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류는 본류로 흘러드는 하천을 의미하며, 하천의 흐름을 기준으로 우안 지류와 좌안 지류로 구분된다. 조기 지류는 하천의 발원지에서 하구에 더 가까운 본류에 합류하는 지류를, 후기 지류는 중간 지점 이후에 합류하는 지류를 의미한다. 지류가 합류하는 하천과 같은 이름을 갖는 경우는 분기점이라고 부른다. 또한, 본류에서 갈라져 나가는 하천은 파천이라고 한다. 지류는 하구에서 발원지 순서, 발원지에서 하구 순서, 또는 스트랄러 하천 차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연지리학 - 생물지리학
    생물지리학은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분포 패턴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탐험과 선구자들의 연구를 거쳐 대륙 이동설, 분자생물학 발전, 섬 생물지리학 이론 등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고생물지리학 등 하위 분야를 포함하지만, 지역 구분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미완료 상태이다.
  • 자연지리학 - 영구동토
    영구동토는 북반구 고위도와 고산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2년 이상 0℃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토양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해빙될 경우 온실가스 배출 증가 및 지반 불안정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 강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강 - 급류
    급류는 얕은 수심과 암석 노출로 특징지어지는 지형으로, 물이 바위를 넘으며 흰색 물보라를 일으키고 수질을 개선하며, 경사, 유량, 수축 등 물리적 요인에 따라 난이도 등급이 나뉘어 래프팅과 같은 스포츠 활동에 이용된다.
지류
개요
정의본류 또는 호수로 흘러 들어가는 물줄기
다른 이름지류(支流), 내(川, stream), 강(江, river)
특징
중요도지류는 본류보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음
합류지류는 다른 지류와 합쳐져 더 큰 물줄기를 형성할 수 있음
물 공급지류는 본류에 물을 공급하여 전체 수계에 기여함
규모에 따른 분류
한국어본류(本流): 주된 물줄기
지류(支流): 본류로 흘러드는 물줄기
지천(支川): 지류의 하위 물줄기
세천(細川): 지천의 하위 물줄기
영어main stem (본줄기)
tributary (지류)
affluent (지류)
기타
관련 용어분수계

2. 용어

웨스트버지니아주 하퍼스 페리에서 하류를 바라본 모습. 셰난도어강(오른쪽 아래)이 포토맥강과 합류하며, 포토맥강은 왼쪽 아래에서 오른쪽 위로 흐르고, 셰난도어강은 포토맥강의 '''우안 지류'''가 된다.


지류와 관련된 여러 용어들이 사용된다.

  • 우안 지류/좌안 지류: 본류의 흐름을 기준으로 지류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로, 하류를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내륙 항해에서 배를 타고 본류를 따라 내려갈 때,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좌우를 판단한다.[6]
  • 조기 지류/후기 지류: 하천의 발원지와 하구 사이의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합류하는 지류를 조기 지류, 이후에 합류하는 지류를 후기 지류라고 한다.
  • 분기점(Fork):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로, 합류하는 하천과 같은 이름을 갖는 지류를 의미한다. 주로 나침반 방향(동, 서, 남, 북)이나 상류를 바라보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좌우로 구분된다.
  • 파천: 본류에서 갈라져 나와 멀어지는 하천으로, 주로 삼각주에서 발견된다.


일본에서는 간선을 본류[15], 본천[16]이라고도 하며, 지천도 '''지류'''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15] 마찬가지로, 파천은 파류, 분류라고도 부른다.[15] 지류는 수원에 가까운 것부터 순서대로 열거되며, 마지막에는 하구에 가장 가까운 곳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간선에 해당하는 주요 흐름을 본천이라고 부르며, 여기에 직접 흘러드는 지류를 1차 지류, 1차 지류에 흘러드는 것을 2차 지류 등으로 분류한다. 이와는 별도로, 스트랄러 하천 차수는 지류를 1차류, 2차류, 3차류 등으로 분류하여 계층 구조를 검토하는데, 1차류는 소규모 흐름이 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예를 들어, 2차류인 지류에는 두 개 이상의 1차류가 흘러들어가 합류하여 2차류가 되는 것이다.

한국어에서는 지류를 '지천'이라고도 하며, 본류를 '본천'이라고도 한다.

2. 1. 우안 지류와 좌안 지류



'''우안 지류''' (또는 '''우측 지류''')와 '''좌안 지류''' (또는 '''좌측 지류''')는 본류의 흐름을 기준으로 지류의 방향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들은 하류를 바라보는 관점, 즉 본류의 물살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6] 예를 들어 웨스트버지니아주 하퍼스 페리에서 셰난도어강은 포토맥강의 우안 지류이다.

