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광주광역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광주광역시는 대한민국 서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백제 시대에는 무진주로 불렸으며, 신라를 거쳐 고려 시대에 광주라는 명칭을 얻었다. 조선 시대에는 행정구역의 변동을 겪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광주부로 승격되었다.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의 배경이 되었으며, 1986년 직할시로 승격된 후 1995년 광역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현재 5개의 자치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치적으로는 진보 성향의 정당 지지세가 강하다. 주요 기관으로는 광주광역시청,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등이 있으며,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과 병원,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첨단 산업, 상업, 그리고 재래시장이 발달하였으며, 스포츠와 국제 교류도 활발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 - 광주광역시청
    광주광역시청은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조직을 통해 시정 운영을 지원하고, 산하 조직을 통해 시민 안전 관련 업무를 수행하며, 다양한 재원을 활용하여 시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해 예산을 배분하는 광주광역시의 행정 기관이다.
  • 광주광역시 - 한국광기술원
    한국광기술원은 광주광역시 광산업 육성 계획에 따라 설립된 광기술 분야 전문 연구 기관으로, 광기술 연구 개발, 기술 지원, 기업 육성을 통해 국내 광산업 발전에 기여하며 경기광융합기술센터를 통해 지역 광융합산업 거점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
  • 위요지 - 레소토
    레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둘러싸인 내륙 국가로, 모슈슈 1세가 세운 왕국이 영국의 보호령을 거쳐 1966년 독립했으며, 현재는 입헌군주국으로 레체시 3세가 국가 원수, 샘 마테카네가 총리이다.
  • 위요지 - 나고르노카라바흐
    나고르노-카라바흐는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간의 오랜 영토 분쟁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으며 소련 붕괴 후 독립을 선포했으나 두 차례의 전쟁과 무력 충돌로 인해 심각한 인도적 위기를 겪고 있는 복잡한 갈등 지역이다.
  • 1995년 설치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 1995년 설치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광주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대한민국 내 광주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광주광역시
유형광역시
위치35
지역호남
하위 행정 구역5개 구
면적501.24 km²
인구 (2024년 9월)1,411,357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방언전라
ISO 코드KR-29
GDP (2022년)KR₩ 45조
US$ 360억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영어)
한글 표기광주광역시
한자 표기光州廣域市
로마자 표기법Gwangju-gwangyeoksi
매큔-라이샤워 표기법Kwangju-gwangyŏksi
만병초
나무은행나무
비둘기
지역 번호+82-61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 오프셋+9
행정
정부 형태시장-의회
시장강기정 ( 더불어민주당 )
의회광주광역시의회
역사
19세기 영어 명칭Tsien-tsiou

2. 역사

광주광역시는 선사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기원전 57년에 건설된 이 도시는 삼국 시대 백제의 행정 중심지 중 하나였다.[4] 백제 시대에는 무진(武珍) 또는 무주(武州)로 불렸으며, 일본이나 중국과의 교류가 쉬운 중요한 교통로였다. 신라백제를 정복하고 군현 행정조직을 정비한 경덕왕 16년(754년)에는 전국을 9주로 나누고 그 아래에 군현을 두었는데, 이때 무주(武州)는 15군 32현을 관할하였다.[4] 고려 태조 23년(940년)에는 무주(武州)를 광주(光州)로 고치고 도독부를 설치하였다.[4]

조선 시대 광주는 전라도 좌도에 속했으며, 세종 12년(1430년) 마을 사람 노흥준이 목사 신보안을 구타한 사건으로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 문종 원년(1451년)에 복구되었으나, 성종 20년(1489년) 광산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연산군 7년(1501년)에 다시 복구되었다. 인조와 숙종 대에도 비슷한 사건으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복구되는 일이 반복되었다.[4]

일제 강점기 이 도시는 고슈(光州|고슈일본어)로 알려졌다. 1929년, 이 도시에서 한국과 일본 학생들 간의 충돌이 광주학생독립운동으로 번졌고, 이는 일제 식민지 시대 전국적인 주요 항일 운동 중 하나였다. 호남선 철도 건설과 함께 광주에 면방직, 정미소, 양조장 등의 현대 산업이 자리 잡았다.

1949년 광주시로 이름이 바뀌었고,[4] 1986년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4] 1995년에 광역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다. 12·12 군사반란의 주역인 전두환에 반대하는 평화 시위가 광주에서 일어났고, 특수전사령부 정예 부대를 포함한 군 병력이 시위를 진압했다. 강경 진압 이후 상황이 악화되어 시민들이 무기고를 습격하여 무장하면서 광주 민주화 운동이 발생했다.[5] 9일 후 진압될 때까지 수백 명의 시민과 경찰 및 군인들이 사망했으며,[5] 1987년 민정 이양 후 이 사건 희생자들을 기리는 국가 묘지가 조성되었다.[5]

1980년 광주 민주화 운동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비


광주는 2002년 FIFA 월드컵, 2015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9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와 같은 많은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다.

2. 1. 지명

무진(武珍)은 한자를 빌려 한국어를 적은 것으로, '진(珍)'의 옛 한자 새김이 '들', '돌'인 것을 통해 '무들', '물들'에 가까운 발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물+들'(물이 많은 들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며, 광주 지역에 늪지대가 많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차자표기이므로 무진(武珍) 외에 무진(茂珍)이라는 표기도 사용되었으며, 무등산의 이름인 무등(無等)도 같은 말을 다르게 표기한 것으로 추정된다. 광주와 가까운 나주 영산포 일대를 이두로 수입이(水入伊: 물들이)라 한 것으로 보아 이를 뒷받침한다.

삼한시대 마한에 속했고 백제 시대에는 노지(奴只)라는 이름이 보이며, 삼국통일 이후 신문왕 6년에 무진주라고 하였다가, 경덕왕이 무진주에서 무(武)자를 취하여 무주로 개칭하였다. 현재 쓰이고 있는 광주(光州)란 이름은 고려 태조 시기에 등장한다. 이후 행정구역의 변동에 따라 목(牧), 부(府), 현(縣), 군(郡) 등의 행정 단위 계층 변화는 있었으나 명칭은 이어져 오게 된다.

