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대한민국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설립된 기관으로, 핵 비확산 및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목적으로 한다. 핵물질 계량관리 심사 및 검사, 국제원자력기구(IAEA) 안전조치 협정 이행, 핵물질 등 국제규제물자 및 관련 기술의 수출입 통제, 핵물질 및 원자력 시설의 물리적 방호에 대한 심사 및 검사, 원자력통제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 국제협력 지원, 교육 등을 주요 임무로 수행한다. 1975년 한-IAEA 전면안전조치 협정 체결, 2006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개원 등의 연혁을 거쳤으며, 이사회, 원장, 원자력통제본부, 정책연구센터, 교육훈련센터, 경영관리부 등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기관 (원자력안전위원회 소관)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규제, 방사선 비상대응, 규제 기술 연구 개발 등을 수행하여 방사선 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 공공기관 (원자력안전위원회 소관) -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안전재단은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확보를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재단법인으로, 안전 연구 개발, 정책 수립 지원, 방사선작업종사자 안전 관리, 방사성 물질 수출입 요건 확인,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 방사선 안전 교육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원자력안전 R&D 연구관리 전문기관 및 생활주변방사선전문기관으로 지정되어 활동하고 기획재정부 지정 기타공공기관이다. -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 규제, 방사선 비상대응, 규제 기술 연구 개발 등을 수행하여 방사선 재해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이다. - 대한민국 원자력안전위원회 - 대한민국의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
대한민국의 원자력안전위원회 위원장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소관 사무를 통할하고 위원회를 대표하여 회의를 주재하며 소관 사무를 총괄하는 장관급 또는 차관급의 직위이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 한국전력기술
한국전력기술은 1975년에 설립된 발전소 설계 전문 회사이며, 한국원자력연구소와 미국의 번즈 앤 로우사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한국전력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원자력 및 화력 발전소 설계 분야를 주요 사업으로 한다. - 대한민국의 원자력 -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
한국원자력의학원원자력병원은 1963년 개소한 방사선의학연구소로 시작하여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 치료, 연구를 수행하며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의료 서비스와 지역사회 병·의원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암환자에게 최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관이다.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영문 명칭 | Korea Institute of Nuclear Nonproliferation and Control |
설립일 | 2006년 6월 30일 |
소재지 |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대로 1534 |
직원 | 67명 (2011년 8월 기준) |
기관장 | 손재영(원장) |
상급 기관 | 원자력안전위원회 |
웹사이트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웹사이트 |
2. 설립 근거 및 목적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원자력안전법[1], 핵비확산조약(NPT), 국제원자력기구(IAEA) 전면안전조치협정 및 추가의정서에 근거하여 설립되었다. 설립 목적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보장, 핵무기 등 군사적 목적 전용 방지, 핵비확산 국제규범 준수, 핵 투명성 확보를 위한 국제협력 강화, 국제사회의 신뢰를 통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확대이다.
2. 1. 설립 근거
원자력안전법[1], 핵비확산조약(NPT), 국제원자력기구(IAEA) 전면안전조치협정 및 추가의정서에 근거하여 설립되었다.2. 2. 설립 목적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설립 목적은 다음과 같다.-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보장하고, 핵무기 개발 등 군사적 목적으로 전용되는 것을 방지한다.
- 핵비확산에 관한 국제규범을 준수한다.
- 핵 투명성 확보를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한다.
-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확대하는 데 기여한다.
3. 주요 임무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다음과 같은 주요 임무를 수행한다.
- IAEA영어 전면안전조치협정 및 추가의정서 이행과 관련된 핵물질 계량관리 심사 및 검사, 물리적 방호 심사 및 검사를 한다.[1]
- 원자력 통제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 국제 협력 지원, 교육을 한다.[1]
3. 1. 핵물질 계량관리
IAEA영어 전면안전조치협정 및 추가의정서 이행과 관련된 핵물질 계량관리에 대한 심사 및 검사를 수행한다.[1]3. 2. IAEA 안전조치 협정 이행
국제원자력기구(IAEA) 전면안전조치협정 및 추가의정서 이행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한다.[1]3. 3. 수출입 통제
핵물질 등 국제규제물자 및 관련 기술의 수출입을 통제한다.[1]IAEA영어 전면안전조치협정 및 추가의정서 이행,[1] 핵물질 계량관리에 관한 심사 및 검사,[1] 핵물질 및 원자력시설의 물리적방호에 관한 심사 및 검사,[1] 원자력통제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1] 원자력통제 관련 국제협력 지원,[1] 원자력통제 관련 교육[1] 등도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의 사업 내용에 포함된다.
3. 4. 물리적 방호
핵물질 및 원자력 시설의 물리적 방호에 관한 심사 및 검사를 실시한다.[1]3. 5. 연구 및 기술 개발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원자력 통제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수행한다.[1]3. 6. 국제 협력 및 교육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원자력 통제와 관련된 국제 협력을 지원하고 관련 교육을 제공한다.[1]4. 연혁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대한민국 원자력 안전 규제 전문 기관으로,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다음과 같은 발전 과정을 거쳤다.
연도 | 주요 내용 |
---|---|
1975년 | 한-IAEA 전면안전조치 협정 체결[1] |
1992년 | 남북핵통제공동위원회(JNCC) 설립 |
1994년 | 한국원자력연구소 내 원자력통제기술센터 발족 |
1997년 | 국가 계량관리 검사 시행 |
1999년 |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추가 의정서 서명 |
2003년 | 원자력시설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 대책법 공포[1] |
2004년 | 대한민국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에서 국가원자력통제체제 강화 계획 발표[1] |
2004년 | 국가원자력관리통제소 개소[1] |
2006년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개원[1] |
2008년 | 통합 안전조치에 진입, 신청사 이전[1] |
2014년 | 국제핵안보교육훈련센터 개소[1] |
4. 1. 1970년대 ~ 1990년대
- 1975년 한-IAEA 전면안전조치 협정 체결[1]
- 1992년 남북핵통제공동위원회(JNCC) 설립
- 1994년 한국원자력연구소 내 원자력통제기술센터 발족
- 1997년 국가 계량관리 검사 시행
- 1999년 국제 원자력 기구(IAEA) 추가 의정서 서명
4. 2. 2000년대 이후
5. 조직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은 원자력 관련 활동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기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이사회, 감사, 원장, 그리고 그 아래 여러 하부 조직을 두고 있다.
조직명 |
---|
이사회 |
감사 |
원장 |
원자력통제본부 |
정책연구센터 |
교육훈련센터 |
경영관리부 |
하부 조직으로는 원자력통제본부, 정책연구센터, 교육훈련센터, 경영관리부가 있으며, 각 부서는 원자력 안전 및 통제 관련 전문 업무를 수행한다. 이사회와 감사는 기관 운영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며, 원장은 기관 운영 전반을 총괄한다.
5. 1. 이사회 및 감사
감사5. 2. 원장
주어진 자료에는 역대 원장 목록이 나와 있지 않아, 이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5. 3. 하부 조직
- 원자력통제본부
- 안전조치실
- 수출입통제실
- 물리적방호실
- 사이버보안실
- 정책연구센터
- 정책연구실
- 기술개발실
- 교육훈련센터
- 경영관리부
- 기획예산실
- 행정지원실
- 홍보협력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