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차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천 차수는 하천 네트워크에서 하천의 위치를 나타내는 체계로, 하천 시스템의 매핑 및 분석에 활용된다. 하천 차수를 매기는 방법에는 핵의 하천 차수, 스트라헬러 하천 차수, 슈리브 하천 차수, 호턴 하천 차수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각 방식은 하천의 특성과 유역의 형태를 반영한다. 하천 차수는 수문학적 지도 제작, 하천 시스템 모델링, GIS 기반 지구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분기율과 같은 지표를 계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2차원 지도를 3차원 벡터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GIS 지도 축척 조정이 하천 분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표준화된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밍 규칙 개발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강 - 급류
급류는 얕은 수심과 암석 노출로 특징지어지는 지형으로, 물이 바위를 넘으며 흰색 물보라를 일으키고 수질을 개선하며, 경사, 유량, 수축 등 물리적 요인에 따라 난이도 등급이 나뉘어 래프팅과 같은 스포츠 활동에 이용된다. - 수문학 - 밸브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장치로, 다양한 크기와 작동 방식을 가지며, 산업 전반과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된다. - 수문학 - 산사태
산사태는 사면 안정성 훼손으로 발생하는 자연재해로, 자연적, 인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하므로, 사전 예방과 위험 지역 관리가 중요하다.
하천차수 | |
---|---|
일반 정보 | |
이름 | 하천 차수 |
정의 | 하천의 가지치기 정도를 나타내는 숫자 |
적용 분야 | 수문학, 지리학 |
관련 개념 | 하천, 지류 |
하천 차수 결정 방법 | |
스트랄러 방식 (Strahler Stream Order)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최상류 하천 (지류가 없는 하천) : 1차 하천 같은 차수의 두 하천이 합류 : 차수 증가 (예: 1차 하천 + 1차 하천 = 2차 하천) 서로 다른 차수의 하천이 합류 : 높은 차수 유지 (예: 1차 하천 + 2차 하천 = 2차 하천) |
슈리브 방식 (Shreve Magnitude) | 최상류 하천 : 1 합류 시 각 하천의 값을 더함 (예: 1 + 1 = 2) |
하크 방식 | 하천의 길이와 유역 면적 간의 관계를 이용 |
중요성 | |
생태학적 중요성 | 하천 차수에 따라 서식하는 생물 종과 생태계 구조가 달라짐 |
수문학적 중요성 | 하천 차수는 유역의 특성 (유역 면적, 유량 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됨 |
지리학적 중요성 | 하천 차수는 지형 발달 과정과 하천 네트워크 분석에 활용됨 |
기타 | |
주의사항 | 하천 차수는 하천의 복잡성을 단순화한 지표이므로, 모든 하천의 특성을 완벽하게 반영하지는 않음 |
2. 하천 차수의 종류
하천 차수는 유역 내 하천의 위치와 규모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다양한 하천 차수 체계가 존재하며, 각각 다른 특징과 장점을 가진다. 주요 하천 차수 체계는 다음과 같다.
- 고전적 하천 차수 (Classic stream order): 핵의 하천 차수 또는 그라벨리우스의 하천 차수라고도 불린다. 바다로 합류하는 하천(본류)에 1차수를 부여하고, 지류가 합류할 때마다 차수를 1씩 증가시킨다.
- 스트라할러 하천 차수 (Strahler stream order): 스트라헬러가 제안한 방식이다. 가장 바깥쪽 지류에 1차수를 부여하고, 같은 차수의 하천이 합류할 때만 차수를 증가시킨다.
- 슈리브 하천 차수 (Shreve stream order): 가장 바깥쪽 지류에 1차수를 부여하고, 합류하는 두 하천의 차수를 더한다.
- 호턴 하천 차수 (Horton stream order): 로버트 E. 호턴이 고안한 하향식 시스템이다.
- 위상 하천 차수 (Topological stream orders): 모든 합류점에서 하천 차수를 1씩 증가시키는 상향식 시스템이다.