2. 2. 삼국 시대

삼국 시대 광주백제의 영역이었으며, 무진주(武珍州)로 불렸다.[4] 삼국사기 지리지에 따르면, 당시 백제의 군현은 모두 147개였으며, 광주 지역은 무진주로서 미동미리현(남평), 복룡현(나주 일대), 굴지현(창평)을 통치했다. 당시 백제의 해상 세력 형성에 중요한 거점이었던 무진(광주)은 일본이나 중국과의 교류를 쉽게 할 수 있는 중요한 교통로였기 때문에 문물 교역의 요지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2. 3. 남북국 시대

신라백제를 정복하고 군현 행정조직을 정비한 것은 경덕왕 16년(754년)의 일이다. 이때 전국을 9주로 나누고 그 아래에 군현을 두었다. 남원경에 속한 무주(武州)는 15군 32현을 관할하였다.[4]

광주가 무주(武州)라고 기록된 것은 삼국사기 무진주조에 "신라가 그 땅을 모두 합병하여 웅주, 전주, 무주 및 여러 군현을 설치하고 고구려의 남쪽경계 및 신라의 옛 땅을 합하여 9주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신라 신문왕 6년에 그 이름이 나타난다.

지방조직의 핵을 이룬 9주는 상주, 양주, 강주, 한주, 삭주, 웅주, 연주, 전주, 무주이다. 군현제는 피라미드형의 체제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혜공왕 12년에는 경덕왕 때 개칭된 관제가 다시 옛날처럼 복구되었지만, 지방군현의 명칭 복구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신라후기에 무주ㆍ무진주로 부른 예가 있고 보면 혜공왕 이후에는 무주가 다시 무진주로 호칭되었거나 아니면 함께 부르게 되었던 듯하다.

무주는 근처 3현인 현웅현(남평), 용산현(나주일부), 기양현(창평)을 직할한 전남지역의 행정중심지였다. 이 당시 최소의 지방행정구역은 촌이었으며, 대략 10호가량의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혈연집단이 거주하는 자연 부락을 기준으로 편성되었다. 통일신라는 군사조직으로 도성을 호위하는 시위부(侍衛府)와 9서당의 중앙군 이외에도 5주서(5州誓) 및 삼변수(三邊守), 그리고 지방군을 두었다.

십정(十停)이 바로 지방군을 뜻하며 정(停)은 군영의 의미를 갖는 것으로 각 지방요지에 설치한 지방군단이었다. 그 십정 중의 하나가 미다미리정(未多夫里停)이고 무주에 직속되었던 현웅현(남평)에 있었으며 군단의 표지는 흑색금(黑色衿)이었다. 한편 무주의 전신은 미다미리정이 아니었나 하는 추론도 있다.

2. 4. 후삼국 시대

견훤은 상주 가은현 출신으로 서남해안의 방수비장(防守婢將)으로 있다가 진성여왕 6년에 무진주를 점거하고 부근 군현을 빼앗아 완산주(전주)에 진군하여 도읍을 삼고 스스로 후백제 왕이라 칭했다.

한편 북쪽의 궁예강원도 대부분을 정벌하고 도읍을 송악(개성)으로 옮긴 뒤 경기도를 정복, 효공왕 5년에 후고구려 왕을 자칭하였다. 궁예는 왕위에 오른 후 3년에 국호를 마진으로 했다가 다시 태봉으로 고쳤다. 당시 궁예에게 투항했던 왕건은 상주 등 30여 주현 및 충남 공주를 평정하여 궁예에게 귀부시키고, 해상을 통해 후백제 견훤을 공격하여 금성군(나주) 등 10여 군을 공략한 후 나주에 진을 쳤다. 신라를 사이에 두고 후백제와 태봉(마진)이 광주와 나주를 경계로 패권을 다투었다.

2. 5. 고려 시대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무주(武州)를 광주(光州)로 고치고 도독부를 설치하였다.[4]

성종 14년에는 전국을 3경, 4도호부, 10도로 나누고 12주목을 12주절도사로 바꾸는 관제 개혁이 있었다. 이때 전라남도는 해양도라 불렸고, 도호부는 안남(현재 영암)에 설치되었으며, 광주에는 사사(刺史)가 배치되었다. 당시 해양도에는 1도호부에 14주 62현이 있었는데, 전주승주에는 절도사가 있었고, 자사가 배치된 곳은 담주(담양), 패주(보성), 광주의 3주였다.

현종 9년에 다시 행정구역을 개편하여 여러 도의 안무사를 폐지하고 전국에 4대 도호부, 8목, 56지주군사, 28진장, 20현령을 두었다. 이때 광주는 해양현으로 강등되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이후 주로 승격되었다가 충선왕 2년에 다시 화평부로 강등되었다. 그 이유는 기록이 없어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당시 광주에 토호 세력이 강하여 이를 억제하기 위한 조치로 추정된다. 공민왕 11년에는 다시 무진부(茂珍府)로 이름이 바뀌었다.

2. 6. 조선 시대

전라도 좌도에 속했으며, 세종 12년(1430년) 마을 사람 노흥준이 목사 신보안을 구타한 사건으로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 문종 원년(1451년)에 복구되었으나, 성종 20년(1489년) 광산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연산군 7년(1501년)에 다시 복구되었다. 인조와 숙종 대에도 비슷한 사건으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복구되는 일이 반복되었다.[4]

2. 7. 일제강점기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의 새로운 지방 제도에 따라 광주에 읍장을 두었고, 성내면, 기례방, 공수방, 부동방의 1면 3방을 합병하여 광주면이라 칭했다. 1931년 4월 1일 지방 제도 개정에 따라 광주읍으로 승격되었고, 1935년에는 광주부로 변경되었으며, 행정 구역은 41개 정으로 확장되었다.[4]

일제 강점기 이 도시는 고슈(光州|고슈일본어)로 알려졌다. 1929년, 이 도시에서 한국과 일본 학생들 간의 충돌이 광주학생독립운동으로 번졌고, 이는 일제 식민지 시대 전국적인 주요 항일 운동 중 하나였다.

