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틀론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틀론주는 타지키스탄 남서부에 위치한 주로, 소련 시대에는 타지키스탄의 주요 면화 생산 지역 중 하나였다. 1930년대 농업 집단화 과정에서 민족 구성의 변화와 내전으로 인한 갈등이 발생했으며, 현재도 긴장이 남아있다. 하틀론주는 21개의 구와 4개의 구 레벨 도시로 구성되며, 타지크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민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면화 재배와 소 방목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지키스탄의 주 -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는 타지키스탄 동부 파미르 고원에 위치하여 '세계의 지붕'이라 불리며, 타지키스탄 내전 이후 자치권 확대 요구와 정부와의 갈등, 중국과의 국경 문제 등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놓여 있다.
  • 타지키스탄의 주 - 수그드주
    수그드 주는 타지키스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대 소그드 문명의 중심지이자 실크로드 무역으로 번영했고, 현재는 10개의 구역과 여러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는 후잔트이고, 약 27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농업, 무역, 산업이 주요 산업이다.
  • 하틀론주 - 누레크 댐
    타지키스탄 바흐시강에 위치한 누레크 댐은 소련 시대에 건설된 높이 300m의 댐으로, 내부 시멘트 코어를 가진 흙과 암석 댐이며, 수력 발전과 관개에 활용되는 누레크 저수지를 만들었다.
  • 하틀론주 - 누레크
    타지키스탄의 도시 누레크는 누레크 본시와 두 개의 자모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5년 기준 인구는 15,681명이고, 김진태, 최재천, 안철수, 이재명, 조국, 루스탐 압둘로프 등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하틀론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른 이름(타지크어)
(러시아어)
유형지역
하틀론 주 지도
타지키스탄 내 하틀론 주의 위치
면적24,700 제곱킬로미터
인구 (2020년)3,348,30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수도보흐타르
HDI (2017년)0.622
언어
공용어러시아어 (민족 간 언어)
타지크어 (국어)
행정 구역
수도보흐타르
기타 정보
ISO 코드TJ-KT

2. 역사

미르 사이다 알리 하마다니의 무덤


소련 시대부터 타지키스탄 내전과 그 이후까지 하틀론주는 정치,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특히, 농업 집단화와 강제 이주 정책은 이 지역의 민족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는 타지키스탄 내전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내전 이후에도 갈등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아 긴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쿨롭 지역을 중심으로 정치적 영향력이 집중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2. 1. 소련 시대

소련 시대에 하틀론주는 수그드주(레닌아바드)와 함께 타지키스탄의 주요 면화 생산 지역 중 하나였다. 1930년대 초, 타지키스탄 전체, 특히 공화국의 남부 지역에서 면화 재배를 확대하기 위해 농업의 집단화가 강압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는 농민에 대한 위반, 관개 네트워크의 상당한 확장, 산악 민족과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의 저지대 강제 이주가 포함되었다.[5]

이 정책의 결과는 하틀론주의 민족 구성과 타지크인들이 스스로를 가르미스(산에서 이주) 또는 쿨로비스로 식별한다는 사실에서 볼 수 있다. 이 집단은 결코 융합되지 않았고, 타지키스탄 내전 동안 서로 싸웠다. 하틀론주는 타지키스탄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내전으로 이어진 갈등이 실제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여전히 긴장이 존재한다. 동부 지역인 쿨롭은 타지키스탄 대통령과 그의 일족의 고향이며, 따라서 많은 정치적 영향력을 얻었다. 소련 시대에는 당시 레닌아바드의 지배 엘리트와 협력했으며, 민병대, 군대 및 보안군을 책임졌다. 쿨롭은 매우 보수적인 지역으로 여겨진다. 수도인 보크타르와 쿨롭 일부 지역에서는 이슬람 반대파가 가르미스 사이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6]

쿨롭 씨족은 하틀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7] 1996년 2월 마흐무드 후도이베르디예프 대령은 쿨롭 씨족 출신 관리 3명이 사임해야 반란을 끝낼 것이라고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정부는 이에 응했다. 또한, 타지키스탄 총리인 잠셰드 카리모프와 레닌아바드주 집행위원회 의장 아부잘릴 하미도프가 사임했다.[8]