내륙 항해에서 뗏목이나 배를 타고 본류를 따라 내려간다면, 지류가 합류하는 지점은 배가 지나갈 때 보이는 쪽이 된다. 반대로, 지류를 따라 내려간다면 본류는 지류의 ''반대편'' 강가에서 만나게 된다. 이러한 정보는 합류 지점에 접근하기 전에 반대편 강가로 이동하여 급류를 피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6]

'''우지천'''과 '''좌지천'''은 간선이 되는 하천의 흐름에 대한 지천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설명하는 용어이다. 하류 방향, 즉 물이 흘러가는 방향을 바라볼 때 좌우 방향에 따라 결정된다.[12][13]

2. 2. 조기 지류와 후기 지류



''조기 지류''는 하천의 발원지에서 하구에 더 가까운 본류에 합류하는 지류, 즉 하천의 중간 지점 '''이전'''에 합류하는 지류를 의미한다. ''후기 지류''는 본류의 하류, 발원지보다 하구에 더 가까운 곳, 즉 중간 지점 '''이후'''에 합류하는 지류를 의미한다.

2. 3. 분기점 (Fork)

미국에서는 지류가 합류하는 하천과 같은 이름을 갖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분기점'''이라고 부른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나침반 방향(동, 서, 남, 북)으로 구분된다.[7]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아메리칸강은 북쪽, 중간, 남쪽 분기점에서 물줄기를 받는다. 시카고강의 북쪽 지류에는 동쪽, 서쪽, 중간 분기가 있고, 남쪽 지류에는 남쪽 분기가 있으며, 과거에는 서쪽 분기도 있었으나 현재는 메워졌다.

분기점은 때때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지정되는데, 여기서 좌우는 상류를 향하는 관찰자의 시점에서 결정된다.[7] 예를 들어, 스티어 크릭은 우측 분기 스티어 크릭이라고 불리는 좌측 지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명명 규칙은 특정 하천의 식별과 지도 제작 상황을 반영한다. 하천둑을 따라 사는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알려진 이름을 가진 강을 따라 탐험을 위해 내려갈 수 있으며, 그들이 지나갈 때마다 합류하는 각 지류는 새로운 강으로 나타나고, 아마도 강둑에 사는 사람들에게 이미 알려진 이름을 부여받을 것이다. 반대로, 바다에서 새로운 땅으로 접근하는 탐험가들은 하구에서 강을 만나 지도에 이름을 붙인 다음, 강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오른쪽과 왼쪽으로 갈라지는 각 지류를 만나 지도에 그렇게 표시하거나, 상류로 진행되는 방위(북, 남, 동, 서)에 따라 강이 갈라지는 것을 보거나, 때로는 다른 두 강 사이에 들어오는 세 번째 강을 ''중간'' 분기로 지정하거나, 하천의 상대적인 높이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폭포 위에서 다른 강으로 떨어지는 한 강은 ''상류'' 분기가 되고, 그 강으로 떨어지는 강은 ''하류'' 분기가 되며, 또는 상대적인 유량에 따라 작은 강은 ''작은'' 분기로 지정하고, 더 큰 강은 이름을 변경하지 않거나 ''큰''이라는 지정을 받는다.[7]

2. 4. 파천 (Distributary)

파천은 본류에서 분기되어 멀어져 가는 하천을 가리키며, 주로 삼각주에서 발견된다.[14]

일본어에서는 지천을 '지류'라고도 부르며, 파천은 파류 또는 분류라고도 부른다.[15]

2. 5. 한국어 용어

한국어에서는 지류를 '지천'이라고도 하며, 본류를 '본천'이라고도 한다.

3. 지류의 체계 및 열거 방법

지류는 하천의 발원지에서 가까운 순서나 하구에서 가까운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스트라흘러 하천 차수는 지류를 계층 구조로 분류하는데, 1차 지류가 가장 작고, 2차 지류는 둘 이상의 1차 지류가 합쳐져 형성된다.[6]

일본에서는 주요 흐름을 본천이라 하고, 본천에 직접 흘러드는 지류를 1차 지류, 1차 지류에 흘러드는 지류를 2차 지류 등으로 분류한다.