서울로의 철도(호남선) 건설과 함께 광주에 면방직, 정미소, 양조장 등의 현대 산업이 자리 잡았다.

2. 8. 대한민국

1949년 광주시로 이름이 바뀌었다.[4] 1986년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직할시로 승격되었고,[4] 1995년에 광역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4]

1980년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났다. 12·12 군사반란의 주역인 전두환에 반대하는 평화 시위가 광주에서 일어났고, 특수전사령부 정예 부대를 포함한 군 병력이 시위를 진압했다. 강경 진압 이후 상황이 악화되어 시민들이 무기고를 습격하여 무장하면서 광주 민주화 운동이 발생했다.[5] 9일 후 진압될 때까지 수백 명의 시민과 경찰 및 군인들이 사망했다.[5] 1987년 민정 이양 후 이 사건 희생자들을 기리는 국가 묘지가 조성되었다.[5]

광주는 2002년 FIFA 월드컵, 2015 하계 유니버시아드, 2019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와 같은 많은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다.

3. 지리

광주광역시는 남쪽으로 나주시, 북쪽으로 장성군, 동쪽으로 화순군, 서쪽으로 함평군과 경계를 이룬다.

광주는 동부 산악지와 서부 평야지대의 점이지대에 해당하며, 노년기에 속하여 대체로 준평원화된 구릉성 지형이다. 광주평야는 노령산맥소백산맥의 지맥들 사이의 영산강 유역에 분포하며, 광주천과 그 소지류 및 극락강 유역에 연속되어 나타나고 있고 영산강 본류를 따라 인접한 나주 등지로 이어져 결국 나주평야의 일부를 형성한다.


  • 무등산국립공원(1,187m): 광주를 상징하는 산으로, 2012년 12월 27일에 한국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 광주천
  • 영산강
  • 극락강

3. 1. 인문지리

광주광역시는 남쪽으로 남구 승촌동이 나주시 산포면과 경계를 이루고, 북쪽으로는 북구 우치동이, 동쪽은 북구 용강동 영산강변 동부지역이 장성군 남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서쪽은 광산구 양동이 함평군 나산면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동서간, 남북간의 연장거리 간격은 각각 34.3km, 23.1km이다. 대한민국 서남부에 위치한 광주는 호남 지방의 중핵도시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광주를 기점으로 나주시, 무안군, 목포시를 잇는 광목선, 영암군, 해남군, 완도군을 연결하는 광완선, 화순군, 순천시, 여수시를 연계하는 광려선, 담양군, 순창군, 남원시의 광남선, 장성군, 정읍시, 전주시를 연결하는 광전선, 영광군, 고창군, 부안군을 연결하는 광부선 등 6개 방향의 중심으로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제반에 걸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호남 지방 중추관리 기능도시로서의 역할도 병행하고 있다.[46]

3. 2. 자연지리

광주는 동부 산악지와 서부 평야지대의 점이지대라고 할 수 있다. 광주의 지형은 노년기에 속하여 대체로 준평원화된 구릉성 지대라고 보면 된다. 광주를 중심으로 한 전남지방의 산세를 보면 북쪽에 노령산맥이 동서방향으로 뻗어 전북과 불규칙한 경계를 이루고, 동쪽에 소백산맥이 남북방향으로 뻗어 경남과 경계를 이루어 전라남도는 두 산맥의 울타리 사이에 자리한다. 광주평야는 노령산맥과 소백산맥의 지맥들 사이의 영산강 유역에 분포하며, 광주천과 그 소지류 및 극락강 유역에 연속되어 나타나고 있고 영산강 본류를 따라 인접한 나주 등지로 이어져 결국 나주평야의 일부를 형성한다.

  • 무등산국립공원(1,187m)
  • 광주를 상징하는 산으로 친숙하다. 2012년 12월 27일에 한국의 21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시내에는 "무등"이라는 이름을 가진 시설이나 상점 등이 산재해 있다.
  • 광주천
  • 영산강
  • 극락강

3. 3. 기후

광주광역시한국어의 기후 특성은 서해안형과 내륙형의 중간형으로, 대체로 서해안형에 가까운 특성을 보인다. 겨울에는 몽골 부근에서 세력을 확장하는 한랭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삼한사온의 날씨를 보이며, 여름에는 북태평양 동부에 중심을 두고 세력을 확장하는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덥다. 초여름과 늦여름에는 장마로 인해 호우에 의한 기상재해가 발생하며, 태풍의 피해가 잦은 특징이 있다. 봄과 가을에는 중국에서 이동하는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건조하고 맑은 날이 많다.[47] 2010년 광주 지방의 평균 기온은 전년도와 유사한 14.2°C이었으며, 8월에는 평균 기온이 가장 높은 28.1°C를 기록하였다. 연중 강수 총량은 1573.1mm로 전년도보다 84.9mm가 많았으며, 7월에는 2010년에 가장 많은 강수량인 453mm가 내렸다.[47]