2. 2. 타지키스탄 내전

소련 시대에 하틀론주는 수그드 (레닌아바드)와 함께 타지키스탄의 주요 면화 생산 지역 중 하나였다. 1930년대 초, 타지키스탄 전체, 특히 공화국의 남부 지역에서 면화 재배를 확대하기 위해 농업의 집단화가 강압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는 농민에 대한 위반, 관개 네트워크의 상당한 확장, 산악 민족과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의 저지대 강제 이주가 포함되었다.[5]

이 정책의 결과, 하틀론주의 민족 구성은 변화를 겪었고, 타지크인들은 스스로를 Gharmi people영어(산에서 이주) 또는 Kulobi people영어로 식별하게 되었다. 이 집단은 결코 융합되지 않았고, 타지키스탄 내전 동안 서로 싸웠다. 하틀론주는 타지키스탄 내전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내전으로 이어진 갈등이 실제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여전히 긴장이 존재한다. 동부 지역인 쿨롭은 타지키스탄 대통령과 그의 일족의 고향이며, 많은 정치적 영향력을 얻었다. 소련 시대에는 당시 레닌아바드의 지배 엘리트와 협력했으며, 민병대, 군대 및 보안군을 책임졌다. 쿨롭은 매우 보수적인 지역으로 여겨진다. 수도인 보크타르와 쿨롭 일부 지역에서는 이슬람 반대파가 Gharmi people영어 사이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6]

쿨롭 씨족은 하틀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7] 1996년 2월 Mahmud Khudoiberdiyev영어 대령은 쿨롭 씨족 출신 관리 3명이 사임해야 반란을 끝낼 것이라고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정부는 이에 응했다. 또한, 타지키스탄 총리인 Jamshed Karimov영어와 레닌아바드주 집행위원회 의장 아부잘릴 하미도프가 사임했다.[8]

2. 3. 내전 이후

소련 시대에 하틀론주는 수그드주(레닌아바드)와 함께 타지키스탄의 주요 면화 생산 지역 중 하나였다. 1930년대 초, 타지키스탄 전체, 특히 남부 지역에서 면화 재배를 확대하기 위해 농업의 집단화가 강압적으로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는 농민에 대한 위반, 관개 네트워크의 상당한 확장, 산악 민족과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의 저지대 강제 이주가 포함되었다.[5]

이러한 정책의 결과, 하틀론주의 민족 구성이 변화되었고 타지크인들은 스스로를 가르미스(산에서 이주) 또는 쿨로비스로 식별하게 되었다. 이 집단은 융합되지 않았고, 타지키스탄 내전 동안 서로 싸웠다. 하틀론주는 내전으로 인해 타지키스탄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6]

내전으로 이어진 갈등이 실제로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지역에는 여전히 긴장이 존재한다. 동부 지역인 쿨롭은 타지키스탄 대통령과 그의 일족의 고향이며, 많은 정치적 영향력을 얻었다. 소련 시대에는 당시 레닌아바드의 지배 엘리트와 협력했으며, 민병대, 군대 및 보안군을 책임졌다. 쿨롭은 매우 보수적인 지역으로 여겨진다. 수도인 보크타르와 쿨롭 일부 지역에서는 이슬람 반대파가 가르미스 사이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6]

쿨롭 씨족은 하틀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7] 1996년 2월 마흐무드 후도이베르디예프 대령은 쿨롭 씨족 출신 관리 3명이 사임해야 반란을 끝낼 것이라고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다. 정부는 이에 응했다. 또한, 타지키스탄 총리인 잠셰드 카리모프와 레닌아바드주 집행위원회 의장 아부잘릴 하미도프가 사임했다.[8]

2. 4. 2018년 테러 사건

2018년 7월 29일, 미국인 2명, 네덜란드인 1명, 스위스인 1명 등 4명의 사이클 선수들이 타지키스탄에서 뺑소니 사고로 사망하고, 다른 3명이 부상을 입었다. 당국은 테러리스트들이 차량으로 이들을 들이받은 후 차에서 내려 칼로 공격했다고 밝혔다. 용의자 4명은 보안군에 의해 사살되었고, 용의자 1명은 체포되었다.[11][12][13]

3. 행정 구역

하틀론주는 24개의 구로 구분된다. 21개의 구와 쿨로프, 레바칸트, 노라크, 보흐타르 4개의 구급 도시로 구성된다.[4] 24개의 구 중 14개는 서하틀론에, 나머지 10개는 동하틀론에 속한다.

