 염증을 조절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16년 연구에 따르면, 분만 중 생성되는 젖산은 HCA1을 활성화하여 자궁 염증 조절에 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P2Y12
P2Y12 길항제는 P2Y12 수용체에 결합해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는 항혈소판제로, 클로피도그렐,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러, 캉그렐러 등이 있으며, 아스피린과 병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는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의 주요 치료법으로 쓰인다.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로돕신
로돕신은 간상 세포의 외부 분절 원반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어두운 환경에서의 시각을 담당하며 빛을 흡수하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시신경에 빛 신호를 전달하는 광변환 과정을 유발하고, 로돕신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망막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인간 12번 염색체상 유전자 - 젖산 탈수소효소
젖산 탈수소효소(LDH)는 피루브산을 젖산으로 또는 그 역반응을 촉매하는 효소로, 해당 과정과 코리 회로에서 작용하며, 5가지 동질효소 형태로 존재하고, 혈청 내 수치는 조직 손상 지표로 사용되며, 암세포 에너지 대사 및 유전 질환과도 관련되어 그 기능과 관련 질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 인간 12번 염색체상 유전자 - 리소자임
리소자임은 펩티도글리칸의 β-1,4-글리코사이드 결합을 분해하는 효소로, 그람 양성균의 세포벽 분해를 통한 항균 작용을 하며, 질병 예방 및 치료, 식품 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수용체 1 | |
---|---|
일반 정보 | |
유전자 기호 | GPR81 |
다른 명칭 |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 1 (HCAR1)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81 |
염색체 위치 | 12q23.3 |
앙상블 | ENSG00000163239 |
OMIM | 608380 |
유전자좌 | 12q23.3 |
기능 | |
리간드 | 젖산 3,5-다이하이드록시벤조산 |
신호 전달 | Gi/o 연결 |
학명 | |
영어 명칭 |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 1 |
2.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 유전자
인간 게놈 서열에서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 유전자를 식별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2. 1. 연구 방법
2. 2. 연구 결과
3. T 림프구 활성화 유전자
Takeda S 등이 2002년에 발표한 연구에서는 인간 게놈 서열에서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유전자를 식별하였다. Mao M 등은 2004년에 DNA 마이크로어레이에서 공동 조절 발현을 통해 T 림프구 활성화 유전자를 식별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6년에는 Madaan A 등이 분만 중 생성되는 젖산이 GPR81(HCA1)을 통해 자궁 염증을 조절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3. 1. 유전자 식별 방법
3. 2. 유전자의 기능
4. 젖산과 자궁 염증 조절 (GPR81)
분만 중 생성되는 젖산은 GPR81(하이드록시카복실산 수용체 1/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 1영어)을 통해 자궁 염증을 조절한다. 이 기전은 2016년 9월에 발표된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4. 1. 젖산의 역할
4. 2. GPR81 (HCA1)의 역할
4. 3. 임상적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Entrez Gene: GPR81 G protein-coupled receptor 81
https://www.ncbi.nlm[...]
[2]
논문
Discovery and mapping of ten novel G protein-coupled receptor genes
2001-09
[3]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LXXXII: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s (GPR81, GPR109A, and GPR109B)
2011-06
[4]
웹사이트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s
http://www.guidetoph[...]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2018-07-13
[5]
논문
Whole grain metabolite 3,5-dihydroxybenzoic acid is a beneficial nutritional molecule with the feature of a double-edged sword in human health: a critical review and dietary considerations
2023-04
[6]
논문
Lactate inhibits lipolysis in fat cells through activation of an orphan G-protein-coupled receptor, GPR81
2009-01
[7]
논문
Role of GPR81 in lactate-mediated reduction of adipose lipolysis
2008-12
[8]
논문
History and Function of the Lactate Receptor GPR81/HCAR1 in the Brain: A Putative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Ischemia
2023-06
[9]
웹인용
Entrez Gene: GPR81 G protein-coupled receptor 81
https://www.ncbi.nlm[...]
[10]
논문
Discovery and mapping of ten novel G protein-coupled receptor genes
2001-09
[11]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LXXXII: Nomenclature and Classification of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s (GPR81, GPR109A, and GPR109B)
2011-06
[12]
웹인용
Hydroxycarboxylic acid receptors
http://www.guidetoph[...]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2018-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