광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일 년 내내 강수량이 있지만 특히 여름철 동아시아 계절풍 시기에 강수량이 많은 온난 습윤 기후(쾨펜: ''Cfa/Cwa'')의 온화한 변형을 가지고 있다. 겨울은 다소 춥지만, 한국 반도의 남서쪽 위치 때문에 서울이나 더 북쪽 도시들보다 온화하다. 여름은 덥고 습하며, 특히 뇌우 형태로 강수량이 풍부하다. 광주는 지리적 위치 때문에 한국에서 여름철 가장 더운 도시 중 하나이다.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5.7°C8.3°C13.6°C19.9°C24.8°C27.9°C30°C30.9°C27.1°C21.9°C15°C8°C19.4°C
평균 기온 (℃)1°C2.9°C7.5°C13.4°C18.7°C22.7°C25.9°C26.5°C22.2°C16.1°C9.6°C3.2°C14.1°C
평균 최저 기온 (℃)-2.7°C-1.5°C2.4°C7.8°C13.4°C18.7°C22.8°C23.2°C18.2°C11.2°C5°C-0.8°C9.8°C
강수량 (mm)32.6mm43.6mm61.9mm86.6mm91.4mm152.6mm294.2mm326.4mm145mm59mm50.2mm37.1mm1380.6mm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10.18.28.88.99.010.215.115.09.66.88.810.2120.7
평균 적설일수9.96.32.40.30.00.00.00.00.00.01.18.428.4
평균 상대 습도 (%)65.761.660.360.264.572.079.878.073.667.666.966.968.1
월 평균 일조시간161.4170.5201.0214.1227.9169.9143.1169.0174.4208.5167.4156.92164.1



최고 기온 극값은 38.5°C(1994년 7월 19일), 최저 기온 극값은 -19.4°C(1943년 1월 5일)이다.

4. 행정 구역

광주광역시는 5개의 자치구(광산구, 동구, 서구, 북구, 남구)와 9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5년 12월 31일 기준 인구는 580,427세대, 1,472,199명이며,[51] 면적은 501.18km2이다.[52]

광주의 행정구역


자치구한자세대인구 (명)면적 (km2)
동구東區45,86098,78449.2km2
서구西區120,107305,02847.78km2
남구南區87,514220,16561.01km2
북구北區178,735446,316120.29km2
광산구光山區148,252400,753222.9km2
광주광역시光州廣域市580,4271,472,199501.18km2



동구는 전통적으로 광주의 중심지로, 구 전라남도청[53]과 구 광주시청[54]이 있던 곳이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 된 금남로충장로가 있으며 황금동, 대인동 등의 번화가가 있다. 구 전남도청과 전남도의회가 있던 자리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들어섰다. 북구 중흥동에는 광주 교통의 중심지였던 광주역이 있다. 남구에는 주월동, 봉선동 등의 주택가가 있으며, 서구에는 상무지구가 개발되어 현재 광주광역시청이 이곳에 있다. 광산구는 원래 광산군 지역이었으며 광주송정역 주변의 송정동이 주요 시가지이다. 광산구에는 첨단지구, 신가지구, 신창지구, 운남지구, 하남1, 2, 3지구, 수완지구, 선운지구, 북구에는 첨단2지구가 완료되었으며 남구의 효천지구 등이 개발되고 있다. 광산구에는 광주과학기술원(GIST), 삼성전자 공장, 북구에는 국립광주과학관, 서구 및 광산구에는 기아의 공장 등이 있다.

4. 1. 광주권

대도시권 교통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의 별표 1(대도시권의 범위(제2조 관련))에 의하여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나주시, 담양군, 장성군, 화순군, 함평군이 광주권으로 규정된다.

4. 2. 역대 시장

역대 광주광역시장
선출 방식이름임기정당
민선 1기송언종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민주당
민선 2기고재유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새정치국민회의 → 새천년민주당
민선 3기박광태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새천년민주당 →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통합민주당
민선 4기박광태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통합민주당 → 민주당 → 민주당
민선 5기강운태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민주당 → 민주당 → 새정치민주연합
민선 6기윤장현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새정치민주연합 → 더불어민주당
민선 7기이용섭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더불어민주당
민선 8기강기정2022년 7월 1일 ~ 현재더불어민주당


5. 인구

광주광역시의 인구[55]
연도인구(명)그래프비고
1960년409,283
1966년532,235
1970년622,755
1975년737,283
1980년856,545
1985년1,042,508
1990년1,139,003
1995년1,257,636
2000년1,352,797
2005년1,417,716
2010년1,454,636
2011년1,463,464
2012년1,469,216
2013년1,472,910
2014년1,475,884
2015년1,472,199
2016년1,469,214
2017년1,463,770
2018년1,489,936



2018년 기준 광주광역시의 인구는 약 149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다가 최근 소폭 감소하는 추세이다. 2015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9.5%는 불교를, 28.7%는 기독교(개신교 20%, 가톨릭 8.7%)를 믿으며, 61%는 무종교라고 응답했다.[6]

광주에는 구 소련 지역 거주 한국인인 고려인의 가장 큰 소수 민족 거주지 중 하나인 광주 고려인 마을이 있다.[9][10] 이 마을 인근의 학교인 하남중앙초등학교는 러시아어 사용자가 상당수를 차지한다.[11]

6. 주요 기관

구 전남도청


광주는 충장로, 금남로 일대가 상업 중심지이며, '교육도시'라고 불릴 정도로 대학교와 각급 학교가 많아 전남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등 4년제 대학교 8곳과 조선간호대학교를 포함한 전문대학 8곳, 초등학교 108곳, 중학교 69곳, 고등학교 58곳이 있으며, 38만여 명이 재학 중이다.

방송사 8곳과 신문사 6곳이 있다.

주요 스포츠 시설로는 북구 임동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가 있으며, 서구 풍암동광주월드컵경기장, 광주축구전용구장, 페퍼스타디움이 있다.

동구 광산동에 있던 전라남도청은 2005년에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남악리로 이전했으며, 현재 그 자리에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있고 문화전당역과 연결된다. 서구 상무동에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을 기념하기 위한 5.18 기념공원이 조성되었으며, 북구 망월동에는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국립 5.18 민주묘지가 있다.

6. 1. 공공 기관

광주광역시청은 서구 치평동에 자리잡고 있다. 광주지방법원, 광주고등법원이 있고, 광주지방검찰청, 광주고등검찰청, 광주지방경찰청이 있다.

6. 2. 의료기관

2010년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에는 의료기관 1800여 개, 의사 3000여 명이 있다. 전국 광역시 중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가장 많다.[56]

상급종합병원으로는 전남대학교병원조선대학교병원이 있다.