3. 1. 도시

3. 2. 구

하틀론주는 21개의 구와 쿨롭, 레바칸트, 노라크, 복타르 4개의 구급 도시로 세분된다.[4]

발주본 구
당가라 구
두스티 구 (질리쿨 구)
파르호르 구
하마도니 구 (모스코브스키 구)
잘로리딘 발히 구 (콜호조보드 구, 루미 구)
자이훈 구 (쿰상기르 구)
조미 구
호발링 구
후로손 구 (고지말리크 구)
쿨롭 구
쿠쇼니온 구 (복타르 구)
무미노보드 구
노라크 구
노시리 후스라브 구 (베쉬켄트 구)
판지 구
카보디온 구
사르반드 구
샤흐르투즈 구
샴시딘 쇼힌 구 (슈로-오보드 구)
테무르말리크 구 (키질-마조르 구, 소베츠키 구)
바흐시 구
보세 구
요본 구



하틀론주는 총 24개의 구로 구분되는데, 이 중 14개는 서하틀론에, 나머지 10개는 동하틀론에 속한다.

4. 지리

하틀론주는 타지키스탄 남서부에 위치하며, 북쪽은 기사르 산맥, 남쪽은 판지 강에 접해 있다. 남동부는 아프가니스탄과의 국경, 서쪽은 우즈베키스탄과의 국경에 둘러싸여 있다.[1] 소련 연방 시대에 하틀론은 바흐다트와 바흐시 계곡을 포함하는 서하틀론의 Qurghonteppa Oblast|쿠르간튜베주영어와 Kyzylsu River|키질수|키질수 강영어 계곡을 포함하는 동하틀론의 Kulob Oblast|쿨라브주영어로 분할되어 있었다.[1] 두 주는 1992년 11월에 오늘날의 하틀론주로 합병되었다.[1]

5. 인구

2010년 하틀론주의 민족 구성은 타지크족 81.8%, 우즈베크족 12.9%, 투르크멘족 0.5%, 기타 4.6%였다.[9] 쿨로브 지역의 민족 구성은 타지크족 85%, 우즈베크족 13%, 기타 2%였다. 보흐타르의 경우 타지크족 59%, 우즈베크족 32%, 러시아인 3%로 구성되어 있다.

하틀론 주 인구 변화[10]
연도인구
19791,220,949
19891,701,380
19992,150,136
20102,677,251
20203,348,300



2000년 하틀론주의 총 인구는 2,149,500명이었으며, 2008년에는 2,579,300명으로 증가했다.[18]

6. 산업

하틀론주 사람들은 주로 농업에 종사하며, 특히 면화 재배와 방목을 한다. 인구의 2~3%만이 다른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hdi.globalda[...] 2018-09-13
[2]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ДЖИКИСТАН http://prokuratura.t[...] Parliament of Tajikistan 2020-01-09
[3] 논문 Khatlon https://www.academia[...]
[4]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Tajikistan as of 1 January 2020 https://web.archive.[...] Statistics office of Tajikistan 2020-10-12
[5] 서적 Tajikistan
[6] 웹사이트 Kurgan Tepe http://www.iranica.c[...]
[7] 웹사이트 Ethnic groups at risk: The status of Tajiks http://ismaili.net/m[...] Heritage Society
[8] 웹사이트 Tajikistan: Central Asian Powderkeg http://jamestown.org[...] The Jamestown Foundation
[9] 웹사이트 CensusInfo - Data http://www.censusinf[...] 2019-09-09
[10] 웹사이트 Tajikistan: Provinces http://www.citypopul[...]
[11] 웹사이트 US cyclists killed in ISIS-claimed attack in Tajikistan identified https://www.foxnews.[...] 2018-08-01
[12] 뉴스 Four Foreign Cyclists Killed in Southern Tajikistan https://www.rferl.or[...] 2018-07-30
[13] 웹사이트 'Slachtoffer bevestigt aanval op buitenlandse toeristen Tadzjikistan' https://www.nu.nl/bu[...] 2018-07-30
[14] 서적 Tajikistan
[15] 웹사이트 Kurgan Tepe http://www.iranica.c[...]
[16] 웹사이트 Ethnic groups at risk: The status of Tajiks http://ismaili.net/m[...] Heritage Society
[17] 웹사이트 Tajikistan: Central Asian Powderkeg http://jamestown.org[...] The Jamestown Foundation
[18] 간행물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Tajikistan as of 1 January 2008 State Statistical Committee, Dushan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