2. 1. 고전적 하천 차수 (Classic stream order)
'''고전적 하천 차수'''는 핵 또는 그라벨리우스 하천 차수라고도 하며, 바다에 합류하는 하천(본류)에 "1"을 부여하는 "상향식" 계층 구조이다. 하천 차수는 유역의 중요한 측면으로, 하천의 계층 구조에서 하천의 위치를 나타낸다. 지류는 유입되는 하천보다 1이 더 큰 번호를 받는다. 예를 들어, 본류의 모든 직속 지류는 "2"로, "2"로 유입되는 지류는 "3"으로 번호가 부여된다.[4]이러한 유형의 하천 차수는 하천이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지도 제작 목적에는 적합하지만, 각 합류점에서 어느 갈래가 주요 수로인지, 주요 수로가 두 개의 작은 하천의 합류점에서 시작되는지 등을 결정해야 하므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차 하천은 각 합류점에서 가장 많은 유량을 갖는 하천으로, 보통 하천의 오랜 명칭을 반영한다. 19세기 지리학자들은 하천의 "진정한" 근원을 찾고자 하였으며, 주요 하천을 정의하기 위해 하천의 길이(가장 먼 기원에서 합류점까지의 거리), 다양한 유역의 크기, 실제 합류점에서 가장 적게 벗어나는 하천, 라인강과 아레강 또는 엘베강과 블타바강처럼 하천과 지류의 연속적인 이름도 고려했다.
2. 2. 스트라할러 하천 차수 (Strahler stream order)

스트라헬러는 1952년에 하천 차수를 매기는 방법을 제안했다. 이 방법은 가장 바깥쪽 지류에 1차 하천 차수를 부여하고, 같은 차수의 하천이 합류하면 그 하류 하천의 차수를 한 단계 올리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2차 하천끼리 만나면 3차 하천이 되지만, 1차 하천과 2차 하천이 만나면 2차 하천으로 유지된다.[5][6]
스트라헬러의 "상향식" 시스템에서 1차 하천은 가장 바깥쪽 지류이다. 같은 차수의 하천이 합쳐지면 결과 하천은 상위 차수를 부여받고, 서로 다른 차수의 하천이 합쳐지면 더 높은 차수를 부여받는다.
스트라헬러 차수는 유역의 형태를 반영하며, 분기비, 배수 밀도, 빈도 등 유역 구조의 주요 수문학적 지표의 기초가 된다. 이는 유역의 분수계 선을 기반으로 하지만, 지도 축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축척이 클수록 더 많은 하천 차수가 나타난다. "하천"의 정의는 하구 폭을 정의하거나 지도 참조를 통해 범위를 제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수문학 외 다른 소규모 구조에도 적용 가능하다.
2. 3. 슈리브 하천 차수 (Shreve stream order)

Shreve 방식은 가장 바깥쪽 지류에도 "1"이라는 숫자를 부여한다. Strahler 방식과 달리, 합류점에서는 두 숫자를 더한다.[7]
Shreve 하천 차수는 수리학에서 선호되며, 수위 관측소 또는 유출구 위의 각 유역 내 수원(水源)의 수를 합산한다. 이는 유량 및 오염 수준과 대략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다. Strahler 방식과 마찬가지로, 포함된 수원의 정밀도에 따라 달라지지만, 지도 축척의 영향을 덜 받는다. 적절한 정규화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축척에 독립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지역의 상류 및 하류 경로에 대한 정확한 지식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다.[7]
2. 4. 호턴 하천 차수 (Horton stream order)
로버트 E. 호턴이 고안한 초기 하향식 시스템이다.[8]2. 5. 위상 하천 차수 (Topological stream orders)
로버트 E. 호턴이 고안한 초기 하향식 시스템인 호턴 하천 차수와는 다른 시스템으로, "상향식" 시스템이며 모든 합류 지점에서 하천 차수 번호가 1씩 증가한다.[4]3. 하천 차수 방법 비교
'''클래식 하천 차수'''는 '핵의 하천 차수' 또는 '그라벨리우스의 하천 차수'라고도 하며, 바다에 합류하는 하천(본류)에 "1"을 부여하는 "상향식" 계층 구조이다. 하천 차수는 유역의 중요한 측면으로, 하천 계층 구조에서 하천의 위치를 나타낸다. 지류는 유입되는 하천보다 1이 더 큰 번호를 받는다. 예를 들어, 본류의 모든 직속 지류는 "2"가 되고, "2"로 유입되는 지류는 "3"이 되는 식이다.[4]
이러한 유형의 하천 차수는 하천이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나타내지만, 각 합류점에서 어느 쪽이 주요 채널의 연속인지, 그리고 주요 채널이 다른 두 개의 작은 하천의 합류점에서 시작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1차 하천은 각 합류점에서 가장 많은 부피의 유량을 갖는 하천으로, 일반적으로 하천의 오랜 명칭을 반영한다. 19세기 지리학자들은 하천의 "진정한" 근원을 찾으려고 노력했으며, 주요 하천을 정의하기 위해 하천의 길이(가장 먼 기원에서 입구까지의 거리)와 다양한 유역의 크기를 측정하는 것 외에도, 실제 합류점에서 가장 적게 벗어나는 하천을 찾고, 라인강과 아레강 또는 엘베강과 블타바강과 같이 하천과 지류의 연속적인 이름도 고려했다.