종합병원은 다음과 같다.

valign=top|valign=top|valign=top|valign=top|



대학치과병원으로는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조선대학교 치과병원이 있다.

대학한방병원으로는 원광대학교 광주한방병원, 동신대학교 광주한방병원이 있다.

7. 경제

2012년 기준 광주광역시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26조이며, 실질성장률은 0.7%이다.[1]

7. 1. 산업

광주광역시는 관광 도시화를 반영하여 제3차 산업이 발달하고 있지만, 공업단지를 건설하는 등 제2차 산업 육성에도 힘쓰고 있다.[1]

  • '''산업단지'''
  • * 첨단과학산업단지
  • * 하남산업단지
  • * 평동산업단지
  • * 진곡산업단지
  • 삼성전자 광주 그린시티 캠퍼스
  • 위니아전자 광주 공장
  • 기아자동차 광주 공장: 프로야구팀 기아 타이거즈를 운영[1]
  • 금호타이어 광주 공장

7. 2. 상업

양동시장, 말바우시장 등 재래시장과 각화동 농산물도매시장, 서부 농수산물도매시장 등 도매시장이 있다. 광주신세계, 롯데백화점 광주점, NC백화점 등 백화점 및 대형 아웃렛, 롯데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가 있다.

8. 문화

광주광역시는 다양한 문화 시설과 축제를 자랑한다.

광주 비엔날레는 짝수 해 9월, 10월에 개최되는 현대미술 축제이다. 고려 시대부터 빛의 마을이라는 의미로 광주라 불린 것과 관련하여 일루미네이션 이벤트도 개최되며,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도 운영하고 있다.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에는 한국 역사의 옛 조선 및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 예술품과 문화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그 외에도 세계 김치 문화 축제, 광주국제영화제, 광주국제공연예술제, 광주 정률성 국제음악제, 임방울 국악제, 추억의 7080 충장축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광주에는 특색있는 음식 거리들이 있다. 무등산 보리밥 거리(다양한 밑반찬이 있는 보리밥),[20] 오리 요리 거리(오리탕과 구운 오리),[21] 민속 떡갈비 거리[22](상추에 싸 먹는 구운 다진 돼지고기 또는 소고기 패티와 소뼈 국물, 다양한 밑반찬이 함께 제공되는 요리), 꼬막 백반 거리[23](다양한 밑반찬과 함께 제공되는 간장에 절인 게 요리) 등이 있다.

광주월드컵경기장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을 꺾고 아시아 최초로 준결승전에 진출한 역사적인 장소이다.

5·18 민주묘지와 광주 민주화 운동 관련 코스인 광주 5·18길에는 역사적인 장소들이 있다.

8. 1. 공연 시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광주의 예술적, 민주적 문화와 역사를 기념하고 국제적인 예술가들의 전시, 체험 및 행사를 개최하는 공간이다. 아시아문화전당은 ACC 교류, ACC 극장, ACC 창작, ACC 아카이브 & 연구, ACC 어린이 등 5개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19]

광주 비엔날레는 2년마다 열리는 현대미술 축제이다. 1995년에 처음 시작되었으며, 전시장은 중외공원 문화센터와 과학센터에 있다.

광주 문화예술회관은 정기적으로 행사를 개최한다.

광주 향교(유교 학교)는 사동 광주공원에 있으며, 1392년 조선 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통 가옥이 있다. 매년 두 차례 공자를 위한 제례를 지내고 있으며, 입장료는 무료이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내에는 4PW 출력의 레이저 연구 장비가 있다.

8. 1. 1. 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 광주시립미술관, 국립광주과학관 외에도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호남대학교에서 부속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국립광주박물관은 한국 역사의 옛 조선 및 고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 예술품과 문화 유물의 상설 전시를 하고 있다. 또한 박물관은 일반인에게 공개되는 전시회와 문화 학습 활동을 조직한다.

8. 1. 2. 영화관

CGV는 광주터미널, 광주첨단, 용봉, 상무, 광주금남로, 광주하남, 광주용봉, 광주충장로에 있다. 롯데시네마는 광주(백화점), 수완(아울렛), 광주광산에 있으며, 메가박스는 광주전대, 첨단, 콜럼버스 상무, 콜럼버스 하남에 있다. 이 외에도 광주극장이 있다.

8. 1. 3. 문화복합관


  • 유스퀘어문화관
  • 광주문화예술회관
  • 5·18기념문화센터
  • 김대중컨벤션센터
  • 서구문화센터
  • 빛고을 시민문화관
  • 동구문화센터
  • 아시아문화전당 – 아시아문화전당(ACC)은 광주 도심에 있는 시설로, 광주의 예술적, 민주적 문화와 역사를 기념하고 탐구하며, 국제적인 예술가들의 전시, 체험 및 행사를 개최할 공간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지하에 주로 건설되었지만, 설계에 많은 양의 자연 채광이 통합되어 있다.[19] ACC 교류, ACC 극장, ACC 창작, ACC 아카이브 & 연구, ACC 어린이 등 5개 시설이 있다.
  • 광주 비엔날레 – 2년마다 개최되는 현대미술 축제이다. 1995년에 처음 시작되었다. 광주 비엔날레 전시장은 중외공원 문화센터와 과학센터에 있다.
  • 광주 문화예술회관 – 이 센터는 정기적으로 행사를 개최한다.
  • 광주 향교(유교 학교) – 광주 향교는 사동 광주공원에 있다. 1392년 조선 시대 1년에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통 가옥이 있다. 이 학교는 매년 두 차례 공자를 위한 제례를 계속 거행하고 있다. 입장료는 무료이다.

9. 스포츠

무등야구장에서 바라본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광주월드컵경기장


KIA 타이거즈의 홈구장인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프로 야구단인 KIA 타이거즈, K리그광주 FC가 광주광역시를 연고지로 한다. V-리그 (여)의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 또한 광주광역시를 연고로 한다.

