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Y1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P2Y12 수용체 길항제는 클로피도그렐,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러, 캉그렐러와 같은 약물을 포함하며, 이들 약물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항혈소판제로 사용된다.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치료를 위해 아스피린과 병용하여 이중 항혈소판 치료법으로 사용되며, 급성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STEMI) 환자에게는 P2Y12 억제제 투여가 권장된다. 네트워크 메타 분석 결과 프라수그렐이 사망률과 주요 심혈관 이상 반응(MACE)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로돕신
로돕신은 간상 세포의 외부 분절 원반에서 발견되는 단백질로, 어두운 환경에서의 시각을 담당하며 빛을 흡수하면 구조적 변화를 일으켜 시신경에 빛 신호를 전달하는 광변환 과정을 유발하고, 로돕신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망막 질환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G 단백질 연결 수용체 - GABA 수용체
GABA 수용체는 신경전달물질 GABA에 의해 활성화되며, 이온 채널형 GABA 수용체와 대사 조절형 GABA 수용체로 구분되고, 신경 흥분 억제, 신경계 발달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다양한 질환 및 약물과 관련된다. - 인간 3번 염색체상 유전자 - 노화
노화는 출생에서 사망까지의 전 과정으로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포함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분자 및 세포 수준의 특징을 보이는 복잡한 과정이다. - 인간 3번 염색체상 유전자 - 트랜스페린
트랜스페린은 척추동물 체액 내 당단백질로, 3가 철 이온을 운반하며 간에서 주로 합성되지만 다른 조직에서도 생성되어 철 항상성 유지, 철 결핍 및 과부하 진단, 뇌 질환 치료 약물 전달체 연구에 활용된다.
| P2Y12 | |
|---|---|
| 기본 정보 | |
![]() | |
| 유전자 기호 | P2RY12 |
| 대체 유전자 기호 | SP1999 |
| 염색체 | 3q25.1 |
| 상세 정보 | |
| 유전자 ID | 64805 |
| OMIM | 606042 |
| UniProt | Q9H244 |
| 기타 | |
| 기능 | 혈소판 응집에서 중요한 역할 |
| 리간드 | 아데노신 이인산 (ADP) |
| 관련 질병 | 혈전증 출혈 |
| 약물 표적 | 클로피도그렐 프라수그렐 티카그렐러 칸그렐러 |
| 외부 링크 | |
| Entrez Gene | P2RY12 |
| OMIM | 606042 |
| UniProt | Q9H244 |
2. P2Y12 수용체 길항제
클로피도그렐(플라빅스), 프라수그렐(에피언트), 티카그렐러(브릴린타), 캉그렐러(켄그리얼)와 같은 약물은 P2Y12 수용체에 결합하며 항혈소판제로 판매된다.[1]
2. 1. 주요 약물
클로피도그렐(플라빅스), 프라수그렐(에피언트), 티카그렐러(브릴린타), 캉그렐러(켄그리얼)와 같은 약물은 이 수용체에 결합하며 항혈소판제로 판매된다.[1]2. 2.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치료
P2Y12 억제제와 아스피린을 함께 사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법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의 1차 치료법이다.[7] 2019년의 무작위 대조 시험에서는 프라수그렐이 티카그렐러보다 더 효과가 좋았다.[7]2. 2. 1. 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STEMI)
미국,[8] 유럽,[9] 및 캐나다[10] 지침에서는 급성 ST 분절 상승 심근 경색증(STEMI)으로 일차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을 받는 환자에게 P2Y12 억제제를 가능한 한 빨리 투여할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을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투여하는 것이 병원 내 투여에 비해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는지는 불분명하다.[10]88,402명의 STEMI 환자와 5,077명의 주요 심혈관 이상 반응(MACE) 환자를 대상으로 한 37건의 연구를 네트워크 메타 분석한 결과, 프라수그렐의 사용은 이 계열의 다른 약물 (클로피도그렐 및 티카그렐러)보다 사망률 및 MACE가 낮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12]
2. 2. 2. 비-ST 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NSTEMI)
P2Y12 억제제와 아스피린을 함께 사용하는 이중 항혈소판 치료법은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의 1차 치료법이다.[7]비-ST 분절 상승 심근 경색증(NSTEMI) 환자에게 P2Y12 억제제를 일상적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전에 미리 투여해도 사망 위험은 바뀌지 않는다. 하지만, 아스피린과 함께 P2Y12 억제제를 비-ST 분절 상승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 대부분에게 최대 12개월까지 투여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출혈 위험을 높이고 추가적인 심혈관 문제 발생 위험을 낮추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의 가치는 의문시된다.[11]
2. 3. 임상 연구
P2Y12 억제제와 아스피린의 병합 요법은 이중 항혈소판 치료법이라고 불리며,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의 1차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2019년의 무작위 대조 시험에 따르면, 프라수그렐이 티카그렐러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7]급성 ST 분절 상승 심근 경색증 (STEMI)으로 일차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을 받는 환자의 경우, 미국,[8] 유럽,[9] 및 캐나다[10] 지침에서는 P2Y12 억제제를 가능한 한 빨리 투여할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약물을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투여하는 것이 병원 내 투여에 비해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는지는 불분명하다.[10]