로버트 E. 호턴은 하천 차수를 거꾸로 매기는 하향식 시스템인 호턴 하천 차수를 고안했다.[8] 위상 하천 차수 시스템은 "상향식" 시스템이며 모든 합류 지점에서 하천 차수 번호가 1씩 증가한다.[4]
3. 1. 고전적/위상적 차수 체계 vs. 호턴/스트랄러 차수 체계
고전적 또는 위상적 차수 체계는 하구에서 시작하여 하천의 가장 낮은 고도 지점인 "1"의 차수를 할당받는다. 이 차수는 상류로 올라가며 다른 작은 하천과 합류하면서 증가하며, 결과적으로 높은 차수 숫자는 더 높은 고도의 수원과 상관관계를 갖는다.[4]로버트 E. 호턴은 이러한 차수를 반전시키는 것을 제안했다. 호턴의 1947년 연구 보고서는 벡터 기하학에 기반한 하천 차수 방법을 확립했다. 1952년, 아서 스트랄러는 호턴의 방법에 대한 수정을 제안했다. 호턴과 스트랄러의 방법은 모두 하천의 수원, 즉 최고 고도 지점에서 시작하여 가장 낮은 차수인 숫자 1을 할당한다. 고전적 차수 번호 할당은 높이와 고도와 상관관계를 가지며 상류를 추적하지만, 호턴과 스트랄러의 하천 차수 방법은 중력 흐름과 상관관계를 가지며 하류를 추적한다.[8]
호턴과 스트랄러의 하천 차수 방법은 모두 벡터 점-선 기하학의 원리에 의존한다. 호턴과 스트랄러의 규칙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에서 지도 데이터를 해석하는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의 기초를 형성한다.
4. 하천 차수의 활용
하천 차수는 수문학적 지도 제작, 하천 시스템 매핑 및 모델링, GIS 기반 지구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4] 하천의 각 부분을 정의하고 분류하여 물 수지 모델링의 기초를 제공하며, 2차원 지도를 3차원 벡터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4. 1. 수문학적 지도 제작
하천 차수는 일반적인 수문학적 지도 제작에 사용된다. 또한 하천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매핑하여 하천의 레이블과 순서를 명확하게 지정하는 데에도 중요하다.[4]4. 2. 하천 시스템 매핑 및 모델링
하천 차수 시스템은 하천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매핑하고, 하천에 명확한 레이블을 붙여 순서를 지정하는 데 중요하다. 특히 슈트랄러(Strahler)와 슈리브(Shreve) 방법은 하천 시스템의 모델링과 형태 계량 분석에 유용하게 쓰이는데, 이는 하천의 각 부분을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러한 하천 차수 시스템은 저장 모델, 시간 관련 모델, 강수량-유출량 모델 등을 활용한 물 수지 모델링의 기초가 된다. GIS 기반 지구 과학에서는 하천 객체의 그래픽 범위를 보여주기 위해 이 두 모델을 사용한다.
슈트랄러의 1952년 보고서 이후, 2차원 지도를 3차원 벡터 모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예를 들어, 하천을 래스터화된 픽셀 이미지에서 벡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문제, GIS를 사용할 때 지도 축척 조정에 따라 하천 분류가 1~2차수 정도 변경될 수 있는 문제, GIS 지도의 축척에 따라 하천 시스템 트리 구조의 세부 정보가 손실될 수 있는 문제 등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EPA, USGS 등 민간 산업, 대학, 연방 정부 기관들이 힘을 합쳐 연구했다. 이들의 주요 목표는 GIS 데이터가 모든 지도 축척에서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밍 규칙을 표준화하는 것이었다. EPA와 USGS는 표준화 노력을 주도하여 The National Map을 만들었으며, 두 연방 기관과 주요 민간 산업 소프트웨어 회사는 호턴(Horton)과 슈트랄러의 하천 차수 벡터 원칙을 표준화된 National Map 소프트웨어에 내장된 코딩 로직 규칙의 기초로 채택했다.