리그명팀명창단 연도홈 경기장
KBO 리그KIA 타이거즈1982년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K리그2광주 FC2010년광주축구전용경기장
V-리그 (여)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2021년페퍼스타디움



광주월드컵경기장2002년 FIFA 월드컵 경기장 중 하나였으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스페인을 물리치고 역사상 처음으로 준결승에 진출한 곳이기도 하다. 2015년 7월에는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가 광주에서 개최되었다.

10. 교육

2009년 5월 1일 기준으로 광주에는 유치원 234개, 초등학교 145개, 중학교 84개, 고등학교 65개, 과학고등학교 1개, 전문대학 7개, 대학교 9개, 대학원 38개, 기타 11개를 포함하여 총 593개의 학교가 있다.[16] 이 때 학생 수는 총 40만 6,669명으로, 광주시 전체 인구의 28.5%에 해당하며 가구당 평균 학생 수는 0.8명이다.

2009년 5월 1일 기준 광주광역시 학교 및 학생 현황[16]
구분학교 수학생 수
유치원234개-
초등학교145개-
중학교84개-
고등학교65개-
과학고등학교1개-
전문대학7개-
대학교9개-
대학원38개-
기타11개-
총계593개406,669명


10. 1. 초중등교육기관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에 광주광역시교육청이 있고, 산하에 동부와 서부 2개의 교육지원청이 있다.[1] 2010년 기준으로 광주광역시에는 유치원 248개, 초등학교 145개교, 중학교 85개교가 있다.[1] 교육청 산하에는 도서관, 교육연수원, 교육과학연구원, 학생교육원, 교육정보원 등이 있다.[1]

10. 1. 1. 고등학교

광주광역시의 고등학교 목록을 참고하십시오.

10. 2. 고등교육기관

광주에는 광주과학기술원, 전남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등 국립대학교와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 호남대학교, 광신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등 사립대학교가 있다. 광주보건대학교는 사립 전문대학으로 인문사회, 보건 계열 전문학사 학위와 간호학 학사 학위를 제공한다.[16]

전남대학교

10. 2. 1. 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전남대학교, 조선대학교, 광주대학교, 광주교육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호남대학교, 남부대학교, 광신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 송원대학교가 있다.

전남대학교,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교육대학교는 광주에 있는 국립대학교이다.

호남대학교, 광주대학교, 광신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남부대학교, 조선대학교, 호남신학대학교는 사립대학교이다.

광주보건대학교는 인문사회계열, 보건계열의 전문학사 학위와 간호학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사립 전문대학이다.

광주에는 대학교 9개가 있다.[16]

대학교 목록


10. 2. 2. 전문대학

광주보건대학교는 인문사회계열, 보건계열의 전문학사 학위와 간호학 학사 학위를 제공하는 사립 전문대학이다. 광주광역시에 있는 전문대학은 다음과 같다.[16]

학교명한자명비고
광주보건대학교光州保健大学사립
조선이공대학朝鮮理工大学
조선간호대학朝鮮看護大学
기독간호대학基督看護大学
서강정보대학교西江情報大学
한국폴리텍5대학韓国ポリテク5大学
동강대학東岡大学
송원대학교松源大学校


10. 3. 도서관

광주광역시의 공공도서관은 2012년 기준으로 17개가 시, 구, 교육청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11. 교통

광주광역시는 도로, 철도, 도시철도, 항공 등 다양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광주 도시철도가 운행 중이며, 2008년에 일부 구간, 2012년에 나머지 구간이 완공되었다. KTX 역으로는 광주역광주송정역이 있는데, 현재는 광주송정역이 주로 사용된다. 광주송정역은 광주 도시철도와 시내버스 시스템과 연결된다.

광주광역시 전역을 운행하는 광범위한 시내버스 시스템이 갖춰져 있으며[17], 버스 정류장과 버스에는 한국어와 영어로 된 정류장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 시내버스는 U-스퀘어로 알려진 광주종합버스터미널과 연결된다.[18]

광주공항을 이용할 수 있다.

11. 1. 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가 도시의 북부, 무안광주고속도로가 도시의 중부를 관통하며 북광주 나들목, 서광산 나들목, 운수 나들목, 북광산 나들목, 광산 나들목, 동림 나들목, 산월 분기점, 서광주 나들목, 용봉 나들목, 동광주 나들목, 문흥 분기점이 도시와 연결된다.

도심을 순환하는 제1순환도로와, 도심 외부를 순환하는 제2순환도로가 있으며, 이 도로는 4개의 구간으로 분류되어있다. 유료 구간은 2구간 (장원 나들목 ~ 지원 나들목), 3구간(효덕 나들목 ~ 풍암 나들목), 4구간 (서창 나들목 ~ 산월 분기점)이다. 2015년 12월 23일에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제3순환도로)가 착공되어 2022년 12월에 개통됐다.

2004년 12월 29일에 상무지구에서 동림 나들목을 잇는 도시고속도로인 센다이로가 개통되었으나, 광주 관문도로에 명명된 일본식 이름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에 따라 지금은 빛고을대로로 변경되었다.

11. 1. 1. 시내버스

광주광역시의 버스는 광주광역시와 산하 구청에서 관리하고 각 운수 회사에서 운행하며, 2006년 12월 21일부터 준공영제와 무료환승제가 시행되고 있다.[1] 10개 시내버스회사와 몇몇 공항·마을버스 회사가 광주광역시 전역과 인근 시군을 900여 대의 버스로 운행하고 있으며, 인근 5개 시군의 7개 시내·마을버스 회사도 200여 대의 버스로 광주광역시와 인근 시군간을 연결·운행하고 있다.[1] 버스의 배차 간격과 운행 시간, 환승 정보 및 도착 정보는 광주광역시 버스운행정보 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1]

급행간선(좌석)버스는 5개 노선, 간선버스는 30개 노선, 지선버스는 60개 노선, 마을버스는 광산구에 4개 노선, 서구에 1개 노선이 운행 중이며, 이 외에도 공항버스 1개 노선이 있다.[1] 시내버스는 2006년에 대대적인 재편이 이루어졌다.[1]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의 버스#광주광역시 및 주변 지역의 버스 운영 시스템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1]

11. 2. 철도

광주송정역


광주광역시 서부에는 광주송정역을 지나는 호남선이 있으며, 하남역에서 광주선이 분기하여 광주역으로 연결된다. 광주송정역에는 KTX가 운행하며, 순천역삼랑진역 방면으로 경전선이 연결된다.