반면, P2Y12 억제제는 비-ST 분절 상승 심근 경색증(NSTEMI)을 겪은 사람들에게 일상적인 PCI 전에 사전 치료로 투여하더라도 사망 위험을 변경하지 않는다. 하지만, 아스피린 외에 P2Y12 억제제는 비-ST 분절 상승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대다수에게 최대 12개월 동안 투여해야 한다. 이는 출혈 위험을 증가시키지만, 추가적인 심혈관 문제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의 일상적인 사용은 가치가 의문시된다.[11]
88,402명의 STEMI 환자와 5,077명의 주요 심혈관 이상 반응 (MACE) 환자를 대상으로 한 37건의 연구를 네트워크 메타 분석한 결과, 프라수그렐의 사용은 이 계열의 다른 약물 (클로피도그렐 및 티카그렐러)보다 사망률 및 MACE가 낮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12]
3. 응고인자
응고인자에는 번호가 I, II, III, IV, V, VII, VIII, IX, X, XI, XII, XIII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중간에 번호가 없는 경우가 두 개 있다.
3. 1. 주요 응고인자
| 번호 | 이름 | 기타 |
|---|---|---|
| I | 피브리노겐 | |
| II | 프로트롬빈 | |
| III | 조직인자 | |
| IV | Ca^2+ | |
| V | 불안정인자 | ACglobulin |
| VI | 없음 | |
| VII | 안정인자 | proconvertin |
| VIII | 항혈우병인자 | AHF, AHG |
| IX | Christmas factor | PTC |
| X | Stuart-Prower factor | |
| XI | PTA | |
| XII | Hageman factor | |
| XIII | 피브린 안정화 인자 | |
| 없음 | prekallikrein | |
| 없음 | 고분자(HMW) kininogen |
참조
[1]
저널
Identification of the platelet ADP receptor targeted by antithrombotic drugs
2001-01-01
[2]
저널
Identification of the P2Y(12) receptor: a novel member of the P2Y family of receptors activated by extracellular nucleotides
http://molpharm.aspe[...]
2001-09-01
[3]
저널
The role of ADP receptors in platelet function
2006-05-01
[4]
웹사이트
Entrez Gene: P2RY12 purinergic receptor P2Y, G-protein coupled, 12
https://www.ncbi.nlm[...]
[5]
저널
Central role of the P2Y12 receptor in platelet activation
2004-02-01
[6]
저널
Microglia monitor and protect neuronal function through specialized somatic purinergic junctions
https://epub.ub.uni-[...]
2020-01-01
[7]
저널
Ticagrelor or Prasugrel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s
2019-10-01
[8]
저널
2013 ACCF/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Foundation/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2013-01-01
[9]
저널
2017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T-segment elevat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presenting with ST-segment elevat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2018-01-01
[10]
저널
2019 Canadian Cardiovascular Society/Canadian Association of Interventional Cardiology Guidelines on the Acute Management of ST-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Focused Update on Regionalization and Reperfusion
2019-02-01
[11]
저널
Reappraisal of thienopyridine pretreatment in patients with non-ST elevation acute coronary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0-01
[12]
저널
Optimal P2Y12 Inhibitor in Patients With ST-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Undergoing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 Network Meta-Analysis
2016-05-01
[13]
저널
Identification of the platelet ADP receptor targeted by antithrombotic drugs
2001-01-01
[14]
저널
Identification of the P2Y(12) receptor: a novel member of the P2Y family of receptors activated by extracellular nucleotides
http://molpharm.aspe[...]
2001-09-01
[15]
저널
The role of ADP receptors in platelet function
2006-01-01
[16]
웹인용
Entrez Gene: P2RY12 purinergic receptor P2Y, G-protein coupled, 12
https://www.ncbi.nlm[...]
[17]
저널
Central role of the P2Y12 receptor in platelet activation
http://www.jci.org/a[...]
2004-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