4. 3. GIS 기반 지구 과학
GIS 기반 지구 과학에서 하천 차수는 하천 객체의 그래픽 범위를 보여주는 데 사용된다. Hack, Strahler 및 Shreve 차수는 ESRI ArcGIS Pro 3.3.x 도구인 https://www.rivex.co.uk RivEX에서 계산할 수 있다.슈트랄러의 1952년 보고서를 따른 연구 활동은 2차원 지도를 3차원 벡터 모델로 변환할 때 발생하는 몇 가지 과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한 가지 과제는 하천의 래스터화된 픽셀 이미지를 벡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문제는 GIS를 사용할 때 지도 축척 조정이 하천 분류를 1~2 차수만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GIS 지도의 축척에 따라 하천 시스템의 트리 구조의 세부 사항이 손실될 수 있다.
EPA 및 USGS와 같은 민간 산업, 대학 및 연방 정부 기관의 연구 노력은 자원을 결합하고 이러한 과제 및 기타 과제를 연구하기 위해 초점을 맞추었다. 주요 목적은 GIS 데이터가 모든 지도 축척에서 일관되게 신뢰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밍 규칙을 표준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EPA와 USGS는 모두 표준화 노력을 주도하여 The National Map을 만들었다. 두 연방 기관과 선도적인 민간 산업 소프트웨어 회사는 호턴(Horton)과 슈트랄러의 하천 차수 벡터 원칙을 표준화된 National Map 소프트웨어에 내장된 코딩 로직 규칙의 기초로 채택했다.
5. 분기율
분기율()은 특정 차수의 하천 수와 그 다음 차수 하천 수의 비율이다. 분기율은 일반적으로 3.0에서 5.0 사이의 값을 가진다. 분기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 u차 하천의 총 수
::: u+1차 하천의 총 수
6. 하천 차수와 기타 요소 간의 관계
하천 차수를 매긴 다음에는 분기율()을 계산할 수 있다. 분기율은 일반적으로 3.0에서 5.0 사이의 값을 가진다.
:
:: : u차 하천의 총 수
:: : u+1차 하천의 총 수
하천 차수, 하천 평균 길이, 평균 경사, 특정 차수를 가진 하천의 수 사이에는 물리적인 법칙이 성립하지는 않지만,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 수문학에서는 이러한 상관관계를 편의상 법칙으로 받아들인다. 호튼의 하천수 법칙(law of stream number)을 이용하면 분기율을 통해 특정 차수 하천의 수를 구할 수 있다.
:
:: : 유역의 주하천 차수 (가장 높은 차수)
7. 과제 및 향후 연구 방향
GIS 기반 지구 과학에서 스트라헬러(Strahler) 및 슈리브(Shreve) 하천 차수 모델은 하천 객체의 그래픽 범위를 보여주기 때문에 사용된다. Hack, Strahler 및 Shreve 차수는 ESRI ArcGIS Pro 3.3.x 도구인 https://www.rivex.co.uk RivEX에서 계산할 수 있다.[5]
스트라헬러의 1952년 보고서 이후 연구는 2차원 지도를 3차원 벡터 모델로 변환할 때 발생하는 몇 가지 과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했다. 한 가지 과제는 하천의 래스터화된 픽셀 이미지를 벡터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이었다. 또 다른 문제는 GIS를 사용할 때 지도 축척 조정이 하천 분류를 1~2 차수만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GIS 지도의 축척에 따라 하천 시스템의 트리 구조 세부 사항이 손실될 수 있다.
EPA 및 USGS와 같은 민간 산업, 대학 및 연방 정부 기관의 연구 노력은 자원을 결합하여 이러한 과제 및 기타 과제를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주요 목적은 GIS 데이터가 모든 지도 축척에서 일관되게 신뢰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래밍 규칙을 표준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EPA와 USGS는 모두 표준화 노력을 주도하여 The National Map을 만들었다. 두 연방 기관과 선도적인 민간 산업 소프트웨어 회사는 호턴(Horton)과 스트라헬러의 하천 차수 벡터 원칙을 표준화된 National Map 소프트웨어에 내장된 코딩 로직 규칙의 기초로 채택했다.
참조
[1]
서적
Koschitzki
[2]
서적
Weishar
[3]
서적
Weishar
[4]
웹사이트
Description
https://svn.osgeo.or[...]
2017-04-16
[5]
논문
Strahler
1957
[6]
논문
Strahler
1964
[7]
논문
Shreve
1966
[8]
논문
Horton
194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