과거 경전선광주송정역 - 극락강역 - 광주역 - 남광주역 - 효천역 구간이었으나, 도심 철도 문제와 주민 민원으로 광주송정역 - 서광주역 - 효천역으로 이설되었다. 광주송정역 - 극락강역 - 광주역 구간은 광주선으로 분리되었고, 광주역 - 남광주역 - 효천역 구간은 폐선되었다.

2015년 4월 2일 오송역-광주송정역 구간의 호남고속선 1단계 공사가 완공되어 용산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1시간 30분대에 이용 가능하다. 광주송정역에서는 목포역, 용산역, 인천국제공항역, 행신역 방면 호남선 열차와 순천역, 진주역, 부전역 방면 경전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광주역에서는 용산역 방면 호남선 열차와 목포역 방면 무궁화호, 순천역 방면 무궁화호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부산부전역광주송정역을 잇는 열차는 정기 열차로 하루 1회 왕복 운행하며, 약 6시간이 소요된다.

호남고속선은 호남선 본선과 함께 광주시가지 서쪽을 통과한다. 한국고속철도(KTX)는 2015년 4월 2일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 광주선에 더 이상 진입하지 않게 되었고, 시내 정차역은 광주송정역만 남게 되었다. 서울 용산역에서 최고 속도로 약 1시간 30분 만에 연결된다.

광주역으로 향하는 열차 중, 용산역·서대전 방면에서 오는 열차는 광주송정역 직전의 삼각선을 통과하여 광주선으로 진입하기 때문에 광주송정역을 통과하지 않는다. 광주역목포역·경전선 방면을 잇는 열차는 광주송정역에도 정차한다.

11. 2. 1.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2004년 4월 28일 동구 소태동에서 서구 상무 신시가지까지 잇는 1구간이 개통되었고, 2008년 4월 11일 서구 상무 신시가지에서 평동역까지 2단계 구간이 완공되면서 완전 개통되었다.[17]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은 2023년 개통 예정이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항목내용
노선녹동 - 평동
영업 연장20.6km
역 수20개
차량기지용산차량사업소, 옥동차량사업소
운행 시격7.0~10.0분
소요 시분평동 - 소태 37분, 평동 - 녹동 42분
연 수송 인원17,203,413명 (1일 47,133명) - 2009년 기준
19,319,085명 (1일 52,929명) - 2019년 기준



광주 도시철도 2호선
항목내용
영업 거리41.9km
역 수44개 역


11. 3. 항공

광산구에 있는 광주공항에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등의 여객기가 김포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노선을 운항한다.[17] 무안국제공항 개항으로 국제선은 무안국제공항에서 이용해야 한다.[17]

12. FM 라디오 주파수 방송 목록

주파수방송국명송신소
88.3MHz전주KBS 제1라디오구례 노고단
89.1MHz목포MBC 표준FM해남 대둔산
89.7MHzBBS 광주불교방송광주 무등산
90.1MHzJTV 매직FM전북 전주 모악산
90.5MHz광주KBS 제1라디오광주 무등산
91.5MHz광주MBC FM4U광주 무등산
92.3MHz광주KBS 클래식FM광주 무등산
92.9MHz전주KBS 해피FM전북 전주 모악산
93.1MHzfebc 광주극동방송광주 무등산
93.9MHz광주MBC 표준FM광주 무등산
94.3MHz전주MBC 표준FM전북 전주 모악산
94.7MHz남도국악방송해남 대둔산
95.1MHz광주MBC FM4U구례 노고단
95.5MHz광주KBS 해피FM광주 무등산
96.5MHz국방FM광주 무등산
96.9MHz전주KBS 제1라디오전북 전주 모악산
97.3MHzTBN 광주교통방송광주 무등산
97.9MHzWBS 전북원음방송전북 전주 모악산
98.1MHz광주CBS 음악FM광주 무등산
98.7MHzGGN 글로벌광주방송광주 무등산
99.1MHz전주MBC FM4U전북 전주 모악산
99.3MHz광주국악방송광주 무등산
99.9MHzcpbc 광주가톨릭평화방송광주 무등산
100.5MHzfebc 목포극동방송목포 양을산
100.7MHz전주KBS 클래식FM전북 전주 모악산
101.1MHzkbc MyFM광주 무등산
101.7MHz전주MBC 표준FM구례 노고단
102.3MHz목포MBC FM4U목포 양을산
102.5MHzTBN 전북교통방송전북 전주 모악산
103.1MHz광주CBS 표준FM광주 무등산
103.7MHz전북CBS 표준FM전북 전주 모악산
104.1MHzEBS 라디오해남 대둔산
104.5MHz전주KBS 클래식FM구례 노고단
105.3MHzEBS 라디오광주 무등산
105.9MHz목포KBS 제1라디오해남 대둔산
106.7MHzEBS 라디오목포 양을산
106.9MHzEBS 라디오전북 전주 모악산
107.5MHzEBS 라디오구례 노고단
107.9MHzWBS 광주원음방송광주 무등산


13. 출신 인물

광주광역시 출신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분야인물
연예인
스포츠인
정치인
기타


14. 국제 교류

광주광역시는 여러 나라의 도시들과 자매 결연 및 우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63]