3. 1. 하구에서 발원지 순서

지류는 하구에서 발원지 순서로 나열할 수 있는데, 이는 트리 구조 형태이며 트리 자료 구조로 저장된다. 지류는 수원에 가까운 것부터 순서대로 열거되며, 마지막에는 하구에 가장 가까운 곳에 이른다.[6]

일본에서는 간선에 해당하는 주요 흐름을 본천이라고 부르며, 여기에 직접 흘러드는 지류를 1차 지류, 1차 지류에 흘러드는 것을 2차 지류 등으로 분류한다.

3. 2. 발원지에서 하구 순서

지류는 발원지에서 가장 가까운 지류부터 시작하여 하구에 가장 가까운 지류 순서로 나열한다. 스트라흘러 하천 차수는 1차, 2차, 3차 및 그 이상의 차수로 구성된 계층 구조에서 지류의 배열을 검사하며, 일반적으로 1차 지류가 크기가 가장 작다.[6] 예를 들어 2차 지류는 둘 이상의 1차 지류가 합쳐져 형성된다.[6]

3. 3. 스트랄러 하천 차수 (Strahler Stream Order)

스트라흘러 하천 차수는 지류를 1차, 2차, 3차 등으로 분류하여 계층 구조를 검토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1차 지류는 가장 작은 지류이다. 예를 들어, 2차 지류는 둘 이상의 1차 지류가 합쳐져 형성된다.[6]

3. 4. 일본의 지류 분류

일본에서는 간선에 해당하는 주요 흐름을 본천이라고 부르며, 여기에 직접 흘러드는 지류를 1차 지류, 1차 지류에 흘러드는 것을 2차 지류 등으로 분류한다.[6]

4. 주요 하천 유역 및 지류 (갤러리)

베누에강 유역


화이허 유역


자링강 유역


랴오허 유역


메콩강 유역


야무나강 유역

4. 1. 아마존강 유역



아마존강 유역은 수많은 지류들이 복잡하게 연결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도에 표시된 강들 중 아마존강을 제외한 나머지 강들은 모두 아마존강의 지류이다. 아마존강은 다른 강의 지류가 아니며, 최종적으로 대서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4. 2. 베누에강 유역


4. 3. 화이허 유역

[1]

4. 4. 자링강 유역



자링강은 양쯔강의 지류이다.[1]

4. 5. 랴오허 유역

랴오허는 지류가 있는 강 유역의 비교적 단순한 예시입니다. 지도에 표시된 주요 지류는 훈허, 타이쯔강, 둥랴오강, 신카이강, 시랴오강, 시라무렌강, 라오하강입니다. 시랴오강의 지류는 시라무렌강과 라오하강입니다.[4]

4. 6. 메콩강 유역

메콩강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는 국경을 넘는 강이다. 상류 지류는 좁은 협곡을 흐르는 昂曲|ngom chu중국어 등이 있고, 하류 지류는 문강과 같이 넓은 지역을 덮는다.

메콩강의 주요 지류
상류 지류하류 지류
昂曲|ngom chu중국어문강


4. 7. 와바시강 유역

4. 8. 야무나강 유역



야무나강갠지스강의 두 번째로 큰 지류이며 인도에서 가장 긴 지류이다. 갠지스강의 오른쪽 제방을 따라 약 1376km 거의 평행하게 흐르다가 트리베니 상감, 알라하바드에서 합류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ributary http://www.physicalg[...] 2012-09-17
[2] 서적 affluent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8-09-30
[3] 사전 Definition of TRIBUTARY https://www.merriam-[...]
[4] 서적 The Basics of Earth Scienc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5] 웹사이트 opposite to a tributary http://www.physicalg[...] 2012-09-17
[6] 웹사이트 Olympic Experimental State Forest Synthesis of Riparian Research and Monitoring http://file.dnr.wa.g[...] United States Forest Service 2009-12-01
[7] 학술지 Nomenclature of Stream-Forks on the West Slope of the Sierra Nevada 1939
[8] 웹사이트 tributary http://www.physicalg[...] 2012-09-17
[9] 서적 affluent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8-09-30
[10] 사전 Definition of TRIBUTARY https://www.merriam-[...]
[11] 서적 The Basics of Earth Scienc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3
[12] 웹사이트 Olympic Experimental State Forest Synthesis of Riparian Research and Monitoring http://file.dnr.wa.g[...] United States Forest Service 2009-12-01
[13] 웹사이트 국토교통성 https://www.mlit.go.[...] 2022-12-12
[14] 웹사이트 opposite to a tributary http://www.physicalg[...] 2012-09-17
[15] 백과사전 支川 2021-03-27
[16] 웹사이트 1.河川一般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2021-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