{| class="wikitable"

|-

! 자매 도시 !! 관심 도시 및 달빛 동맹 !! 우호 도시

|-

|valign="top"|

국가도시
미국
텍사스주
샌안토니오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후쿠오카현
기타큐슈시
중국광둥성(广东省) 광저우시(广州市)
산시성(山西省) 창즈시(长治市)
장쑤성(江苏省) 옌청시(盐城市)
중화민국
타이난시(台南市)
홍콩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中華人民共和國香港特別行政區|중화인민공화국 홍콩 특별행정구yue)



|valign="top"|



|valign="top"|



|}

특히 대구광역시와는 달빛동맹을 맺어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3] 웹사이트 Origin and History of Gwangju https://www.gwangju.[...] 2018-04-18
[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wangju http://eng.gwangju.g[...] 2016-04-25
[5] 웹사이트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http://eng.gwangju.g[...] 2016-04-25
[6] 웹사이트 2015 Census – Religion Results https://kosis.kr/sta[...]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1-04-06
[7] 웹사이트 World Urbaniz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2020-02-20
[8]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9] 웹사이트 [Weekender] Koryoin from Ukraine find new home in ancestors' land https://www.koreaher[...] The Korea Herald 2023-02-24
[10] 웹사이트 The long journey of Korejskij https://koreajoongan[...] 2020-10-13
[11] 웹사이트 As multicultural students surge, Korea's classrooms change https://koreajoongan[...] 2023-11-07
[1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12-08
[15] 웹사이트 Gwangju, South Korea - Detailed climate information and monthly weather forecast https://www.weather-[...] Yu Media Group 2019-07-09
[16] 웹사이트 Gwangju science academy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광주광역시 버스정보 http://bus.gjcity.ne[...] 2016-07-29
[18] 웹사이트 U-Square (Gwangju Bus Terminal)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http://english.visit[...] 2016-07-29
[19] 웹사이트 Asia Culture Center https://www.acc.go.k[...] 2016-07-29
[20] 웹사이트 Mudeungsan Boribap Street | Food Street | Things to Eat :: Tourism Portals(영문포털) https://web.archive.[...] 2022-01-11
[21] 웹사이트 Duck Cook Street | Food Street | Things to Eat :: Tourism Portals(영문포털) https://web.archive.[...] 2022-01-11
[22] 웹사이트 Folk Tteokgalbi Street | Food Street | Things to Eat :: Tourism Portals(영문포털) https://web.archive.[...] 2022-01-11
[23] 웹사이트 Kotgejang Baekban Street | Food Street | Things to Eat :: Tourism Portals(영문포털) https://web.archive.[...] 2022-01-11
[24] 웹사이트 4강 역사를 쓴 그곳, 광주 월드컵 경기장 Dream stadium of K-League https://web.archive.[...] 2009-02-16
[25] 웹사이트 3rd Asia Song Festival https://web.archive.[...] 2011-08-29
[26] 웹사이트 2016 광주 ACE Fair http://www.acefair.o[...] 2016-04-25
[27] 뉴스 광주역 일대에 창업거점 '그린 스타트업 타운' 만든다 https://www.yna.co.k[...] 2021-05-13
[28] 웹사이트 Korea National Park http://english.knps.[...] 2016-04-25
[29] 웹사이트 Sister Cities https://www.gwangju.[...] Gwangju 2023-02-02
[30] 웹사이트 International Affairs – Twinnings and Agreements http://www.comune.to[...] City of Torino 2013-06-18
[31] 뉴스 MPSP sets sights on city status https://www.thestar.[...] 2016-08-01
[3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33] 뉴스 일본군 위안부 기림비 미국 땅에 2번째 둥지 http://www.hani.co.k[...] 2012-06-21
[34] 웹사이트 HDCグループ会長が辞任 光州マンション崩壊事故で https://rki.kbs.co.k[...] KBSワールド 2022-01-17
[35]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광주(15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36]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광주(156)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37] 웹사이트 [공존사회를 항하여] 지역감정, 언제 어떻게 생겼나 http://news.kmib.co.[...] 2022-06-10
[38] 웹사이트 保安司令部が秘密組織設け“5・18暴動”をねつ造した http://japan.hani.co[...] 2022-06-10
[39] 웹사이트 "무슨 낯으로..." 광주에서 물벼락 맞은 황교안 https://www.ytn.co.k[...] 2022-06-10
[40] 웹사이트 호남에서 종북사이비좌파 선동세력 척결없이 국민대통합은 없다. http://www.dailyjn.c[...] 2022-06-10
[41] 웹사이트 군소정당, 광주 '제 2당' 자리싸움 올인 https://www.jnilbo.c[...] 2022-06-10
[42] 웹사이트 국민의힘 27년만에 광주시의원 배출…제2당 `등극` https://newsis.com/v[...] 2022-06-10
[43] 웹인용 2024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4] 뉴스 광주 亞문화도시 7대 문화권 사업 내용 구체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1-09-14
[45] 웹인용 홈>광주소개>광주의 역사>광주연혁 https://web.archive.[...] 2016-03-31
[46] 서적 2011년 시정백서 광주광역시청
[47] 서적 2011년 시정백서 광주광역시청 2012-09-03
[48] 기타
[49]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광주(15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50]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광주(156)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51] 웹사이트 2013년말 주민등록 인구 http://www.gwangju.g[...] 2015-09-24
[52] 웹인용 광주광역시의 면적 https://web.archive.[...] 2014-03-11
[53] 기타
[54] 기타
[55] 기타
[56] 뉴스 인구 당 의사수 "서울·광주 많고 인천·경북 적어" http://www.mt.co.kr/[...]
[57] 웹인용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자동차산업 https://web.archive.[...] 2016-03-31
[58] 웹인용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에너지산업 > 에너지밸리조성 https://web.archive.[...] 2016-03-31
[59] 웹인용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광산업 https://web.archive.[...] 2016-03-31
[60] 웹인용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광주주력산업 > 금형산업 https://web.archive.[...] 2016-03-31
[61] 웹인용 홈 > 정보공개 > 경제정보 > 산업단지 https://web.archive.[...] 2016-03-31
[62] 웹인용 홈>광주의 재발견>가볼만한곳 20선 https://web.archive.[...] 2016-03-31
[63] 웹인용 해외자매도시 https://web.archive.[...] 2013-12-30
[64]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